KR101614191B1 -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 Google Patents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191B1
KR101614191B1 KR1020137005223A KR20137005223A KR101614191B1 KR 101614191 B1 KR101614191 B1 KR 101614191B1 KR 1020137005223 A KR1020137005223 A KR 1020137005223A KR 20137005223 A KR20137005223 A KR 20137005223A KR 101614191 B1 KR101614191 B1 KR 10161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extraction
container
tim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139A (ko
Inventor
아이덴벤츠 루에디
밍 체 치
Original Assignee
달라 피아자,엔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달라 피아자,엔리코 filed Critical 달라 피아자,엔리코
Publication of KR2014000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시간을 제어하여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용제 용기(3)를 위한 부가장치(2a; 2b)는 용제 용기(3)위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5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0)는 추출용기(200)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511)과 리프팅장치를 가지며, 리프팅장치는 슬리브(400)를 포함하고, 슬리브(400)위에 상기 추출용기(200)가 설치되는데 추출용기(200) 하단이 슬리브(400) 의 하단을 지나치게 설치되고, 슬리브(40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추출용기(200)에 추출물을 넣을 수 있게 한다. 상기 리프팅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가이드장치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400)는,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 사이에서 선형가이드(405, 515)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상기 낮은 위치는 슬리브(400)의 추출위치가 되며, 추출위치로 추출용기(200)가 내려지고, 높은 위치는 비작동위치가 되고, 비작동 위치로 추출용기(200)가 추출위치로 부터 올려지게 된다. 상기 리프팅장치는 추출위치에서 슬리브(400)를 잠그기(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장치를 갖는다. 타이머(300) 또한 제공되며, 상기 타이머는 장입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슬리브(400)가 추출위치에서 잠겨져 있는 경우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슬리브를 잠금 해제시킨다. 상기 슬리브(400)는 선형가이드(405, 515)를 따라 복원력에 의해 추출위치에서 상승하게 되며, 상기 복원력은 슬리브(400)가 잠금 해제되면 추출위치에서 비작동위치로 다시 올려주게 된다.

Description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Attachment for a solvent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 우려내기에 관한 것이며,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용제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추출용기(extraction product container)가 통과하는 구멍(aperture)을 포함하며, 리프팅장치(lifting device)는 추출용기가 설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의 하부 말단을 지나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슬리브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추출물질이 채워질 수 있고, 상기 리프팅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된 가이드장치를 가지고 상기 슬리브는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선형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낮은 위치는 슬리브의 추출위치(brewing position)로 정의되고, 높은 위치는 비작동위치(inoperative position)로 정의 되며, 상기 추출용기는 추출위치에 대해 올려지고, 상기 리프팅장치는 슬리브가 추출위치에 있을때 잠그기 위한 잠금창치를 포함하고,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타이머를 가지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하면, 상기 추출위치에서 잠겨있던 슬리브는 잠금 해제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부가장치를 포함하는 찻주전자를 제공하며, 상기 타이머는 시간 구간을 세팅하기 위한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US 2006/0288873 A1(양헹테)는 시간-제어하의 차를 마련하는 장치를 기술하였으며, 상기 기술은 미리 정해놓은 시간 이후 차로부터 허브차를 분리해낼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장치는 몸체와, 몸체 내에 설치되는 용제 용기와 상부에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수직축에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시간 구간을 세팅할 수 있다.
동시에, 시간 구간이 세팅되면, 특히 타이머의 첫 번째 작동 섹션에서, 본체 아래에 설치되는 차 용기(tea container)는 내려가게 되고 상기 위치에서 잠기게 된다.
시간 구간이 경과된 후, 상기 차 용기는 잠금 해제되고 리프팅장치에 의해 위로 올려진다.
이 경우, 상기 리프팅장치에서, 차 용기를 채우기 위해 리프팅장치에 고정설치된 필터커버를 돌려열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장치는 용제 용기로부터 제거된다.
이 결과, 채워진 차 용기는 필터커버로 다시 돌려잠기고, 상기 장치는 다시 용제 용기 위로 위치하게 된다.
차 용기를 채우기 위해 장치를 용제 용기에서 제거해야 하기 때에 상기 장치의 조작은 불편하였다.
추가적으로, 차 용기를 필터커버로 돌려여닫는 것이 종종 어려웠으며 허브티가 스레드(thread)를 통과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소일링(soiling)이 민감해지게 된다.
DE 198 39 421 A1(Gerber Jens Joerg)는 작은 여과기(strainer)를 소개하였으며, 상기 여과기는 망원경같이 당겨져 삽입되며 시간이 경과된 후 여과기 커버가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장치에 의해 여과기 용기를 덮게된다.
상기 삽입된 여과기는 스크류 슬리브의 내측 스크류 스레드와 여과기 용기의 스크류볼트에 의해 위아래로 이동한다.
상기 여과기 용기는 용제 용기 위에 위치할 때 여과기 커버를 통해 허브차로 채워질 수 있다.
DE 198 39 421 A1 (Gerber Jens Joerg)가 채우기 용이한 여과기를 제공하기는 하나, 나선그루브 때문에 리프팅장치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크류 슬리브의 마찰력에 큰 손실이 있기 때문에, 강력하고 값비싼 스프링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특히, 상기 스크류 슬리브는 허브차의 소일링(soiling)에 민감하고, 이에 따라 장치가 정지될 수 있어 작동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기술분야에서의 시간을 제어하여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용제 용기를 위한 부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상기 부가장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사용하기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나타나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을 제어하면서 추출음료, 특히 차를 준비하는 용제 용기를 위한 부가장치는 용제 용기의 개구부 위로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추출용기가 통과하는 구멍을 가진다.
또한, 추출용기(extraction product container)위에 슬리브를 포함하는 리프팅장치(lifting device)가 설치되며,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의 하측 말단을 지나 돌출되며 슬리브 상부의 개구부로부터 추출물질이 채워진다.
이경우, 상기 리프팅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된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가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선형가이드에 의해 높은위치 및 낮은 위치로 가이드되고, 상기 낮은 위치는 슬리브의 추출위치(brewing position)로 정의되고, 상기 높은 위치는 추출용기가 추출위치로부터 올려진 비작동위치(inoperative position)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장치는 추출위치에서 슬리브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타이머가 있어,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슬리브가 추출위치에서 잠금이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선형가이드를 따라 움직이며, 슬리브가 잠금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추출위치에서 비작동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용제 용기 위에 설치된다.
상기 용제 용기는 통상 차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용제가 용기 안에서 쏟아지지 않게 된다.
용제 용기의 상부 지지 에지는, 부가장치가 설치되는 개구부를 바운드(bound)하며, 이에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며, 이에 맞추어 베이스플레이트도 수평으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용제 용기 위에 경사진 면을 따라 설치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체로, 베이스플레이트는 용제 용기의 넓은 면 위에서 수평으로 배치되며, 용제 용기의 작동을 위해 설치된 부가장치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 그리고 "상부에"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로 표현한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수직(perpendicular)"은 대체적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인 방향" 또는 "축방향" 과 같은 뜻을 갖는다.
이 경우,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은 중력에 의한 방향으로 정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원칙적으로 용제 용기의 입구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 용제 용기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은 용제 용기를 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대체로 판형 디자인이며, 특히 개구부를 둘러싸게 되며, 용제 용기의 지지 에지부위에 얹혀진다.
이하에서 설명할 부가장치부분은 용제 용기의 반대측인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를 가지는 둘레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는 용제 용기의 지지에지 위에서 부가장치를 지지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가장치는 용제 용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돌출에지가 베이스플레이트보다 높이 형성된 경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용제 용기 내로 낮추어져 형성되게 되며, 이에 따라 부가장치의 무게중심이 낮게 유지되고, 이로인해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에지는 추가적으로 커버(뚜껑; 차후에 설명함)의 설치면을 제공해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특별한 에지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제 용기의 지지에지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아래 방향의 멈춤돌기(downwardly projecting stop)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멈춤돌기는 부가장치가 용제 용기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부가장치는 용제 용기에 고정되기 위하여, 예로서, 조임클립(clip fastening) 또는 기타 다른 조임수단이 제공된다.
결국, 상기 부가장치는 차주전자 커버안에 결합되어 연접식(articulated manner)으로 용제 용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가장치의 크기는 제공되는 용제 용기에 상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부가장치는 주전자(jugs), 컵 등의 다른 용제 용기가 적용될 수 도 있다.
이를 위하여, 예로서, 베이스플레이트를 감싸는 원뿔벽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원뿔벽은 부가장치가 다른 개구부에 맞춰지도록 허용하게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구멍은 플레이트의 평면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방향의, 예로서 베이스플레이트와 수직한 방향의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리프팅장치는 구멍 주위의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리브가 구멍에 정렬되어 위치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리프팅장치는 슬리브위에 설치되는 추출용기(extraction product container)를 구멍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린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멍은 추출용기나 또는 슬리브가 방해받지 아니하고 오르내릴 수 있게 하는 크기를 가진다.
특히, 상기 구멍은 추출용기나 슬리브의 둘레(circumference)에 상응하는 둘레를 갖는다.
상기 추출용기나 또는 슬리브는 추출용기 또는 슬리브와 구멍의 둘레간의 간격차이 없이 구멍을 축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길이방향 양쪽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실린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 축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수직축과 동축으로 구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체로 수직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구멍의 중심점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 위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예로서, 슬리브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망원경 같이 설치된다.
상기 추출용기는 상부가 열려있고, 슬리브위에 설치되며, 상부의 개구를 통해 허브차와 같은 추출물질로 추출용기가 체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추출용기는 부가장치가 용제 용기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허브티로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방향으로 오르내리게 하는 상기 리프팅 장치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슬리브는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낮은위치와 높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직선의 선형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장치는 예로서,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레일이나 또는 막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이나 막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고 이 위를 움직이는 슬리브를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된 가이드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팅장치의 슬리브가 망원경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된다.
가이드장치 내에서의 상기 슬리브의 이동거리는 두개의 정지 장치에 의해 정해진다.
부가장치가 작동준비 상태에 있을 때 용제 용기위에 위치되며, 가이드장치의 높은 정지위치는 비작동위치로 정의되고, 낮은 정지위치는 추출위치로 정의되게 된다.
전체 가이드장치가 베이스플레이트 옆에 배치되며 용제 용기의 반대쪽을 향할 경우, 상기 낮은 정지위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인접하게되며, 높은 정지위치는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상기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가이드장치에 의해 높은 정지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위에 위치한 추출용기는 구멍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올라가게 된다.
추출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낮은 정지위치 까지 움직이게 되고, 추출용기는 구멍을 통해 용제 용기 내부 까지 내려지게 된다.
리프팅장치의 잠금장치는 슬리브가 추출위치로 내려가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 위치에서 잠기게 되도록 구성된다.
타이머는 상기 잠금장치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가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슬리브를 잠금 해제 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타이머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 되거나 슬리브 위에 설치될 수있으며, 예로서 커버로서 설치되거나 슬리브와 통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선형가이드를 따라 복원력에 의해 추출위치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한 후에 슬리브가 타이머에 의해 잠금 해제되며, 슬리브위에 돌출되어 설치된 상기 추출용기는 자동적으로 용제 용기 내부로부터 단순한 방법으로 올려지게 된다.
특히, 상기 선형가이드는 복원력의 작용을 직접적으로 유도하게되며, 이에 따라 첫째로, 리프팅되는 움직임은 단순한 형태가 된다.
둘째로, 경사나 나선 가이드에 비해 마찰력에 의한 손실 없이 작은 직선의 움직임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복원력으로 충분하다.
상기 슬리브는 전체 이동거리에 걸쳐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가 복원력에 반하여 비작동위치에서 추출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역학적 에너지는 복원작동을 위해서 일시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직선의 선형가이드를 적용함에 따라, 작동에너지는 최적화되어 최대의 효율로 리프팅하는 거리에 사용되며, 최적의 효율로 복원 작동할때도 적용된다.
또한 리프팅장치는 추출용기가 돌출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는 어떤 위치에서나 용이하게 채워지고 단순하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복원력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슬리브 사이에서 작용하는 탄성체로부터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나선스프링,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선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로서, 단순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복원력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체는 다른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로서 고무밴드, 탄성스프링, 레그스프링 또는 이와 비슷한 것들이 적용될 수 있다. 스프링이 수평 또는 슬리브를 둘러싸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도 있다.
슬리브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대칭적으로 배열된 스프링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서 슬리브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가장치는 스프링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의 한 요소가 슬리브와 고정연결되고 다른 요소가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가이드는 가이드장치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선형가이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나 베이스플레이트는 축방향의 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프링의 내부공간으로 유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나 슬리브는 스프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도되는 스프링가이드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프링의 안정적인 유도가 보장되며, 특히 스프링의 우글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가이드슬리브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복원력은 레버가이드(lever guide)의 형태와 같이,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 안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영역의 일측면에 정지를 위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추출용기는 파지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슬리브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매우 용이하게 슬리브로 유도될 수 있다.
이는 부가장치의 사용자로하여금 사용을 단순하게 하며, 예로서 추출용기를 돌리거나 조이거나 하는 등의 복잡한 조작방법이 필요 없게 한다.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에 대해 플랜지 부분에서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서 상기 추출용기가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플랜지의 외측은 둘러싸는 플루트(flute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서 파지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슬리브의 방사방향으로 플랜지가 일부만 형성되어있어도 충분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기본적으로 일측이 막힌 둥근 실린더로 형성되며, 하부 영역에서, 하부표면 그리고/또는 그 둘레로 용제가 통하여 출입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한다.
이 경우, 추출용기가 바닥과 측면에 구멍들을 갖게 되면, 상기 추출용기는 용제안에 잠기게 되고 용제가 추출용기 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로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knob)가 추출용기 주변에 형성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돌기가 플랜지 아래쪽에 형성되며 슬리브의 상측에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안쪽을 향하는 노치(notch)들이 형성된다.
물론, 돌기와 구멍은 그 설치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돌출부(tongue)와 그루브가이드에 의한 정지방법도 적용 가능하며, 상기 그루브는 낮은 걸림턱을 갖는다.
추출용기와 슬리브 사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은 동시에 같이 적용될 수도 있다.
추출용기는 여과부(strainer part)와 지지부(holding par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여과부는 지지부 안에서 다수개의 축 방향의 위치에서 동축상으로 걸릴 수 있게(latchable) 형성된다.
이 경우, 상술한 정지방법이 지지부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슬리브 안으로 삽입되어 들어가면서 걸림으로써 정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정하게 된다.
추출용기가 지지부에서 다양한 길이방향의 위치에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제 용기가 채워진 높이에 따라 추출용기가 잠기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가장치는 다른 크기의 용제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래칭러그(latching lugs)와 구멍(recesses)에 의해 상기의 걸리는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에 스크류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에 의해서 축방향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축방향에서 마찰 또는 래칭러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와 여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구멍을 통해 비작동위치에서 슬리브의 추출위치로 내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팅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용제 용기의 반대쪽 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추출용기는 위로부터 슬리브에 삽입되고, 이후 슬리브가 추출위치로 내려지게 되면, 부가장치가 용제 용기 위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추출용기는 용제 용기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용제 용기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가장치의 사용법은 단순해지며, 상기 부가장치가 용제 용기 위에 위치할 때, 상기 추출용기는 부가장치를 용제 용기에서 제거할 필요 없이 둘 다 채워지고 내려질 수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사용자에 의해 복원력에 반해서 비작동위치에서 슬리브가 자동으로 잠기게 되는 추출위치로 내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자는 축방향으로 복원력에 반해 힘을 가하여 추출용기를 내리게 되며,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은 스프링(상술한 바와 같이)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슬리브는 추가적인 작동레버 등을 사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추출위치로 내려질 수 있다.
추출용기가 슬리브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와 같이 가이드되어 내려가게 되고, 잠금장치가 슬리브를 잠그게 되며, 이로서 추출용기는 추출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복원력에 반하여 작용된 상기 작동에너지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된 후에 추출용기를 올리기 위해 필요하며, 에너지 축적수단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에너지 축적수단은 탄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며, 복원력이 적용되는 스프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축적수단은 작동에너지를 저장하고 슬리브를 올리기 위하여 추후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부가장치에 있어서, 리프팅장치의 모든 구성요소는 축방향으로 슬리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티는 방해받지 않고 슬리브를 통해서 추출용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리프팅장치의 어떤 구성요소도 이를 방해하지 아니한다.
슬리브를 통해 추출용기를 채우는 중에, 허브티가 리프팅장치와 접촉할 경우는 없게 되며, 예로서 리프팅 장치를 더럽히거나 최악의 경우 막거나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프팅장치는 몸체의 내부 공간에 완전히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가장치에 있어서, 부가장치 내에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서 리프팅 장치는 먼지 등이나 물이 튀기는 것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더럽혀짐에 대해 보호받게 된다.
추가적으로, 리프팅장치는 올바르지 못한 조작 또는 작동에 대해 보호될 수 있도록 튼튼하게 형성되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가이드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슬리브는 베이스플레이트의 구멍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슬리브에 의해 슬리브의 움직임이 가이드되며, 상기 가이드슬리브의 내부공간은 베이스플레이트의 구멍과 통하고, 비작동위치에서, 추출용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된다.
이러한 가이드슬리브에 의해, 슬리브의 기울어짐은 억지되고 슬리브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이드가 최적화되어 보장된다.
상기 가이드슬리브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플레이트와 다른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는 가이드슬리브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움직이도록 가이드된다.
이는 예로서, 막대나 슬라이더를 적용함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상기 막대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축방향으로 연결되며, 슬리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슬리브는, 슬라이더로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슬리브의 하부영역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막대가 상기 개구부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복원력은 막대 주위에 설치된 나선압축스프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막대는 슬리브에 연결되며, 슬라이더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슬리브는 예로서, 가이드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슬리브는 이에 상응하는 러그(lug)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슬리브와 슬리브는 둥근 실린더 형상이 아닐 수도 있으며, 다각형 또는 타원형 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가이드슬리브와 추출용기도 그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슬리브가 가이드슬리브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게 하는 수단들은 한꺼번에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슬리브 대신에 다른 가이드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로서, 가이드핀, 가이드레일 그리고/또는 부분적인 원형 실린더 원통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둥근 연결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추출용기는 슬리브로 보다 단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슬리브의 둥근 디자인은 추출용기가 슬리브 내로 들어갈때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
상기 슬리브는 이중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중벽 사이의 중간공간은 아래 방향으로 열려있고 윗방향으로는 대체적으로 막혀있다.
상기 슬리브는 가이드슬리브 너머로 설치되며, 추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슬리브는 이중벽 내로 위치하게 된다.
추출용기가 내벽과 상부 에지를 통해 수납되어 있을 때 상기 복원력은 외측벽에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플레이트와 슬리브 사이에서 복원력의 전달이 단순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슬리브의 축상의 높이는 리프팅장치의 리프팅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슬리브는 길이방향의 어떤 위치로 가이드 되더라도 안정성을 보장받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슬리브는 반드시 둥근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상기 이중벽은, 예로서 일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슬리브가 하나의 내벽만을 가지고 가이드슬리브 안에서 망원경처럼 가이드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이나 가이드 막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설치되는 플랜지같은 돌출부에 의해 슬라이딩 되면서 가이드된다.
보다 튼튼한 슬리브의 가이드가 스스로 이루어지거나 가이드슬리브의 추가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특히 슬리브의 추출위치에서 타이머와 상호작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잠금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슬리브를 잠그기 위해 딱 들어맞는 슬리브와 연결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작동부재로서 또는 작동부재와 같이 제공되어 움직이거나 그리고/또는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요소들은 잠금 상태에서 길이방향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슬리브의 이동을 막도록 디자인되고 배치된다.
상기 잠금장치들은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된(anchored) 첫 번째 래칭후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첫 번째래칭후크는 피벗운동하고 슬리브가 추출위치에 있을 경우 슬리브의 래칭부재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슬리브의 래칭부재는 슬리브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된 두번째 래칭후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동부재가 첫 번째 래칭후크와 연결되는 레버암(lever arm)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순한 구조의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첫 번째 래칭후크는 슬리브의 주변지역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사방향으로 피벗운동한다.
피벗축 부분에서, 특히 상기 피벗축에서, 첫 번째 래칭후크는 수평 방향의 래칭러그(latching lug)를 포함하며, 상기 래칭러그는 슬리브가 내려진 상태에서도 슬리브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첫 번째 래칭후크는 작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부품으로 디자인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첫 번째 래칭후크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내측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 슬리브가 내려지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리브의 두 벽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축방향으로 윗방향으로 피벗축으로부터 돌출된다.
외측벽의 하부 에지에서, 상기 슬리브는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두 번째 래칭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두 번째 래칭후크는 슬리브에 대해 접선방향(tangentially) 및 수평방향으로 향하고, 원주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려진 상태에서 첫 번째 래칭후크와 상호작용하고, 특히 내려진 상태의 슬리브를 잠그게 된다.
작동부재가 상기의 잠금상태로 피벗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는 잠김해제되고 복원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돌출부 또는 우묵부(reces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접선방향 축을 경유하여 피벗가능하게 돌출된 래칭후크가 맞물리게 된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잠금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 다른 가능성 들을 알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래칭후크는 복원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즉, 슬리브가 추출위치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의 래칭요소가 래칭후크에 자동으로 걸리게 된다.
상기 첫 번째 래칭후크는 비작동위치에서 복원력에 의해 고정되고, 이는 잠금 상태에서의 맞물림위치에 상응한다.
상기 복원력은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레그스프링(leg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위치에 위치할 때 잠금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로인해 부가장치의 단순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당업자는 상기의 복원력을 제공할 탄성요소(고무밴드, 탄성스프링 등)들을 알고 있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래칭후크는 래칭후크와의 접촉에서 제어면으로서 경사(bevel) 작동을 가지며, 첫 번째, 피벗가능한 래칭후크는 복원력을 모아두고 있다가, 추출위치로 위치하게 될 때, 상기 래칭후크는 위치로 튀어들어가게 된다.
슬리브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상기 작동부재는 복원력에 반하여 피벗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부재와 맞물려있던 첫 번째 래칭후크는 맞물린 위치에서 두 번째 래칭후크 너머로 피벗아웃되고 맞물린 해칭후크들이 풀리게 된다.
상기 타이머는 격발부재를 가지며, 상기 격발부재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대체로 연속적으로 움직이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잠금장치의 작동부재와 상호작용하며, 이로인해 추출위치에서 잠겨있던 상기 슬리브는 잠금 해제 된다.
상기 격발부재는 상기의 방법으로 디자인되고 잠금장치의 작동부재에 대해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격발부재는 작동부재를 복원력에 반하여 피벗운동시키고, 이로서 잠금장치가 슬리브를 잠금 해제 시킬 수 있게 한다.
격발부재가 대체로 연속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타이머의 단순한 디자인이 가능해지고, 예로서, 상용의 시계의 분단위 스핀들 무브먼트(movement of a minute spindle)가 격발부재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미리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은 결발부재의 이동경로에 대한 잠금장치의 작동부재의 상대적인 배치에 기초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격발부재가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한 직후에만 움직이는 것을 배제하진 않는다.
타이머에 의하여, 상기의 움직임은 별개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작동부재는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로서, 타이머나 격발부재에 대해 연접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잠금장치의 상기 작동부재는 슬리브가 추출위치에 있을 경우 슬리브의 상부 에지 영역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타이머가 제거가능한 커버(뚜껑)의 형태로 적용될 경우 유리하며, 이 경우 타이머는 추출용기의 상부 개구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가 슬리브의 상부 에지영역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타이머는 슬리브의 상부 에지영역에서 단순한 방법으로 잠금장치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다.
잠금장치의 추가적인 기능적인 부분이 타이머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영역에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은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고 좋은 설치옵션을 갖는다.
더욱이, 작동부재는 예로서, 연장된 레버로 디자인되거나,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설치되거나, 타이머로 구성되거나 격발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잠금장치의 작동요소에 레버운동의 작은 힘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타이머가 제거가능한 커버로 디자인됨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구성이 가능해지며, 부가장치를 청소하기 위하여 타이머가 제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는 언제나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추출과정 중에서 조차도 적용되고, 예로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되면, 추출물질을 채워 넣을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거가능한 구성의 타이머는 손상이 있을 경우 부가장치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되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잠금장치의 상기 작동부재는, 특히 추출위치에서, 이중벽 구조의 슬리브의 두 벽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작동부재는 대체로 둘러싸이게 되어 부적절한 조작 및 더럽혀짐에 대해 보호받게 된다.
상기 타이머의 격발부재는 회전가능한 요소로 구성되며, 특히 회전축에 대해 돌출된 회전가능한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간 구간의 카운트다운 중, 상기 격발요소는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며, 커버 또는 타이머가 위치하게 되면 격발요소가 축방향으로 위치하게되고, 특히 추출용기에 대해 동축 상으로 위치하게된다.
상기 커버는 원하는 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타이머의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가 위치하게 되면(뚜껑을 닫으면), 작동부재는 회전축에 대해 동축상에 위치하는 로터리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발부재는 커버의 낮은 영역에서 평행하게 배열되며, 커버의 하측 둘레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격발부재는 로터리스위치의 움직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또는 기어를 통해 속도저하(stepped down) 또는 속도상승(stepped up) 시킨다.
상기 격발부재는 수직면에서 회전방식으로 돌출되는 요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리브의 상부 에지영역에서 돌출되고 작동부재를 작동시키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타이머는 반드시 커버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예로서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부재는 슬리브의 상부 에지영역에서 돌출되지 아니하고 타이머의 격발부재의 이동 경로 영역에 놓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부재는 슬리브의 상부 에지영역의 구멍(cutout)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구멍에서 타이머의 격발부재는 타이머가 슬리브 위에 위치할 때 배치되고, 상기 구멍은 윗방향으로 열려있어 타이머가 슬리브에서 제거될 때 상기 격발부재는 윗방향으로 구멍 밖으로 내보내질 수 있다.
격발부재의 이동경로는 구멍의 영역에 따라 제한된다.
추출위치의 슬리브에서, 잠금장치의 작동부재는 구멍의 방위각의(azimuthal) 시작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한 후에만 격발부재에 의해 작동되며, 즉 이동경로의 말단에서 작동하게 된다.
물론, 격발부재의 이동경로 말단에서 작동부재의 상대적인 배치는 잠금장치와 타이머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한 직후에만 잠금장치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단순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슬리브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 경우, 상기 구멍은 슬리브의 내측벽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장치의 가이드슬리브는 슬리브가 추출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의 구멍에 완전히 겹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타이머의 격발부재는 슬리브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부재는 가이드슬리브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두 부재는 서로 만날 수 있다.
특히, 상기 격발부재는 슬리브의 내측벽과 가이드슬리브를 넘어 방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격발부재가, 예컨대, 이중벽구조의 슬리브의 사이에 정렬이 된 경우, 이동경로상에서 작동부재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작동부재는 외부의 중간공간을 향해 돌출되며, 이에 따라 잠금장치의 손상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작동부재가 슬리브의 외측벽의 밖으로 배치되면, 상기 구멍 역시 슬리브의 외측벽을 잡게(grasp) 되고, 이에 따라 격발부재는 구멍을 통해 타이머의 작동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용제 용기를 향한 면은 평면으로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블레이트의 반대면은 돔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와 돔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공간에 길이방향 가이드와 리프팅장치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수납된다.
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구멍은 돔을 통과하며, 이에 따라 길이방향의 가이드에 의해 슬리브가 잠기거나 돔 밖으로 돌출되어 올라올 수 있고, 특히 비작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부가장치의 돔형태의 커버는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며, 부가장치를 미려한 형태로 꾸며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돔형태는 물이 튀는 것을 막아주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비작동위치에서, 상기 슬리브는 돔 위로 돌출되게 되고, 상기 추출용기는 위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또는 부가장치가 용제 용기 위에 위치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추출물질을 채워넣을 수 있다.
추출용기를 내리기 위해 슬리브가 작동부재의 역할을 함으로써 구멍의 길이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그러한 효과를 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커버가 설치된 상태에서 돔 안으로 슬리브가 추출위치에서 걸릴 때 까지 단순히 슬리브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물론, 상기 커버는 반드시 돔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볼록한 형태이고, 회전방향으로 대칭적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가 추출위치에서 걸리게 되면, 예로서, 커버에 설치된 타이머의 회전제어구(rotary regulator)로 디자인된 작동요소를 통해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세팅될 수 있다.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는 탄력적으로 위로 올라가게 되며 재작동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추가적으로 분리된 작동부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리브의 잠김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 의해 추출위치에서 미리 해제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장치는 위생적인 청소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할필요도 없이, 타이머나 스프링들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은 다양한 재질들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용제 용기와 상술한 부가장치를 포함하는 차주전자를 제공한다.
상기 부가장치는 용제 용기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슬리브의 추출위치에서, 상기 추출용기는 용제 용기 안으로 내려지고, 상기 용제 용기 내부는 용제로 채워져있으며, 상기 용제는 일반적으로 물이고, 상기 추출용기가 용제속으로 잠기게 된다.
비작동시에, 상기 추출용기는 상기 용제 용기 내에서 꺼내진다.
이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추출용기는 용제 용기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꺼내지지 아니하고 용제 용기내의 일반적인 채워지는 양에 따라 추출용기가 더이상 잠기지 않을 정도로 꺼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술했던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시간을 제어하여 추출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를 추출하기 위한 차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용제 용기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추출용기 및 추출용기를 위한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된 리프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장치는 용제 용기와 같이 설치되며, 부가장치가 용제 용기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재용기 내부공간으로 내려진 추출용기를 들어올리게 된다.
더욱이, 두 번째 실시예는 추출용기가 내려진 상태에서 리프팅장치를 잠그고 잠김을 해제하는 잠금장치를 가지며, 잠금장치와 상호작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되면 리프팅장치를 잠금 해제하는 타이머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타이머는 타이머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방향을 갖는 작동부재를 가지며, 또한 상기 타이머는 작동부재에 적용될 작동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기계적인 에너지 축적기를 가지고,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의 진행 중에 상기 에너지 축적기가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잠금장치는 첫 번째 요소와 두 번째 요소를 포함하고,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두 요소중 하나의 요소가 용제 용기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요소는 추출용기에 고정설치되며,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의 진행 중에서, 상기 첫 번째 요소가 두 번째 요소에 의해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가이드되고,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하면,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움직이게 된다.
시간을 제어하여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더 나은 부가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부가장치는 작동이 간편하고 제조시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머의 작동부재가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 추출용기는 용제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내려질 수 있으며,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에 에너지가 저장된다.
타이머의 작동부재는 이후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해 에너지 축적기의 다른 부분에 에너지가 축적되며 시간 구간이 타이머에 의해 세팅된다.
이 경우, 상기 첫 번째 작동방향은 두 번째 작동방향과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작동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타이머의 작동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추출용기를 내리거나 또는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시간 구간을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의하면, 타이머의 같은 작동부재는 추출용기를 내리고 시간 구간을 세팅하는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구조와 조작이 더욱 단순해지고 명료해진다.
추가적으로, 상기의 효과는 두 번째 실시예에서 첫번째 요소가 두 번째 요소에 의해 가이딩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타이머의 상기 작동요소는 두 작동방향 모두에 대해 순차적으로 작동되고, 이로 인해, 추출용기가 내려지게되면, 시간 구간이 부주의로 설정될 수 없으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은 단순하고 동시에 장치의 신뢰도를 높여주어, 특히 숙달되지 못한 사용자를 위하여 장점을 갖는다.
이와 반대로, 결과적으로, 에너지 축적기의 두 구성요소의 순차적인 에너지 방출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 방출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에너지 축적기의 두 부분은 서로 다른 양의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으며, 대체로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축적기의 한 부분은 리프팅장치로 에너지를 제공하며, 한 부분은 타이머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구간의 카운트다운 진행 중, 상기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 역시 잠금장치와 함께 잠겨진다.
미리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되면, 에너지 저장기의 첫 번째 부분에 저장된 에너지는 방출되어 추출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 리프팅장치로 공급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기의 두 번째 부분은 타이머에 에너지를 공급하며, 두 번째 에너지 축적기에 저장된 에너리를 제어하는 데에 소모하고, 상기 에너지는 시간 구간을 진행시키는데에 사용되며, 상기 시간 구간의 진행은 타이머의 작동과 추출용기의 상승사이의 과정경과를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따라서 첫 번째 에너지 부분보다 적은 에너지가 에너지 축적기의 두 번째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용제 용기위의 부가장치의 상기 추출용기는 용제 용기의 내부공간에서 리프팅장치에 의해 끌어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제 용기가 채워진 용제에서 완전히 꺼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음료는 추출물질로부터 드립(dripping down)된 후이며, 이에 따라 더 이상 농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출용기의 상당한 부분이 추출음료로부터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상기 추출음료는 거의 농도가 진해지지 않게 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추출용기는 망원경식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출용기가 잠기는 깊이는 용제 용기의 용제수위에 맞춰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용기는 적어도 두 배의 별개의 길이로 당겨질 수 있으며, 또는 연속적으로 어떤 길이든 당겨지거나 밀려질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와 두번째 부분 둘 다 독립적인 기계적 구성을 취한다.
이에 따라 외부 에너지원으로부터의 독립적이되며, 용제의 가열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이는 추출음료가 전기, 에너지원 등의 외부요소의 관여 없이 준비될 수 있는 것 뿐 아니라, 상기 부가장치가 전기 감전 또는 장치의 파손 등에 대해 안전하게 세척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부가장치를 단순하게하여 생산에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에너지 축적기는 타이머 카운터의 작동부재에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 스프링 힘을 작용하는 첫 번째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프링은 타이머의 작동부재가 첫 번째 방향으로 움직일 때 긴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비용절감, 단순함 그리고 에너지 축적기의 낮은 유지비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은 직선(rectilinear)형이며, 압축식(pressurization)으로 단순한 움직임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방향은 직선방향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다른 방법으로, 상기 기계적 에너지 축적기는 유압식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예로서, 압력용기의 내부공간이 타이머의 작동부재에 의해 양(+) 또는 음(-)의 압력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 진행 중에, 용기 내부의 압력이 (대략) 대기압에 도달할 때 까지 제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을 사용한 구조에 비해 더 복잡하나,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스프링은 나선스프링(helical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강철제 나선 스프링이 바람직하며, 상기 나선스프링은 어떠한 가능한 모양 및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에 있어서 상업적으로 경제적으로 준비될 수 있다.
나선스프링은 형태구조에 따라 호칭되며, 단순한 구조 및 공간의 절약을 위해 하우징 안으로 통합될 수 있고, 특히,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나선스프링들은 다른 스프링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평행 연결), 가장 큰 스프링의 부피로 부피가 맞추어지게 된다.
나선스프링은 특히 첫 번째 작동방향이 직선방향일 경우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나선스프링은 반드시 강철제일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이나 다른 합금의 제질로 생산될 수 있다. 나선탄성스프링(helical tension spring)은 나선압축스프링(helical compression spring)을 대신하여 적용될 수 있다. 나선탄성스프링은, 나선탄성스프링의 상부지역이 두 번째 실시예의 부가장치의 상부영역과 연결되고, 추출용기가 상기 나선탄력스프링 안으로 낮은 말단위치까지 안내되며, 압력에 의해 탄성을 받는다.
위의 나선탄성스프링과 같이, 고무밴드가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사용수명이 보다 짧아지게 된다.
또한, 나선스프링의 형태로 코일링된 것과 같은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이 적용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다른 어떠한 종류의 스프링도 가능하며, 예로서, 원뿔형 스프링, 레그스프링(leg springs), 디스크스프링 및 이들을 조합한 스프링 등이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째 실시예의 상기 기계적 에너지 축적기는 타이머의 작동부재에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작용하는 두 번째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타이머의 작동부재가 두 번째 방향으로 작동할 때 상기 두 번째 스프링이 긴장되게 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에너지 축적기는, 개별적인 작동부재를 통해 두 작동방향으로의 일련의 작동에 의해 에너지 축적기가 충전되며,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과 두 번째 부분으로서 분리된 스프링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작동방향으로 에너지 축적기를 충전하고 방출하는 것은 각각의 경우 단순한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방향도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종류의 스프링 또는 적어도 다른 스프링계수를 갖는 스프링들이 다른 작동 방향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작동방향에 따라, 가해지는 힘은 스프링의 선택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로서, 두 번째 실시예에서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은 보다 큰 복잡한 작동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로서, 큰 스프링 계수를 갖는 나선스프링에 의한 추출용기의 상승에 있어서 상기 나선스프링은 직선방향으로 같이 압력을 받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예로서, 두 번째 실시예에서 타이머를 위한 에너지 축적기인 두 번째 부분은 작은 에너지 축적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예시로, 회전 노브(knob)의 회전에 의한 고전적인 아날로그 에그타이머(egg timer) 카운터로서 스프링은 작은 스프링계수를 갖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다른 예로서, 두 작동방향에 대해 같은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즉, 이경우 상기 스프링은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부분의 일부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스프링의 스프링 힘이 일반적으로 접선방향 및 축방향으로 다른 스프링에 의존하게 되는 한, 다른 작동방향 때문에 비교적 복잡하게 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에너지 축적기의 두 번째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틀림스프링은 나선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축방향으로는 스프링 계수를 거의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장치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스프링은 같은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나 다른 역학적 효과를 갖게 된다.
이로서 최대한 작은 부피로 제조할 수 있게되며, 예로서, 나선스프링이 비틀림스프링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이에 따라 비틀림스프링 안에 동축상으로 삽입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효과는 비틀림스프링을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적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이경우 에너지 축적기의 두 번째 부분이 충전되면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칙적으로, 하나의 스프링이 동시에 나선 및 비틀림 스프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서 비용과 공간이 절약될 수 있고 구조도 더 간단해진다.
이 경우, 축방향으로의 스프링계수는 무시할만큼 작지 않게된다.
마지막으로, 다른 알려진 종류의 비틀림 스프링으로 예로서 나선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요소가 가이드되는 동안 첫 번째 요소는 실린더 부분과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첫 번째 요소의 실린더 부분은 두 번째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가이드로서 디자인되고, 축방향 부분이 축방향으로 움직이며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첫 번째 요소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모두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결과, 첫 번째 및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동시에 조합되어 움직이는 것 또한 가능하다.
첫 번째 요소의 돌출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두 번째 요소의 가이드에 의해 첫 번째 요소의 움직임의 방향이 결정된다.
다수의 돌출부재의 배열과 이에 상응하는 가이드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가이드가 가능하게 되므로 이러한 돌출부재와 가이드 채택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아니한다.
두 번째 실시예의 바람직한 예로서, 돌출부재는 빗(comb)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특히 저널(journal)로 형성되고, 가이드는 선형가이드 또는 그루브를 갖는 형태를 취하며, 예로서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trapezoidal)의 단면을 갖거나, 또는 일측에 멈춤부가 형성되거나 다른 단면을 갖는다.
또한, 특히 특정 위치에서 보유할 필요가 있을 때, 스프링을 조정할 수 있다.
첫 번째 요소에의 작용방향에 따라, 또는 다른 멈춤부가 있을 경우, 상기 가이드는 일방향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는 다수의 섹션(sections)들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두 작동방향에 대해 정확히 두개의 섹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두 섹션 중 첫 번째 및 두 번째는 다른 가이드 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이중 하나는 다수의 평행한 가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가이드 섹션들에 의해, 다수의 기능들이 같은 작동부재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섹션은 그루브로 디자인되고, 특히 다수의 그루브들이 평행하게 형성되며, 두 번째 섹션은 적어도 한 측면에 멈춤부로 디자인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에 있어서, 구조적 안정성을 얻기 위해, 예를 들면 더브테일형의 가이드(dovetail-like guide)와 같은, 저널 형상의 언더컷가이드(undercut guide)가 실시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찰력이 너무 세지 않도록 고려해야하며; 특히, 가이드가 기울어지는 것은 방지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요소는 가이드로 디자인되며, 첫 번째 요소를 첫 번째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실리더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첫 번째 요소를 두 번째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적어도 한방향에서 멈추도록 하는 멈춤부를 가진다.
이 경우, 첫 번째 요소의 상기 실린더 부분은 다수의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먼저, 돌출부재와 가이드에 의해, 특히 상술한 그루브들에 의해, 두 번째로 가이드의 실린더 섹션에 의해, 상기 섹션은 첫 번째 요소의 실린더 부분과 상호작용하며 맞물리게 된다.
상기 가이드의 실린더 섹션과 첫 번째 요소의 실린더 섹션은 첫 번째 요소가 임의의 나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돌출부재는 첫 번째 요소가 그루브에 따른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하고, 특히 직선 또는 나선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핀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와 그루브에 의해, 그렇지 않다면 가이드의 실린더 섹션에 의해 첫 번째 요소의 실린더 섹션의 임의의 나선 가이드는 부분적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의 나선 경로에서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두 작동 방향은 실린더 섹션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둘은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정지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의 상기 두 번째 요소는, 가이드로서 디자인되며, 첫 번째 요소의 돌출부재를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일측에 설치되는 정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그루브들과 돌출요소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첫 번째 요소는 첫 번째 방향으로 가이드의 실린더섹션에 의해 독점적으로 가이드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돌출부재는 용제 용기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두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요소는 가이드로서 디자인되며, 추출용기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추출용기의 허용되는 움직임들은 단순한 방법으로 제한되어지거나 정해지게 된다.
추출용기에 고정설치된 돌출부재와 용제 용기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로 디자인된 두 번째 요소가 적용 가능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상기 첫 번째 작동방향은 두 번째 작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요소의 첫 번째 작동방향에서, 상기 추출용기가 용제 내로 잠기게 되고 두 번째 작동방향에서 시간 구간이 세팅된다.
두 작동방향이 직각을 이룸에 따라, 상기 두 다른 기능 즉, 추출용기가 내려지는 기능 및 시간 구간의 세팅 기능은, 서로 이격되어 최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의 작용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 이동 방향이 각각에 대해 다르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두 작동방향은, 예로서, 90도보다, 많은 차이로, 크거나 작을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두 작동방향은 역평형(antiparallel)으로 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두 작동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작동영역에 걸쳐 상수값이 아닐 수도 있다.
예로서, 상기 작동방향은 추출용기가 내려지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작동방향은 측면 또는 레버암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예로서 내려지는 방향에 대해 45도의 각을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장치의 인체공학의 작동이 가능하며, 특히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장치가 테이블 높이에서 작동될 때, 서있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더욱이, 특별한 선형 작동방향으로서 내려지는 방향에 대해 피벗되는 경우도 역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작동방향을 디자인할 수 있고, 예로서, 누름버튼이 용제 용기의 핸들 위에 설치되어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작동방향은 나선방향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첫 번째 작동방향은 대체적으로 직선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수직으로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두 번째 작동방향은 대체적으로 회전방향으로, 특히 수직축에 대해 회전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기를 내리는 단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시간 구간을 세팅하는 것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며, 그러므로 첫 번째 작동방향이 직선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 구간을 세팅함에 있어서, 회전운동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타이머는 일반적으로 에그 타이머(egg timers)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방향의 움직임은 단순한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장치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타이머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에너지 저장기의 두 번째 부분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짧은 거리에 걸친 약한 힘의 운동으로도 손쉽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작동방향은 상술한 바와 다른 방법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첫 번째 작동방향은 레버암의 피벗운동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예로서, 수직면에 대한 피벗운동으로 정의될 수 있고, 반면 두 번째 작동방향은 같은 레버에 의해 수평면에 대한 피벗운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첫 번째 작동요소의 돌출부재는 두 번째 실시예의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움직이는 부품의 수와 제조상의 복잡성이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추출용기와 동시에 기능할 수 있으며(또는 반대로),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는 간접적으로 작동부재에 연결된다. 반면, 상기 돌출부재는 추출용기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돌출부재의 배치는 이에 나아가, 작동부재나 추출용기 모두에 연결되지 않는 분리된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의 상기 타이머는 기계적인 캐치(mechanical catc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후자는 예로서, 기계적인 시계 탈진기(escapement), 원심력 정지장치(centrifugal force brake), 상용의 정지장치, 감쇠장치(damping device) 또는 이에 유사한 것들에 기초한다.
그러나, 상기 캐치는 전기적인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예로서, 전기 발전기 정지장치가 캐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시간 구간은 저항을 통해 세팅될 수 있다. 콘덴서(capacitor) 또는 축전기(accumulator) 또한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에너지는 시간 구간이 경과된 이후, 소리 또는 선택적인 신호를 생성하는데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전기 도체들과 구성품들은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봉인되며 장치 또는 부가장치가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제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두 번째 실시예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기계적인 캐치가 에너지 축적기의 두 번째 부분의 방출을 막으며, 특히 두 번째 스프링의 이완을 막게 된다.
상기 캐치는 두 번째 스프링의 이완을 제어하거나, 또는 타이머 스프링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미리 정해놓은 시간 구간이 카운트다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기계적 캐치의 저항력은 일반적인 시간 구간의 두 배에 해당되도록 최대 구간으로 설정되게 하며, 이에 따라, 첫 째로, 시간 구간의 정확성이 보장되며, 사용자의 시간 구간에 대한 요구들이 최대한 고려될 수 있게 된다.
예로서, 어떤 추출음로가 15분의 추출시간을 필요로 하나 다른 음료는 수 분 안에 준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지는 시간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첫 째로, 두 번째 실시예의 비틀림스프링 또는 타이머스프링의 선택에 의해, 둘 째로, 캐치(chatch)의 선택 그리고/또는 세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상술한 기계적 캐치의 다른 예로서,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의 방출, 특히 첫 번째 스프링의 이완의 경우는 캐치 또는 추가적인 기계적인 캐치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가 상승하게 된다.
더욱이, 단순한 에그타이머의 경우, 상용의 기계적인 와인드업 장치는 두 번째 스프링 또는 타이머스프링과 기계적인 캐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적인 캐치는 회전가능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가능한 요소는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동안 용제 용기에 고정설치되고, 추출용기에 고정설치된 영역과 상호작용하는 정지장치를 가지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스프링의 이완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요소는 디스크 형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제 용기에 대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지장치는 열려진 바와 같이 구성된다.
예로서, 마찰 슬라이딩과 같이 설치되는 회전요소가 정지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로서 단순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캐치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정지장치는 시계와 유사한 캐치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또는 원심력 정지장치로 디자인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두 번째 실시예의 상기 캐치는 단순한 마찰정지장치(friction brake)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정지장치는 추출용기의 외면과 상호작용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단순하고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공기압 또는 자동차 스프링 완충장치와 유사한 유압식 완충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장치는 스프링과 직접 상호작용한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기계적인 캐치는 기어휠과 정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고정된 영역에서, 상기 작동부재는 구멍(cutouts) 또는 프로파일(profiling)을 가지며, 특히 래크 프로파일(rack profile)을 갖는다.
상기 기어휠, 정지장치 및 구멍들은 작동부재의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막게되며, 특히 두 번째 스프링의 이완을 막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뢰할만한 힘의 전환과 이에 따른 시간 구간 설정의 정확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정지작동은 기어휠의 실리콘이 설치된 스핀들을 통해 수행되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기계적인 캐치는 둥근 에지를 갖는 디스크 형태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형태의 요소는 고정된 영역과 접촉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다.
특히, 두 번째 스프링이 스프링 상수가 큰 스프링인 경우, 고정된 영역에서의 디스크 형태의 요소의 슬라이딩은 시간 구간에서 왜곡(falsification)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스프링상수가 큰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둥근 에지와 고정된 영역 사이의 높은 수준의 정지마찰력은 적당한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예로서 둥근 에지에 고무를 적용하고 고정된 영역에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고무와 대부분의 플라스틱, 금속 또는 합금 등이 높은 정지마찰력을 갖게되므로 고정된 영역을 특별히 가공할 필요 없이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의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은 작동부재의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통해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가 내려가는 것과 시간 구간의 세팅 사이에 분명한 구별이 생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칙적으로, 작동부재와 분리된 시간 구간의 설정 역시 가능하다.
두 번째 실시예의 상기 기계적인 캐치는 교류할 수 있도록(bridgeable)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추가적인 작동부재를 경유하여 스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너무 긴 시간 구간이 세팅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추출음료의 준비를 미리 종료시켜야하는 경우 유용하다. 이 경우, 상기 캐치는 추가적인 작동부재와 교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스프링 또는 타이머 스프링이 다시 이완되어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을 0으로 만든다. 이는 회전가능한 요소와 캐치의 상호작용이 간섭받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계적인 캐치는 스핀들 위에 추가적인 작동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고, 스프링 힘에 반하여, 추가적인 작동요소의 작동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기어휠이 래크 프로파일과 상호작용하고, 이에 따라 두 번째 스프링 또는 타이머스프링이 이완이 막힌 상태로 남겨지게 되고, 추가적인 작동부재가 작동하면, 상기 기어휠은 래크 프로파일과 상호작용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두 번째 스프링 또는 타이머스프링의 이완이 캐치에 의해 더이상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 구멍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휠 사이에 추가적인 기어휠이 바인딩멤버로 제공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추가적인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상기 기어휠은, 추가적인 기어휠과 분리되며, 그러므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기어휠에 배타적으로 작용하는 정지 작동이 연결되게 된다(bridged).
상기 회전가능한 요소와 래크프로파일의 사이의 접촉은 방해받을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는 예로서, 회전가능한 요소의 회전축에 직각인 영역을 갖는 그루브와 위 또는 아래의 구멍(cutouts)을 가지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작동부재가 작동하면, 막혀있던 기어휠이 축방향으로 그루브의 영역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더이상 래크 프로파일과 상호작용하지 않게 된다.
다른 예로서, 두 번째 스프링이 사용작의 위험하지 않은 조작으로 다시 이완될 수 있으면, 교류가능한 기계적인 캐치 역시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번째 실시예의 추출용기가 올라오는 도중, 탄성 부재가 긴장하게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긴장되거나 이완되면서 소리발생요소를 가격하게되고, 이에 따라 신호음을 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치는 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벨은 음료 준비과정동안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장치는 벨을 가격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추출용기에 대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을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는 가이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기가 올라오는 도중, 상기 돌출부재가 탄성부재가 위치되는 경로를 정한다. 추출용기가 올라가는 중에, 상기 돌출부재는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는 탄성부재와 접촉하게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는 벨을 가격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있게 설치되기 때문에, 추출용기가 올라가는 것은 방해받지 아니한다. 이는 첫 번째 부분으로부터 단일 톤의 발생을 위한 에너지로 유용하며, 특히 에너지 축적기의 더 큰 부분으로부터의 적용이 유용하다.
더욱이, 색상이 한 영역에서 기계적으로 바뀌어질 수 있고, 또는 남은 시간 구간이 눈금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벨은 돌출부재가 직접 가격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경우, 상기 벨은 탄성있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생략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출용기는 리프팅 장치위에 풀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이하게 추출용기를 채우거나 비우는 것이 가능하며 인체공학적으로 용이하게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용기는 상기 추출용기를 축상에서 유지시키는 래칭장치(latching-in device)를 가지며, 추출용기를 내리는 도중에, 추출용기는 홀더(holder)로부터 올려지지 않으나 사용자가 손쉽게 상기 추출용기를 홀덜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이는, 예로서, 쿼터턴(quarter turn) 조임장치, 원뿔형상의 추출용기와 이에 상응하는 형상의 수용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마찰연결이 적용될 수 있고 클립 조임수단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풀려질 수 있도록 설치된 추출용기는 일회용의 삽입수단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추출용기는 리프팅장치에 삽입되어 설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추출용기는 리프팅장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이로인해 상기 구조가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추출용기가 분리되어 세척될 수 없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리프팅장치는 연결된 추출용기와 통합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상기 추출용기는 실린더 형상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실린더를 기초로 형성되며, 다수의 구멍과, 특히 내려진 상태에서 용제가 통과할 수 있는 여과부(strainer) 또는 그물망(net)을 갖는다. 이 경우, 삽입되는 필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용제에 용제되지 않는 고운 추출물 입자가 용제 안에 남지 않게되며 또는 시간 구간이 경과된 후에 용제 용기에 남지 않게된다. 이를 위하여, 이 영역에서, 구멍을 통한 흐름의 허용가능한 입자의 상한과 하한이 최적화된다. 이를 위하여 더욱이, 구멍의 표면, 구멍의 밀도(단위면적당 구멍의 갯수) 및 구멍의 크기가 서로 조절된다. 또한, 추출물에 대해 맞춤의 다양한 추출용기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추출용기는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파이프 형상의 지지부와 대체적으로 일측이 막힌 속이 빈 실린더 형상으로 지지부 내로 삽입되는 여과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여과부만이 교체 가능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로서, 하나의 추출용기, 또는 여과부 만으로 상용의 커피필터를 수용하기에 적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차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추출용기는 넓은 면적에서 적은 개구부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추출용기는 필터를 수용하기위해서만 디자인될 수도 있다.
이에 대체하여 또는 추가적으로, 용제가 추출용기내로 유입되는 것에 있어서 배타적인 소통을 위한 논리턴벨브(nonreturn valve) 장치가 추출용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상용의 구체(spherical)형 논리턴벨브 또는 스프링 힘으로 작동하는 플랩(flap)이 연접식으로 추출용기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추출용기의 측면으로 슬롯이나 구멍들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롯은 수평방향 축방향 또는 나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슬롯들은 야재강판과 유사한 방향을 향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슬롯들은 추출용기의 회전축에 거스리지 않는 흐름의 방향으로 직접 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용제가 흘러들어오고 나갈 때, 소용돌이(swirling)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추출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용제된 추출물이 나가도록 빠른 안내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추출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소용돌이(swirling)가 생성될 수 있으며 또는 소용돌이는 추출용기의 내부의 배플(baffles)의 도움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는 추출용기를 청소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추출용기는 피라미드 형태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끝을 자른 피라미드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에에 따른 상기 작동부재는 추출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실린더원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린더원통은 추출용기의 외부지름 만큼의 내부지름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추출용기는 추출용기를 축방향으로 고정시키기 위하 돌출된 에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추출용기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돌출된 에지는 추가적으로 실린더원통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에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출용기는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로서, 재질선택에 의하거나 프로파일, 특히 접촉면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디자인된 플루트(flutes)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출용기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된 에지를 갖는 실린더원통과, 외측에 상부에지와 다수의 탄력부를 갖는 실린더용기(cylindrical vessel)를 포함하고, 상기 탄력부는 실린더용기에서 대칭적으로 둘러싸면서 배열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린더원통은 내벽에,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둘러싸는 플루트 그리고/또는 탄력부를 위해 프로파일된 수용체를 가진다. 상기의 효과는 실린더용기가 실린더원통의 안으로 정교하게 딱 맞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실린더용기가 실린더원통으로 밀려들어가는 경우, 또는 당겨져 나오는 경우, 상기 탄성부들은 해당위치에서 걸리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용기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가하는 힘을 늘려야 걸린상태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가해주는 힘은 평범한 사용자가 가해줄 수 있는 힘이며, 다른 세팅된 높이에 다시 걸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실린더용기의 구성에 의해, 상기 장치는 다른 용제 용량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작은 용제용량(예로서 약 0.7L) 그리고많은 용제용량(예로서 약 1.2L)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제용량이 적은 경우, 상기 추출용기는 망원경처럼 당겨지게되고, 많은 용제용량이 많은 경우 밀려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용제의 양에 따라, 추출용기가 내려지면 추출용기가 용제에 잠기게 되고, 또는 추출용기가 올려지게되면, 추출용기가 거의 잠기지 않거나 전혀 잠기지 않게 된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린더원통은 이중벽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첫 번째 스프링이 상기 두 벽 사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효과는,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동안, 상기 스프링은 보이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의 손상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실린더원통 대신, 다른 수용체가 적용 가능하다. 예로서, 잡기 쉽게 셋 또는 그 이상의 집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린더원통은 첫 번째 및 두 번째 스프링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추출용기는 작동부재의 위치에 상관없이 제거되거나 삽입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추출용기는 리프팅장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첫 번째와 두 번째 스프링은 추출용기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과 실린더원통 또는 추출용기의 간접 상호작용 역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용제 용기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부가장치를 가지는 찻주전자를 제공한다. 상기 용제 용기는 찻주전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통적으로 둥근 형태로 세척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라지 않는 추출물질의 잔류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 또는 여과장치가 차주전자 몸체에서 주전자 주둥이로 옮겨질 수 있다. 이는 추출용기가 더 거친 필터를 제공하는 경우, 추출물질이 상기 필터 또는 여과장치로 통과하도록 요구된다.
상기 용제 용기는 열에 안정적인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플라스틱이 적용 가능하며, 특히 열경화성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다.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것들을 언급할 수 있다; PF(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MF/MP(멜라민/멜라민 페놀수지), UF(우레아수지), UP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EP (에폭시수지), Si (실리콘수지) and DAP/DIAP (디알리프탈레이트수지/디이소알리프탈레이트수지). 용제 용기를 플라스틱으로 형성시키는 것은 비용절감 및 단순화의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를 위하여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용제가 열판 위의 용제 용기에 의해 직접 가열되고자 하는 경우 예로서, 금속합금들(예; 강철, 크롬강(chromium steel), 에나멜)등을 적용할 수 있다. 자기(porcelain) 또는 세라믹 역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용액용기는 전통적인 형상을 취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예를 들어 모던 또는 전혀 다른 물건과 닮은 독특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관상의 주둥이를 갖는 용제 용기 또한 적용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얻은 효과는, 찻주전자의 낮은 부분에서의 착색 및 가미 된 농축된 형태가 처음 쏟아지게되고, 추출물질의 부유물이 남게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주둥이는 용액용기 에지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부어내는 작업 중에 잔여물을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을 제어하여 추출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작동부재가 두 개의 다른 작동방향으로 작동되고,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 추출용기가 용제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내려지게되며, 또한 에너지 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이 충전되고,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시간 구간이 미리 설정되게되며, 타이머가 작동되고 또한 에너지 축적기의 두 번째 부분이 충전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작동부재는 순차적으로 또는 평행하게 두 작동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작동부재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작동방향이 자유롭게 선택되어질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아래와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작동부재의 두 번째 방향으로의 작동으로 인해 시간 구간이 미리 설정되며, 타이머가 작동되고 또한 에너지 축적기의 두 번째 부분이 충전된다. 작동부재의 첫 번째 방향으로의 작동에 의해, 추출용기가 내려져 용제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내려가고 또한 에너지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이 충전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진행되는 동안 에너지 축적기의 두 번째 부분의 방출에 의해 두 번째 작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하게 되면 에너지축적기의 첫 번째 부분의 방출에 의해 첫 번째 작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추출용기를 내려진 상태에서 들어올리게 된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독립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기술분야에서의 당업자들은 구조적으로 상반되지 않는 이상 두 실시예 사이에서 용이하게 다양한 구성요소를 유리하게 교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예로서, 두 번째 실시예의 실린더원통은 첫 번째 실시예의 슬리브로 교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출용기가 리프팅장치 위에 설치되거나 또는 추출용기의 위치가 상기 두 실시예 사이에서 중요한 조정 없이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실시예 및 구성의 조합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을 참조한다.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aspect)의 사시도로서, 용제 용기에 부가장치가 설치된 것과, 추출용기가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가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리브(sleeve)의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가 올려진 상태의 부가장치 발췌 사시도로서, 돔(dome)과 추출용기(extraction product container)가 제거되고 타이머의 격발부재(triggering element)가 도시됨;
도 6 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가 내려진 상태의 부가장치 발췌 사시도로서, 돔과 추출용기가 제거되고 타이머의 격발부재가 도시됨;
도 7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용기가 올려진 상태의 부가장치 사시도로서, 돔과 슬리브가 제거되고 타이머의 격발부재가 도시됨;
도 8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용기가 내려진 상태의 부가장치 사시도로서, 돔과 슬리브가 제거되고 타이머의 격발부재만이 도시됨;
도 9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의 부가장치를 구비한 주전자의 단면도로서, 용제 용기의 대칭면상의 슬리브 수직축에 따른 종단면도임;
도 10a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시간-제어 음료추출 준비를 위한 부가장치의 측면도로서, 용제 용기위에 부가장치가 설치되고 타이머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함;
도 10b는 도 10a의 반대측의 측면도로서 용제 용기에 타이머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도임.
도 11a 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부가장치의 타이머가 작동되는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상기 종단면은 용제 용기를 대칭되게 분할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용제 용기위에 설치된 두 번째 실시예의 부가장치가 타이머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로서, 상기 종단면은 용제 용기를 대칭되게 분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가 작동된 상태에서의 이중벽원통, 추가작동부재, 슬롯링크, 벨 및 조립체내의 비틀림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12의 반대쪽의 사시도로서, 타이머가 작동되고 있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첫 번째와 두 번째 및 정지기어휠이 추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이중벽원통과 슬롯링크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원칙적으로,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하의 내용은 도 1-9에서의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aspect)에 따른 구조(embodiment)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a)의 첫 번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부가장치(2a)가 용제 용기(3)위에 설치되고, 추출용기(200)는 내려진 상태이다.
부가장치(2a)는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특히 용제 용기(3)에 대해 맞추어져 끼워지게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가장치(2a)와 용제 용기(3)의 연접식(articulated) 연결이 제공되며, 상기 연결은 필요에 따라 풀어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부가장치(2a)는 중요 구성요소로서, 용제 용기(3) 위에 설치되는 몸체(100)와, 추출용기(200)를 포함하며, 도1에는 몸체에 걸쳐진 추출용기(200)의 플랜지(221)만이 도시되어 있다.
부가장치(2a)는 타이머(300)를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300)는 추출용기(200)위에 커버(뚜껑)로서 설치되고 플랜지(221)위에 플랜지(301)가 접하도록 놓여진다. 추가적으로 타이머(300)는 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회전스위치(302)를 포함한다.
도2는 도1의 장치(1a)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은 본 발명의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작동하는 구성요소들을 보여 준다.
먼저, 추출용기(200)가 차(tea)와 같은 추출물질로 채워지며, 이후 몸체(100)로 삽입된다.
추출용기(200)는 타이머(300)로 닫혀진다.
타이머(300)의 회전스위치(302)에 의해 시간이 미리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회전스위치(302)를 손잡이로 하여, 추출용기(200)는 용제 용기(3)의 내부로 수납된다.
상기 타이머(300)로 장입한 시간이 경과한 후, 추출용기(200)는 더 이상 용제 용기(3)의 내부에 있지 않게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올라오게 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300)는 기본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갖는다.
회전스위치(302)는 상기 실린더형태의 타이머에 동축상으로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타이머(300)는 격발부재(303)를 포함하며 격발부재(303)는 축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두개의 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격발부재(303)는 회전스위치(302)에 대해 축방향 상에서 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며, 마찬가지로 동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격발부재(303)는 타이머(300)의 하우징에 하우징의 지름보다 크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타이머(300)의 플랜지(301)의 지름을 넘지 아니하고, 장입된 시간 진행 중 부분 원호(partial arc)를 그리게 된다.
격발부재(303)는 회전스위치(302)의 운동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회전스위치(302)가 시간을 설정하게되면, 격발부재(303)는 이에 상응하는 각 만큼 피벗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돌출부(304)가 타이머(300)의 플랜지(301)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플랜지(301) 까지 돌출되어 있다. 두 번째의 돌출부가 타이머(300)의 뒷부분에도 설치된다(도시되지 않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추출용기(200)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여과부(210)와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여과부(210)는 공동의 실린더 형태를 취하며, 일측이 막혀있다.
여과부(210)에는 용제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지지부(220)는 공동의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양쪽이 개방되며, 내경(internal diameter)이 여과부(210)의 외경(external diameter)과 일치한다.
여과부(210)는 지지부(220)로 망원경이 접히듯 삽입될 수 있으며, 축방향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잠금쇠 및 잠금 노치(notchings; V자 모양의 구멍)에 의해 잠겨질 수 있다.
추출용기(200)가 용제 용기(3)에 잠기는 깊이는 용제의 채움높이와 같을 수 있다.
지지부(220)는 내벽의 상부에, 서로 반대방향의 두 개의 노치(223)들을 가지며, 타이머(300)가 위치하게 되면, 돌출부(304)가 노치(223)에 맞물리게 되어 타이머(300)가 지지부(22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또한, 지지부(220)는 상부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221)를 가진다.
지지부(220)의 상부에 두 개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구멍이 약 90도의 부분적인 원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단면 형상이 L-형상을 가진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멍(222)은 플랜지(221)의 내측부만을 커버한다.
여기에서, 지지부(220)의 지름은 타이머(300)의 격발부재(303)의 지름과 일치하며, 또는 격발부재(303)의 두 핀의 최대 거리와 일치한다.
타이머(300)는 지지부(220)에, 격발부재(303)가 구멍(222)을 따라 세팅된 시간 동안 안내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돌출부(304)가 지지부(220)의 노치(223) 속으로 안내되어 들어가도록 타이머(300)를 위치시킨다.
이는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타이머가 지지부(220)에 걸릴때까지 대략 +/- 45도로 타이머를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지부는 플랜지(221)의 밑으로 노치들과 상응하는 위치의 외벽에 두 개의 돌출부(224)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도2는 슬리브(40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400)는 몸체(100)에 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도3은 양측이 개방된 실린더형의 슬리브(400)를 보여준다. 상기 슬리브(400)는 외벽(401)과 내벽(402)을 포함하고, 이는 중간공간을 형성하며 상부 에지영역에서 연결된다.
내벽(402)은 외벽(401)보다 길게 아래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슬리브(400)는 내벽(402)의 내측 상부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반대방향의 두개의 노치(404)들을 가지며, 추출용기(200)의 지지부(220)의 돌출부(224)가 상기 노치(404)들 속으로 들어가 추출용기(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추출용기(200)가 슬리브(400)에 삽입되면, 슬리브의 구멍(403)은 지지부(220)의 구멍(222)과 통하게 되고, 지지부(220)의 플랜지(221)는 슬리브(400)의 상부 에지에 놓이게 된다.
추출용기(200)와 같이, 슬리브 또한 L-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멍(403)을 가진다.
또한 상부에지는 완전히 관통되어 있지 아니하다.
타이머(300)가 놓여지게 되면, 격발부재(303)가 구멍(222)과 구멍(403)을 통해 돌출되게 되고, 특히 내벽(402)을 방사방향으로 넘어서게 되나 외벽(401)을 넘어서진 않는다.
타이머 작동 중에, 격발부재(303)의 방사방향 외측 말단은 슬리브(400)의 내벽(402)과 외벽(401)사이의 중간공간을 주행하게 된다.
두 개의 슬라이더(405)들이 슬리브(400)의 외벽(401)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며, 각각 슬리브(400)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슬라이더(405)들은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축방향의 개구부를 갖는다.
슬라이더(405)의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가이드스트립(guide strip)(도시되지 않음)이 외벽(401)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작동의 목적과 방법은 이하에서 서술한다.
내벽(402)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축방향의 4개의 가이드레일(408)이 설치된다.
또한, 두 개의 핀(406)이, 외벽(401)의 방사?향 외측에 축방향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위 핀(406)은 슬리브(400)의 외벽(401)의 하부 에지 부위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핀들은 슬라이더(405)들에 대해 슬리브(4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90도로 이격되며, 대략적으로 슬리브(4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직각인 같은 평면상에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외벽(40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두 개의 래칭후크(latching hooks)(407)가 슬리브(400)의 외벽(401) 하단 에지부와 일체로 슬리브(400)에 대해 접선방향(tangentially)으로 형성된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래칭후크(407)는 구멍(403)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특히 구멍(403)의 시계 방향으로의 첫 번째 또는 시작 영역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도4는 베이스플레이트(500)를 보여 준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0)는 구멍(511)을 가지는 원형의 플레이트(510)와, 축방향으로 설치되고 위로 돌출되며 구멍(511) 둘레에 설치되는 가이드슬리브(520)와, 플레이트(510)의 외단 주위에 설치되며 L-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랜지(53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리브(520)는 파이프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슬리브(400)가 가이드슬리브(520)위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그리하여, 가이드슬리브(520)가 외벽(401)과 내벽(402) 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상부영역에서, 가이드슬리브(520)는 내측으로 두 개의 반대방향에 약 90도에 걸쳐 형성된 우묵부(recesses)(521)를 가지거나 또는 테이퍼링 소재(material tapering)를 가지며, 상기 우묵부(521)는 구멍(522)으로부터 시작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우묵부(521), 또는 테이퍼링소재는, 가이드슬리브(520)의 상부 에지까지 돌출되며, 가이드슬리브(5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구멍(522)은 대체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축방향으로 설치된 두 개의 지지슬리브(512)가 가이드슬리브(520)의 양 측 맞은편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슬리브(512)는 레일가이드(513)를 적용하기 위한 것이고, 베이스플레이트(500)의 플레이트(510)에 설치된다.
가이드로드들로 되는, 축 방향의 레일가이드(513)가, 지지슬리브(512)와 가이드슬리브(520)의 외벽(512) 사이에, 전체 높이 만큼 형성된다.
슬리브(400)가 위치되면, 외벽(401)의 내측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축방향의 가이드스트립(408; guide strip)은 상기 레일가이드(513)를 따라 움직이고, 이에 따라 슬리브(400)가 가이드슬리브(520)에 대해 회전하지 않으면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스프링가이드(514)가 플레이트(510) 위에 지지슬리브에 대해 이격되어 설치되며, 축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는다.
슬리브(400)의 내벽(402) 외측의 가이드레일(408)은 접촉면적을 감소시키어 낮은 마찰력으로 슬리브(400)를 가이드슬리브(520)로 유도한다.
플랜지(530)의 첫 번째 플랭크(flank)(531)는 플레이트(510)에 축방향으로 위로 돌출되도록 연결되며, 두 번째 플랭크(532)는 첫 번째 플랭크(531)의 상부말단에서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두 번째 플랭크(532)의 하부 측면은 용제 용기(3)에 얹혀지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두 번째 플랭크(532)의 상부면은 돔-형태의 덮개(covering shell)(600)(도1, 2 또는 9에 도시)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구(533)들을 가진다.
도면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두 개의 체결구(533)에만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5는 도4에서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500)와 도3에서 도시된 슬리브(400)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추가적으로, 타이머(300)는 타이머(300)에 있어서의 격발부재(303)만이 슬리브(400) 내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간단화 하기 위해, 추출용기(200)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다.
도 1내지 도4에 대해 추가적으로, 도5는 상당히 이완된 나사선 압축스프링(409)이 슬리브(400)의 핀(406)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스프링의 하측 말단은 스프링가이드(514)로 몰입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은 스프링 가이드(514)와 핀(406)에 의해 설치된다.
뒷면에도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위로 돌출된 막대(515)가 지지슬리브(512)에 고정설치된다.
슬리브(400)는 슬라이더(405)와 막대(515)에 의해 이동이 선형으로 유도된다. 이러한 구성은 뒷면에서도 한 번 더 찾아볼 수 있다.
작동부재(523)는 레버암으로 구성되며, 래칭후크(524)와 연결된다. 래칭후크(524)는 가이드슬리브(520)에 축방향으로 피벗되게 설치되어 있다.
래칭후크(524)는 대체로 수평으로 설치되나, 축 근처에 인접하고, 작동부재(523)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이격된다.
상기 작동부재(523)와 래칭후크는 하단에서 고정되게 연결되고 플레이트(510)에 축으로 설치되며, 또한 레그스프링(leg spring)(도시되지 않음)으로 축 방향의 위치를 고수하며 탄력 설치된다.
작동부재(523)는 구멍(522)의 앞의 상부 말단으로 돌출되고, 추가적으로 구멍(522)을 통과하는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는 격발부재(303)가 작동부재(52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중개하는 접촉요소로 작용한다.
상기 격발부재(303)는 슬리브(400)와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중앙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막대에 연결되는 동축의 원형 링을 포함하며, 상기 막대는 원형링의 양면을 넘어서 돌출되면서 작동부재(523)의 돌출부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요소를 형성한다.
도5에서, 상기 슬리브(400)는 잠겨지지 않은 상태로서, 다소 올려진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시간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또는 이미 모든 시간이 경과한 상태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그스프링은 긴장된 상태이며, 다음 순간에, 작동부재(523)는 스프링에 의해 래칭후크(524)와 같이 축방향 위치로 돌아갈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타이머(300)로 시간을 세팅하면, 격발부재(303)가 시계방향으로 시간 구간에 따라 더 큰 각도 또는 더 작은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400)를 눌러서 내리게 되며, 이에 따라 나선의 압축스프링(409)은 압축되고 작동부재(523)의 래칭후크(524)는 슬리브(400)의 래칭후크(407)와 맞물리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가 일정 시간 동안 스프링에 밀려 올라가지 않게 한다.
장입된 시간 동안, 상기 격발부재(303)는 격발부재(303)의 외측 말단이 작동부재의 돌출부와 맞닿을 때 까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단계는 도6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6은 도5에서 이미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6은, 상기 슬리브(400)가 내려져 스리브의 래칭후크(407)와 가이드슬리브(520)의 래칭후크(524)에 잠겨진 상태를 보여준다.
작동부재(523)는 레그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나선 압축스프링(409)이 압축된다.
격발부재(303)는 장입된 시간 동안,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벗운동을 하며, 장입된 시간이 지난 다음 순간 작동부재(523)를 작동시키고, 래칭후크(524)를 슬리브의 래칭후크로부터 풀어준다.
이러한 결과로, 상기 슬리브는 나선 압축스프링(409)의 복원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되고, 도 5에서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도7은 대체로 도5와 유사한 내용을 도시하고 있으며, 슬리브(400)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부재(303)는 최대 시간으로 세팅되어있으나, 추출용기(200)는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 격발부재(303)는 시계방향으로 추출용기(200)의 구멍(222)의 끝까지 회전하게되고 멈춘다.
도8은 도6에서의 부분에서 슬리브(40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에 장입된 시간이 종료된 상태이다. 격발부재(303)는 이미 작동부재(523)와 접촉하고있으나, 잠금장치를 아직 해제하지 않고 있다. 작동부재(523)가 여전히 수직방향을 향하기 때문이다.
도9는 도1에서 도시된 장치(1a)의 축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추출용기(200)는 추출위치(brewing position)에 위치하며, 즉 용제 용기(3) 안으로 내려와 있다.
이 도면에서, 망원경 같은 구조의 추출용기(200)가 알아보기 쉽게 도시되어 있다.
여과부(210)는 둘레에 상하 두개의 높이에서 탄력있는 돌기(211)를 갖는다. 상기 돌기(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돌기(211)가 걸리게되는 오목부(225)를 가진다. 상기 여과부(210)는 상부의 돌기(211)가 낮은위치의 오목부(225)에 걸릴 때 까지 지지부에서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는 도 10-14를 참조한다.
도10a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장치(1b)의 타이머가 작동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또한, 두 번째 실시예의 용제 용기(3)와 이에 상응하는 부가장치(2b)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부가장치(2b)는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특히 용제 용기(3)에 끼움결합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다.
부가장치(2b)는 용제 용기(3)에 아티큐레이티드 연결(articulated connection; 경첩식 결합)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장치는 수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제 용기(3)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로서, 약 2리터의 용량을 가지고 두 개의 마킹(3a),(3b)이 형성되어있으며, 더 깊은 위치의 마킹(3a)은 0.7L를, 더 높은 위치의 마킹(3b)은 1.2L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용제 용기는 전혀 다른 모양과 용량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의 장치(1b)의 반대측에서의 측면도로서, 타이머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며, 추출용기(4)의 돌출실린더(4b)가 돌출되고, 부가장치(2b)의 상부에 커버(5; 뚜껑)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 준다.
마지막으로, 두 번째 작동부재(14b)와 이중벽원통(13)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들에 대해서는 차후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작동부재(14a)는 커버(5), 돌출실린더(4b)와 이중벽원통(13)과 한 조를 이룬다.
도11a는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용제 용기(3)를 대칭으로 분할하는 축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며, 타이머가 작동 중인 상태이다.
이중벽원통(13)은 이중벽 사이의 일측이 막혀있으며, 외부원통(13a)과 내부원통(13b) 사이의 내부에 강철제의 나선스프링(6)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이, 이완된 상태에서는 이중벽원통(13)의 열린 쪽으로 드러나있으며(도11B와 비교), 압축된 상태에서는 상기 원통 안에 완전히 수납된다.
이중벽원통(13)의 하부영역(17)은 단일벽원통(19)을 포함하며, 상기 단일벽원통(19)은 하부영역(17)에서 개구부(17a) 둘레에 상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는 추출용기(4)의 횡단면의 크기와 일치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단일벽원통(19)은 이중벽원통(13)의 내부원통(13b)의 외부지름과 같은 수준의 내부지름을 가진다. 따라서 이중벽원통(13)은 단일벽원통(19)에 접하면서 아래로 내려질 수 있다.
상기 나선스프링(6)은 외측 원통(13a)의 내측지름과 같은 수준의 외측지름을 가진다.
나선스프링(6)의 내측지름은 단일벽원통(19)의 외측지름과 같은 수준으로 설계된다.
이중벽원통(13)의 외부원통(13a)과 내부원통(13b)은 서로 이격되어 있어서, 그 내부에서 단일벽원통(19)과 나선스프링(6)을 함께 내포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중벽원통(13)이 하부영역(17)을 향해 내리눌려짐에 따라 나선스프링(6)의 압축이 가능해진다.
상기 나선스프링(6)은 도11a에서의 장치(1b)에서는 완전히 압축된 상태이며, 도11b 에서는 완전히 이완된 상태이다.
단일벽원통(19)과 나선스프링(6)의 구성은 나선스프링(6)이 단일벽원통(19)의 내벽을 품는 구조로 서로 바뀌어질 수 있다.
추출용기(4)는 실린더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고, 하부영역(17)의 개구부(17a) 크기 범위의 단면 영역을 갖는다.
이 경우, 돌출실린더(4b)가 추출용기(4)의 개구부 영역에서 돌출되며, 커버(5)에 의해 끼움 결합 그리고/또는 마찰 연결 방식으로 닫혀진다.
도11a와 11b에서, 하부 그리고/또는 원통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추출용기(4)는 다수의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구멍들은 큰 면적을 형성하며, 이는 필터가 설치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구멍들은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고, 특히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추출용기(4)의 하부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추출용기(4)의 외측 직경은 이중벽원통(13)의 내측 직경의 범위내이고, 이에 따라 상기 추출용기(4)는 이중벽원통(13) 내로 돌출실린더(4b)의 돌출부위까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5)를 통하거나 추출용기(4)를 매개로하여 나선스프링(6)을 함께 누를 수 있게 된다.
이 결과로서, 이는 에너지 축적의 첫 번째 단계를 담당하고, 이는 장입된 시간이 다 경과한 후에 추출용기(4)를 올리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추출용기(4)는 두 부분으로 설계되며 실린더용기(4a)와 돌출실린더(4b)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추출용기(4)는 단일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11a와 11b에서, 상기 실린더용기(4a)는 다수의 구멍들을 가지며, 상기 구멍들은 여과기 또는 필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계되나, 상기 여과기 또는 필터들은 실린더용기(4a)에 직접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돌출실린더(4b)는 내측 벽에 홈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용기(4a)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탄성부를 가짐으로써, 실린더용기(4a)가 축방향으로 돌출실린더(4b)를 이탈할 때 상기 탄성 돌출부가 돌출실린더(4b)의 홈에 걸리게 된다.
상기 탄성 돌출부와 홈은 축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저항하여 각각 맞물리게 되며, 이와 같이 걸린 탄성 돌출부는 다른 높이의 홈으로 이동하여 다시 걸리기 위하여 걸린 상태가 용이하게 풀려질 수 있다.
비틀림스프링(7)은 스프링 강철로 구성되며, 도11a과 도11b에 도시되어있다.
상기 비틀림스프링(7)은 본 실시예에서는,도 12 및 도 13의 하단에 명시된 바와 같이, 나선스프링으로서 적용된다.
상기 스프링은 축방향으로 무시해도 좋을만큼 작은 스프링상수를 가지나, 접선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는 그렇지 아니하다.
상기 스프링이 긴장되는 지의 여부가 도11a와 도11b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비틀림스프링(7)은 첫 번째 말단이 하부영역(17)에 연결되며, 반대쪽 말단은 이중벽원통(13)에 연결되고, 이러한 구성으로 이중벽원통(13)이 회전하는 경우 비틀림스프링(7)이 긴장되거나 이완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이중벽원통(13)은 스프링홀더(13d)(도12에 도시됨)를 가진다.
에너지 축적의 두 번째 단계는 타이머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로서 이로 인해 에너지가 축적되게 된다.
도11a에 반하여, 도11b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발명의 장치(1b)에 설치된 용제 용기(3)를 축을 따라 대칭적으로 분할하는 단면도이고, 타이머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며 도11a와는 반대면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상기 비틀림스프링(7)과 추출용기(4)가 리프팅장치에 의해 올려져 있는 것을 도11b에서 볼 수 있다.
도11a에서, 상기 비틀림스프링(7)은 이완되어있으며, 이는 축방향으로 팽창된 것으로 설명하기 보다는 추출용기(4)가 올려져있는 사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더욱이, 차후 자세히 설명할 두 번째 작동부재(14b)가 도11b에 도시되어 있다.
도12는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원통(13)의 사시도로서, 타이머가 작동되는 중의 두 번째 작동부재(14b), 슬롯링크(12), 벨(16) 및 비틀림스프링(7)이 도시되어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이머는 도13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이중벽원통(13)은 돌출된 래크프로파일(13c)(rack profile)을 가지며, 상기 래크프로파일(13c)은 외측 원통(13a)의 외측면 영역을 원주방향으로 감아돌며 형성되고, 상기 영역은 축방향의 높이 h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프로파일은 세로홈들이나 컷아웃(cutout) 형태로 대신 적용할 수 있다.
첫 번째 기어휠(9a)이 래크프로파일(13c)에 맞물리게 되고, 첫 번째 기어휠(9a)의 축은 이중벽원통(13)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며, 하부영역(17)과 커버(15)(여기서 도시되지 않음)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첫 번째 기어휠(9a)은 추출용기(4)가 올려지는 최대 높이와 높이 h의 합 만큼의 높이를 갖는다.
두 번째 기어휠(9b)는 첫 번째 기어휠(9a)에 비교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며, 첫 번째 기어휠(9a)에 맞물려 상호작용하며, 이에 따라 첫 번째 기어휠(9a)과 평행한 회전축을 갖고, 커버(15)(여기서 도시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두 번째 작동부재(14b)는 두 번째 기어휠(9b)과 상호작용하는 정지기어휠(10)을 가진다.
상기 정지기어휠(10)은 축방향 및 스프링의 힘의 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지기어휠(10)이 작동되면, 정지기어휠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기어휠(9b)과 상호작용하지 아니한다(여기서 도시되지 않음).
이로 인해 상기 타이머가 방해를 받거나, 또는 두 번째 작동부재(14b)의 작동에 의해 0으로 다시 세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정지기어휠(10)의 정지장치는 정지기어휠(10)과 연결된 스핀들을 포함하며, 스핀들은 베어링부시(bearing bush)안에서 실리콘 또는 그에 상응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베어링부시는 실리콘이 새지 않고 산화되지 않도록 O링으로 봉인된다.
기계적인 관점에서, 부가장치(2b)를 용제 용기(3)에 대해 단열시킴으로써 용제의 온도변화가 시간 구간의 설정에 대해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부가장치(2b)를 보호하기 위해 단열재가 제공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뒤틀림스프링(7)에 연결되는 뒤틀림스프링홀더(13d)를 이중벽원통(13)의 하부 에지 영역에서 볼 수 있으며, 뒤틀림스프링(7)의 다른 말단은 하부영역(17)에 연결된다.
뒤틀림스프링(7)은 이중벽원통(13)의 회전(두 번째 작동방향)에 의해 긴장되고, 정지기어휠(10)이 상기 스프링의 이완을 막으며, 이로 인해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의 회전 카운터가 천천히 감소된다.
시간의 스케일은 이중벽원통(13)이 도달하게 되는 각속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시간 구간은 이중벽원통(13)의 회전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회전한 각도에 비례한다.
장입된 시간이 이르게 경과되려 하면, 두 번째 작동부재(14b)가 작동되고, 이로 인해 결합이 분리되고 이중벽원통(13)이 뒤틀림스프링(7)이 더 이완되게 하는 위치를 향해 멈추지 않고 뒤로 회전하게 된다.
도12는 슬롯링크(12)를 보여 준다. 상기 슬롯링크(12)는 이중벽원통(13)의 외부원통(13a)의 원주영역에 설치되는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슬롯링크(12)의 영역과 형태는 적어도 래크프로파일(11)의 영역과 형태에 상응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슬롯링크(12)는, 이중벽원통(13)의 외부원통(13a)과 작은 간격을 가지며 또 평행하게 설치되고, 하부영역(17)에 연결 설치된다.
슬롯링크(12)는, 이중벽원통(13)을 향하는 오목한 쪽에, 축 방향으로, 그루브(12c)를 가지며, 그루브(12c)는 하부영역(7)에서 바닥으로 들어나고, 또,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서 슬롯링크(12)를 감싸는 스텝(12b)에서 들어 난다.
추가적인 그루브(12d)-(12j)들은 그루브(12c)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되며, 각각 이격되어있고, 계단(12b)의 방향으로 깊이가 감소하며 계단(12b)에서 출구가 열려있다.
깊이를 증가시키면서 그루브(12d)-(12j)들을 형성시키는 것 대신, 상기 슬롯링크(12)는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해당하는 각도만큼 피벗 배열될 수 있다.
이중벽원통(13)의 외부원통(13a)과 연결되는 돌출부재(8)(도시되지 않음)가 슬롯링크(12)의 그루브(12d)-(12j)들 중 하나에 의해 유도된다.
상기 돌출부재(8)는 탄력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링크 역시 탄력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탄력부재(12a)가 슬롯링크(12)에, 그루브(12c)안에서 축방향으로, 연결되며, 그루브(12c)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뒷면에서는 슬롯링크(12)의 영역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요소의 탄성 운동이 방사방향으로 향하게 된다(탄력부재<12a>는 아래 설명하는 벨<16>을 치기 위한 막대임).
벨(16)은 커버(15)에 (상기 탄력부재<12a>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설치되며, 돌출부재(8)는 그루브(12c)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에서 탄력부재(12a)와 충돌하고, 이에 따라 탄력부재(12a)는 긴장되어 벨(16)을 치게 되며, 이때 탄력부재(12a)가 긴장되거나 이완될 경우 모두 벨(16)을 치게 된다.
상기 본발명의 장치(1b)의 기능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11b에서, 상기 타이머는 (아직)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작동부재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돌출부재(8)는 스텝(12b)에 의해 유도된다(도 11a).
상기 회전에 의해 비틀림스프링(7)이 긴장된다.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회전각에 비례하여 시간 구간이 세팅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장치(1b)에서 시간 구간의 설정이 시계방향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후, 추출용기(4)는 내려지고, 나선스프링(6)이 긴장된다.
한편, 돌출부재(8)는 지속시간 설정에 따라, 슬롯링크(12)의 그루브(12c-12j) 중 하나에 유도되어 들어가며, 후자는 추출용기(4)가 내려지는 동안, 용제 용기(3)에 대해 회전하는 것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추출용기(4)가 충분히 내려지면, 돌출부재(8)는 스텝(12b)으로 끼워져 들어가고, 이에 따라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유도되는 영역으로 들어간다.
이 위치에서, 상기 추출용기(4)는 더이상 회전에 대해 고정되지 않는다.
그 뒤로, 이완된 후에, 비틀림스프링(7)은 정지기어휠(10; blocked gear wheel)에 의해 이완이 멈추게 된다.
한편, 이중벽원통(13)은 돌출부재(8)와 스텝(12b)에 의해 유도된다.
장입된 시간이 종료된 이후, 추출용기(4)는 용제 용기(3)의 내부로부터 들어올려진다.
마지막으로, 돌출부재(8)는, 탄력부재(12a)의 영역을 통하여, 탄력부재(12a)와 충돌되며 따라서 벨(16)을 치게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신호를 보내게 되며, 특히 추출 장입 시간에 따라 추출음료의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순차적인 방법들이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a) 시간 조절에 따른 추출음료(1)의 마련을 위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이하 장치(1 b)), 상기 추출용기(4)는 공간절약을 위하여 하강상태에 있다.
이를 위하여, 추가적인 또는 상기 서술한 잠금장치, 특히 쿼터턴 조임장치(quarter turn fastener)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예로서, 정지기어휠(10) 또는 이중벽원통(1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서 두 번째 작동부재(14b)를 통하여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장치(1b)가 되돌려진 후, 상기 잠금상태가 풀리게되고, 이로 인해 추출용기가 용제 용기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b) 상기 커버(5)가 열려 진다.
c) 상기 추출용기(4)가 돌출실린더(4b)에서 이중벽원통(13)으로부터 원하는 길이(원하는 용제의 부피에 의존한다) 만큼 꺼내지게된다.
d) 상기 추출용기(4)가 추출재료로 채워지고, 다시 이중벽원통(13) 안으로 삽입된다.
e) 용제가 추출재료에 부어진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부가장치(12b) 역시 열려 질 수 있으며 용제가 용제 용기(3)로 직접 부어질 수 있다.
f) 커버(5)가 닫힌다.
g) 작동부재(14a)의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스프링(7)에 역방향 힘이 걸리게 되고, 원하는 작동시간이 장입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8)는 그루브(12c)-(12j)들 중 하나에 걸리게 되는데 예로서, 그루브(12e)에 걸리게 되고, 상기 그루브(12c)-(12j)들은 각각 시간 구간, 즉, 장입되는 시간 정도에 대응된다.
h) 이후 상기 작동부재(14a)는 첫 번째 방향으로 작동하며, 이중벽원통(13)이 돌출부재(8)에 의해 유도되어 그루브(12e)에 위치한다. 그루브(12e)의 깊이는 첫 번째 작동 방향에서 감소되고 스텝(12b)에서 개방되며, 이로 인해 작동시간 중에, 돌출부재(8)가 스텝(12b)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나선스프링(6)이 스텝(12b)으로 돌출부를 밀게 된다.
i) 이후에, 상기 작동부재(14a)가 해제된다.
그루브(12e)를 선택함으로써 장입 결정된 시간 구간의 진행 중, 상기 작동부재(14a)는 비틀림스프링(7)의 힘에 의해 회전하며, 기계적인 캐치카운터(mechanical catch counter)에 의해 멈추어지고, 그루브(12c)의 입구에 도달할 때 까지 두 번째 작동방향으로 회전한다.
j) 그루브(12c)의 입구에서, 작동부재(14a)의 움직이는 방향이 이전의 회전운동에서 첫 번째 작동방향의 반대인 축방향 운동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돌출부재(8)는 나선스프링(6)의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그루브(12c)를 따라 유도되어 이동된다.
그루브(12c)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동안, 상기 돌출부재(8)는 탄력부재(12a)와 접촉하게 되어 벨(16)을 치게되고, 이로서 사용자에게 추출음료가 마련 완료 되었다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k) 본 발명의 장치(1b)를 청소하기 위해, 상기 커버(5)가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용기(4)가 올려 꺼내져 세척된다.
또한, 상기 부가장치(2b)는 용제 용기(3)로부터 들어올려져 세척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장치(1b)는 다시 조립되고, 상기 작동부재(14a)가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 작동되며 쿼터턴 조임장치(quarter turn fastener)(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잠겨지며, 이로서 본 발명의 장치(1b)의 보관에 있어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의 작동이 이루어 진 후, 두 번째 작동방향에서의 시간 구간의 설정이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링크(12)는 그루브(12d)-(12j)들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간 구간은 연속적으로 장입 세팅될 수 있다.
반면, 시간 구간의 장입(세팅)에 앞서 또는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4a)의 작동은 첫 번째 작동 방향으로 가이드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미리 세팅된 시간 구간은 작동부재(14a)의 첫 번째 방향으로의 정확하지 않은 작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두 실시예에서의 추출용기(200, 4)와 용제 용기(3)는 기본적인 디자인에서 차이가 없으며 특히, 이들은 동일한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두 실시예에서의 추출용기(200,4)들은 두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분들은 각각 망원경과 같이 서로 결합되어 가이드될 수 있으며 축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걸려질(latched) 수 있다.
상기 부가장치(2a, 2b)는 유사점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사점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만으로, 예로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로서, 추출용기(200, 4)는 위에서 소개되었으며, 부가장치(2a, 2b)가 그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추출용기(200, 4)는 상기의 각각의 경우에서 채워질 수 있으며, 커버(타이머)(300)(5)에 의해 닫혀지고,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리브(400)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중벽원통(13)안에서 상기 용기가 지지되기위한 플랜지를 가진다.
상기 슬리브(400)나 이중벽원통(13)은 이하, 그 상위 개념인 "슬리브"로 간략 설명되기도 하며, 각각의 경우에서 압축스프링 또는 나선스프링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추출용기(200, 4)는 슬리브(400)나 이중벽원통(13)과 같이 압축스프링(409) 또는 나선스프링(6)의 힘에 맞서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직선운동으로 아랫방향으로 이동되어 추출위치(brewing position)로 위치하고 잠겨지게 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잠금장치는 래칭후크(407)나 돌출부재(8)들을 포함하며, 상기 래칭후크(407)나 돌출부재(8)들은 슬리브(400)나 이중벽원통(13)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잠겨진 상태에서, 부가장치(2a, 2b)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적으로 배열된 부재인 래칭후크(524)나 슬롯링크(12)와 상호작용하고,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409) 또는 나선스프링(6)의 이완을 막아줄 수 있으며, 슬리브(400) 또는 이중벽원통(13)과 이에 따른 추출용기(200, 4)를 상승시켜준다.
상기 부가장치(2a, 2b)는 장입된 시간 구간 동안 추출용기(200, 4)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격발부재(303)나 돌출부재(8)를 포함하며, 시간 구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잠금장치가 풀리게 된다.
시간 구간은 커버(300, 5)의 영역안에서 세팅된다.
시간 구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추출용기(200, 4)는 압축스프링(409) 또는 나선스프링(6)에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올려지게 된다.
상기의 일반적인 형태들은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 설명에서 일반적인 형태들을 모두 한정 기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의 두 개 실시예에 더 많거나 더 적은 일 반기술을 부가한 다른 더 많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위 두 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부가장치(2a, 2b)의 두 실시예의 차이점은, 첫 번째 실시예에서, 타이머는 커버(300)와 결합되어있으며,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가 부가장치(2b)에 결합되는 데에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실시예에서의 부가장치에 의해, 추출음료를 마련하기위한 시간 조절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그 작동이 단순하고, 더욱이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적은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다.

Claims (34)

  1. 시간을 제어하면서 추출음료를 마련하는 용제 용기(3)를 위한
    부가장치(2a; 2b)에 관한 것으로;
    a) 용제 용기(3)의 개구부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500),
    b)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00)는 추출용기(200; 4)의 통로를 위한 구멍(511)
    을 가지며,
    c) 리프팅장치(lifting device)를 가지는데, 리프팅장치는 추출용기(200;
    4)가 설치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추출용기(200; 4)는 슬리브의 하측말단을 지나쳐서 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슬리브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추출용기(200: 4)에 추출물질을 채워넣을 수 있으며,
    d) 상기 리프팅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된 가이드장치를 가지고, 슬리
    브가 선형 가이드(405, 515)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낮은위치와 높은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되며,
    e) 상기 낮은위치는 슬리브(400; 13)의 추출용기(200; 4)가 내려
    져 추출되는 위치로 한정되며, 높은 위치는 추출용기(200; 4)가 추출위치로부터 올
    려짐으로써 작동하지 않는 비작동위치로 한정되고,
    f) 상기 리프팅장치는 잠금장치를 가져서 슬리브를 추출위치에서 잠그게 되고,
    g) 또한, 타이머(300)가 설치되는데, 타이머(300)는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며,
    미리 장입 설정된 시간 구간이 경과된 후, 추출위치에서 잠겨있던 슬리브의 잠금을 해제하는데,
    h) 상기 타이머는 시간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작동부재(302)를 포함하고,
    i) 상기 슬리브는 리니어가이드(405, 515)를 따라 추출
    위치에서 복원력에 의해 움직이고, 슬리브가 잠금으로부터 해
    제 되면 슬리브가 추출위치에서 비작동위치로 돌려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2a; 2b)는 베이스플레이트(500)와 슬리브 사이에서 작동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기(200; 4)는 슬리브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부영역의 일측에 걸침수단으로서의 플랜지(22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기(200; 4)는 여과부(210; 4a)와 지지부(220; 4b)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210; 4a)는 지지부(220;4b)의 축방향의 다수의 위치에서 동축으로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5.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기(200; 4)는 슬리브가 비작동위치에서 추출위치(brewing position)로 이동하는 동안 구멍(511)을 통해 위에서부터 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6.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사용자에 의해 비작동위치에서 추출위치로 스프링복원력에 반하여 내려지고, 자동적으로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리프팅장치의 모든 구조부재는
    슬리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는 가이드슬리브(520; 19)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슬리브(520; 19)는 베이스플레이트(500)의 구멍(511)에 설치되고,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가이드슬리브에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슬리브(520; 19)의 내부공간은 베이스플레이트(500)의 구멍(511)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둥근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이중벽 구조이며, 이중벽(401, 402; 13a, 13b)의 사이 공간이 아래 방향으로 열려있고, 윗방향으로 닫혀있으며, 상기 슬리브가 가이드슬리브(520; 19) 위로 설치되며,
    이 경우, 추출위치에서 상기 가이드슬리브(520; 19)가 이중 벽(401, 402; 13a,13b)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513)을 포함하며, 슬리브에 플랜지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레일(513)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되므로서 상기 슬리브(400)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타이머(300)와 상호작용하는 작동부재(5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500)에 설치된 첫 번째 래칭후크(524)를 포함하며, 상기 래칭후크(524)는 상기 슬리브(400)가 추출위치에 위치할때 슬리브(400)의 래칭부재(407)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래칭후크(524)는 복원력에 의해 작동되며,
    슬리브(400)가 추출위치로 가게 되면, 상기 슬리브(400)의 래칭후크(407)는 래칭후크(524)에 자동으로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300)는 격발부재
    (303)를 포함하고, 상기 격발부재(303)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의 카운트다운 동안 연속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미리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하면, 잠금장치의 작동 부재와 상호작용하여, 슬리브(400)를 추출위치에서 잠금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잠금장치의 작동부재는 슬리브(400)가 추출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400)의 상부 에지영역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부재는 슬리브(400)의 상부 에지영역의 구멍(403)에 들어가게되며, 상기 타이머(300)가 슬리브(400) 위로 위치할 경우
    상기 구멍에 타이머(300)의 격발부재(303)가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403)은 슬리브(400)의 내벽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500)의 측면은 용제 용기(3)에 올려놓기 위한 자리를 제공하며, 평면으로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500)의 반대편에는 커버(600; 15)가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500)과 커버(600; 15)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공간에 길이 방향의 가이드와 리프팅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a. 용제 용기(3)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b. 추출용기;
    c. 추출용기(4)를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리프팅장치;
    d. 상기 리프팅장치는, 부가장치가 용제 용기(3) 위에 위치될 때, 추출용기(4)가 용제 용기(3) 내로 내려진 상태에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e. 추출용기(4)가 내려진상태에서 리프팅장치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장치;
    f. 미리정해진 시간 구간 이후 리프팅장치의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잠금장치와 상호작용하는 타이머;
    g. 타이머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방향을 갖는 작동부재(14a);
    h. 상기 타이머는 작동부재(14a)에 적용되는 기계에너지 축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축적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의 진행중에 에너지를 방출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첫 번째 요소 및 두 번째 요소를 포함하며, 음료 추출 과정에서, 첫 번째 요소가 용제 용기(3)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요소가 추출용기에 설치되며,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요소는 상호작용하고, 상기 첫 번째 요소는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진행하는 동안 두 번째 작동방향에서 두 번째 요소에 의해 유도되며. 미리 정해진 시간 구간이 경과한 후, 첫 번째 작동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3) 위에 설치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1.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4항 및 제16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의 내용에 따른 부가장치(2a; 2b)를 포함하는 용제 용기가 차주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나선스프링(spiral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스프링은 나선압축스프링(spiral compression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리브가 비작동위치에서 적어도 추출용기(200; 4)의 일부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6.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잠금장치는 피벗 가능하게 설치된 첫 번째 래칭후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래칭부재는 슬리브(400)에 고정설치된 두 번째 래칭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래칭후크는 슬리브에 고정되게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두 번째 래칭후크는 슬리브에 일체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첫 번째 래칭후크와 연결되는 레버암(lever a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추출용기(2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거 가능한 커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32. 제17항에 있어서,타이머가 슬리브로부터 제거될 때 격발요소(303)가 구멍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나올 수 있도록 구멍이 위쪽으로 열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3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리브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슬리브가 추출위치에 있을 때 슬리브의 구멍에 완전히 겹치게(overlapping)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34. 제19항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의 구멍은, 비작동 위치에서, 상기 슬리브가 커버 위로 올라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KR1020137005223A 2010-08-06 2010-08-06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KR101614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H2010/000194 WO2012016340A1 (de) 2010-08-06 2010-08-06 Aufsatz für einen teekr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39A KR20140005139A (ko) 2014-01-14
KR101614191B1 true KR101614191B1 (ko) 2016-04-20

Family

ID=4385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223A KR101614191B1 (ko) 2010-08-06 2010-08-06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167731A1 (ko)
EP (1) EP2600755B8 (ko)
JP (1) JP5889304B2 (ko)
KR (1) KR101614191B1 (ko)
CN (1) CN103260481B (ko)
AU (1) AU2010358547B2 (ko)
HK (1) HK1184033A1 (ko)
RU (1) RU2523983C1 (ko)
WO (1) WO20120163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846B1 (ko) * 2017-04-17 2018-10-30 주식회사 오보틀 은폼이 포함된 물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534B2 (en) * 2013-12-01 2019-05-07 Fellow Industries Inc. Beverage steeping and dispensing system
DE102014113684B4 (de) * 2014-09-22 2019-01-10 Carolin Dost Brühvorrichtung zur Zubereitung eines Brühgetränks innerhalb eines mit Wasser befüllten Behälters
TWM496977U (zh) * 2014-10-23 2015-03-11 Victory Marketing Corp 沖泡機
CN105054716B (zh) * 2015-08-08 2016-08-24 蔡晨苗 一种沏茶杯子装置的使用方法
DE202016103314U1 (de) * 2016-06-22 2016-08-12 Emsa Gmbh Verschlussaufsatz für Kannen und Flaschen für Heiß- und Kaltgetränke
CN107007143B (zh) * 2017-05-06 2019-04-16 广东高博电器有限公司 多功能电热水壶
RU2701568C2 (ru) * 2017-10-13 2019-09-30 Назмутдинова Елена Витальев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экстракционных напитков
KR102071046B1 (ko) * 2018-02-05 2020-01-28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드립핑 용기 및 휴대용 커피 음용 용기
CN108720610B (zh) * 2018-09-07 2024-04-12 珠海横琴鑫润智能制造有限公司 冲泡组件及冲调设备
EP3647885A1 (fr) * 2018-11-02 2020-05-06 Tissot S.A. Procede de gestion de la consommation electrique d'une montre
WO2020145838A1 (ru) * 2019-01-10 2020-07-16 Алексей Степанович НАЗМУТДИ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экстракционных напитков
CN113616077A (zh) * 2020-05-08 2021-11-09 沈子渊 可改变容量的滤筒及附有此滤筒的饮料容器
CN111466759A (zh) * 2020-05-21 2020-07-31 福建省德化县家福瓷业有限公司 一种改进型手持式泡茶装置
CN117066122B (zh) * 2023-10-11 2023-12-19 山西丰田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肥高钾肥料生产后优劣筛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9421A1 (de) 1998-08-29 2000-03-02 Gerber Jens Joerg Automatisiertes zeitgesteuertes Sieb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5160A (en) * 1996-08-29 1999-01-05 Shen; Shun-Tsung Tea maker
CN2293996Y (zh) * 1997-03-11 1998-10-14 陈富助 一种具定时装置的泡茶器
CN2532782Y (zh) * 2002-02-22 2003-01-29 官嘉荣 自动泡茶机
DE10316937A1 (de) * 2003-04-12 2004-10-21 Zogel, Philipp, Dipl.-Ing. Gerät zur Teebereitung
CN1565311A (zh) * 2003-06-25 2005-01-19 张人堂 定时冲茶杯
US7219600B1 (en) * 2004-03-12 2007-05-22 Tea Spot, Inc. Infuser tea pot
US20060288873A1 (en) * 2005-06-24 2006-12-28 Heng-Te Yang Tea-making device with a time control
JP2007020816A (ja) * 2005-07-14 2007-02-01 Kuo Yu Plastic Enterprise Co Ltd タイマー制御茶類抽出器
US20080202346A1 (en) * 2007-02-16 2008-08-28 Mario Bernardo Accumanno Tea maker with agitator
US20080199580A1 (en) * 2007-02-16 2008-08-21 Mario Bernardo Accumanno Tea maker with timer
US20090020018A1 (en) * 2007-07-17 2009-01-22 Steven Melzer Hot Beverage Center
CH700381B1 (de) * 2009-02-13 2012-11-30 Adolfo Dalla Piazza Inh Enrico Dalla Piazza Vorrichtung zur zeitgesteuerten Zubereitung eines Extraktionsgetränks, insbesondere zum Brühen von Te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9421A1 (de) 1998-08-29 2000-03-02 Gerber Jens Joerg Automatisiertes zeitgesteuertes Sie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846B1 (ko) * 2017-04-17 2018-10-30 주식회사 오보틀 은폼이 포함된 물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39A (ko) 2014-01-14
US20130167731A1 (en) 2013-07-04
EP2600755B8 (de) 2015-03-11
JP5889304B2 (ja) 2016-03-22
CN103260481A (zh) 2013-08-21
AU2010358547A1 (en) 2013-03-07
WO2012016340A1 (de) 2012-02-09
EP2600755A1 (de) 2013-06-12
JP2013533068A (ja) 2013-08-22
AU2010358547B2 (en) 2015-04-30
HK1184033A1 (zh) 2014-01-17
RU2523983C1 (ru) 2014-07-27
EP2600755B1 (de) 2015-01-07
CN103260481B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191B1 (ko) 용제 용기의 부가장치
AU2016203881B2 (en) Improved Coffee Grinder Apparatus
US6192786B1 (en) Espresso brewing head unit
RU2394626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ования воды и вообще жидкостей
KR20070040396A (ko) 커피 카트리지의 장착 및 토출 기구를 구비한 커피 메이커
US3339476A (en) Coffee maker
US20030000392A1 (en) Beverage brewer with automatic safety brew basket lock and method
CA2735186A1 (en) Beverage maker comprising an insert inserted into a receptacle
US11529013B2 (en) Coffee grinder apparatus
US20060288873A1 (en) Tea-making device with a time control
US8485089B2 (en) Microwave coffee maker
WO2016144624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US9060643B2 (en) Extraction device for immersion beverage primary liquid
CN113508082A (zh) 具有用于可再填充咖啡胶囊的填充装置的咖啡研磨机
US4676148A (en) Coffee-making machines
EP1741371B1 (en) Tea-making device with a time control
GB2308055A (en) Electric kettle with removable filter
RU2779134C2 (ru)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дл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имеющая крышку для закрытия отверстия, образованного в стенке корпуса
JP4162154B1 (ja) 飲料抽出装置
JP2007075434A (ja) ドリッパー
US20230100531A1 (en) Coffee grinder apparatus
RU27015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экстракционных напитков
US2258589A (en) Coffee maker
CN216675470U (zh) 咖啡过滤装置
US530835A (en) Coffee-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