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855B1 -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 Google Patents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855B1
KR101612855B1 KR1020117010742A KR20117010742A KR101612855B1 KR 101612855 B1 KR101612855 B1 KR 101612855B1 KR 1020117010742 A KR1020117010742 A KR 1020117010742A KR 20117010742 A KR20117010742 A KR 20117010742A KR 101612855 B1 KR101612855 B1 KR 10161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s
rice
growth
growth regulator
digita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116A (ko
Inventor
신이치 이오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켄그린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켄그린,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켄그린
Publication of KR2011007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 A01N57/2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벼과 잡초, 특히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생육을 조절하는 특성을 가지는 생육 조절제를 제공하며, 이 생육 조절제를 이용하여 벼과 잡초의 생육을, 간편하고 경제성 높게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는 시토키닌 또는 이것과 에틸렌 생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이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은, 상기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로 벼과 잡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GROWTH REGULATOR FOR GRASSY WEEDS}
본 발명은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및 그것을 이용한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공원, 뜰, 운동장, 골프장 등에서는 일본 잔디가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본 잔디는 겨울철에는 생육이 정지하고, 잎이 황변하기 때문에, 근년은 겨울철에도 생육하는 한지형(寒地型) 잔디를 사용하는 장소가 많아지고 있다.
잔디의 육성 및 유지 관리하는 것에 있어서, 잔디밭에 잡초가 진입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지만, 이것에 의해 잔디가 생육 장해를 일으키거나, 잔디밭의 경관이 손상되거나, 잔디밭 내에서 행해지는 스포츠 경기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골프장의 그린 내에 벼과 잡초의 포아 아누아(Poa annua L.)나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가 침입해 정착했을 경우, 이들 잡초는 그린상에서 이삭을 형성하고, 특히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흰 이삭은 경관을 해칠 뿐더러, 골프 플레이의 퍼팅에도 영향을 미친다.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잔디밭에서의 제초 방법으로서 잔디 깎는 기계로 잔디를 손질함으로써 일년생 잡초의 발생을 방제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골프장의 벤트 그래스의 그린에서는, 잔디 깎는 기계로 빈번하게 잔디를 손질함으로써 일년생 잡초의 대부분이 고사하기 때문에, 잡초의 발생을 꽤 억제할 수가 있다. 그러나, 포아 아누아(Poa annua L.)나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는 다른 일년생 잡초와 같이 잔디 깎는 기계로 깎아도 말라죽지 않고, 다시 화수(花穗)가 출수(出穗)하면 많은 종자를 산출하고, 이것이 출아(出芽), 정착하므로, 잔디에 강하게 해로운 잡초로 되어 있다.
한편, 포아 아누아(Poa annua L.)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잔디 깎는 기계에 의해 잡초를 깍아도 강하기 때문에, 그의 화수가 출수하지 않으면, 그 자체가 질이 높은 잔디로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근년, 잔디밭에서의 잡초를 방제하는 목적으로 수많은 제초제가 개발되고 있어 일본 잔디에 있어서의 잡초 방제에서는, 기존의 제초제를 이용하여 잔디에 약해를 주지 않고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거의 가능해지고 있다.
그런데, 벤트 그래스 등의 한지형 서양 잔디풀에 대해서는, 기존의 제초제로는 충분한 제초 효과를 얻을 수 없기도 하고, 잔디에 약해가 생기는 일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만족스런 제초제가 없는 것이 현상이다.
또, 제초제를 이용하지 않고, 식물호르몬을 이용하여 잔디나 잡초의 생육조절을 행하여, 잔디의 생육을 관리하는 방법도 보고되고 있다.
잔디의 생육 조정을 행하는 기술로서는, 벤질아데닌이 잔디의 활착 촉진 작용을 가지는 것(비특허문헌 1), 벤질아데닌이 잔디의 생육 촉진 작용을 가지는 것(특허문헌 1), 에테폰(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을 잔디에 처리하면, 잔디의 포복줄기의 신장과 중량의 증가를 재촉할 수 있는 것(비특허문헌 2), 지베렐린 및 시토키닌을 이용하여 잔디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것(특허문헌 2)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는, 잔디밭의 잡초를 방제하는 기술은 기재되지 않았다.
잡초를 방제하는 기술로서는, 지베렐린을 골프장의 잔디에 살포함으로써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가 촉진되며, 그 결과, 잔디보다 커진 이삭을 잘라 다듬는 방법(특허문헌 3)이 보고되고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신장한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이삭은 사람 손에 의해 잘라 내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켄터키 블루 그래스중에 생육하는 포아 아누아(Poa annua L.)를 에테폰으로 처리하면,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생육이 저하하는 것(비특허문헌 3), 벤트 그래스중에 생육하는 포아 아누아(Poa annua L.)에 에테폰을 처리하면 화수의 출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4). 그러나, 비특허문헌 3의 방법에서는, 에테폰의 약량이 1헥타르당 3.2kg, 비특허문헌 4의 방법에서는 에테폰의 약량이 1헥타르당 3.8~7.6kg이라고 하는 바와 같이 다량이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비특허문헌 4의 방법에서는 벤트 그래스에 약해가 생겨 이 약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다량의 질소비료를 시용할 필요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잔디밭 안에 생육하는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등의 벼과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 몇 개 보고되고 있지만,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이들을 충분히 방제하는 방법, 혹은 그러한 생육을 조절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소55-16270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7-8211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소61-111626호 공보
비특허문헌 1: 농약편람(農藥便覽) 제 8판, 농문협(農文協), 1995년 비특허문헌 2: 잔디연구(芝草硏究)), 제 23권, 제 2호, 1995년, 5~11 페이지 비특허문헌 3: J. Am. Soc. Hortic. Sci. (1985), 110(5), 609-611 비특허문헌 4: HortScience (2005), 40(3), 836-838
본 발명의 과제는 벼과 잡초, 특히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생육을 조절하는 특성을 가지는 생육 조절제를 찾아내고, 이 생육 조절제를 이용하여 벼과 잡초의 생육을, 간편하고 경제성 높게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종 식물호르몬과 벼과 잡초의 억제 효과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행하여 왔다. 그 결과, 벼과 잡초, 특히 블루 그래스속(Poa)의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및 바랭이속(Digitaria)의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에 시토키닌 혹은 시토키닌과 에틸렌 생성 물질과의 혼합물로 처리함으로써,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및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의 화수의 출수를 억제하고, 싹수(芽數)를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또, 이 처리는, 잔디에 대해서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1) 시토키닌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2) 더욱이, 에틸렌 생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인 상기(1)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3) 시토키닌이 벤질아데닌인 상기(1) 또는 (2)에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4) 에틸렌 생성 물질이 에테폰인 상기(1)~(3)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5) 벼과 잡초가 블루 그래스속(Poa) 또는 바랭이속(Digitaria) 잡초인 상기(1)~(4)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6) 벼과 잡초가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또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인 상기(1)~(5)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7) 시토키닌을 함유하는 제 1의 약제와 에틸렌 생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 2의 약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8) 시토키닌이 벤질아데닌인 상기(7)에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9) 에틸렌 생성 물질이 에테폰인 상기(7) 또는 (8)에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10) 벼과 잡초가 블루 그래스속(Poa) 또는 바랭이속(Digitaria) 잡초인 상기(7)~(9)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11) 벼과 잡초가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또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인 상기(7)~(9)의 어느 하나의 기재의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12) 상기(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식물 생육 조절제로 벼과 잡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13)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생육을 조절하는 것인 상기(12)에 기재의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14) 상기(7)~(9)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벼과 잡초용의 식물 생육조절키트으로 벼과 잡초를 처리하는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이며, 벼과 잡초를, 시토키닌을 함유하는 제 1의 약제와 에틸렌 생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 2의 약제를 동시에, 또는 다른 때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15)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생육을 조절하는 것인 상기(14)에 기재의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본 발명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및 생육조절키트로 벼과 잡초를 처리함으로써 화수의 출수를 억제하고, 그 싹수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 이 처리는 잔디에 대하여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및 생육조절키트는,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처리에 특히 매우 적합하고, 이 처리에 의해 질 높은 잔디밭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이하, 단지 「본 발명 조절제」라고 한다)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시토키닌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제아틴(2-메틸-4-(7H-퓨리닐-6-아미노)-2-부텐-1-올), 카이네틴(6-푸르푸릴아미노퓨린), 벤질아데닌(6-벤질아미노퓨린), 포르클로르페뉴론(Forchlorfenuron)(1-(2-클로로-4-피리딜)-3-페닐우레아)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벤질아데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절제에 있어서의 상기 시토키닌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지만, 분제로 하는 경우는 0.01~10질량%(이하, 단순히 「%」라고 한다), 바람직하게는 0.05~5%의 범위로부터 적당히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유제(乳劑), 수화제, 유제(油劑), 과립 수화제 또는 액상 수화제 등으로 하는 경우는 1~50%, 바람직하게는 5~30%의 범위부터 적당히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 조절제는 상기 시토키닌을 단독으로 유효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외, 다른 유효성분으로서 에틸렌 생성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하는 것이 효과의 증강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 에틸렌 생성 물질로서는, 에틸렌을 방출하는 물질 또는 에틸렌의 전구체로 되는 물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테폰(2-클로로에틸포스폰산), 1-아미노시클로프로판-1-카르복실산(ACC)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테폰이 바람직하다.
시토키닌과 병용하는 경우의 에틸렌 생성물질의 함유량은 시토키닌의 질량에 대하여, 질량으로 1.25~310배, 바람직하게는 2.5~10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6~40배가 되도록 이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한, 이 사용 비율은 잡초나 잔디의 생육시기 등에 의해 적당히 변동할 수가 있다.
본 발명 조절제는 시토키닌 혹은 이것과 에틸렌 생성 물질 외, 필요에 따라, 고체 담체 또는 액체 담체 등의 담체, 계면활성제, 결합제나 점착부여제, 증점제, 착색제, 동결 방지제, 고결방지제, 붕괴제, 분해 방지제, 방부제 등을 첨가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 첨가성분은 1종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석영, 클레이, 카올리나이트, 파이로필라이트, 견운모, 탈크, 벤토나이트, 산성 백토, 애타풀자이트, 제올라이트, 규조토 등의 천연광물질류, 탄산칼슘,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염화 칼륨 등의 무기 염류, 합성 규산, 합성 규산염, 전분, 셀룰로오스, 식물 분말 등의 유기고체담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플라스틱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또,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일가 알코올류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로 대별되는 알코올류, 프로필렌계 글리콜 에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유도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셀로솔브, 디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N-파라핀, 나프텐, 이소파라핀, 케로세인, 광유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나프타, 알킬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에틸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필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아디핀산디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γ-부틸로락톤 등의 락톤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알킬피롤리디논 등의 아미드류,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유황 화합물류, 대두유, 유채씨유, 면실유, 피마자유 등의 식물유, 물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계면활성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수지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알킬폴리옥시에틸렌폴리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비스페닐에테르, 폴리알킬렌벤질페닐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스티릴페닐에테르, 아세틸렌디올, 폴리옥시알킬렌 부가 아세틸렌 디올,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형 실리콘, 에스테르형 실리콘, 불소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리그닌 술폰산염, 알킬술폰숙신산염, 나프탈렌 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 술폰산염, 나프탈렌 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의 염, 알킬나프탈렌 술폰산의 포르말린 축합물의 염, 지방산염, 폴리카르본산염, N-메틸-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수지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아민염산염, 스테아릴아민 염산염, 올레일아민 염산염, 스테아릴아민 아세트산염, 스테아릴아미노프로필아민 아세트산염,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디메틸벤잘코늄클로라이드 등의 알킬아민염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아미노산형 또는 베타인형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활성제는 1종 이용해도 좋고, 또,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결합제나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그 염, 덱스쓰린, 수용성 전분, 크산탄검, 구아검, 자당,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라비아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평균분자량 6000~20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10만~500만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천연 인지질(예를 들면 세팔린산, 레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크산탄검, 구아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전분 유도체, 다당류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 고순도 벤토나이트, 화이트 카본과 같은 무기미분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철, 산화 티탄, 프루시안 블루와 같은 무기 안료, 알리자린염료, 아조염료,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동결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고결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 알긴산,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등의 다당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화이트 카본, 에스테르검, 석유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스테아린산금속염, 셀룰로오스 분말, 덱스쓰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미노카르본산킬레이트 화합물, 술폰화 스틸렌·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전분·폴리 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분해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생석회, 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건조제, 페놀계, 아민계, 유황계, 인산계 등의 산화 방지제, 살리실계, 벤조페논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빈산칼륨, 1,2-벤즈티아졸린-3-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조절제에 상기 첨가성분을 함유시키는 경우, 제제에 대한 그 함유 비율은 질량 기준으로, 담체에서는 통상 1~95%, 바람직하게는 5~85%,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5%이다. 계면활성제에서는 통상 0.1%~30%, 바람직하게는 0.2~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이다. 기타 첨가제는 0.1~30%, 바람직하게는 0.3~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의 범위이다.
더욱이, 본 발명 조절제에는, 다른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식물 생육 조정제 등의 농약으로부터 적어도 1종류, 약해경감제, 비료, 토양 침투제 등을 혼합해도 좋다.
본 발명 조절제와 혼합해도 좋은 공지의 제초제 화합물, 식물성육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술람(asulam), 피라조술푸론·에틸(pyrazosulfuron-ethyl), 메코프롭-P(mecoprop-P), 메코프롭-P 칼륨염(mecoprop-P potassium), 할로술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엔도탈 2나트륨(endothal-disodium), 에톡시술푸론(ethoxysulfuron), 메트술푸론·메틸(metsulfuron-methyl), 트리클로필·트리에틸암모늄(triclopyr-triethylammonium), 플라자술푸론(flazasulfuron), 이마조술푸론(imazosulfuron), 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시클로술파무론(cyclosulfamuron), 요오드술푸론메틸나트륨염(iodosulfuron-methyl-sodium), 림술푸론(rimsulfuron), MDBA(디캄바)(dicamba), MCPA 이소프로필아민염(MCPA-isopropyl), 벤퓨레세이트(benfuresate), 플로라슬럼(florasulam), 트리플록시술푸론 나트륨염(trifloxysulfuron-sodium), 플루아지호프-P(fluazifop-P),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피리부티카브(pyributicarb), 프로피자마이드(propyzamide), ACN(퀴노클라민)(quinoclamin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프로디아민(prodiamine), DCBN(크롤티아민)(chlorthiamid)), 오리잘린(oryzalin), CAT(시마진)(simazine), 부타미포스(butamifos), 디티오피르(dithiopyr), 사이두론(siduron), 카펜스트롤(cafenstrole), 베스로딘(벤플루랄린)(benfluralin), 알라클로(alachlor), 옥시디아졸(oxadiargyl),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오르벤카브(orbencarb), 메타미포프(metamifop), 플루폭삼(flupoxame), 이속사벤(isoxaben), 피라플펜·에틸(pyraflufen-ethyl), 엔토벤자니드(etobenzanid), 피리미술판(pyrimisulfan), 쿠미르론(cumyluron), 레나실(lenacil), 인돌부티르산(indole butyric acid), 에티클로제이트(ethychlozate), 클로시포낙(cloxyfonac), 디클로르프로프(dichlorprop), 1-나프틸아세트아미드(1-naphthylacetamide), 4-CPA(4-CPA), 포르클로르페뉴론(forchlorfenuron), 지베렐린(gibberellin acid), 말레인산히드라지드(maleic hydrazide), 이나벤화이드(inabenfide), 유니코나졸 P(uniconazole-P), 클로르메쿼트(chlormequat), 파크로부트라졸(paclobutrazol), 플루프리미들(flurprimidol), 프로헥사디온·칼슘염(prohexadione-calcium), 트리넥사팍·에틸(trinexapac-ethyl), 비스피리박·나트륨염(bispyribac-sodium), 다미노자이드(daminozide), 메플로이디드(mefluidide), 옥시에틸렌도코사놀(oxyethylene docosanol), 파라핀(paraffin), 왁스(wax), 클로렐라 추출물(chlorella extracts), 혼합 생약 추출물(extract from 12 plant-leaves),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extract from mushroom) 등을 들 수 있다.
공지의 살균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시벤조랄·S·메틸(acibenzolar-S-methyl),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아메톡라딘(ametocradin), 아미술브롬(amisulbrom), 알디몰프(aldimorph), 이소티아닐(isotianil), 이소피라잠(isopyrazam), 이소프로티올레인(isoprothiolane), 이프코나졸(ipconazole), 이프로디온(iprodione), 이프로발리카브(iprovalicarb), 이프로벤포스(iprobenfos), 이마자릴(imazalil), 이미녹타딘·알베실레이트(iminoctadine-albesilate), 이미녹타딘 트리아세테이트(iminoctadine-triacetate),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에지펜포스(edifenphos), 에타복삼(ethaboxam), 에톡시퀸(ethoxyquin), 에크로메졸(에트리디아졸)(etridiazole), 에네스트로부린(enestroburin),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옥사디실(oxadixyl), 옥사지니라졸(oxazinylazole), 옥시카복신(oxycarboxin),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옥시포코나졸 푸마르산염(oxpoconazole fumarate), 옥소린산(oxolinic acid), 옥틸리논(octhilinone), 오푸레이스(ofurace),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 O-페닐페놀(o-phenylphenol), 카스가마이신(kasugamycin), 켑타폴(captafol), 카프로파마이드(carpropamid), 카벤다짐(carbendazim), 카르복신(carboxin), 퀴녹시펜(quinoxyfen), 치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켑탄(captan), 퀸토젠(quintozene), 구아자틴(guazatine),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TPN(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클로로네브(chloroneb),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디에토펜카브(diethofencarb), 디클로사이메트(diclocymet), 다이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 디클로메진(diclomezine), 디클로란(dicloran), 디티아논(dithianon), 디니코나졸(diniconazole), 지네브(zineb), 디노캅(dinocap), 바이페닐(biphenyl),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펜조쿼트(difenzoquat methyl sulfate), 사이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사이프로코나졸(cyproconazole), 사이프로디닐(cyprodinil), 시메코나졸(simeconazole),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사이목사닐(cymoxanil),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지람(ziram), 실티오팜(silthiofam),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스피록사민(spiroxamine), 족사마이드(zoxamide), 다조멧트(dazomet), 티아디닐(tiadinil),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티플루자마이드(thifluzamide), 티람(thiram), 헤고나젠(tecnazene), 테클로프탈람(tecloftalam),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데바카브(debacarb), 테부코나졸(tebuconazole), 테부플루퀸(tebufloquin), 도다인(dodine), 도데모르프(dodemorph),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트리아족시드(triazoxide), 트라이사이클라졸(tricyclazol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트리데몰프(tridemorph), 트리프루미졸(triflumizole), 트리프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트리포린(triforine), 토릴플로아니드(tolylfluanid), 톨크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트르니파니드(tolnifanide), 나밤(nabam), 니트로탈·이소프로필(nitrothal-isopropyl), 누아리몰(nuarimol),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발리페나레이트(valifenalate), 빅사펜(bixafe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비터타놀(bitertanol), 피페라린(piperalin), 히드록시 이속사졸(히멕사졸)(hymexazol),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라조포스(pyrazophos),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부티카브(pyributicarb), 피리벤카브(pyribencarb),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피라메트스트로빈(pyrametostrobin), 피라옥시스트로빈(pyraoxystrobin), 피로퀼론(pyroquilon), 빈클로졸린(vinclozolin), 파아밤(ferbam), 파목사돈(famoxadone), 페나미돈(fenamidone), 페나리몰(fenarimol), 페녹사닐(fenoxanil), 페림존(ferimzone), 펜부코나졸(fenbuconazole), 펜푸람(fenfuram), 펜프로피딘(fenpropidin), 펜프로피몰프(fenpropimorph), 펜헥사미드(fenhexamid), 폴페트(folpet), 프탈라이드(phthalid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부베리다졸(fuberidazole), 프라메트필(furametpyr), 프라락실(furalaxyl),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옥사스트로빈(fluoxastrobin), 플루오피콜라이드(fluopicolide), 플루오피람(fluopyram), 플루오로이미드(fluoroimide), 플루퀸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실라졸(flusilazole), 플루술파미드(flusulfamide), 플루토라닐(flutolani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플루몰프(flumorph),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프로사이미돈(procymidone),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브로노폴(bronopol), 프로파모카브 염산염(propamocarb-hydrochloride),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프로피네브(propineb), 프로베나졸(probenazole), 부로모코나졸(bromuconazol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베나락실(benalaxyl), 베나락실·M(benalaxyl-M), 베노밀(benomyl), 페플라조에이트(pefurazoate), 펜코나졸(penconazole), 펜시쿠론(pencycuron),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benthiavalicarb-isopropyl), 펜티오필라드(penthiopyrad), 보스칼리드(boscalid), 포세틸(fosetyl-alminium), 폴리옥신(polyoxin), 폴리카바메이트(polycarbamate), 만코제브(mancozeb),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 마네브(maneb), 마이클로뷰타닐(myclobutanil), 밀디오마이신(mildiomycin), 메타술포캅(methasulfocarb), 메탐(metam), 메타락실(metalaxyl), 메타락실·M(metalaxyl-M), 메트코나졸(metconazole),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메트라페논(metrafenone), 메파니피림(mepanipyrim), 메프로닐(mepronil), 황산구리(copper sulfate), 수산화 제2동(copper hydroxide), 산화 제1동 (cuprous oxide), 염기성염화동(copper oxychloride), 황산 옥시퀴놀린(oxyquinoline sufate), 노닐페닐술폰산동(copper (nonylphenyl) sulphonate), 8-히드록시퀴놀린동(옥시퀴놀린동)(oxine-copper), 만코퍼(mancopper), 은, 유황, 탄산수소칼륨, 보르도액(Bordeaux mixture) 등을 들 수 있다.
공지의 살충제, 살선충제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 3-디클로로 프로 펜(1,3-dichloropropene), DCIP, DNOC, EPN, 아크리나쓰린(acrinathrin), 아자메시포스(azamethiphos), 아진포스·에틸(azinphos-ethyl),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아세퀴노실(acequinocyl),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아세토프롤(acetoprol), 아세페이트(acephate), 아조사이클로틴(azocyclotin), 아바멕틴(abamectin), 아미트라즈(amitraz), 알라니카브(alanycarb), 알디카브(aldicarb), 알파사이퍼메쓰린(alpha-cypermethrin), 알레쓰린(allethrin), 이소크사티온(isoxathion), 이소펜포스(isofenphos-methyl), 이소카르보포스(isocarbophos), MIPC(이소프로카브)(isoprocarb), 이미시아포스(imicyafos),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이미프로쓰린(imiprothrin), 인독사카브(indoxacarb), 에스펜발러레이트(esfenvalerate), 에티오펜카브(ethiofencarb), 에티온(ethion), 에티프롤(ethiprole), 에톡사졸(etoxazole), 에트펜프록스(etofenprox),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에마멕틴(emamectin), 엔도술판(endosulfan), 엠페쓰린(empenthrin), 옥사밀(oxamyl), 옥시디메톤·메틸(oxydemeton-methyl), 오메토에이트(omethoate), 카두사포스(cadusafos), 카란진(karanjin), 카탭(cartap), 카르바릴(carbaryl), 카보술판(carbosulfan), 카보퓨란(carbofuran), 감마·사이할로쓰린(gamma-cyhalothrin), 크실릴카브(xylylcarb), 퀴날포스(quinalphos), 카노프렌(kinoprene), 치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쿠마포스(coumaphos), 크로티아니딘(clothianidin), 크로펜테진(clofentezine), 크로마페노지드(chromafenozide), 크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크롤에톡시포스(chlorethoxyfos), 클로르데인(chlordane),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로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클로루후로아조른(chlorfluazuron), 클로르메포스(chlormephos), 시아지필(cyazypyr), 시아노포스(cyanophos),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디에노크롤(dienochlor), 시에노피라펜(cyenopyrafen), 디크로토포스(dicrotophos), 디크로펜티온(dichlofenthion) 시크로프로쓰린(cycloprothrin), 디크롤보스(dichlorvos), 디코홀(dicofol), 디시클라닐(dicyclanil), 디술포톤(disulfoton), 디노테푸란(dinotefuran), 디노브톤(dinobuton), 사이할로쓰린(cyhalothrin), 시페노쓰린(cyphenothrin), 사이플루쓰린(cyfluthrin),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사이플루메토펜(cyflumetofen), 디플로비다진(diflovidazin), 사이헥사틴(cyhexatin), 사이퍼메쓰린(cypermethrin),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실라프루오펜(silafluofen), 시로마진(cyromazine), 스피네토람(spinetoram), 스피노사드(spinosad), 스피로디클로펜(spirodiclofen), 스피로테트라매트(spirotetramat),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술코푸론(sulcofuron-sodium), 술플라미드(sulfluramid), 술포테프(sulfotep), 술폭사플루(sulfoxaflor) 제타·사이퍼메쓰린(zeta-cypermethrin), 다이아지논(diazinon), 타우플루발이네이트(tau-fluvalinate), 티아크리프리드(thiacloprid),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티오디카브(thiodicarb), 티오사이클람(thiocyclam), 티오술탭(thiosultap), 티오파녹스(thiofanox), 티오메튼(thiometon), 테트라클로르빈스(tetrachlorvinphos), 테트라디폰(tetradifon) 테트라메쓰린(tetramethrin), 테부피림포스(tebupirimfos), 테부페노자이드(tebufenozide), 테부펜피라드(tebufenpyrad), 테플루쓰린(tefluthrin), 테푸루벤주론(teflubenzuron), 데메톤·S·메틸(demeton-S-methyl), 테메포스(temephos), 델타메쓰린(deltamethrin), 터브포스(terbufos), 트라로메쓰린(tralomethrin), 트란스플루쓰린(transfluthrin), 트리아자메이트(triazamate), 트리아조호스(triazophos), DEP(트리클로르폰)(trichlorf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트리메타카브(trimethacarb), 콜펜피라드(tolfenpyrad), 나렛드(naled), 니코틴(nicotine) 니텐피람(nitenpyram), 노바르론(novaluron), 노비플루무론(noviflumuron), 하이드로프렌(hydroprene), 바미드치온(vamidothion), 파라치온(parathion), 파라치온·메틸(parathion-methyl), 할펜프록스(halfenprox), 할로페노지드(halofenozide), 비오알레쓰린(bioallethrin), 비오레스메쓰린(bioresmethrin), 비스트리플루론(bistrifluron), 히드라메칠론(hydramethylnon),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비펜쓰린(bifenthrin), 피메트로진(pymetrozine),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리다펜티온(pyridaphenthion), 피리다벤(pyridaben), 피리다릴(pyridalyl),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피리미카브(pirimicarb), 피리미디펜(pyrimidifen),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팜퍼(famphur), 피프로닐(fipronil), 페나자퀸(fenazaquin), 페나미포스(fenamiphos), MEP(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페녹시카브(fenoxycarb), 페노티오카브(fenothiocarb), 페노쓰린(phenothrin), 페노브카브(fenobucarb), 펜티온(fenthion), 펜트에이트(phenthoate), 펜발러레이트(fenvalerate),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펜부타틴·옥사이드(fenbutatin oxide), 펜프로파쓰린(fenpropathrin), 부토카르복심(butocarboxim), 부톡시카르복심(butoxycarboxim), 부프로페진(buprofezin), 푸라티오캅(furathiocarb), 프랄레쓰린(prallethrin),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플루시클로쿠스론(flucycloxuron), 플루시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술파미드(flusulfamide), 플루발이네이트(fluvalinate), 플루피라조포스(flupyrazofos), 플루페네림(flufenerim), 플루페녹수론(flufenoxuron), 플루벤디아마이드(flubendiamide), 플루메쓰린(flumethrin), 플루림펜(flurimfen),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플로니카미드(flonicamid), 프로파포스(propaphos) 프로파가이트(propargite)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프로페탐포스(propetamphos), 프로폭서(propoxur), 브로모프로필레이트(bromopropylate), 베타·사이플루쓰린(beta-cyfluthrin), 헥시치아족스(hexythiazox), 헥사플루무론(hexaflumuron), 헵테노포스(heptenophos), 퍼메쓰린(permethrin), 벤술탑(bensultap), 벤족시메이트(benzoximate), 벤디오카브(bendiocarb), 벤프라카브(benfuracarb), 폭심(phoxim), 포살론(phosalone),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포스파미돈(phosphamidon), 포스멧트(phosmet), 포메타네이트(formetanate), 포레이트(phorate), 말라티온(malathion), 밀베멕틴(milbemectin) 메카르밤(mecarbam), 메셀펜포스(mesulfenfos), 메토밀(methomyl),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 메타미도포스(methamidophos), 메탐(metham), 메티오카브(methiocarb), 메티다티온(methidathion), 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methyl isothiocyanate),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메톡시페노자이드(methoxyfenozide), 메트쓰린(methothrin), 메트플루쓰린(metofluthrin), 메소프렌(methoprene), 메빈포스(mevinphos), 모노크로트포스(monocrotophos), 람다·사이할로쓰린(lambda-cyhalothrin), 루페누론(lufenuron), 레스메쓰린(resmethrin), 레피멕틴(lepimectin), 로테논(rotenone), B. T. (바실루스·투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약, 약해 경감제, 비료, 토양 침투제 등은, 본 발명 조절제와 혼합하지 않고, 각각을 함유하는 시판의 제제를 본 발명 조절제와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 조절제는, 통상법에 따라, 액제, 유제(乳劑), 수화제, 분제, 유제(油劑), 과립 수화제, 액상 수화제, 과립제 등의 임의의 제형에 제제화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 조절제는, 벼과 잡초, 바람직하게는 블루 그래스(Poa sphondylodes), 켄터키블루 그래스(Poa pratensis L.),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등의 블루 그래스속(Poa) 잡초 또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 등의 바랭이속(Digitaria),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또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에 시용함으로써 그 생육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 조절제는, 잔디밭에 시용함으로써, 잔디에 영향을 주지 않고 벼과 잡초의 생육을 조절할 수가 있다. 본 발명 조절제를 잔디밭에 시용하는 경우, 상기의 제제를 그대로 살포할 수가 있지만, 그 경우는 분제 또는 과립제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 조절제를, 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희석된 약제는 예를 들면 분무기 또는 분무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 조절제의 활성 성분이 식물에 침입할 수 있는 장소, 예를 들면 잔디나 벼과 잡초의 경엽부 또는 토양 등에 살포한다.
본 발명 조절제에 의한 벼과 잡초의 처리는, 시토키닌을 단독으로 유효성분으로 하는 경우, 처리지 1㎡당 1회 처리량이 1~32mg, 바람직하게는 2~24mg, 보다 바람직하게는 4~16mg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 조절제는,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토키닌과 에틸렌 생성 물질을 병용하는 경우는, 처리지 1㎡당 1회 처리량이 시토키닌으로서 0.5~16mg, 에틸렌 생성 물질로서 20~320mg, 바람직하게는 각각, 1~16mg 및 40~240mg,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2~12mg 및 80~160mg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절제에 의한 벼과 잡초의 처리시기는 일년내내 언제라도 상관없지만, 벼과 잡초에 대한 생육 조절 효과는 지효적(遲效的)이기 때문에, 벼과 잡초의 화수의 출수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조절제의 시용은, 시토키닌을 단용으로 시용하는 경우는, 5~60일 마다, 바람직하게는 10~30일 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0일 마다 하면 좋고, 시토키닌과 에틸렌 생성 물질을 병용하는 경우는, 10~70일 마다, 바람직하게는 20~50일 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일 마다 시용하면 좋다.
본 발명 조절제의 시용 대상이 되는 잔디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코우라이시바, 히메코우라이시바, 키누시바 또는 노시바 등의 일본 잔디, 버뮤더 그래스 또는 바포 아그래스류 등의 여름형 서양 잔디, 벤트 그래스, 라이그래스, 블루 그래스 또는 페스큐 등의 한지형 서양 잔디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전자 기술에 의해 형질 전환되어 제초제나 해충, 병해 등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잔디, 내건성을 나타내는 잔디, 내염성을 나타내는 잔디에도, 본 발명 생육 조절제는 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시토키닌과 에틸렌 생성 물질을 혼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이들의 혼합 제제를 이용하는 외에는, 시토키닌을 함유하는 제 1의 약제와 에틸렌 생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 2의 약제를 함유하는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를 이용해도 좋다. 여기서 이용하는 시토키닌을 함유하는 제 1의 약제와 에틸렌 생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 2의 약제로서는, 시판의 시토키닌의 제제와 시판의 에틸렌 생성 물질의 제제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이 키트로 벼과 잡초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시토키닌을 함유하는 제 1의 약제와 에틸렌 생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 2의 약제로 동시에 처리해도 좋고, 각각의 약제로 다를 때에 처리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를 때」란, 적당한 기간을 두고 각각의 약제를 교대로 시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적당한 기간이란, 1~30일, 바람직하게는 1~20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일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대표적인 제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합물, 첨가제의 종류 및 배합 비율은, 이것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로 변경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제제예 1
액제
물 44.0부,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15.0부, 디메틸술폭시드 20.0부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10.0부를 교반기에 넣고 혼합했다. 이 혼합물에 에테폰 10.0부 및 벤질아데닌 1.0부를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혼합하여, 균질인 액제을 제조했다. 또한, 각각의 성분을 바꾸어도 동일하게 액제를 제조할 수가 있다.
제제예 2
수화제
벤질아데닌 1.0부, 에테폰 10.0부, 리그닌 술폰산 나트륨염 5.0부,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나트륨염 0.5부, 화이트 카본(카프렉스#80: 시오노니기세이야쿠製) 5.0부 및 광물질 클레이류(쇼와비분 클레이: 쇼와고교製) 78.5부를 혼합기로 균질하게 될 때까지 혼합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충격식 분쇄기로 분쇄하고, 그 후, 다시 혼합기로 혼합하여 균질인 수화제를 제조했다. 또한 각각의 성분을 바꾸어도 동일하게 수화제를 제조할 수가 있다.
제제예 3
유제(乳劑)
알킬 나프탈렌(소르벳소 200:EXXON화학제) 44.0부, N-메틸-2-피롤리돈 25.0부,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틸렌화 페닐 에테르 15.0부 및 데실벤젠술폰산 칼슘 5.0부를 교반기에 넣고 교반 혼합했다. 이 혼합물에 에테폰 10.0부 및 벤질아데닌 1.0부를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혼합하고, 균질인 유제를 제조했다. 또한 각각의 성분을 바꾸어도 동일하게 유제를 제조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대표적인 시험 예를 들어 시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험예 1
11cm×11cm의 폴리컵으로 육성한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 초기에 벤질아데닌(도포용 베아닌: 리켄그린제: 벤질아데닌 1%함유), 에테폰(에스렐 10 액제: 닛산 화학공업제: 에테폰 10%함유)의 각 단제 및 이들의 혼합제를 물로 소정량으로 희석하여, 표에 나타낸 약량이 되도록 분무 처리했다. 또한 처리시의 수량은 100mL/㎡로 행하고, 1/1,000배가 되도록 전착제(리켄스프레이저(등록상표): 리켄그린제)를 첨가했다. 조사는 약제처리 21일, 32일 및 45일째에 컵내의 출수수를 세었다. 또, 각각의 조사 종료시에 잔디를 깍아서 손질했다. 그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1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2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3
이상의 시험 결과로부터, 벤질아데닌을 살포처리함으로써,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 벤질아데닌과 에테폰과의 혼합제를 처리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과가 인정되었다.
시험예 2
11cm×11cm의 폴리컵으로 육성한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 초기에, 벤질아데닌(도포용 베아닌: 리켄 그린제: 벤질아데닌 1%함유) 또는/및 에테폰(에스렐 10 액제: 닛산 화학공업제: 에테폰 10%함유)을 물로 소정량으로 희석하고, 이 희석액에 전착제(리켄스프레이저(등록상표): 리켄 그린제)를 농도가 1/1,000배가 되도록 첨가했다. 이 희석액을 이용하여 표에 나타낸 약량 및 간격으로 살포처리(살포 수량 200mL/㎡)를 행하고, 컵내의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수를 경시적으로 세었다. 시험은 일련제로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표중의 「●」은 벤질아데닌 처리를, 「○」은 에테폰 처리를, 「-」은 미처리를 나타내며, 약량은 1회 살포시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4
이상의 시험 결과로부터, 벤질아데닌과 에테폰을 교대로 살포 처리함으로써 높은 효과가 인정되었다.
시험예 3
11cm×11cm의 폴리컵으로 육성한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 초기에, 벤질아데닌(도포용 베아닌: 리켄 그린제: 벤질아데닌 1%함유) 및 에테폰(에스렐 10 액제: 닛산 화학공업제: 에테폰 10%함유)을 물로 소정량으로 희석하고, 이 희석액에 전착제(리켄스프레이저(등록상표): 리켄 그린제)를 농도가 1/1,000배가 되도록 첨가했다. 각각의 희석액을 이용하여 표에 나타낸 약량이 되도록 살포처리(살포 수량 200mL/㎡)를 실시하고, 29일 후에 2 번째의 살포 처리를 행하여, 컵내의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수를 세었다. 또,〔엽수〕는 컵내의 6cm×6cm범위 내에 있어서의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잎의 수를 세었다. 시험은 일련제로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회 살포시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5
이상의 시험 결과로부터, 벤질아데닌 단독 처리, 혹은, 벤질아데닌과 에테폰을 혼합한 처리에서는 높은 출수 억제 효과가 인정될 뿐만 아니라, 더욱이,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엽수(싹수)가 증가하고, 동시에 잎의 녹색도 진해지는 것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4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발생하고 있는 벤트그린 잔디밭 내에 1구 1m×1m의 시험구를 설치했다. 벤질아데닌(도포용 베아닌: 리켄 그린제: 벤질아데닌 1%함유), 에테폰(에스렐 10: 닛산 화학공업제: 에테폰 10%함유)을 물로 소정량으로 희석하고, 이 희석액에 다시 전착제(리켄스프레이저(등록상표): 리켄 그린제)를 농도가 1/1,000배가 되도록 첨가했다. 각각의 희석액을 이용하여 표에 나타낸 약량으로 각 시험구에 대하여 제 1회째의 살포를 행하고(0일), 다시 30일 후에 제 2회째의 살포를 행했다. 또한 살포 수량은 제 1회째, 제 2회째 모두 100mL/㎡이다. 조사는 10×10cm범위 내의 포아 아누아(Poa annua L.)의 출수수를 1구 3개소로 정기적으로 세어 그 출수수의 평균치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회 살포시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6
이와 같이 실제 밭 시험에서도 본 발명의 생육 조정제는 높은 출수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벤트 그래스에 대해서 약해는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예 5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가 발생하고 있는 코우라이 잔디밭 내에 1구가 1m×1m의 시험구를 설치했다. 벤질아데닌(도포용 베아닌: 리켄 그린제: 벤질아데닌 1%함유), 에테폰(에스렐 10: 닛산 화학공업제: 에테폰 10%함유)을 물로 소정량으로 희석했다. 각각의 희석액을 이용하여 표에 나타낸 약량으로 각 시험구에 대하여 제 1회째의 살포를 행하고(0일), 다시 17일 후에 제 2회째의 살포를 행했다. 또한 최초 살포시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의 출수전이었다. 또, 살포 수량은 제 1회째, 제 2회째 모두 150mL/㎡이다. 조사는 1m×1m범위내의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의 출수 억제 효과를 표 7 기재의 기준에 따라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표 8중의 「●」은 약제 살포 처리를, 「-」은 미처리를 나타내며, 약량은 1회 살포시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7
Figure 112011034947610-pct00008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생육 조정제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에 대해서도 높은 출수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코우라이 잔디에 대하여 약해는 인정되지 않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및 생육조절키트는,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처리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15)

  1. 벤질아데닌 및 에테폰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벼과 잡초가 블루 그래스속(Poa) 또는 바랭이속(Digitaria) 잡초인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6. 제1항에 있어서,
    벼과 잡초가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또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인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7. 벤질아데닌을 함유하는 제1 약제와 에테폰을 함유하는 제2 약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벼과 잡초가 블루 그래스속(Poa) 또는 바랭이속(Digitaria) 잡초인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11. 제7항에 있어서,
    벼과 잡초가 포아 아누아(Poa annua L.) 또는 바랭이(Digitaria ciliaris Koel.)인 벼과 잡초용 생육조절키트.
  12. 청구항 1에 기재된 식물 생육 조절제로 벼과 잡초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생육을 조절하는 것인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14. 청구항 7 기재의 벼과 잡초용의 식물 생육조절키트로 벼과 잡초를 처리하는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으로, 벼과 잡초를, 벤질아데닌을 함유하는 제1 약제와 에테폰을 함유하는 제2 약제를 동시에, 또는 다를 때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잔디밭에 발생한 벼과 잡초의 생육을 조절하는 것인 벼과 잡초의 생육 조절 방법.
KR1020117010742A 2008-10-20 2009-09-07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KR101612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9355 2008-10-20
JP2008269355 2008-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116A KR20110071116A (ko) 2011-06-28
KR101612855B1 true KR101612855B1 (ko) 2016-04-15

Family

ID=421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742A KR101612855B1 (ko) 2008-10-20 2009-09-07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93682B2 (ko)
EP (1) EP2351487A4 (ko)
JP (1) JP5584133B2 (ko)
KR (1) KR101612855B1 (ko)
WO (1) WO2010047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72806A1 (en) 2004-05-18 2005-11-18 Petro-Canad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turf insect pests and diseases such as fungal infestations
CA2565319A1 (en) * 2004-05-24 2005-12-08 Valent Biosciences Corporation Stable and water-soluble plant growth regulator liqui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of same
US9357768B2 (en) 2006-10-05 2016-06-07 Suncor Energy Inc. Herbicidal composition with increased herbicidal efficacy
CA2729242C (en) 2008-06-26 2015-01-13 Suncor Energy Inc. Improved turfgrass fungicide formulation with pigment
KR101612855B1 (ko) 2008-10-20 2016-04-15 가부시키가이샤 리켄그린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JP2013537169A (ja) 2010-09-09 2013-09-30 サンコー・エナ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相乗作用を有するパラフィン系オイルおよびボスカリド殺菌剤
CA2836818C (en) * 2011-06-03 2016-11-15 Suncor Energy Inc. Paraffinic oil and class b gibberellin biosynthesis inhibitor compositions
WO2012168285A2 (en) * 2011-06-08 2012-12-13 Dsm Ip Assets B.V. Sunscreens
CN108576024A (zh) * 2018-07-24 2018-09-28 中国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一种棉花田除草组合物
CN110754476A (zh) * 2019-11-13 2020-02-07 四川国光农化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6-苄氨基嘌呤制剂稳定性的可溶液剂及其制备方法
CN113966744B (zh) * 2021-10-20 2023-04-21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植物生长调节剂及其用途和调节葡萄生长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2706A (en) 1979-06-07 1980-12-18 Kohjin Co Ltd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for lawn root
EP0155911A1 (de) * 1984-03-19 1985-09-25 Ciba-Geigy Ag Purinderivate zur Regulierung des Pflanzenwachstums
JPS61111626A (ja) 1984-11-02 1986-05-29 沼津開発興業株式会社 花穂の除去方法
JPS63181933A (ja) * 1987-01-24 1988-07-27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イネ科作物の増収法
DE3916469A1 (de) * 1989-05-20 1990-11-22 Basf Ag Sulfonamide
JPH0386803A (ja) * 1989-08-30 1991-04-11 Nippon Kayaku Co Ltd 植物生育調節剤を含有する吸水性ポリマー製剤及びその利用
DE59009012D1 (de) * 1989-12-13 1995-06-08 Ciba Geigy Ag Synergistisch wirkendes Mittel und Verfahren zur Regulierung des Pflanzenwuchses.
US5300478A (en) 1993-01-28 1994-04-05 Zeneca Limited Substituted fused pyrazolo compounds
JP2611131B2 (ja) 1993-09-10 1997-05-21 株式会社緑地環境研究所 芝草成長促進剤、当該芝草成長促進剤を用いる芝草の成長促進方法、芝草の病害防除剤及び当該芝草の病害防除剤を用いる芝草の病害防除方法
JP4234801B2 (ja) 1997-09-11 2009-03-04 ミヨシ油脂株式会社 印刷機用洗浄剤
JP2000086401A (ja) * 1998-09-16 2000-03-28 Inst Voor Agrotechnol Onderzoek Ato Dlo チュ―リップ切花用処理組成物
EP1191103A1 (en) * 2000-09-21 2002-03-27 DLF-Trifolium Grass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endophytes
US6489166B1 (en) * 2001-07-27 2002-12-03 Korea Kumho Petrochemical Co., Ltd. Plant regeneration method for mature seed-derived callus in zoysiagrass
JP2003113008A (ja) * 2001-10-05 2003-04-18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植物育成調節用の組成物
CN1943348A (zh) * 2005-10-08 2007-04-11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具有抑制植物顶端生长作用的植物生长调节组合物
CZ302225B6 (cs) * 2007-07-04 2010-12-29 Univerzita Palackého v Olomouci Substituované 6-anilinopurinové deriváty jako inhibitory cytokinin oxidasy a prípravky obsahující tyto slouceniny
KR101612855B1 (ko) 2008-10-20 2016-04-15 가부시키가이샤 리켄그린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 KHOSH-KHUI, I. ROUHANI, B. SHAYBANY, "AXILLARY SHOOT STIMULATION AND PLANT DEVELOPMENT OF COLEUS TREATED WITH CERTAIN PLANT GROWTH REGULATORS",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1978, 58(4): 97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7185A1 (ja) 2010-04-29
JP5584133B2 (ja) 2014-09-03
KR20110071116A (ko) 2011-06-28
US20100099567A1 (en) 2010-04-22
EP2351487A1 (en) 2011-08-03
US8293682B2 (en) 2012-10-23
JPWO2010047185A1 (ja) 2012-03-22
EP2351487A4 (en)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855B1 (ko) 벼과 잡초용 생육 조절제
JP5380278B2 (ja) 除草剤組成物
DK2123158T3 (en) herbicidal
AU2016214305B2 (en) Pyrazole compounds as nitrification inhibitors
US20190281830A1 (en) Co-formulations of bifenthrin with high-melting crop protection agents for use with liquid fertilizers
US2019019170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bacillus licheniformis and bacillus subtilis and methods of use for controlling fungal pathogens
JP2018524247A (ja) 硝化阻害剤としてのチオエーテル化合物
JP2008189578A (ja) 除草剤組成物
CN102098916B (zh) 农药组合物
TWI783959B (zh) 含有環溴蟲醯胺或其鹽之有害生物防治用固形組成物
US11547115B2 (en) Wettable agrochemical composition
UA123274C2 (uk) Спосіб посилення ефектів боротьби ізофетаміду із хворобами рослин і спосіб боротьби із хворобами рослин
US20200068889A1 (en) Soybean disease control composition and soybean disease control method
WO2021033739A1 (ja) シガトカ病防除用組成物、及びシガトカ病の防除方法
TWI501725B (zh) 吸汁害蟲之交尾動作干擾劑
CN108347933B (zh) 水稻种子处理剂
US10555529B2 (en) Composition for the control of grapevine ESCA disease, black dead arm disease, and/or Eutypa dieback disease
WO2024213743A1 (en) A method for preserving or enhancing yield of a field-cultivated crop exposed to at least one abiotic stress
TW201309199A (zh) 殺菌劑組成物及植物病害之防治方法
KR20210073518A (ko) 유성 현탁 농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