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491B1 -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 Google Patents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491B1
KR101610491B1 KR1020140108014A KR20140108014A KR101610491B1 KR 101610491 B1 KR101610491 B1 KR 101610491B1 KR 1020140108014 A KR1020140108014 A KR 1020140108014A KR 20140108014 A KR20140108014 A KR 20140108014A KR 101610491 B1 KR101610491 B1 KR 10161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acuum
chamber
stag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478A (ko
Inventor
이우승
Original Assignee
이우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승 filed Critical 이우승
Priority to KR102014010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4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04F5/22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of multi-sta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를 소형화하면서도 다수의 다단이젝터를 설치할 수 있어 대용량의 부압을 발생할 수 있고, 압축공기의 흐름이 나뉘지 않고 매끄럽게 진행되어 손실발생율이 매우 낮으며, 특히 복수의 하우징 간에 편리한 조립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MULTI-CONNECTING TYPE VACCUM EJECTOR PUMP}
본 발명은 고속의 압축공기가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일정한 공간에 부압을 발생시켜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 이젝터 펌프에 관한 것으로, 대용량의 부압 발생을 위해 복수의 다단이젝터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고, 편리한 조립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이젝터 펌프는 입구챔버, 출구챔버 및 진공챔버가 각각 구획된 하우징과, 상기 각각의 챔버들 사이의 격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고속의 압축공기가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진공챔버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다단이젝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진공챔버는 일측에 흡입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포트를 통하여 외부장치, 예컨대 흡착장치 등과 연결된다. 상기 다단이젝터에 고속의 압축공기가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진공챔버에 부압이 발생하면, 상기 진공챔버의 흡입포트와 연결된 흡착장치도 부압이 발생하고, 발생한 부압은 물품을 흡착하여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하우징의 진공챔버에 부압을 발생하기 위한 다단이젝터에 관하여 다수의 출원이 존재한다. 즉, 특허등록 393434호, 578540호 및 629994호와 더불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등록 1039470호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다단이젝터(20)의 구성은 보통, 하우징(10)의 각 챔버들 간의 격벽을 관통하여 직렬로 설치된 복수의 노즐(21)과, 상기 복수의 노즐(21)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통공(22a)이 관통 형성된 복수의 슬롯(22)을 포함하고, 상기 통공(22a)은 상기 하우징(10)의 진공챔버(12)와 소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공(22a)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가요성 밸브(23)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다단이젝터(20)는, 하우징(10)의 입구챔버(11)로부터 고속의 압축공기가 다단이젝터(20)의 복수의 노즐(21)을 통과하여 배출될 때, 하우징(10)의 진공챔버(12) 및 흡착장치(미도시)의 내부 공기가 유인되어 함께 하우징(10)의 출구챔버(13)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12) 내의 압력이 하강한다. 하우징(10)의 진공챔버(12) 내의 압력이 복수의 슬롯(22) 내부의 압력 이하로 되면, 모든 통공(22a)이 각 밸브(23)에 의하여 폐쇄되고, 진공챔버(12)는 그 압력 수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다단이젝터를 이용한 진공 이젝터 펌프는, 일반적인 진공 이젝터 펌프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다단이젝터(20)를 구비한 소용량의 부압 발생을 위한 진공 이젝터 펌프이다. 예컨대, 도 1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표현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이젝터 펌프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전방의 입구챔버(11), 중앙의 진공챔버(12) 및 후방의 출구챔버(13)가 각각 구획되고, 상기 하우징(10)의 각 챔버들 간의 격벽을 관통하여 다단이젝터(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입구챔버(11)와 연통되어 고속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포트(11a), 외부의 흡착장치의 내부 공기가 유인되도록 상기 진공챔버(12)와 연통되는 흡입포트(12a) 및 외부로 고속의 압축공기를 배출하도록 출구챔버(13)와 연통된 배출포트(13a)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포트(11a)와 흡입포트(12a) 사이에 상기 진공챔버(12)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센서포트(12b)는 압력센서(30)가 설치되어 상기 진공챔버(12)의 진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배출포트(13a)를 통해 단순히 고속의 압축공기가 배출되면 엄청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출포트(13a)에는 소음부재가 내장된 소음기(4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다단이젝터를 이용한 진공 이젝터 펌프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진공 이젝터 펌프는 소용량의 부압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고, 작은 크기의 물체를 흡착하여 반송하는데 사용함에는 무리가 없다. 그러나, 보다 큰 물체를 흡착하여 반송하기 위해 대용량의 부압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단이젝터를 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단이젝터를 이용한 진공 이젝터 펌프는, 내부가 전방의 입구챔버, 중앙의 진공챔버 및 후방의 출구챔버가 각각 구획되고, 일측에 유입포트(11a), 흡입포트(12a) 및 배출포트(13a)가 각각 관통 형성된 별도의 프로파일(50)을 제작하여, 상기 프로파일(50)을 기준으로 상부에 다단이젝터(20)가 내장된 하우징(10)을 3개, 하부에 다단이젝터(20)가 내장된 하우징(10)을 3개로 총 6개의 다단이젝터(20)에 의해 대용량의 부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파일(50)의 각 챔버들과 각각의 다단이젝터(20)가 구비된 하우징(10)의 각 챔버들은 서로 상하 연통되어 있다.
이렇듯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이젝터 펌프의 경우 하나의 다단이젝터를 사용하여 소형의 물체를 흡착하여 반송하는데 큰 문제가 없지만, 대용량의 부압을 발생시켜 보다 큰 물체를 흡착하여 반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프로파일(50)을 제작하여 다단이젝터(20)가 내장된 하우징(10)을 복수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복수의 다단이젝터를 이용한 종래의 진공 이젝터 펌프는 장치가 대형화되고, 그에 따른 재료의 상승과 더불어 별도의 프로파일(50)을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프로파일(50)을 기준으로 상하로 나누어진 복수의 다단이젝터(20)로부터 유입 및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해 손실이 발생하고, 각 구성 간의 결합면을 통해 누설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진공챔버(12)를 통한 부압의 발생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게다가, 복수의 다단이젝터(20)가 프로파일(50)을 기준으로 단일의 유입포트(11a), 흡입포트(12a) 및 배출포트(13a)를 가지므로 대용량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고, 적정용량에 대하여 복수의 흡착장치와 연결되고자 할 경우에는 프로파일(50)을 복수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를 소형화하면서도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다단이젝터를 설치할 수 있어 대용량의 부압을 발생할 수 있고, 압축공기의 흐름이 나뉘지 않고 매끄럽게 진행되어 손실발생율이 매우 낮으며, 특히 각 하우징 간에 편리한 조립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는, 전후로 긴 육면체형상이고, 내부가 전방의 입구챔버, 중앙의 진공챔버 및 후방의 출구챔버로 각각 순차적으로 구획되도록 전방격벽 및 후방격벽이 형성되며, 우측면에 단차지게 함몰되어 개방된 함몰면이 형성되고, 좌측면에 상기 우측면의 함몰면과 대응되도록 돌출된 삽입면이 형성된 하우징과, 각각의 입구노즐이 상기 하우징의 입구챔버와 연통되고, 각각의 출구노즐이 상기 하우징의 출구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배출포트를 통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전방격벽 및 후방격벽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다단이젝터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우측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다단이젝터 각각을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함몰면에 형합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우측면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삽입면에 형합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좌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상기 입구챔버와 연통되도록 유입포트가 관통 형성되어 고속의 압축공기를 상기 입구챔버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면에 상기 진공챔버와 연통되도록 흡입포트가 관통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유입포트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진공챔버와 연통되도록 진공해제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배출포트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배출플레이트와, 상기 배출플레이트의 공기배출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배출홀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흡입포트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하우징의 흡입포트와 연통되도록 진공흡입홀이 형성된 진공흡입블럭과, 상기 진공흡입블럭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진공흡입블럭의 진공흡입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흡입포트로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다공성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복수가 구비되고, 인접한 각각은 우측의 함몰면에 좌측의 삽입면이 형합 삽입되어 좌우 일렬로 다단 연결되고, 상기 우측면커버는, 다단 연결된 상기 하우징 중 최우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우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측면커버는, 다단 연결된 상기 하우징 중 최좌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좌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는, 장치를 소형화하면서도 다수의 다단이젝터를 설치할 수 있어 대용량의 부압을 발생할 수 있고, 압축공기의 흐름이 나뉘지 않고 매끄럽게 진행되어 손실발생율이 매우 낮으며, 특히 복수의 하우징 간에 편리한 조립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배출플레이트를 통해 복수의 배출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모아 하나의 소음기로 소음을 제거할 수 있고, 진공흡입블럭과 필터부재를 통해 흡입포트로 들어오는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의 진공챔버로 들어올 때 미세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상기 필터부재를 통해 여과시킬 수 있어 다단이젝터의 오작동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이젝터 펌프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수의 다단이젝터를 이용한 진공 이젝터 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 중 하우징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우측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실시예의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11 및 12는 도 5의 실시예 중 하우징, 다단이젝터 및 고정플레이트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 및 14는 도 11 및 12 각각의 실시예의 우측면도이며,
도 15 및 16은 도 12의 실시예에서 배출플레이트 및 소음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 내지 19는 도 16의 실시예에서 진공흡입블럭 및 필터부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 및 21은 도 19의 실시예에서 우측면커버 및 좌측면커버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 및 23은 도 19의 실시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 간의 다단 연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3개 이상의 하우징 간의 다단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는, 도 4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다단이젝터(200), 고정플레이트(300), 우측면커버(400) 및 좌측면커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입구챔버(IC), 진공챔버(VC), 출구챔버(OC), 전방격벽(110), 후방격벽(120), 함몰면(130), 삽입면(140), 배출포트(150), 유입포트(160), 흡입포트(170) 및 진공해제라인(18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도 4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긴 육면체형상이고, 내부가 전방의 입구챔버(IC), 중앙의 진공챔버(VC) 및 후방의 출구챔버(OC)로 각각 순차적으로 구획되도록 전방격벽(110) 및 후방격벽(120)이 형성되며, 우측면에 단차지게 함몰되어 개방된 함몰면(130)이 형성되고, 좌측면에 상기 우측면의 함몰면(130)과 대응되도록 돌출된 삽입면(140)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는 전방격벽(110)을 사이에 두고, 전방의 입구챔버(IC) 및 중앙의 진공챔버(VC)로 구획되고, 후방격벽(120)을 사이에 중앙의 진공챔버(VC) 및 후방의 출구챔버(OC)로 구획된다. 상기 입구챔버(IC)는 후술할 유입포트(160)와 연통되어 고속의 압축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후술할 복수의 다단이젝터(200)의 입구노즐(210)을 통해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다단이젝터(200) 내부를 통과한다. 또한, 진공챔버(VC)는 후술할 흡입포트(170)와 연통되어 물품을 흡착하여 반송하기 위한 흡착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후술할 복수의 다단이젝터(200)에 의해 부압이 발생하면 상기 흡입포트(170)를 통해 상기 흡착장치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출구챔버(OC)는 후술할 배출포트(150) 및 복수의 다단이젝터(200)의 출구노즐(220)과 연통되어 외부로 압축공기를 배출한다.
또한, 하우징(100)의 우측면에 단차지게 함몰되어 개방된 함몰면(130)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좌측면에 상기 우측면의 함몰면(130)과 대응되도록 돌출된 삽입면(140)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우측면의 함몰면(130)과 좌측면의 삽입면(140)이 상호 대응되도록 삽입되는 형상을 통해 도 22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우징(100)이 좌우로 다단 연결가능할 수 있다.
다단이젝터(200)는 도 5 및 11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구비되는데, 각각의 입구노즐(210)이 상기 하우징(100)의 입구챔버(IC)와 연통되고, 각각의 출구노즐(220)이 상기 하우징(100)의 출구챔버(OC)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배출포트(150)를 통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전방격벽(110) 및 후방격벽(120)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다단이젝터(200)는 입구노즐(210) 및 출구노즐(220)을 구비하여 입구노즐(210)로 압축공기가 유입된 후 출구노즐(220)로 배출될 때, 진공챔버(VC)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나 구조이든 상관없다.
예컨대, 상기 다단이젝터(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노즐(210)과 출구노즐(220) 사이의 중간노즐(230)을 통해 연결되어 각각이 상기 진공챔버(VC) 내부에 직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슬롯(240) 외주면에 통공(241)이 관통 형성되어 각각의 통공(241)을 개폐하는 가요성 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이젝터(200)에 고속의 압축공기가 입구노즐(210)을 통해 유입되면서 출구노즐(220)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슬롯(240)의 통공(241)으로 진공챔버(VC) 내부의 공기를 빨아 들여 상기 출구노즐(220)로 함께 배출됨으로써 진공챔버(VC)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공챔버(VC)에 부압이 발생하면 슬롯(240) 내부에 설치된 가요성 밸브가 슬롯(240)의 통공(241)을 닫아 진공챔버(VC)의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진공챔버(VC)의 진공상태가 깨지면 다시 가요성 밸브가 열려 진공챔버(VC) 내부의 공기를 빨아 들여 다시 부압을 발생시키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다단이젝터(200)의 구성, 기능 및 작동과정은 종래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플레이트(300)는 도 11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우측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다단이젝터(200) 각각을 고정시킨다. 즉, 다단이젝터(200)를 하우징(100)의 배출포트(150)를 통해 각각 삽입하여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할 때, 전방격벽(110) 및 후방격벽(120)를 단순히 관통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유입포트(160)를 통해 고속의 압축공기가 하우징(100)의 입구챔버(IC)를 경유하여 다단이젝터(200)의 입구노즐(210)로 들어오게 되면, 다단이젝터(200)는 후방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되므로 이러한 다단이젝터(200)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플레이트(300)가 설치되는 것이며, 고정플레이트(300)는 복수의 다단이젝터(200)의 외주홈에 끼워지면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면커버(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함몰면(130)에 형합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좌측면커버(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삽입면에 형합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좌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우측면커버(400) 및 좌측면커버(500)가 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전체적인 형상이 함몰되거나 돌출되는 부분 없이 매끈한 직육면체 형상이 된다.
이렇게 하우징(100), 복수의 다단이젝터(200), 고정플레이트(300), 우측면커버(400) 및 좌측면커버(5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도 4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상기 입구챔버(IC)와 연통되도록 유입포트(160)가 관통 형성되어 고속의 압축공기를 상기 입구챔버(IC)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면에 상기 진공챔버(VC)와 연통되도록 흡입포트(170)가 관통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유입포트(16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진공챔버(VC)와 연통되도록 진공해제라인(180)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유입포트(160)를 통해 고속의 압축공기가 입구챔버(IC) 내부로 유입되고, 입구챔버(IC)와 연통된 복수의 다단이젝터(200) 각각의 입구노즐(210)을 통해 압축공기가 다단이젝터(200)를 통과하게 된다. 압축공기가 다단이젝터(200)의 슬롯(240)을 통과하면서 통공(241)으로 진공챔버(VC) 내부의 공기를 빨아 들이고, 진공챔버(VC)와 연통된 흡입포트(170)는 부압이 발생된다. 다단이젝터(200)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다단이젝터(200)의 출구노즐(220)을 통해 배출되며, 하우징(100)의 출구챔버(OC)로부터 복수의 배출포트(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흡입포트(170)는 물품을 흡착하여 반송하기 위한 흡착장치와 연결되는데, 다단이젝터(200)의 슬롯(240) 내부에 설치된 가요성 밸브가 슬롯(240)의 통공(241)을 닫아 진공챔버(VC)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때, 물품의 흡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의 유입포트(160)에 고속의 압축공기의 유입을 막으면 된다. 다만, 유입포트(160)로 압축공기의 유입을 막게 되면, 시간지연이 발생하므로 신속한 진공해제를 위하여 진공챔버(VC) 내부에 압축공기를 바로 주입시켜 진공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0)에는 진공해제라인(180)이 설치되고, 진공해제라인(180)을 통해 진공챔버(VC)에 곧바로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진공챔버(VC)의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배출포트(150)는 다단이젝터(200)가 설치되는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형성되는데, 복수의 배출포트(150)를 통해 단순히 압축공기가 배출되면 엄청난 소음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출포트(150)마다 소음기(700)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하나의 소음기(700)로 각각의 배출포트(15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모아 배출시키면서 소음을 억제하고자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플레이트(600) 및 소음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플레이트(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포트(150)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홀(610)이 형성된다. 또한, 소음기(700)는 상기 배출플레이트(600)의 공기배출홀(610)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배출홀(61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소음을 제거한다.
또 한편, 하우징(100)의 흡입포트(170)가 물품을 흡착하여 반송하기 위한 흡착장치와 곧바로 연결될 경우, 흡착장치로부터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미세한 먼지 등과 함께 유입되어 진공챔버(VC) 내부에 수용되면서, 다단이젝터(200)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7 내지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입블럭(800)과 필터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진공흡입블럭(800)은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포트(170)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포트(170)와 연통되도록 진공흡입홀(810)이 형성된다. 또한, 필터부재(900)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진공흡입블럭(8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진공흡입블럭(800)의 진공흡입홀(810)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포트(170)로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다공성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진공흡입블럭(800)의 진공흡입홀(810)과 흡착장치가 연결되어 흡착장치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 진공흡입홀(810)을 통해 진공흡입블럭(800) 내부로 빨려 들어온 후, 필터부재(900)를 경유하여 필터링 된 공기가 하우징(100)의 흡입포트(170)를 통해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구성상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는, 도 22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우징(100)을 좌우로 다단 연결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진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복수가 구비되고, 인접한 각각은 우측의 함몰면(130)에 좌측의 삽입면(140)이 형합 삽입되어 좌우 일렬로 다단 연결된다. 이때, 상기 우측면커버(400)는 다단 연결된 상기 하우징(100) 중 최우측에 위치한 하우징(100)의 우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측면커버(500)는 다단 연결된 상기 하우징(100) 중 최좌측에 위치한 하우징(100)의 좌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는, 장치를 소형화하면서도 다수의 다단이젝터(200)를 설치할 수 있어 대용량의 부압을 발생할 수 있고, 압축공기의 흐름이 나뉘지 않고 매끄럽게 진행되어 손실발생율이 매우 낮으며, 특히 복수의 하우징(100) 간에 편리한 조립성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배출플레이트(600)를 통해 복수의 배출포트(150)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모아 하나의 소음기(700)로 소음을 제거할 수 있고, 진공흡입블럭(800)과 필터부재(900)를 통해 흡입포트(170)로 들어오는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진공챔버(VC)로 들어올 때 미세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상기 필터부재(900)를 통해 여과시킬 수 있어 다단이젝터(200)의 오작동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IC : 입구챔버
VC : 진공챔버
OC : 출구챔버
100 : 하우징 110 : 전방격벽
120 : 후방격벽 130 : 함몰면
140 : 삽입면 150 : 배출포트
160 : 유입포트 170 : 흡입포트
180 : 진공해제라인
200 : 다단이젝터
210 : 입구노즐 220 : 출구노즐
230 : 중간노즐 240 : 슬롯
250 : 통공
300 : 고정플레이트
400 : 우측면커버
500 : 좌측면커버
600 : 배출플레이트 610 : 공기배출홀
700 : 소음기
800 : 진공흡입블럭 810 : 진공흡입홀
900 : 필터부재

Claims (4)

  1. 전후로 긴 육면체형상이고, 내부가 전방의 입구챔버, 중앙의 진공챔버 및 후방의 출구챔버로 각각 순차적으로 구획되도록 전방격벽 및 후방격벽이 형성되며, 우측면에 단차지게 함몰되어 개방된 함몰면이 형성되고, 좌측면에 상기 우측면의 함몰면과 대응되도록 돌출된 삽입면이 형성된 하우징과,
    각각의 입구노즐이 상기 하우징의 입구챔버와 연통되고, 각각의 출구노즐이 상기 하우징의 출구챔버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배출포트를 통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전방격벽 및 후방격벽을 각각 관통하여 설치된 복수의 다단이젝터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우측면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다단이젝터 각각을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함몰면에 형합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우측면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삽입면에 형합 삽입되어 밀폐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좌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상기 입구챔버와 연통되도록 유입포트가 관통 형성되어 고속의 압축공기를 상기 입구챔버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면에 상기 진공챔버와 연통되도록 흡입포트가 관통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유입포트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진공챔버와 연통되도록 진공해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복수가 구비되고, 인접한 각각은 우측의 함몰면에 좌측의 삽입면이 형합 삽입되어 좌우 일렬로 다단 연결되고,
    상기 우측면커버는,
    다단 연결된 상기 하우징 중 최우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우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좌측면커버는,
    다단 연결된 상기 하우징 중 최좌측에 위치한 하우징의 좌측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출포트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배출플레이트와,
    상기 배출플레이트의 공기배출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배출홀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소음을 제거하는 소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흡입포트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상기 하우징의 흡입포트와 연통되도록 진공흡입홀이 형성된 진공흡입블럭과,
    상기 진공흡입블럭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진공흡입블럭의 진공흡입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흡입포트로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다공성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원통 형상의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4. 삭제
KR1020140108014A 2014-08-19 2014-08-19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KR10161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014A KR101610491B1 (ko) 2014-08-19 2014-08-19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014A KR101610491B1 (ko) 2014-08-19 2014-08-19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78A KR20160022478A (ko) 2016-03-02
KR101610491B1 true KR101610491B1 (ko) 2016-04-08

Family

ID=5558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014A KR101610491B1 (ko) 2014-08-19 2014-08-19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00A1 (ko) * 2016-09-01 2018-03-08 (주)브이텍 진공 펌프 및 그 어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23B1 (ko) * 2007-03-15 2007-06-19 한국뉴매틱(주)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진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23B1 (ko) * 2007-03-15 2007-06-19 한국뉴매틱(주)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진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00A1 (ko) * 2016-09-01 2018-03-08 (주)브이텍 진공 펌프 및 그 어레이
US11103824B2 (en) 2016-09-01 2021-08-31 Vtec Co., Ltd. Vacuum pump and arra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78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768B1 (ko) 프로파일형 진공 이젝터 펌프
US20080292476A1 (en) Vacuum Ejector Pumps
KR101039470B1 (ko) 진공 이젝터 펌프
US20190113036A1 (en) Vacuum pump having a silencer
US20070148009A1 (en) Vacuum ejector pumps
JP2009519826A5 (ko)
SE427955B (sv) Multiejektor
KR20140012766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GB0620144D0 (en) Vacuum pump
US20150337866A1 (en) Vacuum Ejector With Multi-Nozzle Drive Stage
KR101610491B1 (ko) 다단 연결형 진공 이젝터 펌프
GB0414316D0 (en) Vacuum pump
US8257456B2 (en) Vacuum system using a filter cartridge
KR101630577B1 (ko) 진공 이젝터 펌프용 진공 및 진공파괴 일체형 밸브
KR20160027515A (ko) 진공 이젝터 펌프
KR20170020575A (ko) 양흡입 구조의 공기청정기
KR20030031592A (ko) 진공 발생/파기 장치
KR20090130590A (ko) 공기 청정기
KR101677564B1 (ko) 노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이젝터
CN111059084B (zh) 微型集成式真空发生器与发生方法以及微型真空发生组件
EP2433540A2 (en) Wet type dust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168599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진공 펌프
JPS6166900A (ja) エゼクタ装置
KR100655797B1 (ko) 진공 이젝터
KR100325412B1 (ko) 다단의노즐을갖는진공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