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813B1 -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813B1
KR101613813B1 KR1020150012431A KR20150012431A KR101613813B1 KR 101613813 B1 KR101613813 B1 KR 101613813B1 KR 1020150012431 A KR1020150012431 A KR 1020150012431A KR 20150012431 A KR20150012431 A KR 20150012431A KR 101613813 B1 KR101613813 B1 KR 10161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pressure
calculating
nozzl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86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벡 가스 소화 설비 구현을 위해 배관망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저장용기에 저장된 노벡 소화 약제를 방호구역에 설치된 분사 헤드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장치의 설계 인자의 결정방법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친환경 소화설비 구현을 위한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a) 보관용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첫 번째 섹션(Section)의 시작점에서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 (b) 최초의 유량을 배관 크기별 최대 유량을 기준으로 각 섹션의 유량을 임의로 설정하는 단계; (c) 임의로 설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각 섹션의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압력을 계산하여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산정하는 단계; (d) 각 섹션에서 계산된 압력을 이용하여 각 노즐에서의 분출량을 계산하는 단계; (e) 각 노즐에서의 분사량을 계산한 이후에 노즐의 유량으로부터 각 섹션에서의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f) 노즐의 분사량을 기준으로 계산한 유량과 압력손실 계산에 사용한 유량을 비교하여 둘이 일치하면 수렴한 것으로 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각 섹션에서의 압력손실에 사용할 유량을 다시 추정하여 (c)번으로 이동하여 다시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g) 가스 소화설비용 배관장치 각 섹션에서의 유량 및 압력을 계산하여 소화제의 방출시간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A Design Method of Novec Gas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벡 가스 소화 설비 구현을 위해 배관망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저장용기에 저장된 노벡 소화 약제를 방호구역에 설치된 분사 헤드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장치의 설계 인자의 결정방법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친환경 소화설비 구현을 위한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계 소화설비의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소화설비의 배관 구경은 소화농도에 필요한 소화 약제가 지정된 시간 이내에 방출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 전역방출시간은 1분 이내에,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의 경우, 10초이나, 청정소화 약제 (불활성가스 청정소화 약제)의 경우에도 10초 이내에 필요한 소화 약제가 방출되어야 한다. 소방방재청 고시 제2010-1호(2010.1.6.)인 가스계 소화설비의 설계프로그램 성능시험 기술기준에 의하면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화농도, 설계농도, 배관비, 방출시간, 분사 헤드 최소설계 압력 등 다양한 기술적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가스계 소화설비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경우, NFPA Code 13 등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배관을 설계하여 이산화탄소의 방출시간을 산정하며, NFPA Code 13에서 정하는 방법은 이산화탄소의 상변환 등에 따른 밀도 변화 등을 고려하여 제시하고 있는 각종 설계용 테이블을 이용하여 배관장치를 설계한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뿐만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가스계 소화설비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와 마찬가지로 실험 또는 경험적으로 획득한 설계 자료를 활용하여 배관장치 등을 설계하게 되는데, 이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가스계 소화설비는 설치 공간의 절약을 위해 가스 소화 약제를 액화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소화설비가 작동하게 되면, 액화되어 보관되어 있던 소화 약제가 기화될 때의 밀도변화, 온도변화 등을 모두 고려하여 배관장치의 크기를 결정하여야 하지만, 이를 모두 이론적으로 해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가스계 소화설비는 거의 대부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설계 자료를 이용하여 배관장치를 설계하고 있다.
노벡(Novec) 소화 약제는 할론 소화 약제를 대체하는 차세대 소화 약제 중 하나로 뛰어난 소화성능과 친환경성, 인체 안전성으로 세계적으로도 대표적인 소화약제로 꼽힌다. 이 소화 약제는 뛰어난 절연력과 문서 훼손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어 국내에서 ‘젖지 않는 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노벡은 대기압 상온하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지만, 약간의 열에너지로 기화가 된다. 즉 액체로 저장되지만 방출 시에는 가스로 기화하는 특성을 보이며 증발열이 물보다 25배 적고 증기압은 물의 12배에 달해 물보다 50배나 빠르게 기화한다. 이러한 특성은 소화시스템에 적용 시 노벡 가스가 불이나 연기에 접촉한 경우 바로 증발되기 때문에 화재열을 급격히 떨어뜨려 화재를 진압하고 대상물에는 잔유물을 남기지 않는다. 또한 보관 및 운송이 기존 청정 소화 약제에 비해 매우 용이하며, 소화장치 기동시에 온도변화가 매우 작기 때문에 고가 장비나 전산실, 전기실, 통신실, 데이터저장실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청정 소화 약제로서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또한, 노벡 가스 소화설비는 기존의 가스계 소화설비에 비해 소화에 필요한 소화약제의 양이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에 선박 및 해양플랜트에서 가정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사항인 무게 및 공간적인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노벡 가스소화 설비는 설계, 제작 및 설치와 관련된 표준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실제 선박 및 해양플랜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노벡 가스 소화설비는 소화 약제 보관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노벡 가스를 보호구역에 정해진 시간 안에 방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에 적합하도록 배관장치의 배치와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보호구역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2분이내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가스를 보호구역 내부에 방출하도록 요구하지만, 노벡 소화장치는 기상으로 변환한 노벡이 다시 액화되기 이전에 소화작용이 완료되어야 하므로, 요구되는 방출시간이 일반적으로 10초 이하로서 다른 청정소화약제에 비해 방출시간이 매우 짧으며, 이러한 방출 요구시간을 고려한 배관장치의 설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노벡 가스 소화설비는 노벡 가스의 물성치에 대한 실험적 또는 경험적 설계 자료가 이직 정립되어 있지 않고, 산업계에 적용된 기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배관장치 설계와 관련하여 설계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473978호(2014.12.11.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효율적인 노벡 가스 소화 설비 구현을 위해 배관망 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저장용기에 저장된 노벡 소화 약제를 방호구역에 설치된 분사 헤드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장치의 설계 인자의 결정방법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친환경 소화설비 구현을 위한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은 (a) 보관용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첫 번째 섹션(Section)의 시작점에서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 (b) 최초의 유량을 배관 크기별 최대 유량을 기준으로 각 섹션의 유량을 임의로 설정하는 단계; (c) 임의로 설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각 섹션의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압력을 계산하여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산정하는 단계; (d) 각 섹션에서 계산된 압력을 이용하여 각 노즐에서의 분출량을 계산하는 단계; (e) 각 노즐에서의 분사량을 계산한 이후에 노즐의 유량으로부터 각 섹션에서의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f) 노즐의 분사량을 기준으로 계산한 유량과 압력손실 계산에 사용한 유량을 비교하여 둘이 일치하면 수렴한 것으로 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각 섹션에서의 압력손실에 사용할 유량을 다시 추정하여 (c)번으로 이동하여 다시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g) 가스 소화설비용 배관장치 각 섹션에서의 유량 및 압력을 계산하여 소화제의 방출시간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의 방출계수를 이용하여 한 개의 압력 또는 유량에 대한 경계조건만으로 배관망해석을 수행하여 노즐에서의 압력 또는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지정하여 반복계산을 통해, 배관망 전체의 압력 및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손실 산정방법은 무디차트(Moody Chart)를 이용하여 각 배관에서의 레이놀즈수(Renolds Number), 관벽 거칠기와 배관 내경과의 비율을 고려하여 각각의 배관에 대해 마찰손실계수를 계산하는 방법 또는 모든 배관에 대해 마찰손실계수를 팬닝(Fanning) 계수를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배관에서 마찰손실을 산정하고, 산정된 마찰손실계수를 사용하여 가스 운반선 벤트관 장치용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배관에서 압력손실 산정 방법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및 해양플랜트를 중심으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노벡가스의 중요한 소화성능 인자 중 하나인 방출시간을 산정하여 이에 적합하도록 노벡가스 소화장치의 배관장치를 설계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을 통해 선박 및 해양 플랜트 등의 화재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에 있어 설계 인자 산정 로직 및 순서도,
도 2는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개략도,
도 3은 배관망해석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배관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에 있어 설계 인자 산정 로직 및 순서도이며, 도 2는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배관망해석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배관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스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은 소화제인 가스의 방출농도와 방출시간으로 규정하게 되는데, SOLAS 및 각종 법령에서는 각 구역별로 방출농도와 방출시간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스 소화설비를 설계할 경우에는, 사용되는 배관의 크기에 따라 유동하는 가스의 최대량을 지정하여 설계하는 방법 또는 실험적 자료 등을 근거로 하여 방출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소화제 방출 시간 산정을 위해 여러 가지 기준을 사용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기준들이 NFPA Code 12(Standard on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System)에 근거하여 자국의 실정 등을 반영하여 사용하는 것들이다.
본 발명에서 가스 소화설비의 소화제 방출시간 산정방법은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계산하여 각 노즐에서의 소화제 압력을 구하고, 그 압력에서 노즐을 통하여 방출되는 소화제 양을 계산함으로써 방출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그러므로,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소화제 방출시간 계산에서 핵심사항이 된다.
식(1)은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구하기 위한 것으로 유량과 배관의 크기 및 압력에 의한 효과를 나타내는 식으로부터 도출된다.
Figure 112015008490618-pat00001
여기서, Q는 질량유량(lb/min), D는 관의 내경(in), L은 관의 등가길이(ft),Y 및 Z는 저장용기 및 배관에서의 압력에 대응하는 계수이고, 하첨자 S와 E는 각각 섹션의 시작점과 끝점을 의미한다.
가스 소화설비의 가스 방출시간은 식(1) 및 NFPA Code에서 정하는 Y 및 Z의 계수 및 노즐에서의 방출압력별 방출량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배관에서의 유량과 압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경계조건이 필요하게 되는데, 가스 소화설비의 경우에는 가스를 보관하고 있는 실린더 또는 압력 용기에서의 유량과 평균압력이 기준이 되며, 유량은 각 용기에 보관된 가스의 양(질량)을 이용하고, 평균압력은 NFPA Code 12에서 정하고 있는 평균압력을 경계조건으로 사용하며 방출시간 계산 절차는 아래와 같다.
(a) 보관용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첫 번째 섹션(Section)의 시작점에서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
(b) 최초의 유량을 배관 크기별 최대 유량을 기준으로 각 섹션의 유량을 임의로 설정하는 단계;
(c) 임의로 설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각 섹션의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압력을 계산하여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산정하는 단계;
여기서 각 섹션에서의 압력계산은 식(1)과 Y 및 Z의 계수를 이용하여 Zs 값을 ZE 값으로 임의로 입력하고 계산하여 계산된 YE에 해당하는 압력과 ZE값에 해당하는 압력이 동일해 질 때까지 반복 계산한다.
(d) 각 섹션에서 계산된 압력을 이용하여 각 노즐에서의 분출량을 계산하는 단계;
노즐에서의 분출량은 계산된 노즐의 압력과 NFPA Code에서 제시하는 압력별 분출량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다만, 여기에서 노즐에서의 분출계수를 적용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Full Bore Type(로로구역에 주로 사용)은 0.5, Kidde Type(기관실에 주로 사용)은 0.65를 적용한다.
(e) 각 노즐에서의 분사량을 계산한 이후에 노즐의 유량으로부터 각 섹션에서의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f) 노즐의 분사량을 기준으로 계산한 유량과 압력손실 계산에 사용한 유량을 비교하여 둘이 일치하면 수렴한 것으로 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각 섹션에서의 압력손실에 사용할 유량을 다시 추정하여 (c)단계로 이동하여 다시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각 섹션에서의 압력손실에 사용할 유량은 아래 식(2)로 추정한다.
식(2) Qk PL= [Qk -1 TQ ×WF+Qk -1 PL×(1-WF)]
여기서, QPL은 압력손실 계산에서 사용되는 유량, QTQ 는 노즐에서의 분사량을 기준으로 계산한 유량 WF는 가중계수, k는 반복계산 횟수를 나타낸다.
(g) 가스 소화설비용 배관장치 각 섹션에서의 유량 및 압력을 계산하여 소화제의 방출시간을 산정하는 단계;
도 2는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개략도로서 노벡 가스는 대기압 상온조건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며, 노벡 가스 소화설비에서는 액상의 노벡 가스를 실린더에 보관한다. 노벡 가스 소화설비가 작동하게 되면, 기동용 질소 실린더에서 고압의 질소가스가 노벡 가스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질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액상의 노벡 가스가 실린더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노벡 가스 실린더의 출구에는 노벡 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실린더 밸브가 있다.
노벡 가스 소화장치의 배관장치 설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배관망해석 기법을 응용하여 설계한다. 배관망해석은 배관장치를 유동하는 유체의 물성치를 해석하는 것으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배관망의 각 지점에서 유량 및 압력을 산정하는 해석기법을 말한다. 배관망해석은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해석기법들은 배관망해석의 계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해석기법들로 모든 배관망해석 기법들은 질량보존 및 에너지보존의 윈칙을 기반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배관망해석에서 구하고자하는 유체의 물성치는 유체의 유량과 압력이며, 질량보존 및 에너지 보존과 관계된 기본방정식은 각각 연속방정식과 에너지 방정식으로 불리는 베르누이 방정식이다.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배관망에서 발생하는 유동손실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배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에너지 평형을 고려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이는 각 배관이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압력은 어느 배관을 기준으로 계산하여도 같은 값 즉, 동일한 압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모든 배관망은 도 3에서와 같은 간단한 배관망이 다수 연결된 것이므로 도 3에서 1번 지점(1)에서 유동이 유입되어 3번 지점(3)과 4번 지점(4)으로 유동이 유출된다고 하면, 각 지점에서의 유량과 압력은 2번 지점(2)에서 평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식(3)과 식(4)와 같다.
식(3) Q1C= Q2C + Q3C
식(4) PC = P1 - dP1C = P2 + dPC2 = P3 + dPC3
식(3) 및 식(4)에서 Q는 유량, P는 압력, dP는 압력손실을 의미하며, 식(3)은 질량보존의 법칙, 식(4)는 에너지보존의 법칙을 의미한다. 즉, 어느 지점을 기준으로 계산하더라도, 2번 지점(2)에서의 유량과 압력은 동일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한 지점의 압력과 유량을 알 수 있다면, 나머지 배관 및 각 지점에서의 유량과 압력을 계산해 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관망 해석에서는 1개의 압력과 1개의 유량이 경계조건으로 주어지며, 소화설비와 같이 방출구에서 노즐을 사용하는 배관망에서는 노즐의 방출계수를 이용하여 한 개의 압력 또는 유량에 대한 경계조건만으로 배관망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노즐은 일반적으로 식(5)과 같이 유량과 압력의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노즐의 방출계수 K는 베이누이 방정식에서 마찰손실계수에 해당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Figure 112015008490618-pat00002
따라서, 배관망에서 노즐의 방출계수를 알면, 노즐에서의 압력 또는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지정하면 반복계산을 통해 배관망 전체에서의 압력 및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배관장치에서 배관장치의 각 부분에서의 유량 및 압력을 계산하는 배관망해석 기법을 활용하면, 노벡 가스 소화설비용 배관장치 각 지점에서의 유량 및 압력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소화제의 방출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한편, 배관망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배관장치를 설계하고 소화제의 방출시간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배관에서의 압력손실 산정 방법이 필요하며 배관에서의 압력손실 산정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가스계 배관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산정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양한 방법중에 IMO에서 정하고 있는 가스 운반선 벤트관 장치용 산정방법을 적용한다.
IMO에서 가스 운반선 벤트관 장치용으로 적용하고 있는 압력손실 산정방법은 다음의 식(6)과 같다.
Figure 112015008490618-pat00003
여기서, dp는 압력손실, L은 해당배관의 길이, D는 배관의 안지름, N은 각종 관부착품의 손실계수이며, 여기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마찰손실계수이며, 마찰손실계수는 무디차트(Moody Chart)를 이용하여 각 배관에서의 레이놀즈수(Renolds Number), 관벽 거칠기와 배관 내경과의 비율을 고려하여 각각의 배관에 대해 마찰손실계수를 계산하는 방법 또는 모든 배관에 대해 마찰손실계수를 팬닝(Fanning) 계수를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배관에서 마찰손실을 산정하고, 산정된 마찰손실계수를 사용하여 가스 운반선 벤트관 장치용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배관에서 압력손실 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1번 지점 2 - 2번 지점
3 - 3번 지점 4 - 4번 지점

Claims (3)

  1. (a) 보관용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첫 번째 섹션(Section)의 시작점에서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
    (b) 최초의 유량을 배관 크기별 최대 유량을 기준으로 각 섹션의 유량을 임의로 설정하는 단계;
    (c) 임의로 설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각 섹션의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압력을 계산하여 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산정하는 단계;
    (d) 각 섹션에서 계산된 압력을 이용하여 각 노즐에서의 분출량을 계산하는 단계;
    (e) 각 노즐에서의 분사량을 계산한 이후에 노즐의 유량으로부터 각 섹션에서의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
    (f) 노즐의 분사량을 기준으로 계산한 유량과 압력손실 계산에 사용한 유량을 비교하여 둘이 일치하면 수렴한 것으로 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각 섹션에서의 압력손실에 사용할 유량을 다시 추정하여 (c)번으로 이동하여 다시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g) 가스 소화설비용 배관장치 각 섹션에서의 유량 및 압력을 계산하여 소화제의 방출시간을 산정하는 단계; 및
    (h) 노즐의 방출계수를 이용하여 한 개의 압력 또는 유량에 대한 경계조건만으로 배관망해석을 수행하여 노즐에서의 압력 또는 유량을 경계조건으로 지정하여 반복계산을 통해, 배관망 전체의 압력 및 유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압력손실 산정방법은 무디차트(Moody Chart)를 이용하여 각 배관에서의 레이놀즈수(Renolds Number), 관벽 거칠기와 배관 내경과의 비율을 고려하여 각각의 배관에 대해 마찰손실계수를 계산하는 방법 또는 모든 배관에 대해 마찰손실계수를 팬닝(Fanning) 계수를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배관에서 마찰손실을 산정하고, 산정된 마찰손실계수를 사용하여 가스 운반선 벤트관 장치용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배관에서 압력손실 산정 방법인 것
    을 포함하는,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50012431A 2015-01-27 2015-01-27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KR101613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31A KR101613813B1 (ko) 2015-01-27 2015-01-27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431A KR101613813B1 (ko) 2015-01-27 2015-01-27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813B1 true KR101613813B1 (ko) 2016-04-19

Family

ID=5591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431A KR101613813B1 (ko) 2015-01-27 2015-01-27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8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0544A (zh) * 2016-08-23 2017-05-31 浙江信达可恩消防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七氟丙烷气体灭火系统的设计方法
ES2678593A1 (es) * 2017-02-13 2018-08-14 Juan José AGÚN GONZÁLEZ Sistema manual y automático y procedimiento de extinción de incendios en quirófanos
CN106730544B (zh) * 2016-08-23 2019-07-16 浙江信达可恩消防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七氟丙烷气体灭火系统的设计方法
CN111514502A (zh) * 2020-04-27 2020-08-11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灭火组合分配系统的钢瓶设计方法、系统、介质及设备
CN112257014A (zh) * 2020-10-22 2021-01-22 国药集团重庆医药设计院有限公司 一种低压饱和蒸汽管道压力的计算方法及系统
CN115114779A (zh) * 2022-06-24 2022-09-27 中国科学技术大学 气体灭火剂喷射流动特性的分析方法及其终端、存储介质
CN116822250A (zh) * 2023-08-25 2023-09-2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航空发动机气体灭火系统输运性能评估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112A (ja) * 2001-08-22 2003-03-04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装置及び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67430A (ja) 2001-08-22 2003-03-07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装置及び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112A (ja) * 2001-08-22 2003-03-04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装置及び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67430A (ja) 2001-08-22 2003-03-07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装置及び消火設備の配管システム設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0544A (zh) * 2016-08-23 2017-05-31 浙江信达可恩消防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七氟丙烷气体灭火系统的设计方法
CN106730544B (zh) * 2016-08-23 2019-07-16 浙江信达可恩消防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七氟丙烷气体灭火系统的设计方法
ES2678593A1 (es) * 2017-02-13 2018-08-14 Juan José AGÚN GONZÁLEZ Sistema manual y automático y procedimiento de extinción de incendios en quirófanos
CN111514502A (zh) * 2020-04-27 2020-08-11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灭火组合分配系统的钢瓶设计方法、系统、介质及设备
CN111514502B (zh) * 2020-04-27 2021-04-02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灭火组合分配系统的钢瓶设计方法、系统、介质及设备
CN112257014A (zh) * 2020-10-22 2021-01-22 国药集团重庆医药设计院有限公司 一种低压饱和蒸汽管道压力的计算方法及系统
CN112257014B (zh) * 2020-10-22 2024-01-05 国药集团重庆医药设计院有限公司 一种低压饱和蒸汽管道压力的计算方法及系统
CN115114779A (zh) * 2022-06-24 2022-09-27 中国科学技术大学 气体灭火剂喷射流动特性的分析方法及其终端、存储介质
CN115114779B (zh) * 2022-06-24 2024-03-29 中国科学技术大学 气体灭火剂喷射流动特性的分析方法及其终端、存储介质
CN116822250A (zh) * 2023-08-25 2023-09-29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航空发动机气体灭火系统输运性能评估系统及方法
CN116822250B (zh) * 2023-08-25 2023-11-10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航空发动机气体灭火系统输运性能评估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813B1 (ko) 노벡 가스 소화설비의 설계방법
Martynov et al. Modelling three-phase releases of carbon dioxide from high-pressure pipelines
ES2934142T3 (es) Muestreo de fluidos
WO2014133386A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esting of fire extinguishing systems
Jevremović et al. Evaluation of a novel top-of-the-line corrosion (TLC) mitigation method in a large-scale flow loop
Al Baroud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accidental leakage behaviour of liquid CO2 under shipping conditions
Liu et al. Multi‐phase decompression modeling of CO2 pipelines
Vianello et al. Conceptual models for CO2 release and risk assessment: a review
Jeong et al.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medium-sized floating regasification units using system hierarchical modelling
JP6252069B2 (ja) タンク設備
Mahgerefteh et al. Pressurised CO2 pipeline rupture
KR101953238B1 (ko) 노벡가스 소화설비 설계방법
Kavianpour et al. Thermodynamic investigation and hydrate inhibition of real gas flow through orifice during depressurization
US9328302B2 (en) Pipeline hydrate inhibitor and method of reducing hydrates using the hydrate inhibitor
Kim et al. A Homogeneous Equilibrium Model Improved for Pipe Flows
JP6332233B2 (ja) 溶銑の予備処理方法
US10022575B2 (en) Antifreeze sprinkler system
Murray Construction of a gravity-fed circulating liquid nitrogen dewar for experiments in high vacuum
Zheng et al. Consequence analysis of LNG leaks during offloading operations: effects of substrate types, atmospheric conditions, and basic process control system intervention
Agrawal et al. Mathematical modeling of cryogenic feedline chilldown process
Bondarenko et al. Recommendations on the pipeline diameter selection of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systems
Wilson Low-Adhesion Coatings Provide Novel Gas-Hydrate-Mitigation Strategy
Бондаренко et al. RECOMMENDATIONS ON THE PIPELINE DIAMETER SELECTION OF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ING SYSTEMS
de S. Lima et al. Risk Assessment study for a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PSO) in deep waters
Luberti et al. Depressurization of CO2 rich mixtures: Challenges for the safe process design of CCS facilities and CO2 EO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