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783B1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783B1
KR101613783B1 KR1020140067634A KR20140067634A KR101613783B1 KR 101613783 B1 KR101613783 B1 KR 101613783B1 KR 1020140067634 A KR1020140067634 A KR 1020140067634A KR 20140067634 A KR20140067634 A KR 20140067634A KR 101613783 B1 KR101613783 B1 KR 10161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ixing
water heating
floor
hea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265A (ko
Inventor
배대권
Original Assignee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78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바닥난방시공시 금속판에 완충 돌출부와 고정 돌출부가 구비되는 난방패널이 상호 연결고정되어 상기 난방패널의 각 돌출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어 난방패널 상부면에서 발생되는 바닥충격음이 패널의 하부면으로 이어지는 것을 감소시키며, 난방배관작업을 용이하고, 난방열을 장시간 유지함으로 난방효율을 극대화한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을 일정하게 고르는 바닥정리단계와; 상기 바닥면에 단열재 또는 완충재를 시공하는 바닥시공단계와; 상기 단열재 또는 완충재 상부에 온수난방패널을 배열고정하는 온수난방패널고정단계와; 상기 배열된 온수난방패널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클립을 고정하고 온수배관을 시공하는 배관시공단계와; 상기 배관이시공된 온수난방패널에 미장모르타르를 시공하는 미장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Water heating panels for interlayer noise reduction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바닥난방시공시 완충 돌출부와 고정 돌출부가 구비되는 온수난방패널이 상호 연결고정되고 상기 온수난방패널의 상부에 고정돌출부를 통해 온수배관을 용이하게 고정하고 그 상부면에 미장모르타르 충진의 밀실화와 미장높이의 균일화를 도모하여 난방효율을 극대화와 증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을 이루는 난방공법은 콘크리트슬라브와 여러개의 칸막이 벽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이렇게 구획된 공간은 사용자의 편의와 외부의 온도에 따라 실내공간이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바닥난방시설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동주택의 바닥난방공법은 통상 콘크리트 슬라브의 윗면에 축열층에 해당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기간을 거친 후 그 위에 온수배관을 깔고 미장모르타르로 마감하는 표준바닥구조에 의한 난방공법을 택하고 있다.
상기 공법은 보일러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난방용 온수가 상기한 바닥면의 난방배관을 통과하면서 발산되는 열이 실내공간의 바닥을 가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기존공법은 표준바닥구조에 의한 난방방식은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멘트 미장 모르타르로 마감하는 습식공법이다.
이러한 기존공법은 시공의 편이성 때문에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기포콘크리트를 시공해야 하므로 구조체의 하중부담이 크고, 온수배관이 균일한 높이 유지가 어려워 난방균등화가 어렵고 시멘트모르면의 균열발생으로 난방하자가 빈번히 발생된다.
또한, 기존공법은 콘크리트슬라브에 축열층인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한 경화기간이 경과하여야 만 난방배관을 할 수 있고, 그 위에 시멘트모르타르로 미장마감을 하고 타일이나 장판 또는 마루로 시공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양생기간소요에 따른 공정이 지연되며 온수배관도 구부림과 고정작업을 동시에 해야함으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배관높이도 바닥면과의 균일한 유지가 어렵다.
이러한 점 때문에 높이조절을 위한 미장작업의 번거러움 등 시공이 복잡하여 전체적 공정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기술이 필요하다
아울러,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축열층으로 사용함으로써 난방가동시 바닥면으로부터 발열되는 에너지의 확산속도가 느려 평소에 거주자가 없는 경우에도 난방을 이루야 하고, 그 후에도 실내공간의 열의 쉽게 식어 에너지 효율이 적은 문제점이 있으며, 층간소음으로 인한 여러문제가 발생함으로 이를 해소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시공이 간편하고, 배관작업이 용이하며, 난방열의 확산이 빠르고, 열의 유지가 용이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며,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난방패널의 시공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아울러, 종래에 사용되는 바닥난방용 배관재료는 철재 파이프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 파이프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파이프 내부에 스케일이 생성되므로 점차 동파이프나 엑셀파이프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동파이프의 경우, 가격이 비싸고 배관공사시 연결부를 용접하거나 또는 다른 관으로 연결해야하므로 시공작업이 번잡하고 소요되는 인건비도 증대된다. 또 동파이프 대신에 합성수지로 된 엑셀관이 널리 배관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난방공법은 난방을 이루고자 하는 바닥콘크리트 슬라브에 직관파이프와 곡선파이프를 조합하여 결합하거나 미리 절곡된 형태의 파이프를 공정하는 과정에서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장시간 난방과정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부분적이 교체가 어렵고 바닥면 전체를 뜯어내고 새로이 난방배관공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과 보수 및 재작업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밞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동주택의 바닥난방시공시 완충 돌출부와 고정 돌출부가 구비되는 온수난방패널이 상호 연결고정되고 상기 온수난방패널의 고정돌출부에 온수배관을 용이하게 시공하여 상기 패널의 공기층에 의해 상부면에서 발생되는 바닥충격음이 온수난방패널의 하부면으로 이어지는 것을 감소시키고 난방효율을 극대화와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을 일정하게 고르는 바닥정리단계와; 상기 바닥면에 단열재 또는 완충재를 시공하는 바닥시공단계와; 상기 단열재 또는 완충재 상부에 온수난방패널을 배열고정하는 온수난방패널고정단계와; 상기 배열된 온수난방패널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클립을 고정하고 온수배관을 시공하는 배관시공단계와; 상기 배관이시공된 온수난방패널에 미장모르타르를 시공하는 미장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수난방패널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완충 돌출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완충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이루어 완충 돌출부 사이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 돌출부 및 고정돌출부 하부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결합단턱이 다단을 이루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 돌출부는, 원형의 사다리골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출부 상부에 배관 고정클립이 결합고정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수난방패널을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층으로 적층되게 구비되는 적층단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은 기존의 바닥면에 간편하게 온수난방패널을 배열 시공함으로 누구나 용이하게 바닥시공을 이룰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배관의 고정 및 절곡이 용이함으로 온수배관의 시공이 용이하게 온수배관의 높이를 일정하게 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패널의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하게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온수배관의 열을 급속히 전달함으로 난방속도를 최대한 극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공간에 의해 온수배관에 의해 덥혀진 열을 최대한 장시간 유지함으로 난방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공간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상부의 충격을 완충함으로 상부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최소로 할 수 있어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되는 시멘트모르타르의 양을 최소화함으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시멘트모르타르의 양생시간을 최소화함으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누수발생시 전체 바닥을 철거하고 재시공할 필요없이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만 철거 분리 교체시공함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되는 경량기포콘크리트을 생략함으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난방패널로 대체함으로서 양생시간을 불필요하고 온수배관이 간편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층을 이룬 온수난방패널은 각각의 금속판이 절곡을 이루어 겹쳐지므로 전체적으로 강도가 유수하며, 각각의 금속판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어 층간소음을 저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다층으로 이룬 온수난방패널은 각각의 금속판 사이의 미세한 공간에 의해 난방열 급속전도와 난방열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온수난방패널이 다층을 이루게 적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온수난방패널이 바닥면에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온수난방패널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온수난방패널을 배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온수난방패널에 배관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온수난방패널을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은 바닥면(1)을 일정하게 고르는 바닥정리단계(S10)와; 상기 바닥면(1)에 단열재 또는 완충재(2)를 시공하는 바닥시공단계(S12)와; 상기 단열재 또는 완충재(2) 상부에 온수난방패널(10)을 배열고정하는 온수난방패널고정단계(S16)와; 상기 배열된 온수난방패널(10)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클립(20)을 고정하고 온수배관(4)을 시공하는 배관시공단계(S18)와; 상기 배관이 시공된 온수난방패널에 미장모르타르(6)를 시공하는 미장단계(S19)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정리단계(S10)는 기존의 바닥면(1)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초시공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후술되는 바닥시공단계(S12)에서 상기 바닥면(1) 상에 일정두께를 가지는 단열재 또는 완충재를 배열시키기 때문에 바닥면의 정확한 수평이 이루지 않고 단순히 이물질 제거 정도의 청소만 이루어져도 무관함으로써, 청소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바닥시공단계(S12)는 정리된 바닥면(1) 상부에 단열재 또는 완충재(2)를 배열하는 것으로서, 단열재 또는 완충재(2)에 의해 난방시 발생하는 열이 바닥면(1)으로 배출됨을 방지하고, 상하금속판의 공간부 내 공기층이 형성되어 충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바닥면(1) 상에 다수가 배열되는 단열재 또는 완충재(2) 사이의 이음부위에 접착테이프를 접착시키고, 또한 바닥면(1)의 테두리 즉, 사방벽체의 모서리에 단열재 또는 완충재(2)를 끼워서 접착테이프로 절연함으로써, 상부 열의 유실 및 틈새를 통한 소음의 차단면을 가지도록 시공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시공단계(S12) 후 상기 온수난방패널(10)을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층으로 적층되게 구비되는 접합단계(S14);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단계(S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난방패널(10)이 복수로 적층되는 다층으로 구비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복수로 적층된 온수난방패널(10)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소음저감을 위한 것이다. 이 경우, 두 개의 온수난방패널(10)이 적층되는 이중의 온수난방패널(10)임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금속판(10-1)이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그러므로, 두 개의 금속판(10-1)이 적층된 이중의 온수난방패널(10)은 각각의 금속판(10-1)이 절곡을 이루어 겹쳐지므로 전체적으로 강도가 향상되며, 각각의 금속판(10-1)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층간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이중으로 접합된 금속판(10-1) 사이의 공기층은 난방열의 빠른 전도와 열을 축열하여 온수보일러에서 공급되는 난방열을 장시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온수난방패널고정단계(S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난방패널(10)을 단열재 또는 완충재(2) 상부에 배열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온수난방패널(10)은 전체적으로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완충 돌출부(12)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돌출부(12)보다 낮은 높이를 이루어 완충 돌출부(12) 사이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사다리형 고정돌출부(14)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출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서 일정높이 상승된 상태로 복수의 완충돌출부(12) 사이의 횡방향에 구성되어, 이후 설치되는 온수배관이 상기 고정돌출부(14)의 평탄한 상부 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그 상부에 시공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돌출부 및 고정돌출부(12,14) 하부에 완충공간(16)이 형성되며, 상기 온수난방패널(10)의 외주면에는 결합단턱이 다단을 이루게 구비된다.
상기 결합단턱은 이웃하는 온수난방패널(10)들과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호 끼워맞춤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온수난방패널(10)의 일측 외주면에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온수난방패널(10)의 일측 외주면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온수난방패널(10)들의 상호 끼워맞춤된 결합부위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삭제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결합단턱은 하나의 온수난방패널(10)에 혼영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온수난방패널(10)의 일측 외주면에는 "ㄴ"자 형상이 형성되고, 이와 대칭되는 타측 외주면에는 "ㄱ"자 형상으로 되어, 상호 끼워맞춤에 의한 결합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완충 돌출부(12)는 원형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완충 돌출부(12)는, 적어도 셋 이상의 다각을 이루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완충 돌출부(12)는 상부가 적고 하부가 넓게 구비되어 상부면이 일정한 높이로 평평하게 구비되어 고른 높이를 이루게 배열되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 돌출부(14)는 직사각형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완충 돌출부(12)보다는 상부면에서 배관의 높이만큼 낮은 높이를 이루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고정돌출부(14)의 상부면에는 온수배관(4)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완충돌출부(12)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상단에 고정되는 온수배관(4)이 상기 완충돌출부(12)의 상단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완충돌출부(12)의 사이에 고정된 온수배관(4)을 보호와 상부면의 미장모르타르 두께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돌출부(14)의 돌출높이는 상단에 고정되는 온수배관(4)의 상단부와 상기 완충돌출부(12)의 상단부가 동일 또는 유사한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돌출부(12) 사이에 모르타르의 밀실화 및 평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난방효율화와 시공성을 향상을 도모하고 시공성 및 상부에 타설되는 모르타르 두께의 균일화 및 틈새의 밀실화로 균열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출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완충돌출부(12) 사이의 공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단에 고정되는 온수배관(4)의 받침력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온수배관(4)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온수난방패널(10)은 금속재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소정의 강도를 이루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또는 유사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온수난방패널(10)은 외주 면에 형성된 결합단턱이 이웃하는 온수난방패널(10)의 결합단턱과 상호 삽입에 의해 결합되고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고정됨으로 그 고정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누구나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온수난방패널고정단계(S16)에 의해 온수난방패널(10)이 시공되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난방패널(10)의 상기 고정 돌출부(14) 상부에 배관 고정클립(20)이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관(4)이 상기 배관 고정클립(20)에 끼워져 배관시공단계(S18)를 이룬다.
상기 배관 고정클립(20)은 원형의 고정고리가 상부로 개방되게 구비되고, 하부에 결합돌기가 상기 고정 돌출부(14)에 구비되는 결합공(14-1)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되게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관 고정클립(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관(4)이 안착되는 안착부(22)와, 상기 안착부(22)의 하방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탄성부(24)와, 상기 탄성부(24)의 하단에 구성되는 날개부(26) 및 상기 날개부(26)의 하방에서 연장되는 걸림부(28)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온수배관(4)이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온수배관(4)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안착부(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온수배관(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2)의 하방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22)가 일정각도 유동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온수난방패널(10) 상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온수배관(4)의 직진성이 저하되어도 상기 안착부(22)가 일정각도 유동됨에 따라 상기 온수배관(4)을 상기 안착부(22)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날개부(26)는 상기 탄성부(24)의 하방에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출부(14)의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걸림부(28)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날개부(26)는 상기 걸림부(28)가 상기 고정돌출부(14)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삽입하고자 강제 압입할 때 일순간 삽입에 의해 상기 걸림부(28)의 삽입깊이를 단속시켜 원활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28)는 상기 날개부(26)의 하방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고정돌출부(14)의 결합공(14-1)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 고정클립(20)이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걸림부(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첨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4-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28)는 상기 결합공(14-1)을 통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복수로 적층된 온수난방패널(10)이 상호 결합된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온수배관(4)은 배관 고정클립(20)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되고, 절곡시에도 절곡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게 됨으로 누구나 간편하게 배관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관시공단계(S18)에 의해 배관이 시공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관(4)이 고정된 온수난방패널(10) 상부에 미장모르타르(6)를 시공하는 미장단계(S19)를 이루어 바닥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수난방패널(10)의 완충 돌출부(12) 내측 및 고정 돌출부(14) 내측과 단열재 또는 완충재(2) 사이에 완충공간(16)이 형성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돌출부(14)는 완충공간(16)에 의해 바닥에서 일정높이 돌출된 상태를 이루고, 또한 상기 고정클립(20)을 통해 고정되는 온수배관(4)이 바닥에 직접 면접촉되지 않고 일정높이 띄워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온수배관(4)의 시공성을 높여주고 온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열이 고정돌출부 상부면에 접하여 전도되어 열의 안정화 및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은 기존의 바닥면에 간편하게 배열 시공함으로 누구나 용이하게 바닥시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온수배관의 고정 및 절곡이 용이함으로 온수배관의 시공이 용이하게 온수배관의 높이를 일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율이 우수하여 온수배관의 열을 급속히 전달함으로 난방속도를 최대한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완충공간에 의해 온수배관에 의해 덥혀진 열을 최대한 장시간 유지함으로 난방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완충공간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상부의 충격을 완충함으로 상부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최소로 할 수 있어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시공되는 미장모르타르의 양을 최소화함으로 자원절약을 절약할 수 있으며, 미장모르타르의 양생시간을 최소화함으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바닥의 유지보수시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부분만 철거하고 교체시공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시공되는 시멘트모르타르의 양을 최소화함으로 자원절약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시멘트모르타르의 양생시간을 최소화함으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시공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온수난방패널 12: 완충 돌출부
14: 고정 돌출부 16: 완충공간
20: 배관 고정클립

Claims (5)

  1. 공동주택의 슬라브 바닥면에 온수난방패널을 구성하고, 상기 온수난방패널에 온수배관을 고정한 후 그 상부에 일정두께의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을 일정하게 고르는 바닥정리단계(S10)와;
    상기 바닥정리단계(S10)를 통해 정리된 바닥면에 난방시 온수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상기 바닥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층간소음이 저감되도록 일정두께를 가지는 단열재 또는 완충재를 배열하는 바닥시공단계(S12)와;
    층간소음 저감과 건물에 작용하는 거동에 대한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금속판을 상,하로 적층된 이중의 온수난방패널이 연결되어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단계(S14)와;
    상기 접합단계(S14)를 통해 배열된 이중의 온수난방패널을 바닥면 상에 배열된 단열재 또는 완충재 상에 배열 고정하되, 이중의 온수난방패널들은 이웃하는 온수난방패널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단턱을 통해 상호 끼워맞춤시켜 결합되도록 하고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 끼워맞춤된 상기 결합단턱 부분을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는 온수난방패널고정단계(S16)와;
    상기 온수난방패널고정단계(S16)를 통해 단열재 또는 완충재 상에 이중의 온수난방패널의 배열 및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온수난방패널에 형성된 이중의 결합공에 배관고정클립을 끼워 고정한 후 상기 배관고정클립에 온수배관을 고정하여 온수난방패널 상에 온수배관이 고정되도록 하는 배관시공단계(S18); 및
    상기 배관시공단계(S18)를 통해 온수배관이 시공된 온수난방패널 상에 일정두께의 미장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하여 바닥시공을 완료하는 미장단계(S19)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난방패널(10)은 지면에서 일정높이를 가지고 원형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일정간격 배열되고 내측에 돌출높이만큼 완충공간(16)이 형성되는 복수의 완충돌출부(12)와;
    상기 복수의 완충돌출부(12) 사이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를 가지고, 상단이 평면을 이루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돌출부(12)의 돌출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하되 상단에 고정되는 온수배관(4)의 상부가 상기 완충돌출부(12)의 상부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내측에 완충공간(16)이 형성되는 고정돌출부(14); 및
    외주면에 이웃하는 온수난방패널(10)들이 끼워맞춤으로 삽입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고정클립(20)은 상단에 온수배관(4)이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안착부(22)와, 상기 안착부(22)의 하방에 일정길이 연장되어 안착되는 온수배관(4) 직진도에 구애됨이 없이 시공이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4)와, 상기 탄성부(24)의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출부(14)의 상단에 안착되어 삽입깊이를 단속하는 날개부(26) 및 상기 날개부(26)의 하방에 일정길이 형성되고 끝단에 첨단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출부(14)의 결합공(14-1)에 용이한 삽입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부(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67634A 2014-06-03 2014-06-03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KR10161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634A KR101613783B1 (ko) 2014-06-03 2014-06-03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634A KR101613783B1 (ko) 2014-06-03 2014-06-03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65A KR20150139265A (ko) 2015-12-11
KR101613783B1 true KR101613783B1 (ko) 2016-04-19

Family

ID=5502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634A KR101613783B1 (ko) 2014-06-03 2014-06-03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164B1 (ko) * 2016-08-26 2017-02-13 안승한 우수한 층간 차음성을 가지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2017659B1 (ko) * 2017-07-19 2019-09-03 최민영 기초 바닥용 패널구조체
KR101860050B1 (ko) * 2017-07-26 2018-07-0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및 층간 소음 저감 구조물 설치 공정
KR102249382B1 (ko) * 2020-10-12 2021-05-07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 시공 시스템
KR102392224B1 (ko) * 2021-03-17 2022-05-04 주식회사 새한비엠 액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면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89Y1 (ko) * 2004-10-07 2005-01-15 김년중 층간 차음재가 부설된 건축물 바닥면의 온돌파이프 고정구
KR200416287Y1 (ko) * 2006-02-20 2006-05-12 정경모 층간 소음 저감재
KR100815860B1 (ko) * 2006-06-28 2008-03-24 김익수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789Y1 (ko) * 2004-10-07 2005-01-15 김년중 층간 차음재가 부설된 건축물 바닥면의 온돌파이프 고정구
KR200416287Y1 (ko) * 2006-02-20 2006-05-12 정경모 층간 소음 저감재
KR100815860B1 (ko) * 2006-06-28 2008-03-24 김익수 온수 온돌용 호오스 배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65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783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JP5854320B2 (ja) 隣地空無し外断熱石貼りrc建築工法
KR100647908B1 (ko) 다중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소음 저감형 건식 바닥 시스템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KR101061030B1 (ko) 건물의 벽체 구조물
KR20130058320A (ko) 친환경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KR101035973B1 (ko) 외단열 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KR200390663Y1 (ko) 조립식 온돌난방용 패널
KR101393215B1 (ko) 횡벽 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1275932B1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KR101462841B1 (ko) 단열재 일체형 벽돌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 시공방법
JP5643608B2 (ja) 屋上設置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KR20230171516A (ko) 건식 벽체 보강대용 면진 장치
KR20170108355A (ko) 난방효율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수난방패널
JP2015535068A (ja) 床面暖房システム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CN208088760U (zh) 一种薄型地暖地面结构
KR101372410B1 (ko) 슬라브 시공용 블록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108356A (ko) 축열식 온수난방패널을 이용한 바닥온수난방시스템
JP3112429U (ja) 組立式オンドル用暖房配管構造
KR20130039454A (ko) 습식 외단열 앵글브라켓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90105A (ko) 펄라이트를 충진재로 이용한 층간소음이 저감된 뜬바닥 구조의 시공방법
KR20170140658A (ko) 난방용 바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