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814B1 -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2814B1 KR101612814B1 KR1020110002433A KR20110002433A KR101612814B1 KR 101612814 B1 KR101612814 B1 KR 101612814B1 KR 1020110002433 A KR1020110002433 A KR 1020110002433A KR 20110002433 A KR20110002433 A KR 20110002433A KR 101612814 B1 KR101612814 B1 KR 1016128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water tank
- temperature
- delete delete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수단; 상기 온수를 저장하는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 감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열수단의 작동 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온수조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 등 유해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와 유사한 물품으로 이온수기 등이 있다.
정수기의 구성은, 크게 오염물질이 포함된 원수(原水)에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난 정수(淨水)를 저장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저장된 정수를 취출시키는 취출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원수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어 정화되어 상기 수조부에 저장되게 되고, 저장된 정수는 사용자 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취출부를 통해 취출되게 된다.
아울러, 단순히 원수를 정화하는 기능 외에도 정화된 정수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냉온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화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수단과 냉각 또는 가열된 냉온수를 보관하기 위한 냉수조 및 온수조를 포함하게 된다.
냉수조 및 온수조는 공통적으로 단열특성을 갖게 되는데, 온수조의 경우 저장되는 온수의 상온과의 온도차가 냉수의 경우보다 크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단열성능이 요구된다. 아울러, 온수는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냉수에 비해서 사용빈도가 낮기 때문에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조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냉수에 비해서 길게 되므로, 온수조의 단열성능이 우수할수록 가열수단의 작동에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냉온 정수기의 온수조로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온수조의 외부에 단열재를 배치한 것을 사용하고 있었고, 최근에는 보다 높은 단열성능을 얻기 위해서 진공 온수조의 사용도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진공 온수조는 내측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이중 벽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중 벽체 사이의 공간은 진공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진공 온수조는 기존의 단열재를 이용하는 온수조에 비해서 우수한 단열성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그 단열성능은 이중 벽체 사이의 진공도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그 취급에 특히 주의를 요하게 된다.
특히, 상기 온수조에는 가열수단, 드레인관, 급수관 및 출수관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부착되기 때문에, 진공 온수조의 초기 상태에 이상이 없더라도 이들과의 접합 지점에서 누설이 발생하여 진공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누설은 제조, 운반 또는 설치 과정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서 일어날 수도 있고,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접합부의 열화 등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진공 온수조 내의 진공도 변화는 육안으로는 확인될 수 없는 것이므로, 진공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진공 온수조의 벽체 내부에 측정 수단을 삽입하여야 하고, 이는 진공 온수조의 분리 및 천공을 요하는 것이므로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 온수조의 진공도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수단; 상기 온수를 저장하는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 감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열수단의 작동 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온수조의 단열 성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온수조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단열 성능의 저하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근거로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수단은 온수의 온도와 연동되어 작동 및 정지되는데, 온수조의 단열 성능이 정상인 경우에 비해서 단열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온수조의 열손실량이 늘어나므로 가열수단의 작동빈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가열수단의 작동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진공 온수조와 같이 단열 성능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주기 외에도, 단열 성능이 열화되면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 저하속도가 늘어나게 되므로 이를 근거로 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의 변화량과 그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면 온수의 온도 저하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온수조의 내부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온수조 외부에 온도 감지수단을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온수조 내부와 외부 사이의 온도차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수기 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단열 성능에 이상이 생기면 누설되는 열량이 늘어나고, 그만큼 정수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온수조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던, 측정된 값을 기준값과 대비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기준값은 제조 시에 다양한 테스트를 거쳐서 정산 범위의 값을 사전에 결정하여 제어부 등에 입력해 둘 수도 있고, 설치 후에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측정된 값들을 근거로 설정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설치 장소의 환경이 반영된 기준값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각각의 값들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판단함에 있어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사항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열수단의 작동 주기를 근거로 할 경우에는 온수의 사용량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온수조에 이상이 없는 경우라도 온수의 사용량이 늘어나면 그만큼 작동 빈도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위 사용량에 대해서 가열수단의 작동주기를 측정하여 활용하거나, 온수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만 가열수단의 작동주기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온수의 온도 저하속도 및 온수조의 내외측에서의 온도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온수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만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수조에서의 온도 저하속도 및 내외측에서의 온도차와 같은 값들은 단열 성능 뿐만 아니라 정수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실내 온도 등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실내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여 비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 및 정지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으로서, 온수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온수가 제1 온도에서 제2 온도까지 하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과 기준 시간을 대비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정지되는 온도이고, 제2 온도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이 개시되는 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 및 정지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으로서, 온수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 및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된 후 작동되기까지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주기와 기준 주기를 대비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도, 상기 기준 시간 또는 기준 주기와 같은 판단의 근거가 되는 기준값들은 사전에 결정되거나 반복 사용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장치들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진단 기능 추가로 인한 비용증가나 설계 자유도의 제약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진공 온수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공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진공 온수조의 단열 성능 저하로 인한 히터 가열주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공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진공 온수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공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진공 온수조의 단열 성능 저하로 인한 히터 가열주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공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3)에 구비되는 필터부(20), 수조부(30), 취출부(40) 및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3)는 일반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스(13)는 내부에 필터부(20), 수조부(30) 등이 구비되며, 상기 수조부(30)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취출부(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에는 상기 정수기(1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51)과 디스플레이부(52)를 구비하는 조작패널(5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51)은 정수기의 기능 조작과 관련된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52)는 7-세그먼트(segment)형식, LCD(liquid crystal display)형식,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3)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정수기(10)의 내부 각 구성과 신호 전달을 통해 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제어 회로가 구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수도수, 저장통 등과 같은 수원(水原)(11)에서 도입된 물(이하, 원수(原水)라 함)를 정수(淨水)로 정화하는 장치이다.
상기 필터부(20)는 임의의 필터를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나노필터(nano-filtration fil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한다. 상기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는 0.001㎛ 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한다.상기 포스트 카본필터는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중공사막 필터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한다. 이외에, 상기 수원(11)과 상기 필터부(20)를 연결하는 배관에 상기 필터부(20)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오염물질을 미리 제거하는 프리필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수조부(30)는, 상기 필터부(20)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저장탱크(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장탱크(31)는 내측에 설치되는 구획판(32)을 구비하며, 상기 구획판(32)에 의해 필터부를 거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조(31a)와 상기 도시되지 않은 냉각수단에 의해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보관하는 냉수조(31b)로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조와 냉수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저장탱크를 구획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탱크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냉수조에 저장된 냉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단으로는 냉매압축식사이클 장치나 열전소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조(31a) 및 냉수조(31b)의 내부에는 저장된 정수 및 냉수의 수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위센서(33)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정수조(31a)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 및 저장하는 온수조(100)가 상기 저장탱크(31)와 별개로 구비된다. 상기 온수조(1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취출부(40)는 상기 냉수조(31b)와 온수조(10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13)의 전면에 구비되는 냉수레버(37) 및 온수레버(39)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및 온수레버(37, 39)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냉수조와 온수조에 각각 연결된 냉수취출밸브(43) 및 온수취출밸브(45)가 동작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수취출밸브(43) 및 온수취출밸브(45)는, 콕 등과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밸브 또는 전기적인 입력을 받아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온수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온수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벽체 구조를 갖고 있고, 외벽(102)과 내벽(104) 사이의 공간은 진공으로 유지되어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조(100)의 하부에는 개구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06)를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개(120)가 밀폐하고 있다.
상기 마개(120)는 상기 온수조(100)에 구비되는 각종 배관 또는 센서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마개를 없애고 전체를 이중 벽체 구조로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관이나 센서 등은 이중 벽체 구조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마개(120)에는 상기 온수조(100)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21), 상기 온수조(1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서의 히터(122), 상기 온수조(100) 내부의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서머스텟(123), 상기 온수조(100) 내부에서 온수의 가열로 인해서 생기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벤트관(124), 필요시에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125) 및 상기 정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30) 등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120)에 설치되는 상기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이 모두 상기 마개(120)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므로, 당업자가 임의로 마개에 배치될 구성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조(100)의 상부에는 상기 온수레버(39)가 작동되는 경우에, 저장된 온수가 배출되는 출수관(140)이 설치된다.
이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100)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온수조 이상유무의 판단은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으며, 수행이 개시되면 상기 온수취출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한다(S01 단계). 온수취출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온수가 공급되므로 온수조 내부의 온도가 크게 변동되고 이러한 온도의 변화는 단열성능의 변화와 무관한 것이기에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므로 온수취출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온수조 이상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
만일, 온수취출밸브가 폐쇄된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히터의 작동주기를 측정한다(S02 단계). 여기서, 히터의 작동주기란 히터의 작동이 정지된 후 온수조 내부의 온수 온도가 저하되어 히터가 재작동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히터의 작동시간과 관련된 임의의 값들이 작동주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히터가 작동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작동주기로 할 수도 있다. 다른 조건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단열성능이 낮을수록 손실되는 열량이 많으므로 히터의 작동시간이 길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히터의 작동과 관련하여, 단열성능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 달라질 수 있는 임의의 파라미터를 상기 작동주기로서 활용할 수 있다.
그 후, 측정된 측정주기를 기준주기와 비교한다(S03 단계). 여기서, 기준주기란 온수조가 정상인 상태를 유지할 때, 히터의 작동주기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온수조의 단열성능 변화에 따른 히터의 작동주기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a)는 온수조 단열성능이 정상인 경우에 해당되고, (b)는 온수조 단열성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진공도가 낮아진 경우에 해당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온수조가 정상인 경우에 비해서 비정상인 경우에 히터의 작동주기가 매우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작동주기의 변화는 일반적인 단열재를 이용한 온수조에 비해서, 진공온수조를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는데, 진공 온수조의 경우 진공도의 변화에 따라서 단열성능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작동주기의 변화만으로도 충분히 단열성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03 단계에서 측정주기가 기준주기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진공 온수조의 단열성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주기는 제품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 상기 히터의 사양이나 온수조의 단열성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거나, 복수 회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결정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준 주기는 상기 정수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환경이나 공급되는 수원의 온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제품을 최초에 설치한 후에 복수 회에 걸쳐서 작동 주기를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값들의 평균치를 기준 주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주기는 상기 S03 단계에서 측정추기가 정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수치의 하나로서 사용하여, 매번 측정시마다 기준 주기가 갱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의 작동주기 외에도 다양한 특성을 진공온수조의 단열성능 확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저하 속도를 근거로 하여 온수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온수의 온도저하 속도를 이용하는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최초에 온수취출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한 후(S11 단계), 온수취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만 온수조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서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t1)를 측정한다(S12 단계). 그리고, 사전에 정해진 소정 시간(△t)이 경과한 후에 다시 한번 온수의 온도(t2)를 측정한다(S13 단계).
그 후, S14 단계에서 온도저하의 속도를 기준 속도와 비교한 후, 기준속도 보다 측정된 온도저하 속도가 큰 경우에는 온수조의 단열성능이 저하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에러 메세지를 출력한다(S15 단계).
Claims (16)
-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가열수단;
상기 온수를 저장하는 단열 공간을 제공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 감지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열수단의 작동 주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온수조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사전에 결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가열수단의 작동 추기를 복수 회에 걸쳐서 측정한 값들로부터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복수 개의 측정값의 평균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온수조 내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서 작동 및 정지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으로서,
온수조 내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 및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된 후 작동되기까지의 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주기와 기준 주기를 대비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사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기는 복수 회에 걸쳐서 측정한 값들로부터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진단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433A KR101612814B1 (ko) | 2011-01-10 | 2011-01-10 |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433A KR101612814B1 (ko) | 2011-01-10 | 2011-01-10 |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0948A KR20120080948A (ko) | 2012-07-18 |
KR101612814B1 true KR101612814B1 (ko) | 2016-04-15 |
Family
ID=4671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433A KR101612814B1 (ko) | 2011-01-10 | 2011-01-10 |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28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1674B1 (ko) * | 2012-09-07 | 2019-12-04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자가검사동작을 수행하는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검사 방법 |
US10272272B2 (en) | 2014-03-18 | 2019-04-30 | Hironic Co., Ltd. |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5154A (ja) * | 2005-12-01 | 2007-06-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貯湯式給湯装置 |
-
2011
- 2011-01-10 KR KR1020110002433A patent/KR1016128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5154A (ja) * | 2005-12-01 | 2007-06-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貯湯式給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0948A (ko) | 2012-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34640B2 (en) | Water purifying apparatus | |
CN103712053B (zh) | 具有诊断的疏水器监视器 | |
CN104654498A (zh) | 集净水加湿以及空气净化于一体的环境电器 | |
US20200041374A1 (en) | Leak detection system | |
KR101612814B1 (ko) | 자기 진단 기능을 갖는 정수기 | |
US9371774B2 (en) | Fully automated emergency generator fuel oi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 |
CN207501467U (zh) | 一种漏水检测控制系统以及安全型热水器 | |
CN207894593U (zh) | 一种多路阀耐压测试系统 | |
CN111720751B (zh) | 水路的异常检测方法与装置 | |
US9533894B2 (en) | Water filtering system with temperature sensing | |
JP2020062586A (ja) | 飲料水提供装置 | |
JP5853925B2 (ja) | 給湯装置 | |
KR20140021401A (ko) | 정수기 동작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의 동작 검사 방법 | |
JP3971247B2 (ja) | 温水器の漏水検知装置 | |
KR20080095682A (ko) | 압력센서를 이용한 정수기 모니터링 장치 | |
AU2012241771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oven and steam oven | |
JP5593145B2 (ja) | 給湯システム | |
KR20140078520A (ko) | 수위감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위감지방법 | |
CN117628009B (zh) | 一种热敏式溢流阀综合性能测试系统及方法 | |
US11879812B2 (en) | Refrigerator appliance water filter with embedded leak sensor | |
US11137316B2 (en) | Leak detection system | |
JP6892143B2 (ja) | 圧縮空気圧回路における温度及び湿度測定構造 | |
KR20120055270A (ko) |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40455A (ko) | 필터 어셈블리 및 필터 어셈블리의 제어방법 | |
KR20050121372A (ko) | 언더싱크형 정수기의 작동상태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