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990B1 -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990B1
KR101609990B1 KR1020150126522A KR20150126522A KR101609990B1 KR 101609990 B1 KR101609990 B1 KR 101609990B1 KR 1020150126522 A KR1020150126522 A KR 1020150126522A KR 20150126522 A KR20150126522 A KR 20150126522A KR 101609990 B1 KR101609990 B1 KR 10160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adhesive
finishing material
building
panel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철
추현숙
Original Assignee
추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현숙 filed Critical 추현숙
Priority to KR102015012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불연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1)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 제1 마감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알칼리 탈지 처리하는 단계; 2)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제1 마감재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단계; 3) 상기 제1 마감재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 제2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4)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경화 조건을 부여하여, 상기 제1 평면부에 제1 마감재를 경화 접착시키고, 상기 제1 마감재에 제2 마감재를 경화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Method for manufacturing partion panel for building and partion panel therefrom}
본 발명은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로서, 양호한 불연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을 표현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제공하도록 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파티션 패널은, 건물의 내부공간에서 파티션으로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화장실에서 칸막이 또는 도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등 여러 부분의 건축용 인테리어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이용하여 화장실에 칸막이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화장실용 파티션 패널(10)은 일반적으로 심재보드의 양측면에 시트지 형상의 마감재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건축용 파티션 패널로서 요구되는 소정의 기계적 특성(예, 강도, 내변형성, 내구성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심재보드의 재질로서는 코어보드, 파티클보드, 합성수지판넬, 알루미늄, 우레탄, 수지함침강화판, 합판, 중밀도 섬유판 등이 사용된다.
또한, 건물의 내부공간이라는 사용 환경 특성상 화재에 대비한 난연성을 부여하고, 화장실과 같은 습한 환경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습기 변형에 대비한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감재의 재질로서는 고밀도 멜라민 함침지(HPM 또는 HPL)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감재의 경우, 불연성의 측면이나 디자인적 측면에서 각각의 소재의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일예로, 고밀도 멜라민 함침지(HPM 또는 HPL)의 경우,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디자인 구현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난연성 소재라는 특성상 불연성까지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다른예로, 알루미늄 시트의 경우, 금속 소재의 특성 상 불연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을 인쇄나 도장 등을 통해 구현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시트의 경우, 금속 소재의 특성 상, 일반적인 목공용 접착제로는 견고한 부착이 불가능하였고, 예를 들어, 하니컴 보드 등에 조립식으로 부착되는 등 부착 방식에 제약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707호 (2010년09월01일 공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로서, 양호한 불연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을 표현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제공하도록 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불연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1)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 제1 마감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알칼리 탈지 처리하는 단계; 2)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제1 마감재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단계; 3) 상기 제1 마감재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 제2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4) 상기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경화 조건을 부여하여, 상기 제1 평면부에 제1 마감재를 경화 접착시키고, 상기 제1 마감재에 제2 마감재를 경화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1) 단계는, 11) 상기 제1 마감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버핑 처리하는 하는 단계; 12) 버핑 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샌딩 처리하는 단계; 및 13) 샌딩 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알칼리 탈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3) 단계 이후에, 14) 상기 알칼리 탈지 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를 25~35 ℃의 온도가 되도록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3) 단계 이후, 2') 심재보드의 제2 평면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또다른 제1 마감재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1 마감재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 또다른 제2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4) 단계를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 측에 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2) 단계를 상기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에 각각 실시하여 상기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에 제1 마감재를 각각 부착하며, 상기 3) 단계를 상기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 측에 각각 실시하여 양측에 제2 마감재를 각각 부착하며, 상기 4) 단계를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 및 제2 평면부 측에 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심재보드는, 코어보드, 파티클보드, 합성수지판넬, 알루미늄보드, 우레탄, 수지함침강화판, 합판, 중밀도 섬유판, 마그네슘보드, 알루미늄하니컴, PVC발포판넬, PS(폴리스티렌) 발포판넬, 폴리에스틸렌, 석고보드, 스테인레스, 발포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불연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로서, 심재보드;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일측면이 접착되는 제1 마감재; HPL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마감재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제2 마감재;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심재보드의 제2 평면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일측면이 접착되는 또다른 제1 마감재; 및 HPL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또다른 제1 마감재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또다른 제2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파티션 패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불연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로서, 심재보드;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심재보드의 제1 평면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일측면이 접착되는 제1 마감재; HPL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마감재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 제2 마감재; 및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심재보드의 제2 평면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일측면이 접착되는 또다른 제1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파티션 패널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마감재는, 양측면이 버핑 처리 및 샌딩 처리, 알칼리 탈지 처리가 이뤄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를 마감재로 적용함으로써, 결합력이 좋으면서도 불연성이 양호한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시트와 함께 HPL 시트를 최종 마감재로 사용함으로써, 불연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을 표현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이용하여 화장실에 칸막이를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핫멜트 접착제를 가열 용융 상태에서 도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심재보드의 평면부 상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파티션 패널은, 방수성 및 불연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방수성 및 불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화장실에서 칸막이 벽체나 화장실용 도어로 사용되는 환경을 들 수 있다. 화장실의 경우, 건축 규정 상의 건물 내부 환경 조건에 따라 소정의 불연성(또는 난연성)이 요구되면서, 습기와 수분에 쉽게 노출된다는 환경 특성에 따라 특히 방수성이 크게 요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건축용 파티션 패널은, 불연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건축용 파티션 패널은, 심재보드(110)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보드(110)는 바람직하게, 코어보드, 파티클보드, 합성수지판넬, 알루미늄보드, 우레탄, 수지함침강화판, 합판, 중밀도 섬유판, 마그네슘보드, 알루미늄하니컴, PVC발포판넬, PS(폴리스티렌) 발포판넬, 폴리에스틸렌, 석고보드, 스테인레스, 발포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다. 일예로, 심재보드(110)는 심재보드용 모재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각 모양의 심재보드(110)를 준비한다. 이러한 절단은 일반적인 목공용 회전톱을 이용하거나, 목공용 CNC 밀링머신을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에는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이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제1 마감재(130-1)는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다.
알루미늄 시트는 0.3~0.4 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상용 제품을 사용하며, 이러한 상용 제품은 예를 들어, 1220*2440 mm의 사이즈로 제조사로부터 제공되어, 심재보드의 사이즈에 맞게 절단하여 부착 사이즈로 준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제1 마감재(130-1,130-2)는, 양측면이 버핑 처리 및 샌딩 처리, 알칼리 탈지 처리가 이뤄진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제(60)로서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된다.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80~120 ㎛의 두께가 되도록 경화층을 형성한 이후에, 목공용 접착제와 달리 단순한 접착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자체적인 강도와 경도를 제공하는 하나의 구조층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전체적인 파티션 패널의 기계적 특성(강도, 경도,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타측면에는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제2 마감재(140-1)가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제2 마감재(140-1)는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다.
HPL(High Pressure Laminate)은 HPM(High Pressure Melamine)이라고도 불리우는 소재로서, 종이 및 섬유질의 기재에 열경화성수지가 함침되어 있고 일면 또는 양면에 색상, 무늬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적정열과 35~50kgf/㎠ 이상의 압력에서 성형된 판상재료를 말한다. HPL(High Pressure Laminate)은 일반적으로 135℃이상의 내열도를 갖는 난연성 재료로서, 색상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모양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2 평면부(110-2)에는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또다른 제1 마감재(130-2)의 일측면이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또다른 제1 마감재(130-2)는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또다른 제1 마감재(130-2)의 타측면에는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또다른 제2 마감재(140-2)가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또다른 제2 마감재(140-2)는 HPL 시트로 구성된다.
한편, 파티션 패널(100)의 상하좌우 테두리의 방수성 및 불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상기 심재보드(110)를 그 상하좌우 테두리에 방수성 및 불연성이 우수한 별도의 테두리부재(120)가 접착 구비된 복합패널 형태로 구성하여 파티션 패널(1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테두리부재(120)는 공지의 불연성 소재라면 특별히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S1 단계에서는,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알칼리 탈지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시트는 그 제조 과정에서 표면에 오일 성분이 잔류하여 핫멜트 접착제(60)로 HPL 시트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뤄지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알루미늄 시트를 알칼리 탈지 처리하면 핫멜트 접착제(60)로 HPL 시트와 알루미늄 시트 상호 간의 접착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게 되었으며, 이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의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을 제안하게 되었다.
알칼리 탈지 처리는 다음과 같은 세부 과정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S11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버핑 처리한다. 버핑(buffing)은 버프(buff)의 원둘레 또는 측면에 연마재를 바르고 금속 표면을 연마하는 작업을 말한다. 버프는 연마용으로 사용되는 포제차(布製車)로서, 일반적으로 모스린과 기타의 천을 처리하여 합친 것을 사용하며, 여기에 연마재를 발라서 연마한다. 연마재로서는 유성 또는 수성연마재가 사용 가능하다. 일예로 유성 연마재는 규석, 규사, 산화칼륨, 산화 마그네슘, 산화크롬, 산화알루미늄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연마재를 왁스, 스테아린산과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수성 연마재는 지방산과 유화제, 물 등을 혼합한 에멀션에 연마재를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S12 단계에서는, 버핑 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샌딩 처리한다. 샌딩은 샌드 블라스트라고도 하며, 분사 가공의 일종으로서, 직경이 작은 글리드 글래스구, 규소, 해사 등을 공기로 분사시키거나, 중력으로 낙하시켜 소재표면 연마, 녹 제거 또는, 무지 가공을 하는 처리이다.
버핑 및 샌딩을 통해 알루미늄 시트 표면에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며, 핫멜트 접착제(60)가 이러한 공극 틈으로 침투하여 결합력을 갖게 되므로, 알루미늄 시트와 HPL 시트 상호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S13 단계에서는, 샌딩 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알칼리 탈지 처리한다. 알칼리 탈지는 알루미늄 시트에 존재하는 압연유, 이형재, 산화막 등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하며, 일예로, 40~80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15초~1분 정도로 침지하고 이후 질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중화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계면활성제 혼합물인 탈지첨가제를 더욱 첨가하여 탈지 처리가 이뤄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13 단계 이후에, S14 단계에서는, 상기 알칼리 탈지 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130-1)를 25~35 ℃의 온도가 되도록 열처리한다. 알루미늄 시트 소재의 제1 마감재(130-1)는 금속 소재의 특성 상 차가운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핫멜트 접착제(60)가 급속으로 경화되어 바람직한 접착 상태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1 마감재(130-1)를 25~35 ℃의 온도가 되도록 열처리 실시한다. 열처리 방법은 가열로나 히터를 통해 30~35 ℃ 정도의 분위기 조건에 40초 정도 알루미늄 시트를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특정 방법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S2 단계에서는,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을 부착한다.
S3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 제2 마감재(140-1)를 부착한다.
S4 단계에서는, 상기 핫멜트 접착제(60)에 대한 경화 조건을 부여하여, 상기 제1 평면부(110-1)에 제1 마감재(130-1)를 경화 접착시키고, 상기 제1 마감재(130-1)에 제2 마감재(140-1)를 경화 접착시킨다. 경화 조건은 접착제의 경화가 이뤄질 수 있는 소정의 경화 환경(경화 가능 온도 및 시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핫멜트 접착제(60)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도포되고 마감재 부착 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핫멜트 접착제를 가열 용융 상태에서 도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심재보드의 평면부 상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심재보드(110)를 반송하면서,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상에 회전하는 도포 롤(50)을 통해 핫멜트 접착제(60)를 가열 용융 상태에서 도포하여 적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핫멜트 접착제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되며, 핫멜트 접착제는 80~120 ㎛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다. 기존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도포 두께는 60 ㎛보다 두껍지 않은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용도로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80 ㎛ 이상의 두께로 도포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접착력 및 경화 후의 기계적 특성의 확보, 표면의 미려한 품질 확보 등을 위해 바람직하다는 점을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다만, 도포 두께를 120 ㎛ 이상으로 하더라도 요구되는 접착력 및 경화 후의 기계적 특성의 확보에 큰 차이가 없으면서 핫멜트 접착제가 과다 사용되고 두께가 과도하게 커지는 점을 고려할 때,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두께는 80~120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필요에 따라,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두께는 120 ㎛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핫멜트 접착제는 물이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여 이뤄진 접착제로서, 펠렛 형태의 접착제 분말을 고온에서 용융하여 액상으로 만든 후, 이를 피착제에 도포, 압착하여 냉각 고화되면서 접착력을 제공하는 열용융 접착제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기본 수지의 종류에 따라 EVA계, PE계, PP계, SIS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등으로 분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된다.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며, 상온에서는 고형이고, 가열 용융시켜 피착제에 도포하면 냉각되면서 1차적으로 접착력이 발현되며,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공기 중 및 피착제 표면의 수분과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이 진행되어 가교가 일어남으로써 접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예를 들어, 주성분으로 Polyester/isocyanate prepolymer 30 - 50% 가 포함된 것으로서, 작업 온도(용융된 상태에서 도포 작업이 가능한 온도) 110~130℃, 작업 시간(용융된 상태에서 접착 작업이 가능한 시간) 3분, 120 ℃에서의 점도가 대략 40000 cps 정도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파티션 패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습기나 수분이 많은 화장실과 같은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접착제로서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습기나 수분이 많은 사용 환경에서 더욱 양호한 접착 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핫멜트 접착제(60)는 일반적인 롤 코터(Roll Coater)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작업 온도로 용융된 핫멜트 접착제(60)가 공급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롤 코터로 공급되어 미터링 롤(52)과 도포 롤(50) 사이에 공급 저장되며, 반송부(56) 상에서 심재보드(110)가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과 함께 미터링 롤(52)과 도포 롤(50)이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되어 적절한 양의 핫멜트 접착제(60)가 심재보드의 전체 면적에 걸쳐 도포된다. 미 설명된 부호 54는 심재보드의 반송 또는 하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의 동시 도포에 사용되는 보조 롤이다.
통상적인 심재보드(110)의 사이즈를 고려할 때, 핫멜트 접착제의 작업 시간은 예를 들어, 1 도포 면당 대략 수초 정도 소요된다.
상기 마감재의 부착은 예를 들어, 수작업 또는 자동 설비를 통해 핫멜트 접착제(60)가 도포된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상에 적절한 사이즈의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 제1 마감재(130-1)를 부착하고, 상기와 같이 마감재가 부착된 심재보드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반적인 롤 프레스 장치에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롤 코터로부터 롤 프레스까지의 이송은 통상의 레일형 이송설비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미설명된 부호 72,74는 각각 롤 프레스 장치의 상부 및 하부 가압 롤을 나타낸다.
이렇게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알루미늄 시트와 HPL 시트를 접착하는 경우, 시트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 필름을 사용하고 열프레스로 가압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의 조건에서 접착 과정이 이뤄지므로, HPL 시트의 열변형 위험성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에 제1 마감재(130-1) 및 제2 마감재(140-1)를 접착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2 평면부(110-2)에 또다른 제1 마감재(130-2) 및 제2 마감재(140-2)가 더욱 접착된다.
상술한 도 7의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상기 S3 단계까지 실시된 이후, S2' 단계에서는, 심재보드(110)의 제2 평면부(110-2)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또다른 제1 마감재(130-2)의 일측면을 부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S3 단계까지 실시된 이후, 상기 심재보드(110)를 뒤집은 상태로 반송하면서,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2 평면부(110-2) 상에 회전하는 도포 롤(50)을 통해 핫멜트 접착제(60)를 가열 용융 상태에서 도포하여 적층하고, 또다른 제1 마감재(130-2)의 부착이 이뤄질 수 있다.
S3'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마감재(130-2)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 또다른 제2 마감재(140-2)를 부착한다.
이후, 본 실시예의 S4 단계에서는, 상기 핫멜트 접착제(60)에 대한 경화 조건을 부여하여,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 측에 각각 제1 마감재(130-1,130-2) 및 제2 마감재(140-1,140-2)을 경화 접착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 측에 각각 제1 마감재(130-1,130-2) 및 제2 마감재(140-1,140-2)을 경화 접착시키는데, 그 순서를 상술한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구성한다.
상기 S2 단계를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에 각각 실시하여 상기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에 제1 마감재(130-1,130-2)를 각각 부착한다.
상기 S3 단계를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 측에 각각 실시하여 양측에 제2 마감재(140-1,140-2)를 각각 부착한다.
상기 S4 단계를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 측에 대하여 실시한다. 즉, 상기 핫멜트 접착제(60)에 대한 경화 조건을 부여하여,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 측에 각각 제1 마감재(130-1,130-2) 및 제2 마감재(140-1,140-2)를 경화 접착시킨다.
한편, 상술한 도 2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 및 제2 평면부(110-2) 측에 제1 마감재(130-1,130-2) 및 제2 마감재(140-1,140-2)를 모두 경화 접착시키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일반적으로,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는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을 표현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도 2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양면에 모두 색채나 디자인이 미려하게 표현된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파티션 패널의 일측면에는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을 표현하고, 다른 측면에는 금속성의 표면 효과를 제공하고자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건축용 파티션 패널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일부 단면도이다.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에는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이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제1 마감재(130-1)는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타측면에는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제2 마감재(140-1)가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제2 마감재(140-1)는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심재보드(110)의 제2 평면부(110-2)에는 핫멜트 접착제(60)를 통해 또다른 제1 마감재(130-2)의 일측면이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또다른 제1 마감재(130-2)는 알칼리 탈지 처리된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또다른 제1 마감재(130-2)의 타측면에 별도의 HPL 시트를 접착하지 않고 마감 처리를 완료한다.
한편, 보관이나 이송, 설치 공사 시의 표면 보호를 위해 각 마감재의 표면에는 공지의 보호 필름이 더욱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60:핫멜트 접착제
100: 파티션 패널
110: 심재보드
120: 테두리부재
130-1,130-2: 제1 마감재
140-1,140-2: 제1 마감재

Claims (10)

  1. 불연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내부공간 환경에서 파티션이나 도어용 패널, 벽 패널로 사용되는 건축용 파티션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1) 알루미늄 시트로 구성된 2개의 제1 마감재(130-1, 130-2)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버핑 처리하는 하는 단계;
    2) 버핑 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130-1, 130-2)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샌딩 처리하는 단계;
    3) 샌딩 처리된 제1 마감재(130-1, 130-2)를 탈지첨가제가 혼합된 40~80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15초~1분 동안 침지한 후, 질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제1 마감재(130-1, 130-2)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알칼리 탈지처리하는 단계;
    4) 알칼리 탈지처리된 상기 제1 마감재(130-1, 130-2)를 가열로나 히터에 의해 30~35 ℃의 분위기가 유지되는 조건에서 40초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5) 심재보드(110)의 제1 평면부(110-1)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단계;
    6) 상기 제1 마감재(130-1)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 제2 마감재(140-1)를 부착하는 단계;
    7) 심재보드(110)의 제2 평면부(110-2)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또 다른 제1 마감재(130-2)의 일측면을 부착하는 단계;
    8) 상기 제1 마감재(130-2)의 타측면에 핫멜트 접착제(60)를 도포하고 HPL(High Pressure Laminate) 시트로 구성된 또 다른 제2 마감재(140-2)를 부착하는 단계; 및
    9) 상기 핫멜트 접착제(60)에 대한 경화 조건을 부여하여, 상기 제1 평면부(110-1)와 제2 평면부(110-2)에 각각 제1 마감재(130-1,130-2)를 경화 접착시키고, 상기 각각의 제1 마감재(130-1, 130-2)에 제2 마감재(140-1,140-2)를 경화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파티션 패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26522A 2015-09-07 2015-09-07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KR10160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22A KR101609990B1 (ko) 2015-09-07 2015-09-07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22A KR101609990B1 (ko) 2015-09-07 2015-09-07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990B1 true KR101609990B1 (ko) 2016-04-20

Family

ID=5591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522A KR101609990B1 (ko) 2015-09-07 2015-09-07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170B1 (ko) * 2019-01-17 2019-09-09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KR102052136B1 (ko) 2019-02-13 2019-12-04 (주) 투템디자인 친환경 사무용 파티션 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788B1 (ko) 2013-07-29 2014-05-16 (주) 엘엠시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788B1 (ko) 2013-07-29 2014-05-16 (주) 엘엠시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170B1 (ko) * 2019-01-17 2019-09-09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KR102052136B1 (ko) 2019-02-13 2019-12-04 (주) 투템디자인 친환경 사무용 파티션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49059B2 (en) Method for finishing a wood board
US4005239A (en) Decorative laminated panel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2010540293A (ja) 複合製品
EP4088928A1 (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KR101609990B1 (ko)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KR20140090980A (ko) 베벨을 구비하는 패널
JP2014531336A (ja) 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618256B2 (en) Porcelain laminate and procedure for manufacturing it
CN106626930A (zh) 金属面与木皮的复合工艺
JP6511949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CA3137235A1 (en) Method for coating a planar workpiece
KR20150020940A (ko)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KR101799811B1 (ko) 단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성 향상 마감패널의 제조방법
KR101395788B1 (ko) 건축용 파티션 패널 제조방법 및 건축용 파티션 패널
WO2019037818A1 (de) Kompositbelag,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100826958B1 (ko) 벌집형 내장재와 이를 구비하는 판넬과 벌집형 내장재제조방법 및 판넬 제조방법
US20100310844A1 (en) Method for coating a molded foam part
CN106608090A (zh) 金属门门面与木皮的复合工艺
JP2000185383A (ja) 転写シート、それを用いた転写方法、及び化粧材
JP3083040U (ja) 加飾シート
KR101663636B1 (ko) 건축용 방수 패널의 제조방법 및 방수 패널
JP6759559B2 (ja) 不燃化粧板
RU2675369C2 (ru) Барьерный слой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системах покрытий на основах из полимера
JP7410454B2 (ja) 建具、及び建具の製造方法
JP7434720B2 (ja) 不燃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不燃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