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814B1 -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814B1
KR101609814B1 KR1020150004196A KR20150004196A KR101609814B1 KR 101609814 B1 KR101609814 B1 KR 101609814B1 KR 1020150004196 A KR1020150004196 A KR 1020150004196A KR 20150004196 A KR20150004196 A KR 20150004196A KR 101609814 B1 KR101609814 B1 KR 101609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member
friction
rotation
oper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황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호 filed Critical 황선호
Priority to KR102015000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814B1/ko
Priority to PCT/KR2015/003237 priority patent/WO20161144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회전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모듈(50);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22)를 포함하는 레그(2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상부고정부재(60); 및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하부고정부재(70);를 포함하고, 서로 마찰되는 상기 회전부(22) 및 하우징(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강도의 마찰부재(61)가 배치되어 상호 접촉 시 마찰력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 받침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틀은 고강도의 마찰부재가 회전부와 밀착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항상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Prop and structure for fixing rotater}
본 발명은 라쳇이 설치된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이 불규칙한 지형, 경사진 지형과 같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지형에서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라쳇이 설치된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파라솔의 받침틀을 예로 비교하면, 하단에 무게를 형성하기 위해 시멘트나 주물(철)로 무게를 형성하고, 중앙에 파라솔의 지지대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받침틀과, 지지면이 흙/ 지형 등에 꽂아서 그 위에 파라솔의 지지대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받침틀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기존의 받침틀들은 각각의 사용환경과 기능에 맞게 사용되어야하고, 사용자는 각각의 기능의 받침틀을 구비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초래하고, 또한 무게형식의 받침틀은 이동이 불편하고 지지면에 꽂아서 사용하는 받침틀은 지지면이 지주핀을 꽂을 수 있는 흙 등으로 한정된 장소여야만 한다.
즉, 기존의 받침틀들은 중앙의 지지대식의 파라솔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틀이여서 발명이 바라는 한쪽으로 쏠리는 무게의 중심의 파라솔이나 물건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불안전한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의 받침틀과 같이 삼각대 형태의 지지대를 구성하여 거치하는 받침틀의 경우도 지원할 수 있도록 발명의 발이 상하의 180도로 움직여 고정할 수 있어 삼각대의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지형의 형태가 평행한면/ 굴곡진면/ 비탈진면/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의 지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지지할 수 있으며 한쪽으로 쏠리는 무게의 중심의 파라솔과 지면에 지지대가 밀착하는 받침틀의 경우와 카메가 거치대등의 삼각대 형태로 지지할 수 있는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틀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89-0012188
본 발명은 지면이 불규칙한 지형, 경사진 지형과 같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지형에서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받침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사용하여도 일정량 이상의 마찰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받침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회전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모듈(50);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22)를 포함하는 레그(2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상부고정부재(60); 및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하부고정부재(70);를 포함하고, 서로 마찰되는 상기 회전부(22) 및 하우징(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강도의 마찰부재(61)가 배치되어 상호 접촉 시 마찰력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 받침틀을 제공한다.
상기 조작모듈(50)의 조작력을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 전달하는 거리조절부재(31)가 배치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하우징(10)과 상호 간섭되어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부고정부재(70)는 상기 거리조절부재(31)와 상호 걸림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조작모듈(50)에 의해 가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회전부(22)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22)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상부마찰홈(62); 상기 상부하우징(11)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상부돌출부(65); 상기 거리조절부재(31)에 의해 관통되는 상부홀(66);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부재(61)는 상기 상부마찰홈(6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61)는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 각각 전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복수개의 회전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모듈(50);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22)를 포함하는 레그(2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상부고정부재(60); 및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하부고정부재(7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22)와 마찰되는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는 상기 회전부(22)보다 고강도의 마찰부재(61)가 전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조작모듈(50)의 조작력을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 전달하는 거리조절부재(31)가 배치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하우징(10)과 상호 간섭되어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부고정부재(70)는 상기 거리조절부재(31)와 상호 걸림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조작모듈(50)에 의해 가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회전부(22)가 삽입되고, 상기 마찰부재(61)가 전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22)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상부마찰홈(62); 상기 상부하우징(11)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상부돌출부(65); 상기 거리조절부재(31)에 의해 관통되는 상부홀(66);을 포함하는 받침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복수개의 회전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회전홈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전부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고정유닛; 상기 회전부와 마찰되는 상기 고정유닛의 마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 보다 고강도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회전부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틀은 불규칙한 지형, 경사진 지형과 같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지형에서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고, 파라솔 등의 컬럼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틀은 고강도의 마찰부재가 회전부와 밀착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되어도 항상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받침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받침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하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받침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받침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틀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회전홈(12)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20)와, 상기 하우징(1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서 이동되며, 상기 레그(20)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레그(20)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3) 사이에 상기 고정유닛(30)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레그(20)의 상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홈(12)이 복수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홈(12)은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회전홈(12)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레그(20)의 회전중심을 지지하는 레그축지지홈(15)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3)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3)의 레그축지지홈(15) 사이에 후술하는 레그축(25)이 위치된다.
상기 레그(20)는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에 힌지연결되는 회전부(22)와, 상기 회전부(22)에 연결되는 레그부(24)와, 상기 회전부(22)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레그축(2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2)는 상기 레그축(25)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유닛(30)과의 마찰력에 의해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2)의 표면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본 실시예에서 니켈도금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회전부(22)의 표면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열처리를 통해 표면의 경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팅층은 다양한 표면처리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30)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하우징(11)에 설치된 상부고정부재(60)와, 상기 하부하우징(13)에 설치된 하부고정부재(70)와,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31)와, 상기 거리조절부재(31)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조작모듈(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31)의 상단(31a)은 상기 조작모듈(50)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하우징(11)에는 상기 거리조절부재(31)와 상호 간섭되어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는 상대이동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상대이동부(16)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대이동부(16) 및 거리조절부재(31)는 본 실시예에서 상호 치합된다.
그래서 상기 거리조절부재(31)가 회전되면, 상기 상호 치합을 통해 상기 거리조절부재(3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상대이동된다.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상부하우징(11)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된다.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회전부(22)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22)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상부마찰홈(62)과, 상기 상부하우징(11)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상부돌출부(65)와, 상기 거리조절부재(31)에 의해 관통되는 상부홀(66)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마찰홈(62)은 회전홈(12)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상부돌출부(65)는 상기 상부하우징(11)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과 접촉된다.
상기 조작모듈(50)은 상기 상부돌출부(65)를 가압하여 하측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상부홀(66)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마찰홈(62)을 형성하는 내측면은 마찰부재(6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부재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고강도 광물 또는 금속이고, 전착을 통해 상기 상부마찰홈(62)에 부착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70) 역시 상기 회전부(22)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22)아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하부마찰홈(72)과, 상기 거리조절부재(31)에 의해 관통되는 하부홀(76)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마찰홈(72)은 회전홈(12)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부재(7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거리조절부재(31)와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부재(70)는 상기 거리조절부재(31)가 회전될 때, 상기 거리조절부재(31)와 슬립을 발생시킨다.
상기 하부마찰홈(72)에도 상부마찰홈(62)과 같이 마찰부재(61)가 전착되어 위치된다.
상기 마찰부재(61)는 본 실시예에서 파우더 형태이고, 전착을 통해 상기 상부마찰홈(62) 및 하부마찰홈(72)에 고정된다.
상기 전착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마찰부재(61)를 상기 상부하우징(11) 또는 하부하우징(13)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22)에도 상기 마찰부재(61)를 전착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 및 회전부재(22)에 모두 마찰부재(61)를 전착하여 마찰력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회전부(22)에만 고강도의 마찰부재(61)를 전착하고, 하우징(10)은 저강도의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찰부재(61)를 이용하여 마찰력을 형성시키는 구조는 당업자에 기술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레그의 고정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레그(20)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레그(20)들을 펼쳐, 적당한 간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면이 울퉁불퉁 하더라도 각 레그(20)는 각기 다른 회전각도로 회전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이후 사용자는 조작모듈(50)을 회전시켜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를 레그(20)의 회전부(22)에 밀착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레그(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조작모듈(50)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조작모듈(50) 및 거리조절부재(31)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거리조절부재(31)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거리조절부재(31) 및 상대이동부(16)가 상호 간섭되어 상하 방향으로 상대이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하부고정부재(70)는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고, 상기 회전부(22)의 저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조작모듈(50)은 상기 상부고정부재(60)의 상부돌출부(65)를 가압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60)를 회전부(22)의 상측에 밀착시킨다.
그래서 상기 조작모듈(50)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부(22)는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 의해 상측 및 하측에서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고강도의 상기 마찰부재(61)는 상기 회전부(22) 표면에 가압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마찰부재(61)는 상기 회전부(22)보다 고강도의 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22)의 표면으로 파고들거나 스크래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20)에 충격이나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회전부(22)는 소정각도 회전될 수도 있지만, 고강도의 마찰부재(61)가 손상되지 않고, 상기 회전부(22)에 균일한 마찰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마찰부재(61)는 반복 사용 시에도 항상 균일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을 가진 고무나 합성수지 같이 저강도의 마찰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면, 표면이 경화되거나 마모되어 균일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없다.
더불어 상부마찰홈(62) 및 하부마찰홈(72)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하 방향으로 강한 압력을 가해도 슬립이 발생되어 회전부(22)를 고정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마찰홈(62) 및 하부마찰홈(72)에 고강도의 마찰부재(61)를 고정시키고, 상기 마찰부재(61)가 상기 회전부(22)의 표면을 소정량 깍거나 파고들게 하여 항상 일정량 이상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61)가 상기 회전부(22) 표면을 깍아도 상기 상하부고정부재(60)(70)의 이동거리를 증가시켜 절삭된 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틀은 반복 사용 시에도 고강도의 마찰부재(61)가 회전부(22)와 일정량 이상의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틀은 대상물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용도이고, 카메라, 파라솔, 측량장치 등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구조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하우징 11 : 상부하우징
12 : 회전홈 13 : 하부하우징
15 : 레그축지지홈 16 : 상대이동부
20 : 레그 22 : 회전부
24 : 레그부 25 : 레그축
30 : 고정유닛 31 : 거리조절부재
50 : 조작모듈 60 : 상부고정부재
62 : 상부마찰홈 65 : 상부돌출부
66 : 상부홀 70 : 하부고정부재
72 : 하부마찰홈 76 : 하부홀

Claims (6)

  1. 복수개의 회전홈(12)이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3)을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모듈(50);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22)를 포함하는 레그(2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상부고정부재(60); 및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하부고정부재(7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모듈(50)의 조작력을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 전달하는 거리조절부재(31)가 배치되며,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하우징(10)과 상호 간섭되어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부고정부재(70)는 상기 거리조절부재(31)와 상호 걸림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조작모듈(50)에 의해 가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된 받침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회전부(22)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22)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상부마찰홈(62); 상기 상부하우징(11)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상부돌출부(65); 상기 거리조절부재(31)에 의해 관통되는 상부홀(66);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마찰홈(62)에는 마찰부재(61)가 배치된 받침틀.
  4. 삭제
  5. 복수개의 회전홈(12)이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3)을 포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모듈(50);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22)를 포함하는 레그(2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상부고정부재(60); 및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모듈(5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부(22)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키는 하부고정부재(7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22)와 마찰되는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는 상기 회전부(22)보다 고강도의 마찰부재(61)가 전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조작모듈(50)의 조작력을 상기 상부고정부재(60) 및 하부고정부재(70)에 전달하는 거리조절부재(31)가 배치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31)는 상기 하우징(10)과 상호 간섭되어 상대 이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부고정부재(70)는 상기 거리조절부재(31)와 상호 걸림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조작모듈(50)에 의해 가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부재(60)는,
    상기 회전부(22)가 삽입되고, 상기 마찰부재(61)가 전착되어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22)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상부마찰홈(62); 상기 상부하우징(11)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상부돌출부(65); 상기 거리조절부재(31)에 의해 관통되는 상부홀(66);을 포함하는 받침틀.
  6. 삭제
KR1020150004196A 2015-01-12 2015-01-12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 KR10160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96A KR101609814B1 (ko) 2015-01-12 2015-01-12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
PCT/KR2015/003237 WO2016114449A1 (ko) 2015-01-12 2015-04-01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96A KR101609814B1 (ko) 2015-01-12 2015-01-12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814B1 true KR101609814B1 (ko) 2016-04-06

Family

ID=5579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196A KR101609814B1 (ko) 2015-01-12 2015-01-12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8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536A (ja) 1996-04-26 2000-05-09 インターフェイ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ャビネット滑り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536A (ja) 1996-04-26 2000-05-09 インターフェイ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ャビネット滑り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260B2 (en) Supporting structure having function of rod-linkage latching
NO20060164L (no) Baereplate som holder et slipeelement og slipeplate
CN104114928A (zh) 用于麦克风的可调接头
US9127417B2 (en) Device for processing and in particular for demolishing and/or milling horizontal, vertical, or inclined surfaces with step less cuts
TWI536837B (zh) 顯示器高度調節裝置
KR101609814B1 (ko) 받침틀 및 회전부 고정구조
US20080084660A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adjustable counterweight structure
KR20200054383A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의 거치대
US7942726B2 (en) Holder for supporting an end surface of a workpiece during polishing
CN105941077A (zh) 一种可调节的园林树木固定装置
CN102196748A (zh) 用于调节两个家具部件之间的相对位置的系统
KR20150082809A (ko) 수평측정기
JP2014097159A (ja) 練習装置
KR101609810B1 (ko) 받침대
CN200975209Y (zh) 衬垫装置
KR200440426Y1 (ko) 파이프 용접장비의 토치 회전장치
US20170086543A1 (en) Rotating Mechanism of Sunshade
KR101902057B1 (ko)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JP3212948U (ja) 調整可能な屋外用アンテナ吊り下げ構造
CN207737518U (zh) 一种升降舵平衡台
KR101032138B1 (ko) 도로 경계석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3933B1 (ko) 라쳇이 설치된 받침틀
JP6775383B2 (ja) 支承装置及びその取付方法
US316464A (en) Plaste ring-trowel
KR101513934B1 (ko) 받침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