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622B1 -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622B1
KR101613622B1 KR1020140152341A KR20140152341A KR101613622B1 KR 101613622 B1 KR101613622 B1 KR 101613622B1 KR 1020140152341 A KR1020140152341 A KR 1020140152341A KR 20140152341 A KR20140152341 A KR 20140152341A KR 101613622 B1 KR101613622 B1 KR 10161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erobic digestion
digestion tank
tank
line
an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기
고대중
정경선
이용운
이병희
Original Assignee
남광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광건설(주) filed Critical 남광건설(주)
Priority to KR102014015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음폐수)를 처리하는 설비에 적용되는 혐기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폐수 집수조에서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통하여 산발효 처리하는 제1산발효조(100); 음폐수 집수조에서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통하여 산발효 처리하는 제2산발효조(200); 상기 제1산발효조(1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1혐기성소화조(300); 상기 제2산발효조(2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2혐기성소화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산발효조와 혐기성소화조가 각각 2개씩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장치의 고장 수리나 부품 교체 작업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장치의 가동을 전면적으로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 유지(50% 가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Multi-function Circulation Type Anaerobic Digestion Device}
본 발명은 산발효조와 혐기성소화조가 각각 2개씩 병렬적으로 구성되어 장치의 고장 수리나 부품 교체 작업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장치의 가동을 전면적으로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 유지(50% 가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유기물이 단계적 화학반응을 거쳐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로 최종 분해되는 과정을 말한다.
혐기성 소화 처리는 1900년경부터 하수처리 슬러지 감량화 기술로 환경분야에 접근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에는 효모제조 폐수 등의 공장폐수처리에 응용되기도 하였다. 이후 활성오니법의 개발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지만 1970년대 중반 에너지 위기로 화석에너지의 대체수단과 호기성 처리법에 비해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이점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에너지 회수 목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혐기성 소화는 산소공급이 없어도 유입된 기질의 90% 이상이 바이오가스로 전환되며, 고농도의 기질을 처리할 수 있고, 슬러지 발생량도 4% 정도로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반면에 혐기성 소화는 호기성 반응에 비해 매우 복잡하고, 미생물이 환경 인자에 민감하고 혐기성 미생물의 낮은 증식속도로 인하여 유입기질을 대사하기 위해서는 긴 체류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최종 처리수의 농도가 높아 후속 처리가 요구되고, 슬러지의 침전성이 낮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혐기성 소화의 유기물 분해는 각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여러 단계로 구분이 된다. 혐기성 소화 처리는 크게 고분자량을 가진 물질이 에너지와 세포 탄소원으로 사용되기 쉬운 물질로 전환되는 가수분해(hydrolysis) 단계, 가수분해 단계에서 생성된 화합물을 저분자량의 중간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유기산 생성(fermentation) 단계, 그리고 유기산 생성 단계에서 발생된 중간 화합물을 메탄 및 탄산가스로 변환시키는 메탄 생성(methanogenesis)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유기산발효 단계는 산발효 단계와 아세트산발효 단계로 나눠질 수 있다.
혐기성 소화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의 구체적 실시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9069호(2011. 07. 07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고 혐기성 소화 처리 시 발생하는 바이오 가스를 저장하는 일체형 혐기성 소화조 및 혐기성 소화조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계식 교반기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는 한 개의 혐기성 소화조에서 혐기성소화의 모든 단계가 이루어지므로 혐기성 소화 효율이 낮고, 혐기성 소화조 내에 설치된 교반기가 수중 모터 및 회전 스크류를 포함하는 기계식으로 이루어져 교반 효율이 낮음은 물론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고장 수리를 위해서는 장치의 가동을 전면 정지시켜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발효조와 혐기성소화조를 분리하여 처리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산발효조와 혐기성소화조를 각각 2개씩 병렬로 연결하여 처리 장치의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장치의 가동을 전면적으로 정지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혐기성 소화 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혐기성소화조에서 산발효조로 반송라인을 설치하여 산발효조의 운전PH를 별도의 약품 투입 없이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혐기성 소화 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혐기성소화조 내부에 다수의 흡입라인을 골고루 설치하고 각 흡입라인에 설치된 자동밸브를 교차 개방함으로써 혐기성소화조 내부를 순환하는 음폐수의 유동을 강화시켜 슬러지가 혐기송소화조 내부 바닥면에 퇴적되지 않고 음폐수와 함께 순환되도록 하여 교반효율을 극대화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음식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음폐수)를 처리하는 설비에 적용되는 혐기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폐수 집수조에서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통하여 산발효 처리하는 제1산발효조(100); 음폐수 집수조에서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통하여 산발효 처리하는 제2산발효조(200); 상기 제1산발효조(1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1혐기성소화조(300); 상기 제2산발효조(2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2혐기성소화조(400); 상기 제1산발효조(100)의 음폐수를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로 공급하는 제1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110); 상기 제2산발효조(200)의 음폐수를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공급하는 제2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210); 상기 제1산발효조(1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어 음폐수를 교반하는 제1수중교반기(120); 상기 제2산발효조(2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어 음폐수를 교반하는 제2수중교반기(220);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하부로부터 음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상부로 공급하는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의 입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는 제1흡입라인부(320);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의 출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는 제1공급라인부(330);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하부로부터 음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상부로 공급하는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 일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의 입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는 제2흡입라인부(420); 일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의 출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는 제2공급라인부(430); 상기 제1공급라인부(3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의 내부 공간 상부로 연결되는 제1분기라인(340); 상기 제1분기라인(340)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기라인(340)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밸브(345); 상기 제2공급라인부(4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내부 공간 상부로 연결되는 제2분기라인(440); 상기 제2분기라인(4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분기라인(440)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밸브(445); 일측 단부는 상기 제1공급라인부(33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산발효조(1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음폐수를 상기 제1산발효조(100)로 반송하는 제1반송라인(350);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제2공급라인부(43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산발효조(2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의 음폐수를 상기 제2산발효조(200)로 반송하는 제2반송라인(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발효조(100,200)와 혐기성소화조(300,400)를 분리하여 처리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산발효조(100,200)와 혐기성소화조(300,400)를 각각 2개씩 병렬로 연결하여 처리 장치의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장치의 가동을 전면적으로 정지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둘째, 혐기성소화조(300,400)에서 산발효조(100,200)로 반송라인(350,450)을 설치하여 산발효조의 운전PH를 별도의 약품 투입 없이 조절할 수 있다.
셋째, 혐기성소화조(300,400) 내부에 다수의 흡입라인(321,421)을 골고루 설치하고 각 흡입라인(321,421)에 설치된 자동밸브(322,422)를 교차 개방함으로써 혐기성소화조 내부를 순환하는 음폐수의 유동을 강화시켜 슬러지가 혐기성소화조(300,400) 내부 바닥면에 퇴적되지 않고 음폐수와 함께 순환되도록 하여 교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3은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제1흡입라인부(320)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인데, 이러한 구조는 제2혐기성소화조(400)의 제2흡입라인부(4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음식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음폐수)를 처리하는 설비에 적용되는 혐기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발효조와 혐기성소화조로 구성되는데, 산발효조는 제1산발효조(100)와 제2산발효조(200)로 구성되고, 혐기성소화조는 제1혐기성소화조(300)와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산발효조는 음폐수 집수조로부터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산발효 처리를 하는데, 음폐수 집수조의 음폐수는 제1산발효조(100)와 제2산발효조(200)로 공급되고, 제1산발효조(100)와 제2산발효조(200) 각각에서 산발효 미생물에 의한 산발효 처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제1산발효조(100)나 제2산발효조(200) 가운데 어느 하나를 유지 보수할 상황이 발생하면 유지 보수가 필요한 곳으로 공급되던 음폐수를 차단하고 나머지 하나만을 이용하여 산발효 처리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제1수중교반기(120)는 제1산발효조(1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어 음폐수를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모터에 의하여 교반날개가 회전하는 기계식 교반장치가 사용된다.
제2산발효조(200)의 경우도 제1산발효조(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음폐수 집수조에서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통하여 산발효 처리하며, 제2산발효조(200) 내부 공간 하부에는 음폐수를 교반하는 제2수중교반기(220)가 설치된다.
제1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110)는 제1산발효조(100)에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제1혐기성소화조(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제2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210)는 제2산발효조(200)에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1혐기성소화조(300)는 제1산발효조(1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혐기성소화조(400)는 제2산발효조(2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는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하부로부터 음폐수를 흡입하여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상부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음폐수를 강제 순환시켜 혐기성 미생물과의 반응효율을 높인다. 이러한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는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흡입라인부(320)의 일측 단부는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의 입구 측에 연결되고, 제1흡입라인부(320)의 타측 단부는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어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하부에서 음폐수를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1공급라인부(330)의 일측 단부는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의 출구 측에 연결되고, 제1공급라인부(330)의 타측 단부는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상부로 순환되는 음폐수를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 제2흡입라인부(420), 및 제2공급라인부(430)도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 제1흡입라인부(320), 및 제1공급라인부(3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분기라인(340)은 제1공급라인부(330)에서 분기되어 제2혐기성소화조(400)의 내부 공간 상부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제1분기라인(340)을 통하여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음폐수를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이송시킬 수 있는데, 장치의 가동 중에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음폐수를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비상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고 지속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분기라인(340)에는 제1개폐밸브(345)가 설치되어 제1분기라인(34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개폐밸브(345)가 닫히면 제1혐기성소화조(300)에서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음폐수가 이송되지 않고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의 강제 순환만 이루어지게 되고, 제1개폐밸브(345)가 개방되면 제1혐기성소화조(300)에서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던 음폐수의 일부가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에 의하여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공급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분기라인(440)과 제2개폐밸브(445)는 제2혐기성소화조(400)에서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던 음폐수 일부를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를 이용하여 제1혐기성소화조(300)로 공급한다.
제1반송라인(350)의 일측 단부는 제1공급라인부(330)와 연결되고, 제1반송라인(350)의 타측 단부는 제1산발효조(1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음폐수를 제1산발효조(100)로 반송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반송라인(350)에는 제1반송밸브(355)가 설치되어 제1반송라인(35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산발효조의 운전PH는 보통 4 내지 5이고, 혐기성소화조의 운전PH는 7 내지 8의 범위에서 유지되는데, 산발효조에 강산성(PH 3 이하)의 음폐수가 유입될 경우 산발효조의 PH를 적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성소다와 같은 알카리성 약품을 별도로 투입할 경우 별도의 약품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알카리성 약품을 투입할 필요 없이 제1반송밸브(355)를 개방하고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를 이용하여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의 음폐수(혐기성소화수)를 제1산발효조(100)로 공급하여 적정 PH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1반송밸브(355)는 별도 도면으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산발효조(100) 내부의 PH를 측정하는 센서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는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제2반송라인(450)과 제2반송밸브(455)의 경우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의 음폐수(혐기성소화수)를 제2산발효조(200)로 공급하여 제2산발효조(200)를 적정 PH로 조절한다.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는 4개가 구비되고, 제1공급라인부(330)는 2개의 공급라인(331,332)로 구성되어 각각의 공급라인(331,332)에는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가 각각 2개씩 연결되는 구조이다.
제1혐기성소화조(300)와 제2혐기성소화조(400)를 연결하는 제1분기라인(340)은 제1공급라인부(330)를 구성하는 2개의 공급라인(331,332) 가운데 어느 하나의 공급라인(331)에서 분기되고, 제1반송라인(350)은 제1공급라인부(330)를 구성하는 2개의 공급라인(331,332) 가운데 다른 하나의 공급라인(332)에서 분기되는 구조이다.
제1흡입라인부(3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흡입라인(321)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흡입라인(321)은 서로 다른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즉 흡입라인(321)마다 각각 1개씩의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가 연결된다.
제1흡입라인부(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흡입라인(321)마다 자동밸브(322)가 구비되는데, 제1흡입라인부(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흡입라인(321)마다 구비된 자동밸브(322)는 2개씩 한 조를 이루어 각 조별로 번갈아가며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여 흡입라인(321)을 통한 흡입이 교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3에 A와 C로 표시된 흡입라인(321)과 B와 D로 표시된 흡입라인(321)이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흡입됨에 따라 강제 순환 과정에서 음폐수의 유동을 강화시켜 슬러지의 퇴적을 방지하고 퇴적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음폐수와 함께 슬러지도 순환되도록 하여 생물학적 처리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흡입라인(321) 각각은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내부 공간 하부에 나무 가지 형태로 골고루 퍼져 있으며, 흡입라인(321) 각각의 입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교차 흡입시 순간적으로 펄스(충격)가 발생하여 유동을 증가시키게 된다.
제2흡입라인부(420)와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도 제1흡입라인부(320)와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제1산발효조
110:제1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
120:제1수중교반기
200:제2산발효조
210:제2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
220:제2수중교반기
300:제1혐기성소화조
310: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
320:제1흡입라인부
321:흡입라인
322:자동밸브
330:제1공급라인부
331,332:공급라인
340:제1분기라인(331과 연결)
345:제1개폐밸브
350:제1반송라인(332와 연결)
355:제1반송밸브
400:제2혐기성소화조
410: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
420:제2흡입라인부
421:흡입라인
422:자동밸브
430:제2공급라인부
431,432:공급라인
440:제2분기라인(431과 연결)
445:제2개폐밸브
450:제2반송라인(432와 연결)
455:제2반송밸브

Claims (5)

  1. 음식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음폐수)를 처리하는 설비에 적용되는 혐기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폐수 집수조에서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통하여 산발효 처리하는 제1산발효조(100);
    음폐수 집수조에서 공급받은 음폐수를 산발효 미생물을 통하여 산발효 처리하는 제2산발효조(200);
    상기 제1산발효조(1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1혐기성소화조(300);
    상기 제2산발효조(200)를 통과하면서 산발효 처리된 음폐수를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과 반응시키는 제2혐기성소화조(400);
    상기 제1산발효조(100)의 음폐수를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로 공급하는 제1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110);
    상기 제2산발효조(200)의 음폐수를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로 공급하는 제2혐기성소화조주입펌프(210);
    상기 제1산발효조(1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어 음폐수를 교반하는 제1수중교반기(120);
    상기 제2산발효조(2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어 음폐수를 교반하는 제2수중교반기(220);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하부로부터 음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상부로 공급하는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의 입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는 제1흡입라인부(320);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의 출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는 제1공급라인부(330);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하부로부터 음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상부로 공급하는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
    일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의 입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하부에 설치되는 제2흡입라인부(420);
    일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의 출구 측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는 제2공급라인부(430);
    상기 제1공급라인부(3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의 내부 공간 상부로 연결되는 제1분기라인(340);
    상기 제1분기라인(340)에 설치되어 상기 제1분기라인(340)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밸브(345);
    상기 제2공급라인부(43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내부 공간 상부로 연결되는 제2분기라인(440);
    상기 제2분기라인(440)에 설치되어 상기 제2분기라인(440)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밸브(445);
    일측 단부는 상기 제1공급라인부(33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산발효조(1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의 음폐수를 상기 제1산발효조(100)로 반송하는 제1반송라인(350);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제2공급라인부(430)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산발효조(200) 내부 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의 음폐수를 상기 제2산발효조(200)로 반송하는 제2반송라인(4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2. 제1항에서,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라인부(330)는 2개의 공급라인(331,332))로 구성되어 각각의 공급라인(331,332)은 서로 다른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분기라인(340)은 상기 제1공급라인부(330)를 구성하는 2개의 공급라인(331,332) 가운데 어느 하나의 공급라인(331)에서 분기되고,
    상기 제1반송라인(350)은 상기 제1공급라인부(330)를 구성하는 2개의 공급라인(331,332) 가운데 다른 하나의 공급라인(332)에서 분기되고,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급라인부(430)는 2개의 공급라인(431,432)로 구성되어 각각의 공급라인(431,432)은 서로 다른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와 연결되고,
    상기 제2분기라인(440)은 상기 제2공급라인부(430)를 구성하는 2개의 공급라인(431,432) 가운데 어느 하나의 공급라인(431)에서 분기되고,
    상기 제2반송라인(450)은 상기 제2공급라인부(430)를 구성하는 2개의 공급라인(431,432) 가운데 다른 하나의 공급라인(432)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반송라인(350)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반송라인(350)을 개폐시키는 제1반송밸브(355); 및,
    상기 제2반송라인(450)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반송라인(450)을 개폐시키는 제2반송밸브(455);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흡입라인부(320)는,
    4개의 흡입라인(321)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흡입라인(321)은 서로 다른 제1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3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흡입라인부(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흡입라인(321)마다 자동밸브(3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흡입라인부(3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흡입라인(321)마다 구비된 자동밸브(322)는 2개씩 조를 이루어 각조별로 번갈아가며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여 흡입라인(321)을 통한 흡입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흡입라인부(420)는,
    4개의 흡입라인(421)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흡입라인(421)은 서로 다른 제2혐기성소화조순환펌프(410)와 연결되며,
    상기 제2흡입라인부(4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흡입라인(421)마다 자동밸브(4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흡입라인부(4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흡입라인(421)마다 구비된 자동밸브(422)는 2개씩 조를 이루어 각조별로 번갈아가며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여 흡입라인(421)을 통한 흡입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5. 제4항에서,
    흡입라인(321,421) 각각은 상기 제1혐기성소화조(300) 및 상기 제2혐기성소화조(400) 각각의 내부 공간 하부에 나무 가지 형태로 퍼져 있으며, 흡입라인(321,421) 각각의 입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KR1020140152341A 2014-11-04 2014-11-04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KR10161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41A KR101613622B1 (ko) 2014-11-04 2014-11-04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341A KR101613622B1 (ko) 2014-11-04 2014-11-04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622B1 true KR101613622B1 (ko) 2016-04-20

Family

ID=5591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341A KR101613622B1 (ko) 2014-11-04 2014-11-04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3340A (zh) * 2018-08-30 2019-01-04 广西绿晨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厌氧反应罐
KR102336002B1 (ko) * 2021-02-26 2021-12-07 주식회사 도원이엔씨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혐기성 소화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373B1 (ko) 2006-09-12 2007-07-30 유니슨 주식회사 축산분뇨의 혐기발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제조장치
KR100935881B1 (ko) 2009-08-24 2010-01-07 남광건설(주) 고농도 유기성 폐액 및 폐기물 자원화 장치
KR101023684B1 (ko) 2010-12-14 2011-03-25 인천환경공단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373B1 (ko) 2006-09-12 2007-07-30 유니슨 주식회사 축산분뇨의 혐기발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제조장치
KR100935881B1 (ko) 2009-08-24 2010-01-07 남광건설(주) 고농도 유기성 폐액 및 폐기물 자원화 장치
KR101023684B1 (ko) 2010-12-14 2011-03-25 인천환경공단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3340A (zh) * 2018-08-30 2019-01-04 广西绿晨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厌氧反应罐
CN109133340B (zh) * 2018-08-30 2024-02-06 广西绿晨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厌氧反应罐
KR102336002B1 (ko) * 2021-02-26 2021-12-07 주식회사 도원이엔씨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혐기성 소화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6726B (zh) 垃圾焚烧厂渗滤液处理工艺
CN105439389B (zh) 一种垃圾渗滤液零排放处理系统
US20180346858A1 (en) Alternate operation control type membrane-coupled organic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935881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액 및 폐기물 자원화 장치
CN112794596A (zh) 一种泥水分离式的污泥厌氧消化处理系统及方法
CN104275343A (zh) 垃圾干化、除臭及渗滤液的处置系统及方法
CN201154942Y (zh) 有机废弃物厌氧消化全自动预处理一体装置
CN104478172A (zh) 有机废水的两相厌氧管式膜生物反应器处理方法与装置
US6982035B1 (en) Biphase orbicular biodigester
KR101613622B1 (ko) 다기능 흡입순환을 이용한 혐기성 처리 장치
JP4641854B2 (ja) アンモニア阻害低減型のメタン発酵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023513B1 (ko) 혐기소화조의 스컴제거장치 및 스컴제거방법
EP3611250A1 (en) Fermentation equipment used for organic matter and method therefor
CN107098466B (zh) 厌氧膜生物反应器的实时调控方法及采用其的反应器
KR101363477B1 (ko) 재래식 혐기성 소화기술을 개선한 고율 연속 회분식 소화장치
CN210215118U (zh) 一种规模化猪场猪粪综合处理的装置
KR100994192B1 (ko) 혐기성 소화 장치
CN202063797U (zh) 一种高浓度印染废水的处理系统
CN204490676U (zh) 处理有机废水的两相厌氧管式膜生物反应器
KR101918113B1 (ko) 혐기성소화조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 및 바이오가스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06365390B (zh) 一种利用太阳能分散式污水处理方法
CN202449955U (zh) 一种垃圾渗滤液的集成处理装置
KR101286072B1 (ko) 2상 혐기소화 장치
CN108996831A (zh) 一种自供能循环式处理啤酒厂废水的方法
KR101510800B1 (ko) 유기성 폐수의 고효율 혐기소화 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