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430B1 -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430B1
KR101610430B1 KR1020120119141A KR20120119141A KR101610430B1 KR 101610430 B1 KR101610430 B1 KR 101610430B1 KR 1020120119141 A KR1020120119141 A KR 1020120119141A KR 20120119141 A KR20120119141 A KR 20120119141A KR 101610430 B1 KR101610430 B1 KR 10161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display unit
power
amou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441A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4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24F11/47Responding to energy c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상기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용전력량과,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비되는 설정된 공기 조화기의 전력량이 비교 가능하게 표시되는 제 2 표시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공기 조화기에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토출부까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전원이 ON 되고 특정모드의 실행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압축기 및 송풍팬이 구동하면서 상기 특정모드에 대응하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정모드에는, 냉방, 난방, 송풍 또는 제습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모드, 현재온도 또는 설정온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는 가전제품 중 전력 사용량이 큰 가전제품에 속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 조화기를 사용하면서 전력 사용에 따른 비용을 부담스러워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전력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전력 사용량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간을 조절하거나 운전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제한되었다.
결국, 사용자가 계획적으로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지 못함에 따라, 과다한 전력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공기 조화기의 사용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 기술을 접목한 공기 조화기(이하, 인버터 공기 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인버터 공기 조화기에도, 사용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는다.
특히, 사용자는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가 일반적인 정속 기술(일정한 전력량)을 사용한 공기 조화기(이하, 정속 공기 조화기)와 비교하여 얼만큼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따른 사용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상기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용전력량과,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비되는 설정된 공기 조화기의 전력량이 비교 가능하게 표시되는 제 2 표시부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에 특정 모드가 구비되고, 상기 특정 모드를 수행하면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따른 전력 사용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력 사용량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운전여부를 결정하거나, 운전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정속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과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이 비교 가능하게 표시되어,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전력사용 저감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 성능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비교 대상이 되는 정속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은 인버터 제어회로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되므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력량 비교정보를 신속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흡입부(22) 및 토출부(25,42)를 구비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가 포함된다. 도 면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1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22)는 상기 케이스(2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25,42)에는, 상기 흡입부(2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또는 측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메인 토출부(25) 및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하부 토출부(42)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토출부(25)는 상기 케이스(20)의 양측에 형성되며, 토출 베인(26)에 의하여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베인(26)은 상기 메인 토출부(25)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토출부(42)는 상기 케이스(2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41)에 배치되며, 하부 토출베인(44)에 의하여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41)는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41)의 후면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장식미를 높일 수 있는 장식패널(46)이 구비된다. 상기 장식패널(46)은 엘시디 패널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식패널(46)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상부 토출장치(30)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N 되면 상기 상부 토출장치(30)는 상기 케이스(2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FF 되면 상기 상부 토출장치(3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30)의 전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 토출부(32)가 규정되며, 상기 상부 토출장치(30)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상부 토출베인(34)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토출베인(34)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10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에 관한 정보에는,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운전 모드 또는 운전 조건에 따라 사용 전력량이 가변되도록 하는 인버터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전력을 사용하는 주요 부품으로서 압축기(160), 실외기의 송풍팬으로서 실외팬(170), 실내기의 송풍팬으로서 실내팬(175), 전력 사용량에 관한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80)와,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ON된 후 경과된 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190)와, 현재시간에 관한 정보를 계산하는 클락(195,Clock) 및 이들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160)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구비되며 인가되는 전류량이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인버터 압축기"라 이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버터 압축기는 실외온도에 따라 압축기의 구동부, 즉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량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전류량이 가변됨에 따라, 압축기(160)의 주파수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외팬(170) 및 실내팬(175)은 인가되는 전류량이 가변되는 모터에 의하여 그 회전수가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및 팬을 "인버터 모터" 및 "인버터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60), 실외팬(170) 및 실내팬(175)은 스텝제어(step control) 될 수 있다. 상기 스텝제어는, 모터에 전류를 단계적으로 인가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제어방식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8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공기 조화기에 대비하여, 정속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미리 저장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어,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과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정속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또는 송풍팬에 사용되는 모터가 일정한 회전수로 구동되는 방식, 즉 정속 제어방식으로 구동할 때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정속 제어되는 압축기 또는 송풍팬(이하, 제 2 구동부)은, 상기 인버터 제어되는 압축기 또는 송풍팬(이하, 제 1 구동부)의 구동능력과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구동부의 최고 출력과 상기 제 2 구동부의 출력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80)에는,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전력 사용량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인자들, 일례로 압축기(160)의 역률 보정값 또는 팬(170,175)의 스텝 보정값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역률 보정값은 상기 압축기(160)의 스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60)의 역률 보정값 또는 팬(170,175)의 스텝 보정값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압축기(160) 또는 팬(107,175)의 스텝과, 실외기 용량 및 실내기 운전조건등이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중, 변화되는 압축기(160) 또는 팬(170,175)의 스텝에 관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중 구동되는 압축기(160) 및 팬(170,175)과 관련하여, 소모 전력량을 계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압축기(160)에서 사용된 전력량은, 상기 압축기(160)에 인가된 전압, 전류 및 역률 보정값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170,175)에서 사용된 전력량은, 상기 팬(170,175)의 스텝 보정값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중 소모된 전력량과, 압축기와 팬의 정속 제어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소모 전력량이 비교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의 인버터 제어회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제어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제어부(150)에는, 인버터 제어회로(200)가 구동된다. 상기 인버터 제어회로(200)는 상기 압축기(160) 또는 팬(170,175)에 구비되는 구동부(일례로, 모터)를 인버터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버터 제어회로(200)에는, 전원부(201)의 리액턴스를 규정하는 리액터(202)와, 정류 다이오드(204) 및 평활 캐패시터(C1~C3)로 구성되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 및 평활부(203)와,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206)를 구동하는 인버터부(205)와, 입력 전류를 감지하는 입력전류검지부(207)와, 입력 교류전원의 제로 크로싱(zero crossing)을 검출하는 제로크로싱 검출부(208)와, 정류된 DC 전압을 검출하는 DC 링크전압 검출부(209)와, 역률보장 제어신호에 의해 역률보상을 제어하는 역률보상부(210)와, 상기 입력전류 검지부(207), 제로크로싱 검출부(208), DC 링크전압 검출부(209)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버터부(205)를 제어하고 역률보상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로(220)가 포함된다.
상기 역률보상부(210)는 입력 AC 링크에 연결된 브리지 다이오드(21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211)에 연결되어 역률보상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 하여 고주파 노이즈와 출력전압을 능동적으로 가변시켜주는 역률보상 스위치(IGBT, 21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인버터 제어회로(200)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러(220)의 제어에 따라 제어회로의 구동이 시작되면, 전원부(201)의 공급전원의 리액터(202)로 공급되고, 리액터(202)를 통과한 전원은 정류 및 평활부(203)에서 정류 다이오드(204)에 의해 정류되고, 평활 캐패시터(C1,C2,C3)에 의해 평활된 후 직류전원으로 출력된다. 정류 및 평활부(204)로부터 평활된 직류전원은 인버터(205)에 의해 교류전원으로 변환된 후 모터(206)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된다.
상기 입력전류 검지부(207)는 입력 전류를 검지하고, 제로크로싱 검출부(208)는 제로크로싱 위치, 즉 입력전류의 위상을 검출하며, 상기 DC 링크전압 검출부(209)는 정류 및 평활부(203)에 의해 정류된 DC 링크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컨트롤러(220)는 상기 입력전류 검지부(207)에서 감지된 입력 전류의 크기, 제로크로싱 검출부(208)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의 제로크로싱 위치, DC 링크전압 검출부(209)로부터 검출된 DC 링크전압을 전달받는다.
상기 컨트롤러(220)는 입력전압의 위상을 감지하고 DC 전압을 감지하여, DC 전압의 크기가 항상 일정하도록 역률보상부(210)의 역률보상 스위치(21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220)는 입력되는 전압의 위상이 제로크로싱 시점일 때, 역률보상 스위치(212)의 온동작을 명령하고, 이때의 신호에 의해서 역률보상 스위치(212)가 온 동작된다.
이 때, 역률보상 스위치(212)가 온 동작되는 동안, 리액터(202)에는 입력전압이 걸리고, 리액터(202)를 통과하는 전류의 위상은 선형적으로 상승하면서 전압 파형의 위상에 가깝게 조절된다. 이 때, 정류부(204)에 의해 정류된 DC 전압이 인버터부(205)를 통해 모터(206)로 공급된다.
이러한 역률보상 스위치(212)의 온 동작은 입력 전압의 위상이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반복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온 동작은 목표 DC 링크전압과 현재의 DC 링크전압이 동일할 때 중단된다. 즉, 상기 역률보상 스위치(212)가 오프된다.
상기 역률보상 스위치(212)가 오프되면 리액터(202)에는 출력전압에서 입력전압 만큼을 뺀 전압이 걸리고, 상기 리액터 전류는 상기 역률보상 스위치(212)의 온 동작에서와 반대로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역률보상 스위치(212)의 온, 오프 동작은 입력되는 전압의 위상이 제로크로싱 시점마다 한번씩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0)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선택부(110,120)가 포함된다. 상기 선택부(110,12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110,120)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운전과정에서 실내공간에 형성되는 결과정보, 즉 온도정보 또는 기류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쾌적모드 선택부(112)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시 사용되는 전력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전력모드 선택부(114)가 포함된다.
상기 쾌적모드 선택부(112)는 "쿨뷰"라는 문자로 표시되며, 상기 전력모드 선택부(114)는 "절약뷰"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하여, 상기 쾌적모드 선택부(112) 및 전력모드 선택부(114) 중 하나의 선택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력모드 선택부(114)가 선택되면, 상기 전력모드 선택부(114)를 선택한 때의 시간(이하,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간 표시부(116)가 표시된다. 상기 시간 표시부(116)에는, 년도, 월, 일 및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가 인버터 제어되는 공기 조화기(10), 즉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사용전력 표시부(117)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의 일측에는,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에 대비하여 구동부가 정속 제어되는 정속 공기 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비교전력 표시부(118)가 포함된다.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 및 비교전력 표시부(118)는, 쉽게 비교될 수 있도록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 및 비교전력 표시부(118)는 사용전력량을 소정의 문자, 일례로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상기 비교전력 표시부(118)에 표시된 전력 사용량에 대하여,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에 표시된 전력 사용량의 비율을 표시하는 비율 표시부(119)가 포함된다.
상기 비율 표시부(119)에 표시된 비율은 % 단위로 표기되며, 10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사용 전력량이 정속 공기 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사용 전력량보다 적다는 것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비율 표시부(119)에 표시된 비율은,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 및 비교전력 표시부(118)에 표시된 문자(숫자)보다 큰 문자(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고 있는 공기 조화기의 전력량이 저감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사용 전력량과, 이에 대비하는 정속 공기 조화기의 사용 전력량을 비교 가능하게 표시하는 그래프(120)가 포함된다.
상기 그래프(120)는, 가로축을 시간으로 하고, 세로축을 소비전력으로 하며, 가로축의 증가값에 대한 세로축의 증가의 비율(추이)을 나타내는 복수의 선도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프(12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 변화량을 규정하는 사용전력량 선도(123)가 포함된다.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123)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되는 사용전력량을 규정한다.
가로축의 원점은 공기 조화기(10)가 온 되는 시점, 즉 구동시작 시간 표시부(121)를 형성하며, 가로축의 마지막 경계점은 공기 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경과된 시점, 즉 경과시간 표시부(122)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시작 시간 표시부(121) 및 경과시간 표시부(122)를 시간에 관한 "제 1 표시부"라 이름한다.
일례로, 도 4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가 14:32분에 운전되기 시작하였고, 62분간 운전된 후 종료된 것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현재 시간 18:30분에 이러한 그래프를 확인한 것으로 나타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하여 과거에 운전되었던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되는 도중에도, 이러한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더하면, 상기 시간 표시부(116)에 표시된 현재시간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력모드 선택부(114)를 선택한 시점이 상기 시간 표시부(116)에 표시된 현재시간이 되고, 상기 현재시간이 상기 경과시간 표시부(122)에 표시된 시점이 될 것이다.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123)는, 구동부가 인버터 제어되는 특성에 따라, 운전 초기에 소비전력량이 다소 높은 반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소비전력의 증가되는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후 62분이 경과된 시점에 누적된 소비전력량은 60W일 수 있다.
상기 그래프(120)에는,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123)에 대비하여, 정속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 변화량을 규정하는 비교전력량 선도(124)가 표시된다. 상기 비교전력량 선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되는 사용전력량을 규정한다.
한편, 소비전력량의 단위는 1kwh를 기준으로 표시되고, 소비전력 누적량이 1kwh를 초과하게 되면, 최대 누적량은 5kwh, 10kwh, 20kwh, 30kwh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비교전력량 선도(124)는 상기 그래프(120) 내에서,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123)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그래프(120)를 통하여 현재 운전되는 공기 조화기(10)의 전력 저감정도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교전력량 선도(124)는, 구동부가 정속 제어되는 특성에 따라, 운전이 시작된 시점부터 종료시까지 소비전력량이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후 62분이 경과된 시점에 누적된 소비전력량은 120W일 수 있다.
상기 그래프(120)에는, 상기 경과시간 표시부(122)에 표시된 시점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공기 조화기(10)와, 비교대상이 되는 정속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량 차이, 또는 그 비율을 표시하는 저감량 표시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저감량 표시부(125)는 정속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화살표 형상으로 표시되어,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 저감량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 비교전력 표시부(118), 비율 표시부(119), 사용전력량 선도(123), 비교전력량 선도(124) 및 저감량 표시부(125)는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시간정보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비교 가능하게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라 이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하단부에는, 메뉴 선택부(115)가 표시된다. 상기 메뉴 선택부(115)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다수의 입력부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에는, 공기 조화기의 사용 에너지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에너지관리" 입력부, 도 4에 도시된 쾌적모드 선택부(110) 및 전력모드 선택부(120)를 선택할 수 있는 "휘센뷰" 입력부,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휘센컨트롤" 입력부, "에어컨 관리" 입력부 및 "설정" 입력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10)가 ON 되면, 상기 타이머(190)를 통하여 운전시간이 적산된다(S11).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하여 특정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특정모드에는, 전력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력모드 선택부(114)를 통하여, 상기 전력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특정모드의 선택은, 반드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라도 이루어질 수 있다(S12).
상기 전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구동시작된 상태에서 경과된 시간이 적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모드가 선택된 때의 현재시간에 관한 정보가 상기 클락(195)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현재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시작된 때의 시간정보가 상기 구동시작 시간 표시부(121)에 표시되며, 운전시작 이후에 경과된 시간정보가 상기 경과시간 표시부(122)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전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이전 시간구간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시작된 시점 및 종료된 시점이 상기 구동시작 시간 표시부(121) 및 경과시간 표시부(122)에 표시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버터 제어회로(200)를 통하여 획득된 전류 및 전압값을 이용하여, 사용전력량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류는 상기 입력전류감지부(107)에서 감지된 전류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전압값은 상기 DC 링크전압 검출부(109)에서 감지된 전압정보일 수 있다.
계산된 사용전력량은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123)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비하는 정속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량은 상기 비교전력량 선도(124)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S13).
그리고, 상기 정속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량은 단위시간당 소비되는 소비전력량과, 경과된 시간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단위시간당 소비되는 소비전력량은 상기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경과된 시간은 상기 타이머(190)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S14).
결국,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123) 및 비교전력량 선도(124)가 상기 디스플렐이부(100)에 비교 가능하게 표시되며, 각 선도가 나타내는 소비전력량은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 및 비교전력 표시부(118)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교전력 표시부(118)에 표시되는 소비전력에 대하여,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117)에 표시된 소비전력의 비율은 상기 비율 표시부(119) 및 상기 저감량 표시부(125)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S15).
이와 같이, 비교전력량에 대한 사용전력량의 저감비율이 비교 가능하게 표시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는 경우에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단말기에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에는, 공기 조화기(10)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말기(300)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와 단말기(3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버(400)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300)는 휴대 가능한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서버(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모듈(155)이 구비된다.
상기 단말기(300)에는, 상기 서버(4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모듈(355)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에 따른 소비전력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60) 및 단말기제어부(350)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60)의 구성은, 도 4에 개시된 디스플레이부(100)의 구성을 원용한다.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0)의 전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시간 및 소비전력에 관한 계산정보가 상기 서버(400)를 통하여 상기 제 2 통신모듈(355)로 전달된다.
상기 단말기제어부(35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시간 및 소비전력에 관한 계산정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60)에 표시한다. 그리고, 비교대상이 되는 정속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서버(40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300)에 전달되며,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360)에 표시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공기 조화기에 접근하지 않고도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통하여 인버터 공기 조화기(10)의 소비전력 정보를 정속 공기 조화기의 소비전력에 대하여 비교 가능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10 : 공기 조화기 100 : 디스플레이부
112 : 쾌적모드 선택부 114 : 전력모드 선택부
116 : 시간 표시부 117 : 사용전력 표시부
118 : 비교전력 표시부 119 : 비용 표시부
120 : 그래프 121 : 구동시작 시간 표시부
122 : 경과시간 표시부 123 : 사용전력량 선도
124 : 비교전력량 선도 125 : 저감량 표시부
150 : 제어부 160 : 압축기
170 : 실외팬 175 : 실내팬
180 : 메모리부 190 : 타이머
195 : 클락 200 : 인버터 제어회로
300 : 단말기 400 : 서버

Claims (13)

  1. 선택 가능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저장된 정속 공기조화기의 소비전력에 관한 정보와,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소비전력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사용전력 표시부;
    상기 정속 공기 조화기의 구동에 따른 전력 사용량을 표시하는 비교전력 표시부;
    상기 비교전력 표시부에 표시된 전력 사용량에 대하여 상기 사용전력 표시부에 표시된 전력 사용량의 비율을 표시하는 비율 표시부;
    상기 정속 공기조화기의 누적 사용전력량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비교전력량 선도;
    상기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누적 사용전력량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전력량 선도; 및
    설정시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와 비교전력량 선도의 차이값 또는 그 비율을 나타내는 저감량 표시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비교전력량 선도 및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는 단일의 그래프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는,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시작 시점을 표시하는 구동시작 시간 표시부; 및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 중 경과된 시간을 표시한 경과시간 표시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시간 표시부에 표시된 시간은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선택부를 선택한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시간 표시부에 표시된 시간은,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종료된 시점을 나타내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량 표시부의 정보는,
    상기 경과시간 표시부가 나타내는 시점에 대하여, 상기 사용전력량 선도와 비교전력량 선도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는 서버를 통하여 상기 인버터 공기 조화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19141A 2012-10-25 2012-10-25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41A KR101610430B1 (ko) 2012-10-25 2012-10-25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41A KR101610430B1 (ko) 2012-10-25 2012-10-25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441A KR20140053441A (ko) 2014-05-08
KR101610430B1 true KR101610430B1 (ko) 2016-04-07

Family

ID=5088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141A KR101610430B1 (ko) 2012-10-25 2012-10-25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003B1 (ko) * 2015-05-14 2022-08-22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CN105180360B (zh) * 2015-09-06 2018-02-06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信息显示装置和空调器
CN109210706A (zh) * 2017-06-29 2019-01-15 屈海强 一种基于手机app蓝牙遥控的空调及其控制系统
KR102296329B1 (ko) * 2020-01-13 2021-09-01 주식회사 유러스 예측 공조로 최적화 운전이 가능한 스마트 공기 조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668A (ja) * 2000-07-07 2002-01-25 Hitachi Ltd デマンド監視支援方法と装置
JP2006250530A (ja) * 2006-06-22 2006-09-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668A (ja) * 2000-07-07 2002-01-25 Hitachi Ltd デマンド監視支援方法と装置
JP2006250530A (ja) * 2006-06-22 2006-09-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441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11715B2 (ja) 課金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160675A1 (en) Demand response system
CN103388879A (zh)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
CN103206767A (zh) 变频空调器的节能控制方法及装置
KR101610430B1 (ko)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CN104613593A (zh) 空调器及其电加热控制方法
JP521785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3175285A (zh) 空调室外风机的控制电路、控制方法及空调器
KR10157068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35546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57172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764287A (zh) 冰箱和家用电器
CN104764286A (zh) 冰箱和家用电器
KR10256097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WO2018190334A1 (ja) 空調装置、制御装置、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6951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US10181803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0065937A (ja) 空気調和機
JP569231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1069571A (ja) 空気調和機
JP6975522B2 (ja) 空気調和機
KR100502304B1 (ko) 인버터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9024037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9997926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112681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107

Effective date: 201601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