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270A -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270A
KR20120055270A KR1020100116906A KR20100116906A KR20120055270A KR 20120055270 A KR20120055270 A KR 20120055270A KR 1020100116906 A KR1020100116906 A KR 1020100116906A KR 20100116906 A KR20100116906 A KR 20100116906A KR 20120055270 A KR20120055270 A KR 2012005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tank
drain
dr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욱
주현철
이정훈
김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라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to KR102010011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5270A/ko
Publication of KR2012005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Abstract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는 급수관에 연통된 정수펌프와, 정수펌프에 연통된 필터와, 필터에 연통되고 커버가 설치된 정수탱크와, 정수탱크에 연통된 배수관과, 급수관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와, 배수관을 개폐시키는 배수밸브와, 배수관의 온 시간 또는 온/오프 사이의 시간을 인식하여 기준 시간 이상일 경우 점검상태로 인식하고, 급수밸브와 배수밸브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정수탱크의 만수 후 배수동작을 추가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제어부에 연결된 점검상태감지부가 정수기의 필터교환, 내부청소 등의 수행여부를 감지하여 급수밸브 및 배수밸브를 제어하여 물을 자동으로 순환시켜 정수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급수밸브 및 배수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수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PURIFIER HAVING AUTOMATIC CLEA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정수기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정수기 내의 정수탱크의 물을 자동으로 순환시켜 정수기의 수질을 유지시키는 정수기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정수탱크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용수관을 통해 사용된다. 따라서 정수탱크 및 정수배관의 청결상태는 정수기를 통해 공급된 물의 질 결정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정수기의 필터, 정수탱크 등을 점검 또는 교체를 하는 경우 완전히 점검이나 교체가 끝난 이후에 정수탱크에 물을 채우고 비우는 일을 1회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정수탱크와 정수배관의 안전성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물을 채우고 비우는 작업은 사용자가 물이 찬 것을 확인하고 완전히 배수된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이를 수행시 약 1 ~ 2 시간 가량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점검자가 실수로 물을 버리는 행위를 하지 않아 이물질이 탱크에 남을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음용수를 장기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정수탱크 내의 물을 순환시키지 않고 정수탱크 내에 저장하고 있으므로 정수탱크 내의 물에 세균이 번식되게 되어 정수기를 통해 배출된 물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정수기의 필터교환, 내부청소 등이 수행된 경우 정수탱크 및 정수배관에 물을 자동으로 배수하고 채워주어 사용자의 편의와 제품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배수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정수탱크 및 정수배관에 물을 자동으로 순화시켜 정수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탱크 점검시기에 대하여 알려주고, 정수탱크 내의 물을 자동으로 배수시키고 채움으로써 정수탱크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자동으로 배수시키고 채워주는 동작이 완료되면 이 동작이 수행 완료 되었다는 신호가 전면 표시부(표시등)에 녹색 LED를 통하여 표시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는 급수관에 연통된 정수펌프와, 정수펌프에 연통된 필터와, 필터에 연통되고 커버가 설치된 정수탱크와, 정수탱크에 연통된 배수관과, 급수관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와, 배수관을 개폐시키는 배수밸브와, 배수관의 온 시간 또는 온/오프 사이의 시간을 인식하여 기준 시간 이상일 경우 점검상태로 인식하고, 급수밸브와 배수밸브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정수탱크의 만수 후 배수동작을 추가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는 배수관의 온 시간 또는 온/오프 사이의 시간을 감지하는 점검상태 감지부를 포함하고, 점검상태감지부는 배수밸브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부는 정수기 점검상태로 인식하는 경우, 급수밸브를 폐쇄하고 배수밸브를 개방시킨 뒤, 배수밸브를 폐쇄하고 급수밸브를 개방시켜 정수탱크를 세정하고, 정수탱크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가 설치되고, 수위감지부는 제어부로 정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위정보를 전달하며, 제어부는 정수탱크가 만수위의 상태에 도달될 때까지 급수밸브를 개방시키고, 제어부는 급수밸브 또는 배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밸브의 작동횟수를 입력받아 입력된 작동횟수까지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정수탱크에는 음용수관밸브가 설치된 음용수관이 설치되며, 제어부는 음용수관의 개방시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음용수관 개방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내에 음용수관이 재개방되지 않는 경우, 배수밸브를 개방시켜 정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배수밸브를 개방시키는 배수밸브 스위치의 온 시간 또는 온-오프 동작 사이의 시간간격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정수기의 점검상태로 감지하는 S1단계와, 정수기가 점검상태인 경우, 정수기의 정수탱크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밸브를 폐쇄시키고, 정수탱크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밸브를 개방시키는 S2단계와, S2단계에서 정수탱크 내의 물이 완전히 배수된 경우, 배수밸브를 폐쇄하고 급수밸브를 개방시켜 정수탱크 내에 물을 저장시키는 S3단계와, S3단계에서 정수탱크 내에 물이 만수위에 도달되는 경우, 배수밸브를 개방시키고, 급수밸브를 폐쇄시키는 S4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제어부에 연결된 점검상태감지부가 정수기의 필터교환, 내부청소 등의 수행여부를 감지하여 급수밸브 및 배수밸브를 제어하여 물을 자동으로 순환시켜 정수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급수밸브 및 배수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수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배수관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정수탱크 내의 물을 자동으로 배수시킴으로써 정수탱크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개념도인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기하우징(70) 내에 급수관(10)과 정수펌프(20), 필터(30)와 정수탱크(40)가 순차적으로 연통설치된다. 정수탱크(40)의 일측에는 정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50)이 설치되며, 타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필터(30)를 통과하여 정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음용수관(60)이 설치된다.
이러한 정수기하우징(70)은 정수기 내부의 청소 및 필터교환 등을 위하여 커버(도면 미도시)가 설치되며 정수탱크(40)에는 정수기하우징(70)과 동일하게 정수탱크의 커버(도면 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급수관(10)과 정수펌프(20) 사이에는 급수관(10)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100)가 설치되며, 정수탱크(40)와 배수관(50) 사이에는 배수밸브(200)가 설치된다.
급수밸브(100)와 배수밸브(200)는 후술할 제어부(400)에 의하여 급수관(10)과 배수관(5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과 같은 전자식 밸브가 사용되며, 실시예에 따라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식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정수기의 점검상태를 감지하는 점검상태감지부(300)와, 점검상태감지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급수밸브(100)와 배수밸브(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밸브(100)와 배수밸브(200)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점검상태감지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블록선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밸브(200)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 스위치(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밸브 스위치(220)는 정수탱크(40)의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어 배수밸브(20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배수밸브(200)가 폐쇄된 경우 배수밸브 스위치(220)를 동작시키면 배수밸브(200)가 개방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배수밸브 스위치(220)를 동작시키면 배수밸브(200)가 폐쇄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점검자가 정수기의 필터(30)를 교환하거나 정수기 내부를 청소하는 등 정수기를 점검하는 경우, 사용자 또는 점검자는 배수밸브 스위치(220)를 동작시켜 정수탱크(40) 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킨다.
이때, 제어부(400)는 배수밸브 스위치(220)의 온-오프 동작 사이의 시간간격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정수기 점검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물론 배수밸브(200)의 개방 시간을 가지고 정수기의 점검 상태를 판단한 수도 있다.
즉, 정수기의 배수밸브 스위치(220)의 동작시켜 정수탱크(40)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고 다시 배수밸브 스위치(220)를 재동작시켜 배수밸브(200)를 폐쇄시키는 배수밸브 스위치(220)의 동작간격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정수기의 점검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탱크청소 또는 필터 교환과 같은 정수기 점검의 경우 정수탱크(4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킨 상태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정수탱크(40) 내의 물이 배수되는지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설정값은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5초에서 10분 사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정값은 정수탱크(40)의 사이즈와 시간단 배수되는 양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시 배수 수위치의 경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온/오프된다. 하지만 사용자 또는 점검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온/오프 되는 경우, 제어부는 정수기의 점검이 수행됨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 스위치의 온/오프시간에 따른 감지, 배수 밸브의 온/오프 시간에 따른 감지 및 사용자에 의한 강제적인 온/오프 감지를 통해 제어부는 정수기의 점검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제어부에서 정수기의 점검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그 내부에 모듈화된 자동 배수 모듈을 구동한다. 즉, 배수 스위치가 오프되고, 일정 시간 후에 급수 스위치에 의해 급수밸브가 온이 된다. 배수 스위치의 오프부터 급수 밸브의 온 까지의 시간이 점검 시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검이 끝나게 되면 제어부는 일차로 급수밸브를 통해 정수탱크 내부에 정수된 물을 1차로 채우게 된다. 이때, 정수 탱크 내에 물이 채워지게 되면 제어부의 자동 배수 모듈이 구동하여 배수 밸브를 개방하여 정수 탱크 내에 채워진 물을 완전히 배수한다. 그리도, 물의 배수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다시 배수 밸브를 잠그고 급수 밸브를 오픈 하여 새로이 정수탱크에 물을 채우게 된다. 이를 통해 점검시 발생한 오물이나, 필터 교환으로 인해 정수탱크 내부에 들어간 파티클 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점점시 발생한 부유물 또는 오물이 정수 탱크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에서 물의 완전히 배수시키는 시간은 정수 탱크의 크기와 시간당 배수량에 따라 설정된 제어부의 제어 값에 따라 배수 밸브가 개방되어 진행된다.
물론 본 실시예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되는 변형예에 따른 정시스템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부(400)는 앞에서 설명한 점검상태감지부(300)에서 정수기의 내부의 청소, 필터의 교체 등의 정수기 점검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급수밸브(100)를 폐쇄하고 배수밸브(2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킨 뒤, 배수밸브(200)를 폐쇄하고 급수밸브(100)를 개방시켜 급수관(10)으로부터 물을 정수탱크(40)로 공급하여 정수탱크(40) 및 정수배관을 세정한다.
배수밸브(2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경우, 소량의 물만을 배수시키고, 급수관(10)으로부터 배수된 물의 양 많큼 급수될 수도 있으나 보다 청결한 정수탱크(40)의 청소를 위해서는 정수탱크(40)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경우 정수탱크(40) 내의 물을 완전히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정수탱크(40)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500)가 설치되고, 수위감지부(500)는 제어부(400)로 정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의 수위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위감지부(500)는 부력을 이용한 접촉식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으나, 포토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정수탱크(40)의 무게를 측정하는 압력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감지부(500)와 연결된 제어부(400)는 정수탱크(40)에 유입된 물의 수위가 만수위의 상태에 도달될 때까지 급수밸브(10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부(400)는 급수밸브(100) 또는 배수밸브(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밸브(100, 200)의 동작횟수를 입력받아 입력된 동작횟수까지 밸브(100, 200)를 반복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정수기의 점검, 내부 청소 또는 필터의 교환 후 정수탱크(40)에 물을 채우고 배수시키는 일은 약 1 ~ 3회 정도 추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경우에도 급수밸브(100)를 폐쇄시키고 배수밸브(2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에 수용된 물을 배수시킨 뒤 다시 정수탱크(40) 내 물을 채우는 세척과정을 약 2회 ~ 3회 정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척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제어부(400)는 급수밸브(100) 또는 배수밸브(200)의 동작회수를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회수까지 밸브를 반복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배수밸브(200)의 개방동작의 회수가 2회로 제어부(400)에 입력된 경우, 제어부는 급수밸브(100)를 폐쇄시키고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한 후 배수밸브(200)를 폐쇄시키고 급수밸브(100)을 개방시켜 정수탱크(40) 내의 물을 채우고, 다시 배수밸브(200)를 2번째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배수밸브(200)의 개방회수와 입력된 동작회수를 비교하여 입력된 동작회수가 배수밸브(200)의 개방회수와 동일하게 되면 정수탱크(40)의 세척작업을 중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배수밸브(200)의 개방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급수밸브(100)의 개방동작 또는 급수밸브(100)의 폐쇄동작 등의 동작횟수를 입력받아 급수밸브(100) 및 배수밸브(200)의 동작을 제어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배수관(50)에는 정수탱크(40)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펌프(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정수탱크(40) 내의 물을 수압만을 이용하여 배수시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배수에 걸리는 시간이 다수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밸브(50)와 배수밸브(200) 사이에 배수펌프(210)을 설치하여 정수탱크(40) 내에 저장된 물을 강제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정수탱크(40)에는 음용수관밸브(600)가 설치된 음용수관(60)이 설치되며, 제어부(400)는 음용수관(60)의 개방시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음용수관 개방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내에 음용수관(60)이 재개방되지 않는 경우, 배수밸브(2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음용수관(60)과 음용수관밸브(600)은 기 공지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관밸브(600)는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00)로 개방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개방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입력받은 음용수관의 개방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내에 음용수관밸브(600)의 개방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배수밸브(2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 내의 저장된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준시간은 정수탱크(40) 내에 저장된 물이 부패되지 않도록 108 ~ 132시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정수기의 점검여부를 감지하는 S1단계와, 정수기가 점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수기의 정수탱크(40)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밸브(100)를 폐쇄시키고, 정수탱크(40)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는 S2단계와, 정수탱크(40) 내의 물이 완전히 배수된 경우, 배수밸브(200)를 폐쇄하고 급수밸브(1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 내에 물을 저장시키는 S3단계와, 정수탱크(40) 내에 물이 만수위에 도달되는 경우,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고, 급수밸브(100)를 폐쇄시키는 S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단계는 정수기의 점검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는 배수밸브 스위치(220)의 온/오프 동작 사이의 시간간격이 설정값 이상이 경우 점검상태로 판단한다.
점검상태감지부(300)을 이용하여 정수기의 내부가 청소되었는지, 필터(30)가 교체되었는지 등을 감지한다.
S2단계는 정수기가 점검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어부(400)를 이용하여 급수밸브(100)를 폐쇄시키고, 배수밸브(2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킨다.
S3단계는 S2단계에서 정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완전히 배출시킨 후 다시 정수탱크(40)에 물을 채우는 단계로 S2단계에서 수행된 밸브동작과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배수밸브(200)를 폐쇄시키고, 급수밸브(100)를 개방시켜 정수탱크(40)에 물을 다시 채운다.
S4단계는 정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단계로 S2단계와 동일한 순서로 밸브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S1 ~ S4 단계를 거치는 동안 정수탱크(40)의 내부는 세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방법의 S1단계에는 급수밸브(100) 또는 배수밸브(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밸브의 개방횟수를 입력받는 S1a단계와, S4단계에는 S1a단계에서 입력된 밸브의 개방횟수보다 밸브(100, 200)의 개방횟수가 적은 경우 S3단계를 반복수행하고, 밸브의 개방회수가 입력된 개방회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경우 배수밸브를 폐쇄시키는 S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a단계는 급수밸브(100) 또는 배수밸브(200)의 개방횟수를 입력받는 단계로 예를 들어 급수밸브(100)의 개방횟수가 3회로 입력된 경우 S3단계가 3회 반복수행되며, 급수밸브(100)의 개방횟수가 3회로 입력된 경우, S3단계가 2회 반복수행된다.
따라서 S1a단계에서 입력된 밸브의 개방횟수는 정수기로 들어오는 원수의 탁한 정도, 필터(40)의 상태, 정수기의 사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방법의 S3단계에서 정수탱크(40) 내의 물의 저장은 정수탱크의 만수위에 도달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살펴본 S3단계에서 정수탱크(40) 내의 물의 저장은 정수탱크(40)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임의 양으로 저장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정수탱크(40)의 완전한 세척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S3단계에서 정수탱크(40) 내의 물의 저장은 정수탱크(40)의 만수위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급수관 20 : 정수펌프
30 : 필터 40 : 정수탱크
50 : 배수관 60 : 음용수관
70 : 정수기하우징 100 : 급수밸브
200 : 배수밸브 210 : 배수펌프
220 : 배수밸브 스위치 300 : 점검상태감지부
400 : 제어부 500 : 수위감지부
600 : 음용수관밸브

Claims (5)

  1. 급수관(10)에 연통된 정수펌프(20);
    상기 정수펌프(20)에 연통된 필터(30);
    상기 필터(30)에 연통되고 커버가 설치된 정수탱크(40);
    상기 정수탱크(40)에 연통된 배수관(50);
    상기 급수관(10)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100);
    상기 배수관(50)을 개폐시키는 배수밸브(200);
    상기 배수관의 온 시간 또는 온/오프 사이의 시간을 인식하여 기준 시간 이상일 경우 점검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급수밸브(100)와 배수밸브(20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상기 정수탱크의 만수 후 배수동작을 추가 수행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0)의 온 시간 또는 온/오프 사이의 시간을 감지하는 점검상태 감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상태감지부(300)는 상기 배수밸브(200)를 개폐시키는 배수밸브 스위치(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정수기 점검상태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100)를 폐쇄하고 상기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킨 뒤, 상기 배수밸브(200)를 폐쇄하고 상기 급수밸브(100)를 개방시켜 상기 정수탱크(40)를 세정하고,
    상기 정수탱크(40)에는 저장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500)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부(500)는 상기 제어부(400)로 상기 정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의 수위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정수탱크(40)가 만수위의 상태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100)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수밸브(100) 또는 배수밸브(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밸브(100, 200)의 작동횟수를 입력받아 입력된 작동횟수까지 상기 밸브(100, 2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40)에는 음용수관밸브(600)가 설치된 음용수관(60)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음용수관(60)의 개방시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음용수관 개방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내에 상기 음용수관(60)이 재개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수밸브(200)를 개방시켜 상기 정수탱크(40) 내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5.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는 배수밸브 스위치(220)의 온 시간 또는 온-오프 동작 사이의 시간간격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정수기의 점검상태로 감지하는 S1단계;
    상기 정수기가 점검상태인 경우, 정수기의 정수탱크(40)로 물이 유입되는 급수밸브(100)를 폐쇄시키고, 상기 정수탱크(40)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는 S2단계;
    상기 S2단계에서 상기 정수탱크(40) 내의 물이 완전히 배수된 경우, 상기 배수밸브(200)를 폐쇄하고 상기 급수밸브(100)를 개방시켜 상기 정수탱크(40) 내에 물을 저장시키는 S3단계; 및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정수탱크(40) 내에 물이 만수위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배수밸브(200)를 개방시키고, 상기 급수밸브(100)를 폐쇄시키는 S4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0100116906A 2010-11-23 2010-11-23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5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06A KR20120055270A (ko) 2010-11-23 2010-11-23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06A KR20120055270A (ko) 2010-11-23 2010-11-23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70A true KR20120055270A (ko) 2012-05-31

Family

ID=4627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906A KR20120055270A (ko) 2010-11-23 2010-11-23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52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51A (ko) * 2018-04-03 2019-10-14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의 배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51A (ko) * 2018-04-03 2019-10-14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의 배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629B1 (ko) 정수기의 누수감지차단장치
CN107096285B (zh) 一种具有滤芯自动清洗功能的热水器及控制方法
KR20100021389A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JP2765813B2 (ja) 浄水器の漏水感知装置
JP2012528000A (ja) 水処理機器用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JP2009056383A (ja) 軟水器
CN104803426A (zh) 净水机及净水机的控制方法
US20110290706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KR20120055270A (ko) 자동순환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85272B1 (ko) 정수기의 세정방법
CN108101246B (zh) 一种净水机及其水质检测方法
JP2011043272A (ja) 貯湯式給湯装置
CN113974428A (zh) 一种蒸汽加热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30077383A (ko) 정수기
JPH0320559A (ja) 遠隔制御電気温水器
CN206951007U (zh) 一种反渗透膜药洗系统
KR101164160B1 (ko)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JP3970971B2 (ja) プール施設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101724292B1 (ko) 오수처리장치와 일체화된 진공장치
JP4248231B2 (ja) 洗浄水供給装置
JP2010247102A (ja) 軟水器
CN216652027U (zh) 一种蒸汽加热装置
CN213121887U (zh) 一种管道自动清洗的水质检测装置
KR101897573B1 (ko) 정수기 및 그 세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