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96B1 - 터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796B1
KR101609796B1 KR1020140049593A KR20140049593A KR101609796B1 KR 101609796 B1 KR101609796 B1 KR 101609796B1 KR 1020140049593 A KR1020140049593 A KR 1020140049593A KR 20140049593 A KR20140049593 A KR 20140049593A KR 101609796 B1 KR101609796 B1 KR 10160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apacitance
sensor panel
touch sens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101A (ko
Inventor
김세엽
윤상식
윤형섭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4004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의 구동전극 및 복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터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검출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제1거리로 이격된 기준 전위층: 및 제1구동모드에서, 상기 검출부로 하여금 상기 제1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상기 제1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상기 터치의 면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장치{TOUCH INPUT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도체로 터치 센서 패널을 터치하거나 터치시에 터치 객체를 통한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의 발생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기법을 통해 터치 위치 또한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의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시 터치 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단순히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하고 컴퓨팅 시스템은 이러한 접촉을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부도체 등으로 터치 센서 패널을 터치하거나 터치시에 터치 객체를 통한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의 발생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터치 압력과 함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부도체 등으로 터치 센서 패널을 터치하거나 터치시에 터치 객체를 통한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의 발생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터치 압력과 함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의 구동전극 및 복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터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검출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제1거리로 이격된 기준 전위층: 및 제1구동모드에서, 상기 검출부로 하여금 상기 제1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상기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상기 터치의 면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복수의 구동전극 및 복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터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검출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제1거리로 이격된 기준 전위층: 및 제2구동모드에서 상기 검출부로 하여금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상기 객체 사이의 제2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터치의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도체 등으로 터치 센서 패널을 터치하거나 터치시에 터치 객체를 통한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의 발생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터치 압력과 함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또는 터치 면적을 통해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구동모드와, 터치 센서 패널과 객체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과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터치 센서 패널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또는 터치 면적을 통해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상기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2구동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과 터치 객체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용량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터치 압력이 가해질 때 터치 센서 패널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용량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다양한 단면을 예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시의 구동신호와 수신신호의 파형을 예시한다.
도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시에 자체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수신신호의 파형 변화를 구동신호와 함께 예시한다.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시에 상호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수신신호의 파형 변화를 구동신호와 함께 예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시에 압력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터치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구조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100),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200), 및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를 검출하는 검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300)는 제1검출부(310)와 제2검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검출부(310)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 터치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제2검출부(320)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 터치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검출부(300)는 제1검출부(310)와 제2검출부(320)로 반드시 구분되어 구현될 필요는 없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제1구동모드에서 검출부(300)로 하여금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상기 거리 변화에 따른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또는 터치 면적을 통해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2구동모드에서 검출부(300)로 하여금 터치 센서 패널(100)과 터치 객체(90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과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상기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또는 터치의 면적을 통해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디폴트(default) 구동모드로 하여 조작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제2구동모드를 디폴트로 하여 작동할 수 있다.
제2구동모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도체와 같은 터치 객체로 터치되고 이러한 객체를 통한 정전용량의 변화 발생이 용이한 환경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제2구동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예컨대 제1검출부(310)에서 일반적으로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기법에 따라 터치 객체를 통한 터치의 2차원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제2구동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예컨대 제2검출부(320)에서 일반적으로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는 기법에 따라 터치 객체를 통한 터치의 압력의 크기가 검출될 수 있다. 이때, 제1검출부(310)와 제2검출부(320)는 시분할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동시에 제1검출부(310)와 제2검출부(320)는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제1구동모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부도체와 같은 터치 객체로 터치되거나 객체의 터치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 발생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부도체인 터치 객체로 터치되는 경우 터치를 통한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는 야기되지 않는다. 또한, 수중(underwater)과 같은 환경에서 터치 입력 장치(1000)가 터치 객체로 터치되는 경우 터치 객체를 통한 상호 정전용량(Cm) 변화는 일정하지 않거나 발생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제1구동모드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해 객체가 터치시에 발생하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휘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또는 터치 면적을 검출함으로써 터치 압력의 크기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2검출부(320)에서 터치 압력의 크기 및 터치 위치를 모두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 처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구동모드를 선택하여 터치 입력 장치(1000)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제어부(400)는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서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는 물리적인 스위치 또는 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터치 입력 장치(1000)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상에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옵션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가 인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터치의 위치(2차원 평면상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법을 우선 설명한 후 도2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기법을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되는 도면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대각선, 동심원 및 3차원 랜덤 배열 등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차원 및 이의 응용 배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양의 정수로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에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절연막(미도시)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하나의 절연막(미도시)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은 제1절연막(미도시)의 일면에 그리고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상기 제1절연막과 다른 제2절연막(미도시)의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 (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구리 등의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구동신호는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신호의 인가는 재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이때, 검출부(300)는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상호 정전용량(Cm: 10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센서 패널(100)을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 값의 정전용량(C)이 생성되며, 손가락과 같은 도체인 객체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1에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m)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검출부(300)에서 감지하여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일어날 때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2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 수신전극(RX)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1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터치 위치 검출 방식은 일반적으로 도체와 같은 객체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터치함으로써 변화된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상의 터치 위치 검출 방식을 사용하면,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부도체와 같은 객체로 터치되거나 터치 입력 장치(1000)가 수중(underwater)에서 조작되는 경우 등에서,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시에 객체를 통한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거나 변화량이 일정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방식에 따라서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의 위치를 명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객체의 도체/부도체 여부뿐 아니라 터치 입력 장치(1000)가 조작되는 환경에 무관하게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터치 위치뿐 아니라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1000)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원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의 터치 센서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패널(600)의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2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패널(600)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터치 센서 패널(1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의 터치 센서 패널(100)이 형성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60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도2에서 도면부호 600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예시되나 해당 구성은 임의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는 기준 전위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전위층(5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에 포함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패널(600)과 결합하여 형성되는 경우, 기준 전위층(500)은 디스플레이 패널(600)의 그라운드(ground) 층일 수 있다. 이때, 기준 전위층(500)은 터치 센서 패널(100)의 2차원 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500)은 터치 센서 패널(100)의 2차원 평면과 평행한 평면상에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은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의 접착 방법의 차이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 사이의 공간은 에어갭(air gap)이 존재하거나 접착제로 채워질 수 있다.
도2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5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에는 에어갭(800)이 존재하는 것이 예시된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을 고정하기 위해서 양면 접착 테이프(700: DAT: Double Adhesive Tape)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은 각각의 면적이 포개어진 형태이고,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700)를 통해서 두 개의 층이 접착되되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이 소정 거리(d)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도2에서는 기준 전위층(500)이 디스플레이 패널(600)과 터치 센서 패널(500) 사이에 위치하여, 터치 센서 패널(500)과 기준 전위층(500)이 거리(d)만큼 이격된 것이 예시된다.
도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터치 센서 패널(100)과 터치 객체(900) 사이의 거리(D)에 따른 정전용량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2a에서는 도체인 객체(900)로 터치 센서 패널(100)을 터치하려고 할 때 객체(900)와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D)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체인 객체(900)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가까워짐에 따라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101: Cm)이 변화한다. 즉, 터치를 위해 도체인 객체(900)가 터치 센서 패널(100)과 가까워짐에 따라 상호 정전용량(Cm: 101)이 기본 상호 정전용량에 비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과 같은 도체인 객체(900)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근접한 경우, 객체(900)가 그라운드(GND) 역할을 하여 상호 정전용량(Cm: 101)의 프린징 정전용량(fringing capacitance)이 객체(900)로 흡수되기 때문이다. 기본 상호 정전용량은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없는 경우에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값이다.
객체(900)와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인 D가 충분히 큰 경우에 객체(900)는 상호 정전용량(101)을 전혀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객체(900)가 상기 상호 정정용량(101)을 변화시키기 시작하는 지점부터 터치 센서 패널(100)에 가까이 이동할수록 상호 정전용량(101)의 값은 감소한다. D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객체(900)로 흡수되는 상호 정전용량(101)의 프린징 정전용량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거리 D가, 객체(900)에 의해 상호 정전용량(101)으로부터 프린징 정전용량이 흡수되기 시작하는 지점부터 0에 도달할 때까지 상호 정전용량(101)의 크기는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 d는 변하지 않으므로 기준 전위층(500)에 의한 상호 정전용량(101)의 변화는 없다.
또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각각과 도체인 객체(900) 사이에서 제1자체 정전용량(Cs1: 103)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전극(TX)과 그라운드 역할을 하는 객체(900)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 그리고 수신전극(RX)과 객체(900)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 각각이 자체 정전용량이다. 제1자체 정전용량(103)의 값은, 객체(900)가 터치 센서 패널(100)과의 사이에서 자체 정전용량(103)을 생성할 정도로 터치 센서 패널(100)과 가까이 위치하는 지점부터 객체(900)와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 D가 줄어들수록 커질 수 있다. 객체(900)와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 D가 작아질수록 제1자체 정전용량(103)의 크기는 증가하며 객체(900)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터치하여 D가 0인 지점에서 제1자체 정전용량(103)의 크기는 가장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각각과 기준 전위층(600) 사이에서 제2자체 정전용량(self capacitance)(Cs2: 10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동전극(TX)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 그리고 수신전극(RX)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 각각이 자체 정전용량이다.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자체 정전용량(Cs: 102)의 값은 변하지 않는다. 기준 전위층(500)과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 d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터치 객체(900)가 도체이든 부도체이든 무관하다. 이때, 제1자체 정전용량(103)과 제2자체 정전용량(102)은 서로 병렬 연결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터치 센서 패널(100)의 총 자체 정전용량(Cs)은 제1자체 정전용량(103)과 제2자체 정전용량(102)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터치 객체(900)가 도체인 경우, 객체(900)와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Cm: 101) 및/또는 제1자체 정전용량(Cs3: 103)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터치 센서 패널(100)에 터치 압력이 가해질 때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정전용량의 상태를 예시한다. 도2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터치 압력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의 휘어짐이 과장되어 표시되었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을 객체(900)로 터치시 압력이 가해진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질 수 있다. 이때, 도2a의 경우에 비해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101: Cm)의 값은 더 감소할 수 있다. 이는,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져 기준 전위층(500)과의 거리가 d에서 d'로 감소함으로써 상기 상호 정전용량(101: Cm)의 프린징 정전용량이 객체(900)뿐 아니라 기준 전위층(500)으로도 흡수되기 때문이다. 터치 객체(900)가 부도체인 경우에는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는 단순히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 변화(d-d')에만 기인할 수 있다.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을 객체(900)로 터치시 압력이 가해진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질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이 기준 전위층(500)과의 거리가 가까워진 영역의 제2자체 정전용량(Cs2: 102) 값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Cs'2: 102')로 도면에 표시된다. 이는,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져 기준 전위층(500)과의 거리가 d에서 d'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객체(900)가 도체인 경우 도2a 및 도2b의 경우에 생성되는 총 자체 정전용량(Cs)은 제1자체 정전용량(103)과 제2자체 정전용량(102)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객체(900)가 부도체인 경우 제1자체 정전용량(103)은 생성되지 않으므로 총 자체 정전용량(Cs)은 제2자체 정전용량(102)과 같을 수 있다.
도2b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600)과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가 에어갭(800)으로 채워져 터치 센서 패널(100)에 압력이 인가될 때 터치 센서 패널(100)만 휘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600)은 휘어지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즉,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지더라도 기준 전위층(500)은 휘어지지 않으므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압력이 가해질 때 터치 압력이 가해진 영역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전위층(500)과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Cm: 101) 및 제2자체 정전용량(Cs2: 102)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는 기법은, 도2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600)과 터치 센서 패널(100)이 접착제로 완전 라미네이션(lamination)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에 터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600)까지 동시에 휘어지므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 기준 전위층(500)과 터치 센서 패널(100)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Cm: 101) 및 제2자체 정전용량(Cs: 102)의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기준 전위층(500)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하지 않고,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압력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지는 경우라도 휘어짐이 없는 위치에 기준 전위층(500)을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압력 검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과 이격되며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압력에도 불구하고 휘어짐이 없도록 구성된 기준 전위층(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다양한 단면을 예시한다. 도3의 (a)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이 공기(air)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지만 기준 전위층(500)이 디스플레이 패널(600)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다. 도3의 (b)에서는 기준 전위층(500)이 추가의 기판(510)상에 형성되고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이 공기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추가의 기판(51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이 공기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3의 (c)에서는 기준 전위층(500)이 추가의 기판(510) 상에 형성되고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이 공기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추가의 기판(510)이 디스플레이 패널(600)에 접촉하여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3의 (d)는 도3의 (a)와 동일하나 단지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 사이가 공기가 아닌 물질(810)로 채워진 경우를 예시한다. 여기서 상기 물질(810)은 압력의 인가에 따라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압력이 제거된 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도3의 (e)는 도3의 (c)와 동일하나 단지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패널(600) 사이가 공기가 아닌 물질(810)로 채워진 경우를 예시한다.
도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의 구동신호와 수신신호의 파형을 예시한다. 도3에서는 하나의 구동전극(TX)과 이에 교차되는 수신전극(RX)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가 간단히 도시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는 상호 정전용량(Cm: 101)이 형성되고, 구동전극(TX)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자체 정전용량(CsTX)이 형성되고, 수신전극(RX)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자체 정전용량(CsRX)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그라운드는 도체인 객체(900) 및/또는 기준 전위층(500)일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 자체의 저항(RTX)과 수신전극(RX) 자체의 저항(RRX)이 도시된다.
예컨대, 도4의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에서 결정된 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가 펄스형태로 구동전극(TX)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호 정전용량(Cm: 101)을 통해 커플링된 구동신호가 수신전극(RX)을 통해 검출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수신전극(RX)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파형이 도4의 하단에 도시된다. 즉, 구동신호가 사각 펄스 형태로 구동전극(TX)에 인가되더라도 수신신호는 동일한 사각 펄스 형태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과 그라운드(GND) 사이에 형성된 자체 정전용량(Cs)을 충전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치가 없는 경우에도 곡선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의 파형은 구동신호의 펄스의 상승 에지(rising edge)를 기점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구동신호의 펄스의 하강 에지(falling edge)에 대응하는 시점부터 크기가 감소하는 파형이 반복될 수 있다.
이때, 수신신호의 크기가 증가하는 속도는 RC 상수(τ: RC constant)에 의해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신호의 크기 V(t)는 (1-e-t/τ)에 비례하며, 여기서 t는 시간 그리고 τ=RC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RC 상수(τ)를 결정하는 R 및 C는 구동전극(TX)의 자체 정전용량(CsTX) 및 저항(RTX)과 수신전극(RX)의 자체 정전용량(CsRX) 및 저항(RRX)이다. 이때, 저항(RTX 및 RRX)의 값은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및 터치 압력에 따른 변화량이 없거나 미미하여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신호의 크기의 증가 속도는 자체 정전용량(Cs)의 값의 변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자체 정전용량(Cs)의 값이 커질수록 수신신호의 크기의 증가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4의 하단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압력의 인가시에 수신신호 파형이 b로 표시된다. 도3에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의 파형은 자체 정전용량(Cs)의 증가로 인해 크기의 증가 속도가 매우 느림을 알 수 있다.
또한, 도4에 곡선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의 파형은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에 따라 상호 정전용량(Cm)이 감소하여 자체 정전용량(Cs)이 완전히 충전된 후에도 그 크기가 a 파형에 비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수신신호의 크기(Vout)는 상호 정전용량(Cm)의 크기에 비례하는 값을 갖기 때문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시에 자체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수신신호의 파형 변화를 구동신호와 함께 예시한다. 도5a에서는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량이 없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5a에서 F1으로 표시된 사각 펄스는 구동전극(TX)에 인가되는 제1주파수(F1)를 갖는 구동신호를 나타낸다. 곡선 a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없는 경우에 수신전극(RX)을 통해 검출부(30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파형이다. 곡선 c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해 압력을 인가함이 없이(즉, 도2b에서 거리 d의 변화 없이) 터치 센서 패널(100)을 터치한 경우에 수신전극(RX)을 통해 검출부(30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파형이다. 곡선 e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해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에 수신전극(RX)을 통해 검출부(30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파형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곡선a는 객체(900)가 제1자체 정전용량(103)을 전혀 생성하지 않거나 생성하기 시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지점부터 객체(900)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가까워져 거리 D의 크기가 0까지 감소할 때 수신신호의 파형은 곡선a로부터 곡선c로 전이될 수 있다. 또한, 거리 D는 0이면서 터치 압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500) 사이의 거리 d가 감소함에 따라 수신신호의 파형은 곡선c로부터 곡선e로 전이될 수 있다. 이때, 제1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에 인가될 때, A로 표시된 영역에서 수신신호가 충분히 충전되어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e), 압력 없이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c) 및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a)의 구분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 제1주파수보다 큰 제2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에 인가되도록 제어부(400)가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의 펄스의 상승 에지는 제1주파수의 구동신호의 펄스의 그것과 동일하나, 하강 에지가 FE2로 FE1과 다르다. 이때, 제2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는 상대적으로 고주파수이므로 펄스의 주기가 더 짧다. 따라서, 수신신호의 충전이 충분히 완료되기 전에 펄스의 하강 에지(FE2)가 발생하게 된다. 구동신호의 펄스의 하강 에지(FE2) 이후에 수신신호의 크기는 감소하기 시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없는 경우(a), 압력을 인가함이 없이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c) 그리고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e)에 신호의 충전 속도에는 차이가 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5a의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없는 경우(a)의 신호 크기 값, 압력을 인가함이 없이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c)의 신호 크기 값, 그리고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e)의 신호 크기 값의 차이가 크도록 제2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5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곡선(a)와 곡선(e) 사이의 신호 크기 차이 값(W)이 예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주파수는 곡선(a)와 곡선(c) 사이의 신호 크기 차이 값이 가장 크도록 또는 곡선(c)와 곡선(e) 사이의 신호 크기 차이 값이 가장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및/또는 터치의 압력에 기인한 자체 정전용량 변화에 근거한 수신신호의 과도 응답 변화율이 가장 크도록 제2주파수가 설정될 수 있다. 제2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에서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e)의 수신신호의 크기 값은 터치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300)는 수신신호의 크기 값을 검출함으로써 해당 터치 여부,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구동부(200)로 하여금 제1시간구간에서 제1주파수(F1)를 갖고 제2시간구간에서 상기 제1주파수보다 큰 제2주파수(F2)를 갖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에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구동부(200)로 하여금 시분할하여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에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제2구동모드에 있을 수 있다. 제2구동모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300)는 제1시간구간에서 수신신호의 크기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제2시간구간에서 수신신호의 크기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주파수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충분히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신호의 펄스의 폭(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 사이의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에 수신전극(RX)의 자체 정전용량(Cs)이 충분히 충전될 수 있도록 제1주파수(F1)가 충분히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제1주파수(F1)는 SNR(Singnal to Noise Ratio)이 소정 기준에 적합하도록 잡음의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너무 낮게 설정되는 것은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주파수(F1)는 수신전극(RX)의 자체 정전용량(Cs)이 충분히 충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잡음의 간섭을 충분히 줄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주파수(F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가 없는 경우(a), 압력을 인가함이 없이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c) 그리고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e) 사이의 수신신호의 크기 차이 값(예컨대, W)이 검출 가능한 정도로 설정되어야 한다. 예컨대, 터치 압력이 큰 경우에는 두 경우(예컨대, a와 e 또는 c와 e)의 수신신호의 파형의 갭(gap)이 상대적으로 크게 벌어지므로 제2주파수(F2)의 설정범위는 상대적으로 넓을 수 있으나 터치 압력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두 경우의 수신신호의 파형 사이의 갭(gap)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제2주파수(F2)의 설정범위는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
도5a와 같은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를 제1구동모드에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도5a에서는 객체(900)가 도체인 경우로서 세가지 경우의 곡선을 예시하여 본원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원의 터치 입력 장치(1000)가 제1구동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객체(900)가 부도체인 경우에는 압력 없이 터치만 이루어진 경우의 곡선 c와 압력을 인가하여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의 곡선 e 두 가지 경우의 곡선만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체 정전용량(Cs)은 제2자체 정전용량(102)만으로 이루어지므로, 곡선 c 및 곡선 e가 나타내는 신호의 크기는 도5a의 곡선 c 및 e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구동모드에서 구동부(200)가 전술한 제2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해서 객체(900)가 압력을 의도하지 않고 단순히 터치하는 경우라도 소량의 압력이 터치 센서 패널(100)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체 정전용량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따라서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는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 표면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5a와 같은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를 제2구동모드에서도 동작하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컨대, 제1시간구간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제2시간구간에서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서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도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시에 상호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수신신호의 파형 변화를 구동신호와 함께 예시한다. 도5b에서는 자체 정전용량(Cs)의 변화량이 없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5b에서, F1으로 표시된 사각 펄스는 구동전극(TX)에 인가되는 제1주파수를 갖는 구동신호를 나타낸다. 곡선 a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없는 경우에 수신전극(RX)을 통해 검출부(30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파형이다. 곡선 c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해 압력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터치만 수행한 경우에 수신전극(RX)을 통해 검출부(30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파형이다. 곡선 e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해 터치 압력이 인간된 경우에 수신전극(RX)을 통해 검출부(300)에서 수신되는 수신신호의 파형이다.
이때, 제1주파수(F1)를 갖는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에 인가될 때, A로 표시된 영역에서 수신신호가 충분히 충전되지만,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량으로 인해 수신신호 크기의 최고 값이 곡선 a, c 및 e마다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터치가 전혀 없는 경우(a)에 수신신호의 A영역에서의 크기는 가장 큰 값을 갖는다. 압력을 인가하지 않고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c)는 상호 정전용량(Cm) 값이 (a) 경우보다 줄어들어 A영역에서 수신신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압력을 인가하여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e)는 상호 정전용량(Cm)이 더 감소하므로 (c) 경우보다도 A영역에서 수신신호의 크기가 더 작은 값을 갖는다. 이때는 터치 객체가 손가락과 같은 도체인 경우이다.
터치 객체가 부도체인 경우, 터치가 전혀 없는 경우나 압력을 인가하지 않고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모두 (a)와 같은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압력을 인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e)의 파형은 (c)와 같이 변화량이 더 작을 수 있다. 하지만, 부도체의 터치 객체(900)로 압력을 인가할 의도 없이 터치하는 경우라도 소량의 압력이 터치 센서 패널(100)에 인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경우라도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함으로서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 위치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100)의 자체 정전용량(Cs)을 충분히 충전한 후에 수신신호의 크기는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패널(100)의 자체 정전용량(Cs)을 충분히 충전한 후에 수신신호의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량에 따라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신전극(RX)에서 자체 정전용량(Cs)을 충분히 충전할 수 있도록 구동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구동신호의 펄스의 폭(펄스의 상승 에지로부터 하강 에지까지의 시간 구간)이 터치 센서 패널(100)의 자체 정전용량(Cs)을 충분히 충전할 수 있는 시간보다 길어야 한다. 예컨대, 구동신호는 제1주파수(F1)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검출부(300)는 수신신호의 크기 값을 검출함으로써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제1구동모드에 있을 때는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부도체와 같은 객체 등으로 터치되거나 수중과 같이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외부에 있는 객체로부터 유도되는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가 미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구동모드에 있는 경우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대한 임계값을 낮게 설정하여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센서 패널에 대한 터치시에 압력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 압력은 터치 면적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300)는 터치 면적에 근거하여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압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300)는 객체(900)에 의해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에 터치 면적으로부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면적은 특정 시간에 터치 센서 패널(100)에서 터치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하는 모든 감지셀에서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합한 값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900)가 터치 센서 패널(100)을 압력을 인가함이 없이 터치하는 경우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은 2이다. 도6의 하단에는 객체(9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을 압력을 인가하면서 터치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은 570(=90+70+70+70+70+50+50+50+50)임이 예시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도6의 상단에서의 터치 면적은 도6의 하단에서의 터치 면적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이 커질수록 터치 면적이 커지는 것으로 대응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대응관계를 기설정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일한 면적의 객체를 가지고 터치 센서 패널(100)을 터치할 때 그 압력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는 영역이 넓어질 뿐 아니라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한 모든 감지셀의 정전용량 변화량의 합도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터치 면적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의 압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정전용량 변화량이 가장 큰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위치 또한 계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치 센서 패널
200: 구동부
300: 검출부
400: 제어부
500: 기준 전위층
600: 디스플레이 패널
700: DAT
800: 에어갭
900: 객체
1000: 터치 입력 장치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구동전극 및 복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터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검출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제1거리로 이격된 기준 전위층: 및
    제2구동모드에서 상기 검출부로 하여금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상기 객체 사이의 제2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터치의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구동모드에서 제1시간구간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2시간구간에서 상기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제1시간구간에서 제1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2시간구간에서 상기 제1주파수와 다른 제2주파수를 갖는 상기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전극에 인가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 장치.
  5. 복수의 구동전극 및 복수의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패널;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터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검출부;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제1거리로 이격된 기준 전위층: 및
    제1구동모드에서, 상기 검출부로 하여금 상기 제1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상기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상기 터치의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모드와 다른 제2구동모드에서 상기 검출부로 하여금 상기 터치 센서 패널과 상기 객체 사이의 제2거리 변화에 따른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표면에 대한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거리 변화에 따른 상기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 상기 자체 정전용량의 변화량 및 상기 터치의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구동모드에서 제1시간구간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2시간구간에서 상기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제1시간구간에서 제1주파수를 갖고 상기 제2시간구간에서 상기 제1주파수와 다른 제2주파수를 갖는 상기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전극에 인가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와 상기 제2주파수는 상기 터치 센서 패널의 저항 및 상기 자체 정전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 입력 장치.
  7. 삭제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면적은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에 의해 계산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20140049593A 2014-04-24 2014-04-24 터치 입력 장치 KR10160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93A KR101609796B1 (ko) 2014-04-24 2014-04-24 터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93A KR101609796B1 (ko) 2014-04-24 2014-04-24 터치 입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239A Division KR20160040504A (ko) 2016-03-31 2016-03-31 터치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101A KR20150123101A (ko) 2015-11-03
KR101609796B1 true KR101609796B1 (ko) 2016-04-06

Family

ID=5459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593A KR101609796B1 (ko) 2014-04-24 2014-04-24 터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66A1 (ko)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081B1 (ko) * 2016-02-05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6052B1 (ko) * 2016-04-15 2023-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64601B1 (ko) * 2016-09-19 2023-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817111B1 (en) * 2019-04-10 2020-10-2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apacitive touch sen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54B1 (ko) 2009-03-19 2010-07-05 이성호 복합 입력 방식의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54B1 (ko) 2009-03-19 2010-07-05 이성호 복합 입력 방식의 터치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66A1 (ko)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101A (ko)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539B1 (ko) 터치 입력 장치
JP6290953B2 (ja) タッチ入力装置
KR102450301B1 (ko) 중간 차폐 전극층을 채용한 포스 및 근접 센싱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6383497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タッチ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パネルからタッチ位置とタッチ圧力を検出する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US9733706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touchscreen displays
KR101452302B1 (ko) 터치 센서 패널
JP6074408B2 (ja) タッチセンシティブスクリーン
KR101679622B1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609796B1 (ko) 터치 입력 장치
KR20160040504A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65460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입력장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터치위치와 터치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110113035A (ko) 멀티터치 감지를 위한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KR101618653B1 (ko) 터치 입력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JP6133732B2 (ja) 入力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US10061445B2 (en) Touch input device
CN104516608A (zh) 触摸屏面板
KR10164534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입력장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터치위치와 터치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JP6001764B2 (ja) タッチ検出モジュールおよび該タッチ検出モジュールにおける接触体のタッチ検出方法
KR101581791B1 (ko) 터치 검출 방법
KR101927795B1 (ko) 터치의 위치 및 압력 크기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60147688A (ko) 터치 입력 장치
KR20160135693A (ko) 터치 입력 장치 및 터치 검출 방법
KR20150122013A (ko) 카메라의 수중 조작방법
KR20160096057A (ko)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입력장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터치위치와 터치압력을 검출하는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130118675A (ko) 단일 계층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패널을 가지는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