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057B1 -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 Google Patents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057B1
KR101902057B1 KR1020160023845A KR20160023845A KR101902057B1 KR 101902057 B1 KR101902057 B1 KR 101902057B1 KR 1020160023845 A KR1020160023845 A KR 1020160023845A KR 20160023845 A KR20160023845 A KR 20160023845A KR 101902057 B1 KR101902057 B1 KR 10190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main shaft
angle bracket
anchor h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397A (ko
Inventor
최일규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최일규
이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규, 이은정 filed Critical 최일규
Priority to KR102016002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05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지반 내에 삽입되는 앵커체를 고정하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체의 인장한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에 있어서, 일부에 나사가 형성된 주축(270); 주축(270)과 일체로 형성되고, 연선(5)이 체결되는 앵커헤드(210); 주축(270)이 회전 가능하게 통과하고, 내부에 앵커헤드(210)를 수용하는 한쌍의 측판(250, 252); 및 앵커헤드(210)와 주축(270)의 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An Angle Bracket For An Earth Anchor}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지반 내에 삽입되는 앵커체를 고정하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체의 인장한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굴착을 원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H빔과 같은 엄지말뚝(1)을 박은 후 각각의 엄지말뚝(1)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압을 견디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어스앵커공법은 엄지말뚝(1)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상하로 띠장(2)을 설치한다. 이후, 엄지말뚝(1)과 띠장(2) 사이를 통해 연약지반에 굴착공(3)을 경사지게 뚫는다. 이후 굴착공(3) 속으로 어스앵커의 선단정착부(6)를 삽입한다. 그 다음 앵커체(4)와 연선(5)이 삽입된 굴착공(3)에 그라우트를 충전시켜 양생한 뒤 엄지말뚝(3)과 띠장(2)을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그 다음 어스앵커용 브라켓을 띠장(2)에 용접한 뒤, 별도의 인장기(예 : 유압잭)를 이용하여 연선(5)을 인장시키면서 쐐기로 고정하여 토류벽에 토압이 걸리더라도 어스앵커로서 지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현장 시공시 앵커체(40)의 중심 방향과 인장기의 인장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수평이나 수직 보다는 경사진 지반을 굴착하거나 굴착공(3) 자체를 경사지게 천공하는데 한 원인이 있다. 이와 같은 방향의 불일치로 인해 시공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앵커에 인장력을 가하는 경우 앵커의 연선(5)이 지압판의 인출공 및 띠장(2)과 마찰을 일으켜 절단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방향의 불일치로 인해 설계기준에 부합하는 인장강도가 나오지 않는 위험도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앵커체(40)의 중심 방향과 인장기의 인장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측판(100) 사이에 앵커정착헤드(137)가 위치한다. 측판(100)에는 3개의 각도조정C홈(1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앵커정착헤드(137)를 3개의 각도조정C홈(110)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인장하면 자동적으로 앵커정착헤드(137)가 회전하면서 인장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그런데, 도 2와 같은 종래의 앵글브라켓은 각도조정C홈(110)이 3개 밖에 없어서 3개의 각도조정C홈(110)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고, 중간 위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경사지에서 앵커정착헤드(137)를 측판(100)에 가져가면 미끌어져 떨어지기 때문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인장기를 설치해야 하는 시공의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앵커를 일정간격마다 여러개 시공하는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곁에 붙어서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앵커체(40) 또는 연선(5)의 중심 방향과 인장기의 인장방향이 일치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설치작업시 앵커헤드(210)가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고, 작업자가 곁에서 잡고 있지 않아도 되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앵커체(40) 또는 연선(5)의 중심 방향과 인장기의 인장방향이 일치하도록 조정되었을 때, 인장과정에서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갖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에 있어서, 일부에 나사가 형성된 주축(270); 주축(270)과 일체로 형성되고, 연선(5)이 체결되는 앵커헤드(210); 주축(270)이 회전 가능하게 통과하고, 내부에 상기 앵커헤드(210)를 수용하는 한쌍의 측판(250, 252); 및 앵커헤드(210)와 주축(270)의 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제공된다.
그리고, 주축(270)은 일단에 핸들(230)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축(275)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헤드(210)는 앵커헤드(210)를 관통하는 다수의 연선공(220); 및 연선공(220)에 끼워져 연선(5)을 고정하는 쐐기(2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축(270)의 회전에 따라 앵커헤드(210)와 측판(250) 사이의 간격(C)이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간격(C)는 ±5 mm 범위에서 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앵커헤드(210)와 주축(270)의 회전은 수평방향에 대해 15°~ 65°범위내의 회전이다.
그리고, 한쌍의 측판(250)은, 주축(270)이 통과하도록 주축공(272)이 형성된 제 1 측판(250); 및 나사가 통과하도록 나사공(255)이 형성된 제 2 측판(252);으로 구성된다.
잠금수단은, 핸들(230)의 일측에 체결되는 미세조정나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조정나사(240)는 측판(250)에 밀착되어 핸들(230)의 회전을 고정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한쌍의 측판(250, 25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80); 및 한쌍의 측판(250, 25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대좌(2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현장 상황하에서도 앵커체(40) 또는 연선(5)의 중심 방향과 인장기의 인장방향이 쉽게 일치하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설치작업시 앵커헤드(210)가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고, 작업자가 곁에서 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없고, 최소한의 작업자만으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앵커체(40) 또는 연선(5)의 중심 방향과 인장기의 인장방향이 일치하도록 조정되었을 때, 잠금수단으로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조정과정 뿐만 아니라 인장과정중에도 일정한 시공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전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후방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중 앵커헤드(210)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회전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 1 실시예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판(250)과 제 2 측판(252)은 평행하게 이격되고, 그 사이는 연결부재(280)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2 측판(250, 252)의 양단에는 각각 대좌(260)가 설치된다. 이러한 대좌(260)는 H-빔과 같은 띠장(2)에 지지된다.
앵커헤드(210)에는 다수의 연선공(220)이 관통 형성되고, 각 연선공(220) 마다 연선(5)이 통과한다. 쐐기(277)는 연선(5)이 인장방향으로는 이동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인장후 영구 고정되도록 기능한다.
앵커헤드(210)의 전방에는 다수의 연선공(220)이 관통 형성되고, 후방에는 하나의 커다란 헤드공(290)이 형성되어 있다. 앵커헤드(210)의 일측으로는 주축(270)이 연결되고, 주축(270)의 끝단에는 핸들(230)과 미세고정나사(240)가 설치된다. 자세한 구조는 도 6과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중 앵커헤드(210)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회전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판(250)에는 주축공(272)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제 2 측판(252)에는 나사공(255)이 형성되어 있다.
앵커헤드(210)의 일측에는 주축(270)이 있고, 반대측에는 나사축(275)이 있으며, 이러한 주축(270), 앵커헤드(210) 및 나사축(275)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주축(270)은 주축공(27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나사축(275)은 나사공(255)과 회전 가능한 나사 결합으로 끼워진다.
핸들(230)은 디스크 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영역에 미세조정나사(240)가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조정나사(240)를 잠그면 제 1 측판(250)에 강하게 압착되어 주축(270)이 회전하지 못하고 잠기게 된다. 미세조정나사(240)를 풀면 제 1 측판(250)과 이격되면서 핸들(230), 주축(270), 앵커헤드(210), 나사축(275)의 회전이 자유롭다.
제 2 측판(252)와 앵커헤드(210)의 일면 사이에는 간격(C)이 있다. 따라서, 주축(270)이 회전할 경우, 나사축(275)이 이송되면서 간격(C)은 커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이러한 간격(C)는 ±5 mm 범위에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주축(270)의 회전은 수평방향에 대해 15°~ 65°범위내의 회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설계사양을 만족하도록 나사축(275)의 숫나사와 나사공(255)의 암나사 규격을 선택하면 된다.
제 1 실시예의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굴착을 원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으로 H빔과 같은 엄지말뚝(1)을 박은 후 각각의 엄지말뚝(1)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압을 견디도록 한다. 이때 엄지말뚝(1)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상하로 H-빔인 띠장(2)을 설치한다. 이후, 어스앵커공법에 따른 시공을 진행한다.
즉, 앵글브라켓(200)을 띠장(2)에 설치한 후 연선(5)의 중심방향과 인장방향이 일치하도록(즉, 각도가 일치하도록) 핸들(230)을 화살표(도 8 참조) 방향으로 돌린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축(270)과 나사축(275)이 각각 주축공(272)과 나사공(255)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앵커헤드(210)가 미끌어져 떨어지지 않도록 작업자가 잡고 있을 필요가 없고, 단지 핸들(230)을 돌려 각도를 일치시키는 것에만 집중하면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30)을 돌리면 간격(C)은 간격(C+ΔC)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 약간 아래를 향하던 앵커헤드(210)는 도 7에서 약간 위를 향하도록 각도 변화가 온다.
각도를 일치시킨 후에는 미세조정나사(240)를 돌려 제 1 측판(25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으로 인해 핸들(230), 주축(270), 앵커헤드(210) 및 나사축(275)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일치된 각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별도의 인장기를 통해 연선(5)을 인장하면 된다. 연선(5)이 앵커헤드(210) 주변에서 꺾이지 않고 직선을 유지하는 상태이므로 간섭없이 그리고 강도의 저하없이 인장이 이루어진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엄지말뚝,
2 : 띠장,
3 : 굴착공,
4 : 앵커체,
5 : 연선,
6 : 선단정착부,
100 : 측판,
110 : 각도조정C홈,
120 : 쐐기결합공,
130 : 정착헤드본체,
135 : 안치조절축부,
137 : 앵커정착헤드,
140 : 연결부재,
200 : 앵글 브라켓,
210 : 앵커헤드,
220 : 연선공,
230 : 핸들,
240 : 미세고정나사,
250 : 제 1 측판,
252 : 제 2 측판,
255 : 나사공,
260 : 대좌,
270 : 주축,
272 : 주축공,
275 : 나사축,
277 : 쐐기,
280 : 연결부재,
290 : 헤드공,
C : 간격.

Claims (10)

  1.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에 있어서,
    일단에 핸들(230)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축(275)을 구성하는 주축(270);
    상기 주축(270)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연선(5)이 체결되는 앵커헤드(210);
    상기 주축(270)이 회전 가능하게 통과하고, 내부에 상기 앵커헤드(210)를 수용하는 한쌍의 측판(250, 252);
    상기 핸들(230)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측판(250)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핸들(230)의 회전을 고정하는 미세조정나사(240);
    상기 한쌍의 측판(250, 25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80); 및
    상기 한쌍의 측판(250, 25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대좌(260);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헤드(210)는
    상기 앵커헤드(210)를 관통하는 다수의 연선공(220); 및
    상기 연선공(220)에 끼워져 상기 연선(5)을 고정하는 쐐기(277)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측판(250,252)은,
    상기 주축(270)이 통과하도록 주축공(272)이 형성된 제 1 측판(250); 및
    상기 나사가 통과하도록 나사공(255)이 형성된 제 2 측판(252);으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헤드(210)와 주축(270)의 회전은 수평방향에 대해 15°~ 65°범위내의 회전이고,
    상기 주축(2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앵커헤드(210)와 상기 측판(250) 사이의 간격(C)이 ±5 mm 범위에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23845A 2016-02-29 2016-02-29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KR10190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845A KR101902057B1 (ko) 2016-02-29 2016-02-29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845A KR101902057B1 (ko) 2016-02-29 2016-02-29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397A KR20170101397A (ko) 2017-09-06
KR101902057B1 true KR101902057B1 (ko) 2018-11-07

Family

ID=5992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845A KR101902057B1 (ko) 2016-02-29 2016-02-29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307A (zh) * 2019-10-31 2020-02-18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连续墙清除方法
KR102515896B1 (ko) 2022-05-11 2023-03-30 (주)지오알앤디 앵커겸용 내장형 띠장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58B1 (ko) *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58B1 (ko) * 2010-01-27 2010-06-16 (주)서림건설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307A (zh) * 2019-10-31 2020-02-18 中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连续墙清除方法
KR102515896B1 (ko) 2022-05-11 2023-03-30 (주)지오알앤디 앵커겸용 내장형 띠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397A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057B1 (ko) 어스앵커용 앵글브라켓
KR101467142B1 (ko) 가압 그라우팅이 가능한 강관 말뚝 및 그 관입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0964258B1 (ko)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US66550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column in an upright position
US9702203B2 (en) Polished rod alignment system
KR101260966B1 (ko)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0387370Y1 (ko) 회전 가능한 체결브라켓을 갖는 가설 흙막이 공법용경사버팀재
KR101328907B1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CN105625796A (zh) 一种电杆扶正装置
CN107429519A (zh) 具有用于承受负载的底座的地锚
KR20120076806A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US7150277B1 (en) Pivoting guide pulley stand for wire saw
KR101287687B1 (ko)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KR20080074688A (ko) 건축용 서포터
KR102267289B1 (ko) 두부 고정형 흙막이 및 두부 고정형 흙막이 공법
CN217325234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挡水装置
CN109537606A (zh) 一种护坡挡墙砌筑模板结构
KR20110088865A (ko) 슬래브 보수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보수보강방법
KR20150117473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US4094157A (en) Anchoring apparatus for anchoring a mining installation
KR20110079787A (ko) 어스 앵커 브래킷
KR20150098549A (ko) 선행인장타입 영구앵커장치
KR20160071851A (ko)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
KR20150037353A (ko) 파일 부착력 증대 장치 및 방법
KR102118320B1 (ko) 발파석 옹벽 구조 및 옹벽 축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