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073B1 - 화상 표시 시스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시스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073B1
KR101611073B1 KR1020140121936A KR20140121936A KR101611073B1 KR 101611073 B1 KR101611073 B1 KR 101611073B1 KR 1020140121936 A KR1020140121936 A KR 1020140121936A KR 20140121936 A KR20140121936 A KR 20140121936A KR 101611073 B1 KR101611073 B1 KR 10161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terminal
interface unit
portab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477A (ko
Inventor
하지메 아끼모또
도시히로 사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5003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1)의 이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7)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이면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8a)를 대면시킨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를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겹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8)를 통한 정전 용량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시스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IMAGE DISPLAY SYSTEM, SHEETLIKE DISPLAY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시스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8036호 공보에는, 컴퓨터가 취득한 화상을, 컴퓨터와는 별도의 부재의 모니터에 표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8036호 공보에서는, 컴퓨터와 모니터가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화상의 데이터가 USB 케이블에 의해 모니터에 공급된다.
그런데, 빈번하게 이용되는 메인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그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서브 휴대 단말기(예를 들어, 태블릿 단말기)와 함께 휴대한 것이 일반적으로 되고 있다.
메인 휴대 단말기 외에, 서브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는 이점은, 화상을 어느 정도 큰 화면에서 시청할 수 있는 점에 있지만, 한편, 휴대 단말기를 2대 휴대하는 것은 중량의 면에서 부담이 크다.
따라서, 서브 휴대 단말기를 메인 휴대 단말기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대체하고, 메인 휴대 단말기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및 전력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공급하는 것이 생각된다. 서브 휴대 단말기를,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회로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로 대체하면, 휴대 단말기를 2대 휴대하는 것보다도 중량의 면에서 부담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해도, 유저는 어느 정도 큰 화면에서 화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전기적인 접속은, 가능한 한 간편하게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와, 그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는 경우보다, 어느 정도 큰 화면에서 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전원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의 상기 전원에 기초하는 전력의 송신에 사용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전력의 수신에 사용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력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픽셀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의 소정면 중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 중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 중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 중의 다른 쪽에, 상기 볼록부의 형상에 따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감입됨으로써,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져도 좋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용량 결합 또는 전자 결합에 의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용량 결합에 의해,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인력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에 요구되는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데이터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포맷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픽셀 데이터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가 복수 구비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복수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어느 한쪽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에 따른 상기 포맷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기준 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는 전압을 감시하는 모니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모니터부의 감시 결과에 따라서, 송신해야 할 전력의 양의 변경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전력을 축적하는 2차 전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2차 전지에 축적된 전력에 기초해서, 상기 픽셀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로서, 전원,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픽셀 데이터 및 상기 전원에 기초하는 전력의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의 송신에 사용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전력의 수신에 사용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력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픽셀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의 소정면 중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자장치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 중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자장치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원과, 신호 및 전력의 수신에 사용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픽셀 데이터 및 상기 전원에 기초하는 전력의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의 송신에 사용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자장치의 하우징의 소정면 중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 중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에서의, 휴대 단말기 및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에서의, 휴대 단말기 및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화소 포맷 A에서의 픽셀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화소 포맷 B에서의 픽셀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에 대해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표시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시스템(100)은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포함한다.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휴대 단말기(1)가 취득한 화상을 시청하기 위해 사용되고, 휴대 단말기(1)와 함께 유저에게 휴대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휴대 단말기(1)는 휴대 전화로서 실현된다. 휴대 단말기(1)는 액정 디스플레이(3)를 구비한다. 액정 디스플레이(3)와 도시하지 않은 터치 패드에 의해 터치 스크린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는 휴대 단말기(1)를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7)를 구비한다. 도 2는 인터페이스부(7)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인터페이스부(7)는 직사각형을 갖고, 휴대 단말기(1)의 하우징 화상 표시면[액정 디스플레이(3)가 구비된 면]의 이면 중의 인터페이스 영역(5)에 설치된다.
한편,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액정 디스플레이(3)보다 큰 디스플레이(4)(여기서는,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도 1 참조). 디스플레이(4)와 도시하지 않은 터치 패드에 의해 터치 스크린이 실현되어 있다. 또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휴대 단말기(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8)를 8개 구비한다. 도 3은 인터페이스부(8)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인터페이스부(8)는 인터페이스부(7)(도 3 참조)와 동일 형상을 갖고, 화상 표시면[디스플레이(4)가 구비된 면]의 이면 중의 8개의 인터페이스 영역(6)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각 인터페이스부(8)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중심에 대해 점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3에서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긴 변 부근의 인터페이스부(8)를 인터페이스부(8a)로 표기하고,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짧은 변 부근의 인터페이스부(8)를 인터페이스부(8b)로 표기하고 있다.
이 화상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소정 조건 하에,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인터페이스부(7) 및 인터페이스부(8)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인터페이스 영역(5)(도 2 참조)과 어느 쪽인가의 인터페이스 영역(6)(도 3 참조)을 대면시킨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겹쳐지면(후술하는 도 4a 및 도 4b 참조), 인터페이스부(7)와 상기 인터페이스 영역(6)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8)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저는, 인터페이스부(7)를 어느 쪽인가의 인터페이스부(8)에 중첩하는 것만으로,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서는,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a)를 중첩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겹쳐져 있다. 이 경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통상, 세로 방향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도 4b에서는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b)를 중첩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겹쳐져 있다. 이 경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통상, 가로 방향으로 보유 지지된다.
도 5는 휴대 단말기(1)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는 액정 디스플레이(3) 및 인터페이스부(7) 외에, 드라이버 LSI(9)와, 마이크로프로세서(11)와, 2차 전지(13)와, 메모리(15)와, 무선 인터페이스(17)와, 신호 처리 회로(19)와, 제어 회로(21)를 구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 메모리(15), 신호 처리 회로(19) 및 제어 회로(21)는 버스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디스플레이(4)와 8개의 인터페이스부(8) 외에, 드라이버 LSI(10)와, 제어 회로(12)를 구비한다. 이들은 플렉시블 기판 상에 설치되어 있다. 단, 인터페이스부(8)는, 다른 구성 요소와는 반대인 면에 설치되어 있다.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구성은 화상의 표시에 특화되어 있고, 2차 전지(13)와 같은 전원 장치나 신호 처리 회로(19)와 같은 신호 처리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매우 경량으로 되어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
휴대 단말기(1)는, 예를 들어, 스트림 배신되는 화상을 취득한다. 즉, 안테나인 무선 인터페이스(17)가, 스트림 배신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신호 처리 회로(19)가, 이 전기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로 얻어진 표시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는 취득한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3)에 표시시킨다. 즉, 휴대 단말기(1)는, 우선,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생성부)가, 메모리(15)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신호 처리 회로(19)로부터 수취한 표시 데이터로부터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픽셀 데이터를 드라이버 LSI(9)에 출력한다. 픽셀 데이터에는, 각 화소의 화소값이 포함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는 취득한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3)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 LSI(9)가, 2차 전지(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기초해서, 픽셀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3)에 표시시킨다.
단, 휴대 단말기(1)는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취득한 화상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표시시킨다. 즉, 휴대 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7)를 통하여, 픽셀 데이터를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21)가, 픽셀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인터페이스부(7)에 출력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7)를 통하여, 2차 전지(13)에 기초하는 전력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21)가, 디스플레이(4)에 구비되는 발광 수단(여기서는, 유기 EL 소자)을 점등시키기 위한 전력(이하, 점등용 전력이라고 표기함)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 회로(21)가, 디스플레이(4)의 각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이하, 구동용 전력이라고 표기함)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는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부(7)를 통하여, 픽셀 데이터나 전력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는 인터페이스부(7)를 어느 쪽인가의 인터페이스부(8)에 중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휴대 단말기(1)에서 취득한 화상을, 간단한 작업으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서는 인터페이스부(8)를 통하여 수신된 픽셀 데이터 및 전력이 제어 회로(12)에 입력된다. 제어 회로(12) 및 드라이버 LSI(10)(표시 제어부)는 입력된 전력에 기초해서, 픽셀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디스플레이(4)에 표시시킨다. 즉, 제어 회로(12)가, 픽셀 데이터 및 구동용 전력을 드라이버 LSI(10)에 출력하고, 드라이버 LSI(10)가, 구동용 전력에 기초해서, 픽셀 데이터 중의 화소값을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4) 내의 각 화소에 영상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제어 회로(12)는 점등용 전력에 기초해서, 발광 수단을 점등하기 위한 직류 점등용 전압을, 디스플레이(4)에 구비된 발광 수단에 공급한다.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는,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7) 및 인터페이스부(8)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7a 및 도 7b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는 휴대 단말기(1)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7)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b는 인터페이스부(7)의 VIIB-VII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부호 23은 휴대 단말기(1)의 하우징의 벽을 나타내고 있다. 벽(23)의 우측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되고, 좌측이 내측으로 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7)는 점등용 전력 송신용 단자(7B)와, 2개의 구동용 전력 송신용 단자(7C)와, 2개의 신호 송수용 단자(7D)를 구비한다. 이들은, 보호 절연막(7A)에 의해 덮여져 있다. 점등용 전력 송신용 단자(7B)는 점등용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단자이며, 점등용 전력이 입력된다. 점등용 전력 송신용 단자(7B)는 인터페이스부(7)의 중앙에 설치되고, 2개의 전극이 구비된다. 또한, 구동용 전력 송신용 단자(7C)는 구동용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단자이며, 구동용 전력이 입력된다. 구동용 전력 송신용 단자(7C)에는 2개의 전극이 구비된다. 또한, 신호 송수용 단자(7D)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거나 하기 위한 단자이며, 상술한 픽셀 데이터 등이 입력된다. 신호 송수용 단자(7D)에는 2개의 전극이 구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등용 전력 송신용 단자(7B)는 전력 정격을 올리기 때문에, 구동용 전력 단자(7C)보다 사이즈가 크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올리기 때문에, 한쪽 신호 송수용 단자(7D)가 신호의 송신용에 사용되고, 다른 쪽 신호 송수용 단자(7D)가, 신호의 수신용에 사용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7)는 하우징의 내측에 자성체(7E)를 구비하고 있다. 자성체(7E)는, 그 일부에,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석부(7G)를 포함한다. 전자석부(7G)에는 코일이 권취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7)는 보호 절연막(7A)의 표면에 2개의 볼록부(7F)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7F)의 의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 8a 및 도 8b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8)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b는 인터페이스부(8)의 VIIIB-VIII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부호 14는 플렉시블 기판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8)는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와, 구동용 전력 수신용 단자(8C)와, 신호 송수용 단자(8D)를 구비한다. 이들은, 절연체인 보호 필름(8A)으로 덮여져 있다.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는 점등용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단자이다. 또한,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는 인터페이스부(8)의 중앙에 설치되고, 2개의 전극이 구비된다. 또한, 구동용 전력 수신용 단자(8C)는 구동용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단자이다. 구동용 전력 수신용 단자(8C)에는 2개의 전극이 구비된다. 또한, 신호 송수용 단자(8D)는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거나 하기 위한 단자이다. 신호 송수용 단자(8D)에는 2개의 전극이 구비된다. 신호 송수용 단자(8D)를 통하여, 예를 들어, 픽셀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예를 들어, 유저가 지시한 터치 스크린 내의 위치의 위치 좌표가 송신되거나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8)는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 등과는 반대측에 자성체(8E)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전자석부(7G)에 의해, 자성체(7E)와 자성체(8E) 사이에 자력이 발생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8)는 보호 필름(8A)의 표면에, 2개의 오목부(8F)를 더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8F)는 볼록부(7F)의 형상에 따른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각 볼록부(7F)가 오목부(8F)에 감입됨으로써, 휴대 단말기(1)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겹쳐져 고정된다. 그 결과로서,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점등용 전력 송신용 단자(7B)와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로 콘덴서가 형성되고, 정전 용량 결합에 의해,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점등용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구동용 전력 송신용 단자(7C)와 구동용 전력 수신용 단자(8C)로 콘덴서가 형성되고, 정전 용량 결합에 의해,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구동용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신호 송수용 단자(7D)와 신호 송수용 단자(8D)로 콘덴서가 형성되고, 정전 용량 결합에 의해,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정전 용량 결합이 아니라 전자 결합에 의해,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 신호 송수용 단자(7D)와 신호 송수용 단자(8D)에, 전극이 아니라 코일을 구비시키면 된다.
도 9 및 도 10은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에서의, 휴대 단말기(1) 및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 인터페이스부(7)와 중첩된 인터페이스부(8)의 것을 인터페이스부(8X)라고 표기한다.
우선, 휴대 단말기(1)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기동하기 위한 기동 신호를, 신호 송수용 단자(7D)를 통하여,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송신한다(S101).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21)(도 5 참조)가, 기동 신호를, 신호 송수신용 단자(7D)에 출력한다. 기동 신호는 인터페이스부(8X)의 신호 송수신용 단자(8D)(도 8a 참조)를 통하여 수신되고,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기동 상태가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는 구동용 전력의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의 송신을 개시한다(S102).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21)(도 5 참조)가, 2차 전지(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기초해서, 구동용 전력을, 구동용 전력 송신용 단자(7C)에 출력한다. 구동용 전력은 인터페이스부(8X)의 구동용 전력 수신용 단자(8C)(도 8a 참조)를 통하여 수신되고, 제어 회로(12)(도 6 참조)에 입력된다.
그리고, 기동 상태가 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디스플레이(4)에 표시되는 화상에 요구되는 화소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8X)의 신호 송수용 단자(8D)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한다(S103).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12)(도 6 참조)가, 포맷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인터페이스부(8X)의 신호 송수용 단자(8D)에 출력한다.
여기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인터페이스부(7)와 중첩된 인터페이스부(8)에 따른 포맷 데이터를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인터페이스부(8X)가 인터페이스부(8a)(도 4a 참조)인 경우, 화소 포맷 A를 나타내는 포맷 데이터 A를 송신하고, 인터페이스부(8X)가 인터페이스부 인터페이스부(8b)(도 4b 참조)인 경우, 화소 포맷 B를 나타내는 포맷 데이터 B를 송신한다.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세로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경우(도 4a 참조), 포맷 데이터 A가 송신된다. 또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가로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경우(도 4b 참조), 포맷 데이터 B가 송신된다.
신호 송수용 단자(7D)를 통하여 수신된 포맷 데이터는 제어 회로(21)를 지나,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 입력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포맷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화소 포맷에서 픽셀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1a는 화소 포맷 A에서의 픽셀 데이터를 나타내고, 도 11b는 화소 포맷 B에서의 픽셀 데이터를 나타낸다. 양쪽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맷 데이터가 화소 포맷 A를 나타내는 경우, 세로로 긴 화소 포맷에서 픽셀 데이터가 생성되고, 포맷 데이터가 화소 포맷 B를 나타내는 경우, 가로로 긴 화소 포맷에서 픽셀 데이터가 생성된다. 그로 인해,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방향에 따라서, 화상의 종횡비가 변화하게 된다.
S103에서 포맷 데이터를 송신하면,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는 발광 수단을 점등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준 전력(전력량)을 지시하는 기준 전력 지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8X)의 신호 송수용 단자(8D)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한다(S104).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12)가, 인터페이스부(8X)의 신호 송수용 단자(8D)에, 기준 전력 지시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기준 전력은 미리 정해져 있다. 기준 전력 지시 데이터는 신호 송수용 단자(7D)를 통하여 수신되고, 제어 회로(21)에 입력된다.
기준 전력 지시 데이터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기(1)는 전자석부(7G)(도 7a 및 도 7b 참조)를 구동시킨다(S105). 구체적으로는, 제어 회로(21)가, 전자석부(7G)에 권취된 코일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휴대 단말기(1)는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X)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는 픽셀 데이터의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의 송신을 개시한다(S106).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21)가, 마이크로프로세서(11)가 픽셀 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생성된 픽셀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를, 신호 송수용 단자(7D)에 출력한다. 픽셀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8X)의 신호 송수용 단자(8D)를 통하여 수신되고, 제어 회로(12)에 입력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1)는 점등용 전력의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의 송신을 개시한다(S107).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21)가, 2차 전지(13)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기초해서, 기준 전력 지시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기준 전력에 따른 양의 전력을, 점등용 전력으로서 점등용 전력 송신용 단자(7B)에 출력한다. 점등용 전력은 인터페이스부(8X)의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를 통하여 수신되고, 제어 회로(12)에 입력된다. 제어 회로(12)는 점등용 전력에 기초해서, 점등용 전압을 디스플레이(4)에 구비되는 발광 수단에 공급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로부터 송신된 점등용 전력이 손실되는 일 없이 수신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회로(12)는 발광 수단의 점등 중, 점등용 전압이 발광 수단을 점등시키는 데 필요한 정전압을 하회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 감시하고, 점등용 전압이 상기 정전압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등용 전력의 양의 증가를 지시하는 증가 지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8X)의 신호 송수용 단자(8D)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 회로(12)는 휴대 단말기(1)[정확하게는, 제어 회로(21)]에 점등용 전력의 증가를 지시하고, 이에 의해, 점등용 전압이 상기 정전압을 하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화상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휴대 단말기(1)가,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고, 픽셀 데이터 및 전력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공급한다. 그로 인해,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신호 처리 회로(19)나 2차 전지(13)를 구비시키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어느 정도 큰 화면에서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휴대 단말기(1)와, 디스플레이(4)와 동일 정도의 크기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는 경우보다 적은 부담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인터페이스부(7)를 어느 쪽인가의 인터페이스부(8)에 중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로 인해, 유저는, 간단한 작업으로,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 화상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볼록부(7F)를 오목부(8F)에 끼워 넣음으로써, 인터페이스부(7)가 인터페이스부(8)에 중첩된다. 그로 인해, 인터페이스부(7)의 위치가 인터페이스부(8)에 대해 어긋나는 일이 없도록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7F)가 인터페이스부(8)에 구비되고, 또한, 오목부(8F)가 인터페이스부(7)에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이 화상 표시 시스템(100)에서는, 전자석부(7G)에 의해,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 사이에 인력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가 오류로 이격되는 일이 없도록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7)와 인터페이스부(8)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7G)가, 인터페이스부(8)에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전자석부(7G) 대신에 영구 자석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4)는, 액정 디스플레이이어도 좋다. 이 경우, 백라이트가 발광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를 통하여 수신한 전력을 축적하는 소용량의 백업용 2차 전지(예를 들어, 박막 2차 전지)를 구비시켜도 좋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 경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백업용 2차 전지에 축적된 전력에 기초해서, 점등용 전압을 발광 수단에 공급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 경우에, 블랙 아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홀드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 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백업용 2차 전지(16)가 더 구비된다. 이 형태에서는, 제어 회로(12)는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안,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8B)를 통하여 수신한 점등용 전력을 백업용 2차 전지(16)에 출력하고, 점등용 전력을 백업용 2차 전지(14)에 충전하는 것도 행한다. 이러한 점에서, 제어부(12)가, 휴대 단말기(1)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 경우에, 백업용 2차 전지(16)에 축적된 전력에 기초해서, 점등용 전압을 발광 수단에 공급하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화상의 취득을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가 행해도 좋다. 즉,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내장 안테나를 구비시켜도 좋다. 도 13은, 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이 형태에 있어서의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2)에, 제어 회로(12)에 접속된 내장 안테나(18)가 더 구비된다. 이 형태에서는, 내장 안테나(18)가, 스트림 배신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제어 회로(12)가, 이 전기 신호를 신호 송수용 단자(8D)에 출력하고, 휴대 단말기(1)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에서는, 이 전기 신호가, 신호 송수용 단자(7D)를 통하여 제어 회로(21)에 입력되고, 제어 회로(21)가, 이 전기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19)에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회로(19)에서 이 전기 신호가 복조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서 픽셀 데이터가 생성되게 된다. 이 형태에서는, 무선 인터페이스(17)(도 5 참조)뿐만 아니라, 내장 안테나(18)도, 외부로부터의 화상의 취득에 사용된다. 그로 인해,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스트림 배신되는 화상의 표시를 보다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확실한 실시예들인 것으로 현재 생각되는 것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들에 대해 다양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첨부된 클레임은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 내의 모든 그러한 변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 : 휴대 단말기
2 :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3 : 액정 디스플레이
4 : 디스플레이
5, 6 : 인터페이스 영역
7, 8, 8a, 8b : 인터페이스부
7A : 보호 절연막
7B : 점등용 전력 송신용 단자
7C : 구동용 전력 송신용 단자
7D, 8D : 신호 송수용 단자
7E, 8E : 자성체
7F : 볼록부
7G : 전자석부
8A : 보호 필름
8B : 점등용 전력 수신용 단자
8C : 구동용 전력 수신용 단자
8F : 오목부
9, 10 : 드라이버 LSI
11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21 : 제어 회로
13 : 2차 전지
14 : 플렉시블 기판
15 : 메모리
16 : 백업용 2차 전지
18 : 내장 안테나
17 : 무선 인터페이스
19 : 신호 처리 회로
23 : 하우징의 벽
100 : 화상 표시 시스템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전원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와의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의 상기 전원에 기초하는 전력의 송신에 사용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전력의 수신에 사용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력에 기초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픽셀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의 소정면 중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 중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가 복수 구비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복수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에 요구되는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데이터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포맷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 중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 중의 다른 쪽에, 상기 볼록부의 형상에 따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감입됨으로써,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지는, 화상 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용량 결합 또는 전자 결합에 의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되는, 화상 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용량 결합에 의해,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접속되는, 화상 표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인, 화상 표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인력 발생부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기준 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는 전압을 감시하는 모니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모니터부의 감시 결과에 따라서, 송신해야 할 전력의 양의 변경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전력을 축적하는 2차 전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2차 전지에 축적된 전력에 기초해서, 상기 픽셀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화상 표시 시스템.
  12.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로서,
    전원,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픽셀 데이터 및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구동하는 구동용 전력의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의 송신에 사용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전력의 수신에 사용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구동용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픽셀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의 소정면 중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자장치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 중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자장치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13. 전원과,
    제2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픽셀 데이터 및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구동하는 구동용 전력을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송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를 구비하고,
    자장치의 하우징의 소정면 중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 중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 단말기.
  14. 휴대 단말기와,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전원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나타내는 픽셀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와의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및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의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구동하는 구동용 전력의 송신에 사용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픽셀 데이터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의 신호 송수신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상기 구동용 전력의 수신에 사용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구동용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픽셀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우징의 소정면 중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1 인터페이스 영역과,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화상 표시면의 이면 중의,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대응하는 제2 인터페이스 영역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겹쳐짐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화상 표시 시스템.
KR1020140121936A 2013-09-18 2014-09-15 화상 표시 시스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KR101611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2688 2013-09-18
JP2013192688A JP6219647B2 (ja) 2013-09-18 2013-09-18 画像表示システム、シートディスプレイ端末、及び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477A KR20150032477A (ko) 2015-03-26
KR101611073B1 true KR101611073B1 (ko) 2016-04-08

Family

ID=5266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936A KR101611073B1 (ko) 2013-09-18 2014-09-15 화상 표시 시스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77309A1 (ko)
JP (1) JP6219647B2 (ko)
KR (1) KR101611073B1 (ko)
CN (1) CN1044614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2105A1 (de) * 2011-06-16 2012-12-20 Printechnologics Gmbh Mittel zur unidirektionalen oder bidirektionalen datenübertrag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501A (ja) * 1997-10-01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非接触icカードシステムとその伝送電力制御方法
JP2001223969A (ja) * 1999-07-05 2001-08-1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印刷装置及び方法、画像印刷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AU2001248773A1 (en) * 2000-05-26 2001-12-03 Craftec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system andinformation recorded medium
JP2005063140A (ja) * 2003-08-12 2005-03-10 Fujita Denki Seisakusho:Kk Rfidリーダライタ及びicタグの構造
KR100875694B1 (ko) * 2003-09-04 2008-12-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US7962186B2 (en) * 2007-10-24 2011-06-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ical power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540475B1 (ko) * 2007-11-30 2015-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JP5691597B2 (ja) * 2011-02-10 2015-04-01 ソニー株式会社 近接通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67179B2 (en) * 2010-01-28 2013-06-18 Cruxcase, Llc Tablet computer case and associated methods
KR101718715B1 (ko) * 2010-04-28 201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공진 대역폭의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1155939A1 (en) * 2010-06-10 2011-12-1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Communication between touch-panel devices
US9496743B2 (en) * 2010-09-13 2016-11-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feed system
US9851849B2 (en) * 2010-12-03 2017-12-26 Apple Inc. Touch device communication
JP5811602B2 (ja) * 2010-12-16 2015-11-1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895491B2 (ja) * 2011-12-06 2016-03-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の中継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の表示媒体、通信システム
US9325380B2 (en) * 2012-12-28 2016-04-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fer via near field intera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2105A1 (de) * 2011-06-16 2012-12-20 Printechnologics Gmbh Mittel zur unidirektionalen oder bidirektionalen datenübertrag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477A (ko) 2015-03-26
JP2015061153A (ja) 2015-03-30
CN104461421A (zh) 2015-03-25
JP6219647B2 (ja) 2017-10-25
US20150077309A1 (en)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83000B2 (en) An accessory with a magnetic relay structur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602907B2 (en) Earbud charging case
US11988843B2 (en) Wearable device, battery used in the same, and power supply system
EP2472353B1 (en) Mobile terminal
US9176536B2 (en) Wireless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s
US9444276B2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being charg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US8610398B2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024096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126572A1 (en) Earbud charging case
US95312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80212447A1 (en) Electronic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apparatus
KR20130089479A (ko) 이동 단말기와 연결장치 간의 커넥팅 시스템
KR101611073B1 (ko) 화상 표시 시스템, 시트 디스플레이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CN101470479A (zh) 托架装置以及能连接到托架装置的电子设备
KR20180044687A (ko) Hmd 디바이스
KR20170090896A (ko) 무선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90069686A (ko) 확장형 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
EP3832833A1 (en) Wireless electric charging unit and system
JP5918407B2 (ja) 電子装置および操作表示装置
JP2004289902A (ja) 通信機器の充電器
KR101234871B1 (ko)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JP2004348196A (ja) コードレス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の充電機器
KR2019001949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7498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착탈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