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972B1 -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972B1
KR101613972B1 KR1020140095031A KR20140095031A KR101613972B1 KR 101613972 B1 KR101613972 B1 KR 101613972B1 KR 1020140095031 A KR1020140095031 A KR 1020140095031A KR 20140095031 A KR20140095031 A KR 20140095031A KR 101613972 B1 KR101613972 B1 KR 10161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case
waterproof gasket
inner batte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821A (ko
Inventor
김윤회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Priority to KR102014009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9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케이스와, 방수 개스킷과, 내측 배터리 커버, 및 외측 배터리 커버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방수 개스킷은 배터리 수용부의 주변에 장착된다. 내측 배터리 커버는 방수 개스킷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위가 방수 개스킷을 압박하여 배터리 수용부를 밀봉한다. 외측 배터리 커버는 내측 배터리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 배터리 커버가 방수 개스킷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케이스에 착탈된다.

Description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with water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예컨대,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은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이동 중에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PDA는 개인용이나 업무용으로 계산이나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소형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기기는 케이스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를 갖는다. 배터리는 전력공급원으로서 충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배터리는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 내의 전자 회로부와 접속된다. 그리고, 배터리 커버는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배터리 수용부를 개폐한다.
한편, 전자기기,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중 다양한 상황, 특히 비나 눈이 오는 상황 등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비나 눈으로 인해 배터리 수용부 내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면, 전자기기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수용부의 방수 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배터리 커버는 배터리의 충전이나 교환 등을 위해 케이스에 착탈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를 케이스에 손쉽게 착탈하도록 전자기기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방수 구조를 가지면서 배터리 커버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케이스에 착탈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케이스와, 방수 개스킷과, 내측 배터리 커버, 및 외측 배터리 커버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방수 개스킷은 배터리 수용부의 주변에 장착된다. 내측 배터리 커버는 방수 개스킷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위가 방수 개스킷을 압박하여 배터리 수용부를 밀봉한다. 외측 배터리 커버는 내측 배터리 커버의 외측에서 내측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 배터리 커버가 방수 개스킷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케이스에 착탈된다.
전자기기는 외측 배터리 커버를 케이스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내측 배터리 커버가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측 배터리 커버와 방수 개스킷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케이스에 착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배면 부분을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내측 배터리 커버와 외측 배터리 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있어서, 위치 고정부와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외측 배터리 커버를 케이스의 분리 위치로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는 PDA를 예시하고 있으나, PDA 이외에 휴대폰 등의 각종 전자기기일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배면 부분을 일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내측 배터리 커버와 외측 배터리 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케이스(110)와, 방수 개스킷(waterproof gasket, 120)과, 내측 배터리 커버(130), 및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배터리(101)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13)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예컨대, 케이스(110)는 상호 간에 조립 또는 분해될 수 있는 프런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의 공간에는 전자 회로부(미도시)가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2)이 프런트 케이스(111)의 전면 상부 영역에 장착되고, 키패드(103)가 프런트 케이스(111)의 전면 하부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3)는 리어 케이스(112)의 배면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3)는 리어 케이스(112)의 배면으로부터 배터리(101)의 크기만큼 함몰된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101)는 배터리 수용부(113)의 개구를 통해 배터리 수용부(113)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3) 내에는 배터리(101)의 단자들과 접속되는 커넥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들은 케이스(110) 내의 전자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배터리(101)가 배터리 수용부(113)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터리(101)의 단자들이 커넥터들에 접속되면, 배터리(101)로부터 전자 회로부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101)는 충전 가능한 2차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 개스킷(120)은 배터리 수용부(113)의 주변에 장착된다. 예컨대, 장착 홈(114)이 배터리 수용부(113)의 주변을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 개스킷(120)은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 개스킷(120)은 일부분이 장착 홈(114)에 끼워져 지지되고, 나머지 부분이 장착 홈(114)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 개스킷(120)은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가장자리에 의해 압박될 때 탄성 변형됨으로써, 탄성 변형력에 의해 내측 배터리 커버(130)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수용부(113)는 방수 개스킷(120)과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밀착된 부위를 따라 밀봉될 수 있다. 방수 개스킷(120)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 개스킷(120)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배터리 커버(130)는 방수 개스킷(12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위가 방수 개스킷(120)을 압박하여 배터리 수용부(113)를 밀봉한다. 내측 배터리 커버(130)는 가장자리가 방수 개스킷(120)에 대응되게 배터리 수용부(113)의 개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내측 배터리 커버(130)는 방수 개스킷(120)과 대응되는 부위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에 의해 방수 개스킷(120)을 압박할 수도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외측에서 내측 배터리 커버(130)와 케이스(1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내측 배터리 커버(130)가 방수 개스킷(12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케이스(110)에 착탈된다.
즉, 내측 배터리 커버(130)가 방수 개스킷(12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도 6에 도시된 분리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장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케이스(110)에 장착된다. 이와 반대로, 내측 배터리 커버(130)가 방수 개스킷(12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도 7에 도시된 장착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장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전자기기(100)의 작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기기(100)에 배터리(10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와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내측 배터리 커버(130)는 방수 개스킷(120)에 밀착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만 내측 배터리 커버(130)에 대해 장착 위치로부터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내측 배터리 커버(130)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와 함께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 수용부(113)에 배터리(101)를 수용한다. 이어서,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방수 개스킷(120)에 대응시켜 방수 개스킷(120)을 압박한 상태에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분리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내측 배터리 커버(130)가 방수 개스킷(120)에 밀착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만 분리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로부터 배터리(101)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과정으로 외측 배터리 커버(140)와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케이스(110)로부터 함께 분리한 후, 배터리 수용부(113)로부터 배터리(101)를 인출한다. 이후, 전술한 과정으로 외측 배터리 커버(140)와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케이스(110)에 장착할 수 있다.
만일, 비교 예로서, 내측 배터리 커버(130)가 생략되고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방수 개스킷(120)을 압박하면서 장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케이스(110)에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방수 개스킷(120)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케이스(110)에 착탈할 때 힘이 들고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내측 배터리 커버(130)가 방수 개스킷(120)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장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케이스(110)에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내측 배터리 커버(130)와 방수 개스킷(120)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와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케이스(110)에 착탈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내측 배터리 커버(120)에 다음과 같은 구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내측 배터리 커버(130)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가이드 벽(141)들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벽(141)들은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사이에 두고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양 측면들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벽(141)들에는 가이드 홈(142)이 적어도 하나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양 측면들에는 가이드 홈(142)들에 각각 끼워져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31)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내측 배터리 커버(13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홈(142)은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장착 위치와 분리 위치로 각각 이동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31)를 정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이드 홈(142)들이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양 측면들에 각각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131)들이 가이드 벽(141)들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케이스(110), 즉 리어 케이스(112)에 다음과 같은 구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씩 가이드 편(143)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편(143)은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편(143)들에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 블록(116)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6)의 외측에는 가이드 편(143)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홈(116a)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분리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 편(143)은 가이드 블록(116)의 슬라이드 홈(116a) 밖에 위치된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분리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가이드 편(143)은 가이드 블록(116)의 슬라이드 홈(116a)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한 후 슬라이드 홈(116a) 내에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케이스(110)에 장착하기 위해 분리 위치로 위치시킬 때, 가이드 편(143)의 위치를 안내해서 내측 배터리 커버(130)가 방수 개스킷(120)에 정확히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 가이드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 가이드부(117)는 가이드 편(143)을 사이에 두고 리어 케이스(1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는 잠금해제기구(160)에 의해 케이스(110)에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잠금해제기구(160)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에 형성된 후크(161)와, 리어 케이스(112)에 형성된 걸림 홈(162)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161)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선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162)은 후크(161)를 끼워서 고정하도록 리어 케이스(112)의 내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해제기구(16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분리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후크(161)가 걸림 홈(162)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케이스(110)에 잠금 처리될 수 있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장착 위치로부터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후크(161)가 걸림 홈(162)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케이스(11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잠금해제기구(160)는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부(113)의 주변에는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방수 개스킷(120)에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배터리 커버(140)가 장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내측 배터리 커버(130)는 위치 고정부(115)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위치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고정부(115)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선단 및 후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위치 고정부는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턱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 배터리 커버(140)와 내측 배터리 커버(130) 사이에는 탄성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장착 방향으로 내측 배터리 커버(130)에 탄성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케이스(110)에 장착하기 위해 분리 위치로 위치시킬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배터리 커버(130)는 방수 개스킷(120)에 대응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배터리 커버(130)를 방수 개스킷(120)에 대응시키기 위해 외측 배터리 커버(140)에 대한 위치 조정이 필요 없게 되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분리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탄성부재(150)가 외측 배터리 커버(140)와 내측 배터리 커버(130)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킨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장착 위치로부터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 탄성부재(150)의 복원력이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분리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작은 힘으로 외측 배터리 커버(140)를 케이스(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후단에 탄성력을 가하는 경우,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탄성부재는 외측 배터리 커버(140)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배터리 커버(130)의 선단에 탄성력을 가하는 경우,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케이스
120..방수 개스킷
130..내측 배터리 커버
140..외측 배터리 커버
150..탄성부재

Claims (3)

  1.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주변에 장착된 방수 개스킷;
    상기 방수 개스킷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방수 개스킷을 압박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밀봉하는 내측 배터리 커버;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방수 개스킷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외측 배터리 커버; 및
    상기 외측 배터리 커버와 내측 배터리 커버 사이에서 상기 외측 배터리 커버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배터리 커버는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의 양 측면에 각각 마주하도록 돌출된 가이드 벽들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벽과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의 측면 중 어느 한쪽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다른 쪽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외측 배터리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주변에는 상기 내측 배터리 커버를 상기 방수 개스킷에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3. 삭제
KR1020140095031A 2014-07-25 2014-07-25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KR10161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31A KR101613972B1 (ko) 2014-07-25 2014-07-25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31A KR101613972B1 (ko) 2014-07-25 2014-07-25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821A KR20160012821A (ko) 2016-02-03
KR101613972B1 true KR101613972B1 (ko) 2016-04-20

Family

ID=5535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31A KR101613972B1 (ko) 2014-07-25 2014-07-25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50A1 (ko) * 2022-03-31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164A (ja) * 2002-07-16 2004-02-19 Japan Radio Co Ltd 電池のための防水構造
JP2012060399A (ja) * 2010-09-08 2012-03-22 Fujitsu Ltd 防水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6164A (ja) * 2002-07-16 2004-02-19 Japan Radio Co Ltd 電池のための防水構造
JP2012060399A (ja) * 2010-09-08 2012-03-22 Fujitsu Ltd 防水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821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8812B2 (en) Cover latch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EP3023301A1 (en) Holder for mobile device and vehicle seat employing same
WO2010131307A1 (ja) 携帯端末装置
US825409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673812A (zh) 电池盖组件
US20130314854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8409739B2 (en) Battery latching mechanism having connecting block and receiving ho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05310B2 (en) Battery cover latch assembly
CN108139781B (zh) 电子设备
JP2012033489A (ja) 電池蓋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US20100075212A1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13198159A (ja) 電池蓋着脱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式電子装置
US10215206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s
JP2011234351A (ja) カバーロック装置
US20120081875A1 (en) Electronic device
US8257853B2 (en) Battery cover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KR101613972B1 (ko)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CN102468458B (zh) 电池盖锁持结构及具有该电池盖锁持结构的电子装置
US20100027203A1 (en) Latch
JP2012164526A (ja) 電子機器、及びその電池ケースのカバー開放防止構造
JP2011259279A (ja) 携帯用電子機器
KR20160004503U (ko) 스마트폰이 부착되는 수납장치
CN107072081B (zh) 一种移动终端
JP2012186069A (ja) 電子機器
TWI440422B (zh) 電子裝置之吊繩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