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072B1 -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072B1
KR101610072B1 KR1020100093939A KR20100093939A KR101610072B1 KR 101610072 B1 KR101610072 B1 KR 101610072B1 KR 1020100093939 A KR1020100093939 A KR 1020100093939A KR 20100093939 A KR20100093939 A KR 20100093939A KR 101610072 B1 KR101610072 B1 KR 101610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arm
rocker
oil
contac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343A (ko
Inventor
이기라
김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0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01L13/0063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by modification of cam contact point by displacing an intermediate lever or wedge-shaped intermediate element, e.g. Tourte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1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캠과 이격되어 상기 구동캠과의 구름접촉에 의해 회동하여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로커암을 포함하는 유압식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전단은 로커 샤프트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구동캠과 구름접촉하는 로커암롤러와 함께 롤러 샤프트를 동축으로 결합된 제1 로커암; 전단은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스크류와 결합되고, 상기 로커 샤프트를 동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로커암과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제1 로커암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제2 로커암; 상기 제1 로커암과 상기 제2 로커암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 로커암과 제2 로커암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로커 샤프트의 상측에 결합되어 항상 제1 로커암을 가압하여 제1,2 로커암의 분리를 방해하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된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여, 하나의 캠으로부터 하이 리프트 및 로우 리프트 모드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스크류에 의해 하나의 캠에서 리프트 증대비율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SOHC엔진에서의 흡기 및 배기 로커암을 각각 두 개의 로커암으로 분리함으로써 가변 리프트를 생성할 수 있고, 흡배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ROCKER ARM SEPARABLE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본 발명은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압에 의해 로커암 분리가 가능하고, 로커암 분리를 조절하는 탄성부를 개재시킴으로써 밸브 리프트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흡배기를 조절하는 밸브의 구동기구는 구동캠에 직접 접촉하여 구동되는 직동식과, 로커암을 사용하되 피봇점이 한 쪽으로 치우친 엔드 피봇식과, 피봇점이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 피봇식이 있다. 상용차에는 주로 센터 피봇식의 밸브트레인이 사용된다.
또한, 현재 이용되는 가변 밸브 시스템은, 2단 가변 밸브 리프트(Variable Valve Lift, VVL) 시스템과,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CVVL) 시스템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밖에 직동식을 이용한 2단 VVL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있다. 또한, 상용차에는 주로 센터피봇식의 밸브트레인을 사용하는데, SOHC구조이어서 흡배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가 곤란하여 성능 및 연비가 좋지 않았고, 센터피봇식이어서 로커암의 중심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엔드 피봇식과 같은 기계적 링크구조를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밸브 리프트를 가변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캠의 개수가 확보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2 로커암의 분리가 가능하고, 그 내부에 탄성부를 삽입함으로써 유압의 공급에 의해 제1,2 로커암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함으로써 밸브 리프트를 가변시킬 수 있는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캠과 이격되어 상기 구동캠과의 구름접촉에 의해 회동하여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로커암을 포함하는 유압식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전단은 로커 샤프트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구동캠과 구름접촉하는 로커암롤러와 함께 롤러 샤프트를 동축으로 결합된 제1 로커암; 전단은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스크류와 결합되고, 상기 로커 샤프트를 동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로커암과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제1 로커암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제2 로커암; 상기 제1 로커암과 상기 제2 로커암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 로커암과 제2 로커암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로커 샤프트의 상측에 결합되어 항상 제1 로커암을 가압하여 제1,2 로커암의 분리를 방해하는 스프링부재; 로 구성된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로커암은, 상기 제2 로커암과 접촉하여 회전력을 제2 로커암에 전달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로커 샤프트에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접촉부의 내부는 상기 탄성부가 삽입될 수 있는 탄성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장착홈과 연결된 오일 공급통로 및 오일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로커암은,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로커암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접촉부와, 상기 로커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로커암과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제2결합부와, 상기 제2접촉부와 제2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로 구성되되, 상기 제2접촉부에는 피스톤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 장착홈에 삽입되고, 내부는 상기 오일 공급통로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홈이 형성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오일 저장홈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하고,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오일 저장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부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냅링이 제1접촉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재는 단부가 구의 형상으로 되어 제1,2 로커암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는, 상기 오일 배출통로의 중간부에는 오일배출구를 개폐하는 체크볼과, 상기 체크볼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오일배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캠으로부터 하이 리프트 및 로우 리프트 모드를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스크류에 의해 하나의 캠에서 리프트 증대비율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SOHC엔진에서의 흡기 및 배기 로커암을 각각 두 개의 로커암으로 분리함으로써 가변 리프트를 생성할 수 있고, 흡배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로커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로커암의 사시도이다.
도 3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로커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커암과 로커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리프트 모드시의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로커암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리프트 모드시의 제1,2 접촉부의 세부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리프트 모드시의 제1,2 접촉부의 세부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 리프트 모드시와 로우 리프트 모드시의 밸브 리프트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로커암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2 로커암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로커암은 제1 로커암(200)과 제2 로커암(100)으로 분리된다. 제1 로커암(200)은 후단이 구동캠(550)과 구름접촉이 가능한 로커암롤러(240)와 함께 롤러 샤프트(260)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전단은 로커 샤프트(530)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제2 로커암(100)과 끼움결합된다. 또한, 제2 로커암(100)은 후단은 상기 제1 로커암(200)과 함께 로커 샤프트(530)을 동축으로 하여 끼움결합되고, 전단은 밸브부재(30)를 가압하는 스크류(10)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는 상기 제1,2 로커암(200,100)을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탄성부(300)와, 상기 탄성부(300)의 탄성을 조절하여 탄성부(300)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400)와, 상기 제1 로커암(200)을 항상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커암(200)은 상기 제2 로커암(100)과 밀착되어 제2 로커암(100)에 상기 제1 로커암(2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접촉부(220)와, 상기 제1접촉부(220)과 연결되고 고리 형상을 가져 로커 샤프트(530)에 결합이 가능한 제1결합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접촉부(220)의 내부는 탄성부가 삽입될 수 있는 탄성부 장착홈(3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300)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통로(210)와 상기 공급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일 배출통로(430)가 상기 탄성부 장착홈(350)과 연결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오일 공급통로(210)는 로커 샤프트(530)내에 형성된 메인 오일통로(520)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로커암(100)은 상기 제1 로커암(200)의 제1접촉부(220)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제1접촉부(2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이 가능한 제2접촉부(120)와, 로커 샤프트(53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결합부(250)과 끼움결합이 가능한 고리 형상의 제2결합부(150)와, 상기 제2접촉부(120)와 제2결합부(150)를 연결하는 연결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접촉부(120)의 내부는 피스톤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인 반구형의 피스톤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50)의 일측에는 로커암롤러(240) 가이드홈(140)이 형성되어 있어 로커암롤러(240)가 상기 제2 로커암(100)과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2 로커암(100)의 전단은 밸브부재(30)를 가압하는 스크류(10)와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10)는 조임너트(20)에 의해 조정되어 밸브 리프트 증대비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300)는, 상기 제1 로커암(200)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 장착홈(350)에 삽입되고 단부가 구의 형상을 갖는 피스톤부재(310)와, 상기 피스톤부재(310)의 내부에 형성된 오일 저장홈(360)에 삽입되어 오일 저장홈(360)의 내부에 있는 오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는 플레이트(320)와, 상기 오일 저장홈(360)에 삽입되고 상기 플레이트(320)와 접촉되어 상기 피스톤부재(310)를 가압하는 스프링(330)과, 상기 피스톤부재(3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접촉부(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냅링(3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400)는 오일 배출통로(430)에 위치하여 상기 오일 저장홈(360) 내의 유압 해제시 상기 오일 저장홈(360)에 저장되어 있던 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 오일배출구(450)를 개폐하는 구 형상의 체크볼(470)과, 상기 체크볼(400)과 접촉되어 상기 체크볼(470)에 복원력을 부여하면서 압축 또는 이완을 하는 리턴 스프링(410)과, 상기 리턴 스프링(410)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4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스프링부재(500)는 로커 샤프트(530)의 상측에 조임볼트(51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L"형상으로 되어 항상 제1 로커암(200)과 밀착하여 탄성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제1,2 로커암(200,100)은 로커 샤프트(530)를 동축으로 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2접촉부(220,120)가 서로 접촉 또는 분리되는데, 로우 리프트 모드에서는 접촉되어 있는 반면, 하이 리프트 모드에서는 분리된다. 제1 로커암(200)의 제1접촉부(220)의 후면은 항상 스프링부재(500)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의 하이 리프트 모드에서는 밸브 리프트를 크게 하기 위하여 제1,2 로커암(200,100)이 분리된다.
먼저, 하이 리프트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 리프트 모드시의 제1,2 접촉부의 세부확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커암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로커암의 평단면도인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2 로커암(200,100)이 분리되는 과정은 오일의 공급에 의해 작동된다. 오일이 메인 오일통로(520)와 연결된 오일 공급통로(210)을 통해 오일이 공급된다. 공급된 오일은 조절부(400)의 체크볼(470)을 가압하여 오일배출구(450)를 막도록 한다. 이 때, 리턴 스프링(410)이 압축되는데 오일배출구(450)의 안쪽으로는 체크볼(470)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공급된 오일이 체크볼(470)을 가압한 후에는 플레이트(320)을 가압하면서 피스톤부재(310)의 내부에 형성된 오일 저장홈(360)에 오일이 유입된다. 오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오일 저장홈(360)의 내부에는 유압이 커져 스프링(330)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330)이 압축되면서 플레이트(320)를 탄성력에 의해 밀어내게 된다. 밀려진 플레이트(320)는 후진하여 오일 저장홈(360)으로 유입되는 오일을 막는다. 이 때, 상기 오일 저장홈(360)의 내부에는 고압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고압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310)가 전진한다. 상기 피스톤부재(310)가 전진하게 되면 접촉해 있던 제1,2접촉부(220,120)가 분리된다. 이 때, 제1접촉부(220)의 후면은 스프링부재(50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즉, 하이 리프트 모드시에는 제1 로커암(200)이 제2 로커암(100)과 분리되는데, 상기 제1접촉부(220)가 스프링부재(50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스프링부재(500)를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캠(550)이 로커암롤러(240)와 구름접촉하면서 제1 로커암(2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1 로커암(200)의 회전력이 이와 결합된 상기 제2 로커암(10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2 로커암(100)의 전단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10)가 밸브부재(30)를 가압함으로써 하이 리프트 모드가 수행된다. 이 때, 스냅링(340)이 제1접촉부(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피스톤부재(31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부재(310)의 하단의 돌출부(380)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하이 리프트 모드시에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밸브를 가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리프트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우 리프트 모드시의 제1,2접촉부의 세부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로커암의 평단면도인데,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로우 리프트 모드에서는 상기 하이 리프트 모드에서 작동유체로 공급되었던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는 오일 공급통로(210)를 통해 공급되었던 오일이 유압이 해제됨에 따라 체크볼(400)을 가압하던 압력이 해제되어 체크볼(470)이 리턴 스프링(4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체크볼(470)이 복귀됨에 따라 오일 저장홈(360)의 내부에 있던 오일은 오일배출구(4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피스톤부재(310) 내에 형성되었던 고압이 해제되면서 플레이트(320)를 가압하였던 스프링(330)이 이완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330)이 이완되고, 피스톤부재(310) 내부에 있던 오일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310)를 밀던 압축력이 해제된다. 결국, 스프링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제1,2 로커암(200,100)이 밀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 로커암(200,100)이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캠(550)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로커암은 로우 리프트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스크류(10)를 조정하여 리프트 증대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행된 밸브 리프트의 가변 정도는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알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밸브 리프트의 차이가 하이 리프트 모드시에는 16mm이고, 로우 리프트 모드시에는 8mm로서 로우 리프트 모드시에는 하이 리프트 모드시의 절반 정도이나 이는 스크류(10) 또는 스프링(330)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캠으로부터 두 개의 밸브 리프트를 형성하여 DOHC의 밸브트레인 뿐만 아니라, 주로 상용차용으로 쓰이는 SOHC의 밸브트레인에서도 흡배기 밸브의 개폐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엔진의 성능 및 연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0: 스크류 20: 조임너트
30: 밸브부재 100: 제2 로커암
110: 피스톤 삽입홈 120: 제2접촉부
130: 로커암 샤프트 삽입공 140: 로커암롤러 가이드홈
150: 제2결합부 160: 연결부
200: 제1 로커암 210: 오일 공급통로
220: 제1접촉부 240: 로커암롤러
250: 제1결합부 260: 롤러 샤프트
300: 탄성부 310: 피스톤부재
320: 플레이트 330: 스프링
340: 스냅링 350: 탄성부 장착홈
360: 오일 저장홈 380: 돌출부
400: 조절부 410: 리턴 스프링
420: 지지 플레이트 430: 오일 배출통로
450: 오일배출구 470: 체크볼
500: 스프링부재 510: 조임볼트
520: 메인 오일통로 530: 로커 샤프트
550: 구동캠

Claims (7)

  1. 구동캠과 이격되어 상기 구동캠과의 구름접촉에 의해 회동하여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로커암을 포함하는 유압식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전단은 로커 샤프트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구동캠과 구름접촉하는 로커암롤러와 함께 롤러 샤프트를 동축으로 결합된 제1 로커암;
    전단은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스크류와 결합되고, 상기 로커 샤프트를 동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로커암과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제1 로커암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제2 로커암;
    상기 제1 로커암과 상기 제2 로커암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 로커암과 제2 로커암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로커 샤프트의 상측에 결합되어 항상 제1 로커암을 가압하여 제1,2 로커암의 분리를 방해하는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로커암은,
    상기 제2 로커암과 접촉하여 회전력을 제2 로커암에 전달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로커 샤프트에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접촉부의 내부는 상기 탄성부가 삽입될 수 있는 탄성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장착홈과 상기 조절부는 오일 공급통로와 각기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 장착홈에 형성되는 오일배출구는 오일 배출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오일 배출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오일배출구를 개폐하는 체크볼과,
    상기 체크볼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오일배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암은,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로커암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접촉부와,
    상기 로커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로커암과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제2결합부와,
    상기 제2접촉부와 제2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접촉부에는 피스톤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부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오일 공급통로를 통해 공급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홈이 내부에 형성된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오일 저장홈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을 조절하고,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오일 저장홈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스톤부재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냅링이 제1접촉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단부가 구의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2 로커암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7. 삭제
KR1020100093939A 2010-09-28 2010-09-28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610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39A KR101610072B1 (ko) 2010-09-28 2010-09-28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39A KR101610072B1 (ko) 2010-09-28 2010-09-28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43A KR20120032343A (ko) 2012-04-05
KR101610072B1 true KR101610072B1 (ko) 2016-04-07

Family

ID=4613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939A KR101610072B1 (ko) 2010-09-28 2010-09-28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23B1 (ko) 2012-12-28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엔진용 밸브장치
KR101927164B1 (ko) * 2013-12-17 2019-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
US11352961B2 (en) 2017-12-28 2022-06-07 Weichai Power Co., Ltd. Valve rocker arm assembly, variable air distribution mechanism and engine
DE102018132857A1 (de) * 2018-12-19 2020-06-25 Man Truck & Bus Se Schaltbar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Hubventil einer Brennkraftmaschine, Brennkraftmaschine und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903A (ja) * 2005-03-29 2006-10-12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146679A (ja) * 2005-11-24 2007-06-14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903A (ja) * 2005-03-29 2006-10-12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JP2007146679A (ja) * 2005-11-24 2007-06-14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43A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387B2 (en) Compact two-step rocker arm assembly
KR100921045B1 (ko) 차량용 실린더 정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변밸브리프트장치
EP3128139B1 (en) A valve train assembly
KR101610072B1 (ko) 로커암 분리형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US20110220062A1 (e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with a compression relief engine brake
KR20150121125A (ko) 엔진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통합형 마스터­슬레이브 피스톤
JP2017528646A (ja) エンジン制動用のロッカアームアセンブリ
KR101209740B1 (ko)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한 엔진
US5960756A (en) Valve contro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338760A3 (en) Two-step roller finger cam follower having spool-shaped low-lift roller
CA2329650A1 (en) Valve operating system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2513430A (zh) 中心枢转闩锁停用摇臂
EP4339425A1 (en) Special driving cam-based combined engine valve driving device
WO2023142279A1 (zh) 液压间隙自调专用驱动凸轮组合式气门驱动装置
CN103161543A (zh) 驱动装置、具有该驱动装置的内燃机和使用该内燃机的车辆
US8042502B2 (en) Valve driv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with a decompression brake
US9068479B2 (en) Veb excenter reset
US10927717B2 (en) Valve train lever
KR101683529B1 (ko) 압축 완화형 엔진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엔진
US20170292416A1 (en) Variable valve mechanis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00118278A (ko) 밸브시스템의 하중 가변장치
KR101219339B1 (ko) 차량용 실린더 정지장치
KR20110122999A (ko)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EP1568849B1 (en) Rocker arm assembly for a valve train
CN109356730B (zh) 一种可切换推杆式发动机制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