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871B1 -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871B1
KR101234871B1 KR1020110042188A KR20110042188A KR101234871B1 KR 101234871 B1 KR101234871 B1 KR 101234871B1 KR 1020110042188 A KR1020110042188 A KR 1020110042188A KR 20110042188 A KR20110042188 A KR 20110042188A KR 101234871 B1 KR101234871 B1 KR 101234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dule
receiving module
pair
transmis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339A (ko
Inventor
심경준
Original Assignee
심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경준 filed Critical 심경준
Priority to KR102011004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8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모듈에 내장된 1차 코일부와 수신모듈에 내장된 2차 코일부 상호 간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무접점 전원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USB 인터페이스 모듈로 정면부에는 전자기기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상기 송신모듈과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 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모듈은 1차 코일부로 구성된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 내측에는 상기 수신모듈의 상기 한 쌍의 체결 홈과 결합되는 한 쌍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모듈 상단 양 측면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접점이 없이 핸드폰, MP3,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로 충전시킬 수 있어 별도의 충전 잭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는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정보나 데이터를 PC로 옮겨 저장하거나, PC 내의 데이터를 MP3, 핸드폰 및 디지털 카메라로 별도의 신호 전달 라인을 연결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로 충전과 동시에 플레이 시킬 수 있어, 전자기기가 충전될 때까지 별도의 시간을 소모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나아가,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플레이 시키지 않고, 송신모듈의 지지부에 접속하여 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목과 어깨 등에 무리를 주지 않아 건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NON-CONTACT CHARG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별도의 접점이 없이 핸드폰, MP3,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로 충전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킬 수 있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모듈의 1차 코일부에 발생된 자기력을 통하여 수신모듈의 2차 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을 형성하여 수신모듈과 접속하는 전자기기를 별도의 접점 없이 충전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킬 수 있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MP3, 디지털카메라 등의 전자기기는 휴대하여 들고 다니며 사용하다가,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면 그 전력을 보충하기 위하여 충전을 해야 하는 전자제품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자제품의 충전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별도의 충전 잭을 형성하고, 전자기기의 일 측면에 형성된 잭 커넥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상용전류를 충전 잭과 잭 커넥터를 통하여 축전지에 전송하고 이 전류를 충전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사용을 위해서 항상 충전 잭과 잭 커넥터의 접지를 위한 접점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접점은 잘못된 삽입결합을 통하여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도 많고, 의복에 걸려 접점이 손상될 우려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 전자기기를 충전할 경우에는, 해당 전자기기를 플레이 할 수 없어 충전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한편,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정보나 데이터를 PC(personal computer)로 옮겨 저장하거나, PC 내의 데이터를 MP3, 핸드폰 및 디지털 카메라로 저장하는 종래의 방식은, 별도의 신호 전달 라인을 PC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PC에 깔린 콘텐츠 프로그램을 매개로 달성하고 있다. 즉, PC에는 USB를 통해서 연결하고 전자기기에는 별도의 커넥터로 연결되는 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라인을 통해서 데이터의 전달 및 편집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폰 등을 플레이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손에 들고 실행할 수밖에 없어 손목과 어깨 등에 무리를 주는 등의 건강상에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접점이 없이 핸드폰, MP3,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킬 수 있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신모듈의 1차 코일부에 발생된 자기력을 통하여 수신모듈의 2차 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을 형성하여 수신모듈과 접속하는 전자기기를 별도의 접점 없이 충전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충전 중인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킬 수 있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는,
송신모듈에 내장된 1차 코일부와 수신모듈에 내장된 2차 코일부 상호 간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무접점 전원공급 장치로서,
상기 수신모듈은 USB 인터페이스 모듈로 정면부에는 전자기기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상기 송신모듈과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 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모듈은 1차 코일부로 구성된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 내측에는 상기 수신모듈의 상기 한 쌍의 체결 홈과 결합되는 한 쌍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모듈 상단 양 측면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송신모듈의 수직축과 지면으로부터 90도 이내의 경사각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직렬의 데이터(D+)와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D-)가 전송되는 라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체결 홈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 결합되어 직렬의 데이터와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를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수신모듈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체결 홈과 결합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상기 송신모듈로 직렬의 데이터와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모듈은, 모듈 하단에 컨트롤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상기 한 쌍의 체결 홈을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수신모듈 정면부에 접속 및 상기 송신모듈의 지지부에 체결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방법은,
송신모듈에 내장된 1차 코일부와 수신모듈에 내장된 2차 코일부 상호 간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무접점 전원공급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과 전자기기를 접촉하는 단계;
상기 송신모듈의 양 측면에 구비된 지지부에 상기 전자기기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에 각각 내장된 1, 2차 코일부 상호 간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플레이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모듈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에 상기 수신모듈의 배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체결 홈을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모듈과 전자기기를 접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모듈의 정면부와 전자기기를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신모듈 하단부에 구비된 컨트롤부를 조정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접점이 없이 핸드폰, MP3,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로 충전시킬 수 있어 별도의 충전 잭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는 핸드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정보나 데이터를 PC로 옮겨 저장하거나, PC 내의 데이터를 MP3, 핸드폰 및 디지털 카메라로 별도의 신호 전달 라인을 연결하지 않고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로 충전과 동시에 플레이 시킬 수 있어, 전자기기가 충전될 때까지 별도의 시간을 소모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나아가,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플레이 시키지 않고, 송신모듈의 지지부에 접속하여 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손목과 어깨 등에 무리를 주지 않아 건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에 있어서, 송신모듈, 수신모듈(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전자기기의 상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수신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a)와 (b)는 각각 수신모듈의 정면부 및 배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송신모듈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체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송신모듈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에 있어서, 송신모듈(101), 수신모듈(USB 인터페이스 모듈,102) 및 전자기기(103)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는, 전원부(104)가 연결된 송신모듈(101) 및 수신모듈(102)로 구성되며, 수신모듈(102)에 전자기기(103)가 결합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송신모듈(101)에 전원부(104)를 연결하여 전원이 송신모듈(101)에 인가되면, 송신모듈(101)에 내장된 1차 코일부(105)에 교류전류가 흐르고, 수신모듈(102)에 내장된 2차 코일부(106)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1, 2차 코일부(105, 106) 간의 자기장을 집속(focusing)시키는 페라이어트(pryite) 재질의 자속 코어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송신모듈(101)과 수신모듈(102) 간의 접점 없이 송신모듈(101)에서 수신모듈(102)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송신모듈(101)에서 수신모듈(102)로 전원이 공급되면, 수신모듈(102)에 전자기기(103)를 접촉시켜 별도의 접점 없이도 전자기기(103)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송신모듈(101)의 1차 코일부(105)에서 발생된 자기력을 통하여 수신모듈(102)의 2차 코일부(106)에 유도 기전력이 형성되고, 수신모듈(102)과 무접점으로 접촉하는 전자기기(103)에 유도 기전력이 전달되어 전자기기(103)에 전원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전자기기(103)는 수신모듈(102)의 2차 코일부(106)에서 형성한 유도 기전력을 수신하여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코일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전자기기(103)의 코일부는 다시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별도의 접점 없이도 전자기기(103)의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자기기(103)의 내부에 코일부를 형성하는 구성은 통상의 무접점 충전장치의 유도 기전력으로부터 충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하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접점 충전 기술의 장점으로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으로 충전 단자를 제거할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충전용 금속 단자가 습기와 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의복 등의 외부 환경과 접촉될 때 정전기가 회로로 유기되어 전자기기(103)의 오동작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신모듈(102)의 정면부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수신모듈(102)의 2차 코일부(106)에서 형성된 유도 기전력이 전자기기(103)의 미도시한 내부 코일부에 전달되고, 충전이 되는 구조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외관에 접촉 단자가 사라짐으로 인해 전자기기(103)의 디자인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방수기능에 대한 가능성 등 품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전원부(104)와 송신모듈(101) 사이에 PC를 접속하여 전자기기(103)의 데이터를 PC로 전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PC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어, 별도의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없이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수신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a)와 (b)는 각각 수신모듈의 정면부 및 배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송신모듈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송신모듈(101)은 체결부(301), 지지부(302), 컨트롤부(303), 디스플레이부(304)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301)는 1차 코일부(105)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결부(301) 내측에는 수신모듈(102)의 한 쌍의 체결 홈(201)과 결합되는 한 쌍의 돌출부(30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돌출부(305)는 USB(D+, D-) 전송라인일 수 있다. USB 포트는 4개의 전기적 신호라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번째 라인은 공급 전원과 연결되는 신호라인이고, 두 번째 신호 라인은 접지 전원과 연결되는 신호라인이다. 또한, 세 번째 및 네 번째 신호라인은 각각 데이터가 전송되는 라인으로, 세 번째 라인을 통해 직렬의 데이터(D+)가 전송되고, 네 번째 라인으로는 직렬의 데이터를 반전한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D-)가 전송된다. 이처럼 직렬의 데이터(D+)와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D-)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305) 및 한 쌍의 체결 홈의 결합을 통해서 송신모듈(101)의 데이터를 전자기기(103)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기기(103)의 데이터를 송신모듈(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체결부(301) 내측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305)에 수신모듈(102)의 배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체결 홈(201)을 결합시킨다. 이후, 전자기기(103)를 무접점으로 충전하기 위하여 수신모듈(102)의 정면부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송신모듈(102)의 양 끝단에 구비된 지지부(302)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되면, 송신모듈(101)에 내장된 1차 코일부(105)에 교류전류가 흐르게 되고, 그 결과 수신모듈(102)에 내장된 2차 코일부(106)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2차 코일부(106)에서 발생된 유도 기전력으로 전원이 발생하여 별도의 접점 없이도 전자기기(103)로 전원이 충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체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체결부(301)는 1차 코일부(105)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결부(301) 내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305)가 구비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305)는, 수신모듈(102)의 배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체결 홈(201)과 결합된다. 체결부(301)는 송신모듈(101)의 수직축과 지면으로부터 90도 이내의 각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전자기기(103)의 디스플레이부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면으로부터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송신모듈의 측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송신모듈(102)의 상단 양 측면에는 전자기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30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송신모듈(102)에는 별도의 컨트롤부(303)와 디스플레이부(304)가 구비될 수 있다. 송신모듈(101)은 일반적으로 “크래들”이라고 불리는 기기이다. 크래들은 탑재된 모바일계 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점과, PC와의 직접적인 접속 수단을 가지며, 양 장치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실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크래들은 PC근처에 둠으로써 모바일계 기기와 PC와의 친화성을 늘리고, 크래들의 개재에 의해 모바일계 기기의 사용감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의 송신모듈은, 전자기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플레이 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신모듈(101)은 별도의 컨트롤부(303)와 디스플레이부(304)를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부(303)는 전자기기(103)를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103)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상세한 설명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직접적으로 접촉할 필요 없이, 송신모듈(101)의 컨트롤부(303)에 표시된 통화키를 눌러 통화를 시도하거나 볼륨 키를 조정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였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4)는 현재의 시간이나 전자기기의 충전 정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쉽게 지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무접점 전원충전 장치는 전자기기(103)를 무접점으로 충전함과 동시에 플레이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모듈(101)의 체결부(301)가 지면으로부터 약 45도 경사가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쉽게 볼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송신모듈에 구비된 컨트롤부(303)를 사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채널이나 볼륨을 조정하기 위해 따로 전자기기를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송신모듈 102: 수신모듈
103: 전자기기 104: 전원부
105: 1차 코일부 106: 2차 코일부
201: 체결홈 301: 체결부
302: 지지부 303: 컨트롤부
304: 디스플레이부 305: 돌출부

Claims (10)

  1. 송신모듈에 내장된 1차 코일부와 수신모듈에 내장된 2차 코일부 상호 간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무접점 전원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USB 인터페이스 모듈로 정면부에는 전자기기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구비되어 있고, 배면부에는 상기 송신모듈과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 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모듈은, 1차 코일부로 구성된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 내측에는 상기 수신모듈의 상기 한 쌍의 체결 홈과 결합되는 한 쌍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모듈 상단 양 측면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수신모듈의 정면부에 구비된 접촉면에 무접점으로 접촉되고 상기 송신모듈의 지지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송신모듈의 1차 코일부에 발생된 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수신모듈의 2차 코일부에 형성된 유도 기전력을 내부의 코일부를 통해 수신하여 전원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송신모듈의 수직축과 지면으로부터 90도 이내의 경사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직렬의 데이터(D+)와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D-)가 전송되는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 홈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 결합되어 직렬의 데이터와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를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수신모듈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체결 홈과 결합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를 통하여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상기 송신모듈로 직렬의 데이터와 반전된 직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모듈 하단에 컨트롤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상기 한 쌍의 체결 홈을 결합하고, 상기 전자기기를 상기 수신모듈 정면부에 접속 및 상기 송신모듈의 지지부에 체결하면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플레이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7. 송신모듈에 내장된 1차 코일부와 수신모듈에 내장된 2차 코일부 상호 간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무접점 전원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과 전자기기를 접촉하는 단계;
    상기 송신모듈의 양 측면에 구비된 지지부에 상기 전자기기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에 각각 내장된 1, 2차 코일부 상호 간의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플레이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송신모듈의 1차 코일부에 발생된 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수신모듈의 2차 코일부에 형성된 유도 기전력을 내부의 코일부를 통해 수신하여 전원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을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모듈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에 상기 수신모듈의 배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체결 홈을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과 전자기기를 접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모듈의 정면부와 전자기기를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신모듈 하단부에 구비된 컨트롤부를 조정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전원 충전방법.
KR1020110042188A 2011-05-03 2011-05-03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KR101234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188A KR101234871B1 (ko) 2011-05-03 2011-05-03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188A KR101234871B1 (ko) 2011-05-03 2011-05-03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339A KR20120124339A (ko) 2012-11-13
KR101234871B1 true KR101234871B1 (ko) 2013-02-19

Family

ID=475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188A KR101234871B1 (ko) 2011-05-03 2011-05-03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8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00B1 (ko) 2006-06-14 2007-08-1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무접점 충전기
JP2009159686A (ja)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給電アダプタ
KR20100010648U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00B1 (ko) 2006-06-14 2007-08-17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무접점 충전기
JP2009159686A (ja) 2007-12-25 2009-07-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給電アダプタ
KR20100010648U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무접점 충전 정위치 표시기능이 구비된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339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2892B2 (en) Contactless battery charger
US839535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5038875A (ja) 光信号経路を有する磁気コネクタ
KR101406234B1 (ko) 스마트폰용 무선충전장치
CN104378465A (zh) 移动终端
CN110933549B (zh) 无线耳机、充电盒及无线耳机充电系统
US20140191714A1 (en)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CN103840495A (zh) 一种移动设备的接触式充电装置
CN204376964U (zh) 移动终端
CN207506085U (zh) 一种智能设备放置收纳盒
CN109547593A (zh) 电子设备
CN203850861U (zh) 充电支架
JP2012075283A (ja) 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送電装置
US20140167690A1 (en) Wireless charging battery module and charging structure of the same
CN204156565U (zh) 一种可与手机固定的便携充电装置
KR101234871B1 (ko) 무접점 전원 충전장치 및 그 방법
CN214707215U (zh) 磁吸式充电设备
CN105553043B (zh) 一种通用无线充电接收器接口及接收器
KR101516321B1 (ko) 스마트폰용 전원공급장치
CN202586515U (zh) 可无线充电的转接器
CN207625329U (zh) 一种具有收纳功能的充电设备
TWI495222B (zh) 可攜式電子裝置之無線充電傳輸裝置
CN205986257U (zh) 一种新型蓝牙耳机
CN205545414U (zh) 多充电/数据接口的电子设备保护壳及与其匹配的插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