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715B1 -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 Google Patents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715B1
KR101612715B1 KR1020140145350A KR20140145350A KR101612715B1 KR 101612715 B1 KR101612715 B1 KR 101612715B1 KR 1020140145350 A KR1020140145350 A KR 1020140145350A KR 20140145350 A KR20140145350 A KR 20140145350A KR 101612715 B1 KR101612715 B1 KR 101612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jig
bus bar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성
Original Assignee
윤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성 filed Critical 윤희성
Priority to KR102014014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6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 C25D21/18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of electroly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셀(cell)들이 일렬로 배치된 2차 전지에서 다수개의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부스바 중 단자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택일적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2차 전지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 연장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포함된 단자부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 중 단자부만을 선택적으로 니켈-주석 도금하는 부분도금장치에 있어서, 양의 전극이 인가되는 전해액이 충진되고, 양 끝단부에 음의 전극이 인가되는 전극지지대가 마련된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서 상기 도금조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부스바의 상기 몸체부가 다수개 부착되어 상기 단자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지그와; 제어부의 구동신호를 받아 상기 레일부를 상하좌우로 소정길이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도금조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이 집수되고 다시 공급해주는 전해액 순환유도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조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세 개의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 중 중앙에 위치한 공간부에는 상기 전해액 순환유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해액이 충진되고, 나머지 양측의 공간부는 상기 중앙의 공간부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전해액이 상기 전해액 순환유도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해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지그로부터 돌출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그가 상기 전극지지대에 접촉할때까지만 하강함에 따라 도금이 필요한 부분만 상기 전해액에 침지됨으로써 부분도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A partial plating apparatus for a bus-bar used for connecting secondary battery cells}
본 발명은 2차 전지 셀을 연결하기 위한 부스바(bus bar)의 부분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셀(cell)들이 일렬로 배치된 2차 전지에서 다수개의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부스바 중 단자부분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택일적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등에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2차 전지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2차 전지는 다수개의 판형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용량 및 전원을 조절하는 2차 전지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2차 전지의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부스바(bus bar)를 사용하는데, 부스바의 기본적인 구조는 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위해 용접되어지는 몸체부와 단자부로 구성된다.
부스바의 재질은 사용부분에 따라 동(Cu), 알루미늄(Al)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셀과 부스바의 용접은 레이저 용접을 하고 있으며, 단자부 이외의 부스바 몸체부에는 용접의 특성상 주석도금이 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부스바의 단자부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부식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접촉저항 증가로 인하여 효율성 저하 및 수명 단축 등의 이상요인이 발생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부스바의 전체를 내부식성이 우수한 니켈-주석으로 도금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부스바의 몸체부와 전지 셀간의 용접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부스바의 단자부만을 선택적으로 부분도금할 필요성이 있다.
이렇듯 부분도금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부분도금장치 및 방법들이 소개되고 시행되고 있지만, 특히, 부분도금을 위하여 피도금체의 비도금부분을 테이핑 등으로 마스킹(masking)한 다음, 도금을 시행하고 도금이 끝나면 마스킹을 제거하는 종래의 부분도금방식은 마스킹 작업공정으로 인한 도금시간의 장기화 이외에도 마스킹 내부로 도금액이 스며들어 품질이 떨어지고 제품의 성능을 좌우할만한 외적 손상이 빈번히 일어나는 등 현존하는 부분도금 방식은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고, 부스바의 형상이 복잡하여 일반적인 오픈지그(open jig)로는 대응이 불가능하므로, 부스바 단자부에만 적용될 수 있는 부분도금방식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특허문헌 1은, 피도물(A)의 일부만을 도금하기 위해 상기 피도물(A)을 행거(200)에 올려 상기 행거(200)를 도금조(300)에 담가 도금하는 부분 도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도물(A)의 도금을 원하지 않는 부분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금속과 같은 비절연물질로 제작되는 쫄대(120)와, 상기 쫄대(120)들의 사방을 조여주도록 다수의 체결볼트(113)를 갖는 금속과 같은 비절연물질로 제작되는
도금틀(110)을 구비하여 상기 도금틀(110)을 상기 행거(200)에 올려 도금하되, 상기 쫄대(120)들은 상기 피도물(A)의 두께(t1)과 동일한 두께(t2)를 가지며, 각각의 쫄대(120)들은 모두 동일한 폭(b)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도금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선행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금형을 사용할 때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마주칠 때 발생하는 물리적인 흠을 방지하는 것이고, 종래의 마스킹 공정을 생략하는 대신에 쫄대(120)를 사용한 것에 지나지 않아 공정상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는 없으며, 대량생산에도 적절치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매우 적은 2차 전지셀부스바의 단자부만을 부분도금하는데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부분도금에 관한 선행특허문헌 2는, 부스바(B)에 매달린 상태에서 전해조(C) 내부에 침지되는 것으로서, 몸체(5)의 상단에는 갈고리 형상의 통전부(7)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5)로부터 다수의 피도금물 지지구(9)가 돌출 형성되는 도금랙(1)을 포함하되; 상기 피도금물 지지구(9)는; 피도금물(100)을 유격을 갖도록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통전부(7)와 제1 도금영역(P1)을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홀더(11, holder)와; 일단이 상기 홀더(11)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절연체에 의해 상기 제1 도금영역(P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제2 도금영역(P2)에 맞닿을 수 있게끔 연장됨으로써, 상기 통전부(7)와 상기 제2 도금영역(P2)이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컨택터(13, contac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된 도금영역을 가지는 피도금물용 전기도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발명은, 가습기 등에 사용되는 환형의 피도금체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이며, 이 환형의 피도금체는 절연부와 통전부가 모두 상존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부분도금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형태의 피도금체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특이한 형상의 지그를 주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가 매우 다르다.
한국특허 제10-0805362호(2008년02월20일 공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2016(2012년12월05일 공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차 전지 부스바가 여러 셀들과의 용접성을 확보하면서 단자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부만을 선택적으로 도금할 수 있는 부분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이 요구되는 단자부가 도금전해액 속에 잠길 때 도금전해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도금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신속하게 공정이 이루어지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도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2차 전지용 부스바의 단자부만을 부분도금하는데 특화된 부분도금장치를 제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는, 2차 전지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 포함된 단자부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 중 단자부만을 선택적으로 니켈-주석 도금하는 부분도금장치에 있어서, 양의 전극이 인가되는 전해액이 충진되고, 양 끝단부에 음의 전극이 인가되는 전극지지대가 마련된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서 상기 도금조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부스바의 상기 몸체부가 다수개 부착되어 상기 단자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지그와; 제어부의 구동신호를 받아 상기 레일부를 상하좌우로 소정길이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도금조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이 집수되고 다시 공급해주는 전해액 순환유도부; 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조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세 개의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 중 중앙에 위치한 공간부에는 상기 전해액 순환유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해액이 충진되고, 나머지 양측의 공간부는 상기 중앙의 공간부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전해액이 상기 전해액 순환유도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해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지그로부터 돌출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지그가 상기 전극지지대에 접촉할때까지만 하강함에 따라 도금이 필요한 부분만 상기 전해액에 침지됨으로써 부분도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의 일면에는 각각의 상기 부스바의 최상면이 지지되는 상부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지그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부스바의 상기 몸체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부스바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지그와의 통전을 위한 접촉점을 형성하는 하부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스토퍼는 상기 지그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된 두 개 이상의 와이어가 상기 부스바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접촉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전극지지대에는 상기 지그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접촉감지부에서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어부에 접촉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이송부의 구동이 멈추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도금조에 침지되기 이전에 전처리공정이 함께 연속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에 의하면, 부스바가 2차 전지의 여러 셀들과의 용접성을 확보하면서 단자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부만을 선택적으로 도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금이 요구되는 단자부가 도금전해액 속에 잠길 때 도금전해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도금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신속하게 공정이 이루어지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가 지그에 결합된 상태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전처리공정과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부분도금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부분도금의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금조(100)에는 양의 전극(미도시)이 인가되는 전해액이 충진되어 있고, 그 양 끝단부에 음의 전극(미도시)이 인가되는 전극지지대(15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금조(100)는 3개의 공간부로 구획되어 있으며, 중앙에 있는 공간부에서 도금공정이 이루어진다.
편의상, 중앙에 있는 공간부를 제1공간부, 양측에 있는 공간부를 제2공간부라고 하면, 제1공간부에서 도금이 이루어지며, 제2공간부에서는 제1공간부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전해액을 배출시켜 전해액을 계속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금조는 항상 전해액을 오버플로우시키면서 도금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1공간부에 충진되는 전해액의 수위는 항상 일정하게 된다.
즉, 제1공간부로 유입되는 전해액의 시간당 질량이 dm/dt라면 제2공간부 각각에서 유출되는 시간당 질량은 dm/2dt이므로 정상유동정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과 제2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은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그 단차의 크기가 피도금체의 침지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제1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의 높이는 도금에 관여하는 전해액의 수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고, 제2공간부를 형성하는 격벽의 높이는 부스바(10)의 침지깊이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전해액의 유입로 및 배출로는 각각 제1공간부, 제2공간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유입로 및 배출로는 별도의 순환탱크를 통해 순환된다. 도 1에서는 전해액이 유입되고 배출되며 집수되어 다시 제1공간부로 유입되는 구성을 전해액 순환유도부(500)라고 칭한다.
상기 도금조(100)의 상부에는 상기 도금조(100)의 길이방향(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레일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일부(200)에는 일면에 4개의 부스바(10) 부착되어 상기 단자부(12)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지그(300)가 전도성 와이어로 매달려 있다.
레일부(200)는 이송부(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이송부(400)의 제어부(410)의 구동 및 정지신호에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한다.
도 1에서는 레일부(200)를 가느다란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L/M가이드 등 일반적인 이송이 가능한 부재라면 어떠한 형태든 상관없다.
레일부(200)에 지그(300)가 매달린 상태로 도금조(100)의 제1공간부까지 이동한 다음, 지그(300)가 도금조(100) 양측에 마련된 전극지지대(150)에 접하면서 부스바의 단자부(12)가 완전히 전해액에 침지될 때까지 하강을 하게 되고, 도금공정이 마치면 다시 상승하여 수평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부스바(100)의 단자부(12)가 최초로 침지되는 순간은 아직 단자부(12)에 음의 전극이 인가된 상태가 아니며, 지그(300)가 도금조(100)의 전극지지대(150)에 닿는 순간부터 음의 전극이 인가되고 전류가 흐르며 도금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부스바(100)는 몸체부(11)가 2차 전지셀에 레이저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부분이고, 단자부(12)는 부식방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니켈-주석 도금이 필요한 부분이다. 만일, 몸체부(11)에도 니켈-주석 도금이 된다면 레이저용접성이 매우 열화되어 제품 전체의 불량을 야기하게 되므로, 도금이 필요한 단자부(12)만이 전해액에 침지되어 도금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침지되는 단자부(12)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레일부(200)의 수평 및 수직 이동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요구된다.
도 2a는 4개의 부스바(10)가 장착된 지그(300)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지그(300)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의한 지그(300)는 외형이 판상의 직사각형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이다.
이 지그(300)의 일면에 다수개의 부스바(10)가 결합되어 장착된다.
지그(300)의 일면에는 부스바(10)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부스바(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스토퍼(310)가 마련되어 있는데,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이 전면으로 돌출된 부재이고 특별한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이면 충분하다.
지그(300)의 양단부가 도금조(100)의 전극지지대(150)에 접촉하면서 전극이 인가되어 전류가 부스바(10)까지 흘러야 하므로, 지그(300), 상부스토퍼(310) 및 후술할 하부스토퍼(320)도 모두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이어야 한다.
지그(300)에 장착되는 부스바(10)의 개수는 4개로 도시하였으나, 훨씬 많을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을 수도 있다.
부스바(100)의 상면이 상부스토퍼(31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나, 하면도 지지되어야만 한다.
이처럼 하면을 지지할 필요가 있는데, 2차 전지셀을 연결하기 위한 부스바(10)는 몸체부(11)의 중앙부분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단자부(12)가 있기 때문에 몸체부(11)의 하단부를 지지해야 한다.
따라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의 하단부 또한 지그(300)로부터 다소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야 하므로 지그(300)의 타면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된 와이어가 U자 형태로 형성된 하부스토퍼(320)로써 몸체부(11)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하부스토퍼(320)는 몸체부(1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몸체부(11)의 중심선에 대해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됨으로써 단자부(12)의 침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피도금체가 도금조(100)에 침지되기 이전에 도금에 필요한 여러가지 전처리 공정을 함께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격적인 도금을 수행하기 이전에 에칭이나 세정을 위한 전처리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처리 공정은 전극을 인가하지 않고 화학적인 방법으로 전처리 공정을 실시한다.
도금 이전에 수행하는 전처리 공정의 종류나 순서는 통상적인 공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베스(bath)는 전극을 인가하지 않으므로 위 도금조(100)의 구조에서 전극지지대(150)가 생략되고, 충진되는 물질이 전해액이 아니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 도금(100)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베스에는 전극이 인가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레일부(200)의 이동을 포함한 부스바(10)의 단자부(12)에 대한 부분도금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의 (a)는 지그(300)가 레일부(200)에 매달린 상태로서 도금조(100)로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레일부(200)는 구동을 제어하고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이송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레일부(200)의 양끝단에는 수평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롤러(미도시) 및 승강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판상의 지그(300)에 부스바(10)가 몸체부(11)의 일부 및 단자부(12)가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2줄의 와이어로 레일부(200)에 매달려 있다.
도 4의 (a)는 위 도 3과 같이, 이미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난 다음의 상태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의 (b)는 레일부(200)가 이송부(400)의 수평이동의 신호를 받아 도금조(100)의 상부로 이동한 상태이고, 도 4의 (c)는 레일부(200)가 이송부(400)의 수직하강의 신호를 받아 하강하여 단자부(12)의 일부가 전해액에 침지된 상태를 보여준다. 단자부(12)의 일부가 전해액에 침지되면 아직까지 음의 전극이 단자부(12)에 인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금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이다.
그 다음, 도 4의 (d)는 레일부(200)의 계속적인 하강에 따라 지그(300)의 양단부가 도금조(100)의 양단에 설치된 전극지지대(150)에 접하는 순간을 보여준다.
전극지지대(150)에는 음의 전극이 항상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전도성이있는 지그(300), 부스바(10) 및 양의 전극이 인가된 전해액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도금이 일어난다.
또한, 전극지지대(150)에는 일정한 접촉압력을 감지하거나 접촉으로 인한 전류를 감지하여 접촉신호를 위 제어부(400)에 송신하는 접촉감지부(180)가 포함되어 있어, 레일부(200)의 하강에 따라 지그(300)가 전극지지대(150)에 접촉하게 되면 제어부(400)가 레일부(2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4의 (e)는,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도금이 완료되고 레일부(200)가 수직상승한 다음, 수평이동(도면에서 오른쪽으로)하여 도금조(100)를 벗어난 상태를 보여준다.
도금조(100)를 벗어난 레일부(200)는 필요한 경우 수세 및/또는 건조 등을 위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여러 개의 부스바(100)를 한꺼번에 도금할 수 있게 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특히, 부분도금을 위한 마스킹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며, 부스바(10)의 단자부(12)만을 확실하게 부분도금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이 가능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지그(3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지그에 장착되는 부스바(10)의 개수, 부스바(10)의 구체적인 형상, 레일부(200)의 구동방식의 변화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다.
10: 부스바 11:몸체부 12:단자부
100: 도금조 150: 전극지지대 180: 접촉감지부
200:레일부 300:지그 310:상부스토퍼
320: 하부스토퍼 400: 이송부 410:제어부
500: 전해액 순환유도부

Claims (5)

  1. 2차 전지셀들을 연결하기 위한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단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12)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 10) 중 상기 단자부(12)만을 니켈-주석 도금하는 부분도금장치에 있어서,
    양의 전극이 인가되는 전해액이 충진되고, 양 끝단부에 음의 전극이 인가되는 전극지지대(150)가 마련된 도금조(100)와;
    상기 도금조(100)의 상부에서 상기 도금조(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부(200)와;
    상기 레일부(200)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부스바(10)의 상기 몸체부(11)가 다수개 부착되어 상기 단자부(12)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판상의 지그(300)와;
    제어부(410)의 구동신호를 받아 상기 레일부(200)를 상하좌우로 소정길이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부(400); 및
    상기 도금조(100)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이 집수되고 다시 공급해주는 전해액 순환유도부(500); 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조(100)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세 개의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 중 중앙에 위치한 공간부에는 상기 전해액 순환유도부(5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해액이 충진되고, 나머지 양측의 공간부는 상기 중앙의 공간부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전해액이 상기 전해액 순환유도부(500)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해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지그(300)의 일면에는 각각의 상기 부스바(10)의 최상면이 지지되는 상부 스토퍼(310)가 마련되고, 상기 지그(300)의 타면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부스바(10)의 상기 몸체부(11)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부스바(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지그(300)와의 통전을 위한 접촉점을 형성하는 하부스토퍼(320)가 마련되며,
    상기 지그(300)로부터 돌출된 상기 단자부(12)는 상기 지그(300)가 상기 전극지지대(150)에 접촉할때까지만 하강함에 따라 상기 단자부(12)만이 상기 전해액에 침지됨으로써 부분도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토퍼(320)는 상기 지그(300)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된 두 개 이상의 와이어가 상기 부스바(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접촉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지지대(150)에는 상기 지그(300)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부(18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접촉감지부(180)에서 상기 이송부(400)의 상기 제어부(410)에 접촉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이송부(400)의 구동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5. 제1항,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100)에 침지되기 이전에 전처리공정이 함께 연속하여 수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KR1020140145350A 2014-10-24 2014-10-24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KR101612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50A KR101612715B1 (ko) 2014-10-24 2014-10-24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350A KR101612715B1 (ko) 2014-10-24 2014-10-24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715B1 true KR101612715B1 (ko) 2016-04-15

Family

ID=5580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350A KR101612715B1 (ko) 2014-10-24 2014-10-24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7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898B1 (ko) * 2016-12-02 2017-11-20 전진구 도금용 래크의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
KR20220155864A (ko) * 2021-05-17 2022-11-24 조우현 전기차용 부스바 부분도금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093A (ja) 2000-06-22 2002-01-09 Kyocera Corp めっき用治具
JP2004342649A (ja) 2003-05-13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気密端子および気密端子のめっき方法
JP2008088528A (ja) 2006-10-04 2008-04-17 Kiko Kagi Kofun Yugenkoshi 表面局部電気メッキ方法
KR100958368B1 (ko) 2009-12-16 2010-05-17 주식회사 삼원알텍 탈지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093A (ja) 2000-06-22 2002-01-09 Kyocera Corp めっき用治具
JP2004342649A (ja) 2003-05-13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気密端子および気密端子のめっき方法
JP2008088528A (ja) 2006-10-04 2008-04-17 Kiko Kagi Kofun Yugenkoshi 表面局部電気メッキ方法
KR100958368B1 (ko) 2009-12-16 2010-05-17 주식회사 삼원알텍 탈지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898B1 (ko) * 2016-12-02 2017-11-20 전진구 도금용 래크의 로딩 및 언로딩 시스템
KR20220155864A (ko) * 2021-05-17 2022-11-24 조우현 전기차용 부스바 부분도금 시스템
KR102475133B1 (ko) * 2021-05-17 2022-12-07 조우현 전기차용 부스바 부분도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9515A (en)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sheet metals
TW201323668A (zh) 表面處理裝置及工件保持治具
CN208869700U (zh) 一种具有电解活化工位的电镀生产线
KR101612715B1 (ko)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JP6169719B2 (ja) 物体の電解コーティ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CN105088323A (zh) 板式电镀挂具
CA2857196A1 (en) Electroplating process,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2760929A (en) Electroplating apparatus
KR101612716B1 (ko)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JPH0660440B2 (ja) 電着塗装方法
JP4904097B2 (ja) 金属線材メッキ用不溶性陽極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線材メッキ方法
US201501365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metal parts
JP3160556B2 (ja) 電解槽の電気的接触部の構造
JP3062911B2 (ja) メッキ装置
WO2017175880A1 (ko) 2차 전지 셀 연결용 부스바의 부분도금장치
US6695961B1 (en) Carrier serving to supply current to workpieces or counter-electrodes that are to be treated electrolytically and a method for electrolytically treating workpieces
US3888755A (en) Cylinder plating rack
KR102428851B1 (ko) 부스바의 전기도금장치
JPH0241598B2 (ko)
KR102033294B1 (ko) 금형 내외경 도금용 랙
CN221217970U (zh) 一种干壁钉表面耐腐蚀处理装置
CN219470241U (zh) 卷对卷连续镀ic引线框架镍层高膜厚电镀阳极导电结构
CN201276602Y (zh) 芯片金属凸点电极电镀设备
CN212610968U (zh) 一种用于母线铜排镀锡的电极结构
CN214694432U (zh) 一种阳极结构、电极机构及电镀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