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626B1 - 접지 와이어 - Google Patents

접지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626B1
KR101609626B1 KR1020140114043A KR20140114043A KR101609626B1 KR 101609626 B1 KR101609626 B1 KR 101609626B1 KR 1020140114043 A KR1020140114043 A KR 1020140114043A KR 20140114043 A KR20140114043 A KR 20140114043A KR 101609626 B1 KR101609626 B1 KR 101609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round wire
pipeline
cylindrical body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117A (ko
Inventor
유현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6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접지 와이어가 개시된다. 접지 와이어는, 접지 대상부에 연결되는 제1 클램프와, 제1 클램프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장되는 접지 와이어와, 접지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접지부에 연결되는 제2 클램프와, 제1 클램프 또는 제2 클램프의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접지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지 와이어{EARTH WIRE}
본 발명은 파이프 라인에 흐르는 정전기들이 체결 부분에서 급격한 저항의 증가에 의해 파이프 라인의 손상을 방지하는 접지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 혹은 비금속 재질의 복수개의 파이프 라인의 연결은, 각각의 파이프 라인의 단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플랜지부들을 볼트 체결에 의해 파이프 라인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라인의 맞닿은 플랜지부에는 기밀을 위해 가스켓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정전기가 발생되는 경우 파이프 라인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라인에 접지 와이어를 연결하여 정전기가 도체를 따라 흐르게 함으로써, 파이프 라인이 정전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파이프 라인의 연결 부분의 사양 변경으로 인한 연결부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접지 와이어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는바 접지 와이어를 파이프 라인의 크기 변경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지 와이어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여, 파이프 라인의 연결부의 크기 변경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접지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지 대상부에 연결되는 제1 클램프와, 제1 클램프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장되는 접지 와이어와, 접지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접지부에 연결되는 제2 클램프와, 제1 클램프 또는 제2 클램프의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접지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길이 조절부는, 제1 클램프 또는 제2 클램프의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와인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인더 바디부는,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접지 와이어를 롤(roll) 형상으로 감는 원통체일 수 있다.
원통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지 와이어를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원통체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접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체의 돌출된 단부에는 외주면의 외부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클램프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제1 클램프 와셔와, 제1 클램프 와셔의 외측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와, 접지 와이어의 일부분이 압입 고정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프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2 클램프 와셔와, 제2 클램프 와셔의 외측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제2 돌기부와, 접지 와이어의 일부분이 압입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와이어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여, 파이프 라인의 연결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정전기 발생에 의한 파이프 라인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지 와이어가 파이프 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접지 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지 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지 와이어의 길이 가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 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원통체에 걸림 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접지 와이어의 원통체의 일부분이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와이어가 파이프 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접지 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접지 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와이어(100)는, 접지 대상부(12)에 연결되는 제1 클램프(10)와, 제1 클램프(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장되는 접지 와이어(20)와, 접지 와이어(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접지부(14)에 연결되는 제2 클램프(30)와, 제1 클램프(10) 또는 제2 클램프(30)의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접지 와이어(20)를 롤 형상으로 감는 길이 조절부(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접지 와이어(20)는 접지 대상부(12)와 접지부(14)를 연결하여 정전기 등의 발생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 대상부(12) 및 접지부(14)는 파이프 라인(12, 14)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9)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정전기 등의 발생에 의한 파이프 라인(12, 1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접지 대상부(12)는 제1 플랜지(12a)가 형성된 제1 파이프 라인이며, 접지부(14)는 제2 플랜지(14a)가 형성된 제2 파이프 라인을 말한다. 이하에서 접지 대상부와 제1 파이프 라인은 동일 참조 번호 12를 사용하고, 접지부와 제2 파이프 라인은 동일 참조 번호14를 사용한다.
즉, 제1 파이프 라인(12)과 제2 파이프 라인(14)은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가 접한 상태에서.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를 관통하는 볼트(17)등으로 연결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접지 와이어(20)를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를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파이프 라인(12, 14)이 정전기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지 와이어(20)는 파이프 라인(12, 14)에 적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전기가 발생되는 금속의 재질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접지 대상부(12)와 제1 파이프 라인(12)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접지부(14)와 제2 파이프 라인(14)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제1 클램프(10)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파이프 라인(12)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클램프(10)는, 제1 삽입홀(11a)이 형성된 제1 클램프 와셔(11)와, 제1 클램프 와셔(11)의 외측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13)와, 접지 와이어(20)의 일부분이 압입 고정되는 제1 고정부(15)를 포함한다.
제1 클램프 와셔(11)는 제1 파이프 라인(1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 클램프 와셔(11)에는 제1 삽입홀(1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삽입홀(11a)은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를 연결하는 볼트(17)가 삽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제1 클램프 와셔(11)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제1 돌기부(13)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기부(13)는 제1 클램프 와셔(11)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제1 클램프 와셔(11)가 제1 파이프 라인(12)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1 돌기부(13)는 제1 클램프 와셔(11)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로 돌출됨으로써, 볼트(17)의 결합력이 작용하는 경우 파손 등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5)는 제1 클램프 와셔(1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접지 와이어(20)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접지 와이어(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은 제1 클램프(10)의 제1 고정부(15)에 압입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접지 와이어(20)의 타단은 제1 파이프 라인(12)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클램프(30)는 접지 와이어(20)의 타단이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2 삽입홀(31a)이 형성된 제2 클램프 와셔(31)와, 제2 클램프 와셔(31)의 외측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제2 돌기부(33)와, 접지 와이어의 일부분이 압입 고정되는 제2 고정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프 와셔(31)는 제2 파이프 라인(14)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2 클램프 와셔(31)에는 제2 삽입홀(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삽입홀(31a)은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를 통과한 볼트(17)가 삽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제2 클램프 와셔(31)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제2 돌기부(33)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기부(33)는 제2 클램프 와셔(31)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제2 클램프 와셔(31)가 제2 파이프 라인(14)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2 돌기부(33)는 제2 클램프 와셔(31)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로 돌출됨으로써, 볼트(17)의 결합력이 작용하는 경우 파손 등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고정부(35)는 제2 클램프 와셔(3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접지 와이어(20)의 타단이 삽입된 상태로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 라인(12)과 제2 파이프 라인(14)은 본 실시예의 접지 와이어(20)를 이용하여 연결됨으로써, 파이프 라인(12, 14)에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접지 와이어(20)는 파이프 라인(12, 14)에 설치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클램프(10) 또는 제2 클램프(30)에 길이 조절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클램프(10)에 길이 조절부(40)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접지 와이어의 길이 가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40)는, 제1 클램프(10)에 돌출되는 와이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길이 조절부와 와인더 바디부는 동일 참조번호 40을 사용한다.
와인더 바디부(40)는, 제1 클램프(10)에 돌출되는 원통체(41)와, 원통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접지 와이어(20)의 감긴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돌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체(41)는 제1 클램프(10)에 일체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접지 와이어(20)의 일부분이 감긴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원통체(41)에는 접지 와이어(20)의 감긴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 돌부(43)가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부(43)는 원통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접지 와이어(20)의 일부분은 가이드 돌부(43)의 가이드 작용으로 원통체(41)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것이 가능하여, 접지 와이어(20)의 감김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 와이어(20)는 제1 클램프(10)와 제2 클램프(30)의 사이에서 설치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여, 설치 대상물이 변경되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접지 와이어의 작용을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파이프 라인(12)의 제1 플랜지(12a)와 제2 파이프 라인(14)의 제2 플랜지(14a)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클램프(10)를 제1 플랜지(12a)의 측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제2 플랜지(14a)를 제2 플랜지(14a)의 측면에 위치시켜, 제1 파이프 라인(12)과 제2 파이프 라인(14)을 접지 와이어(20)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접지 와이어(20)의 길이가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접지 와이어(20)의 일부분이 원통체(41)에 감긴 길이를 조절하여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의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볼트(17)를 이용하여 제1 클램프(10)와 제1 플랜지(12a)와 제2 플랜지(14a) 및 제2 클램프(30)를 나사 결합으로 체결함으로써, 접지 와이어(2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 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원통체에 걸림 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접지 와이어의 원통체의 일부분이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지 와이어(200)의 길이 조절부(140)는 원통체(141)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접이홈(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원통체(140)의 돌출된 단부에는 원통체(140)의 외주면 외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 돌기(143)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140)에서 접지 와이어(20)가 감기지 않은 부분은, 원통체(140)의 상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원통체(140)의 일부분이 접히면 걸림 돌기(143)가 접지 와이어(20)의 감긴 사이 부분에 끼워짐으로써, 원통체(140)의 접힌 상태의 고정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제1 클램프 11...제1 클램프 와셔
11a..제1 삽입홀 12...제1 파이프 라인
13...제1 돌기부 14...제2 파이프 라인
15...제1 고정부 17...볼트
19...연결부 20...접지 와이어
30...제2 클램프 31...제2 클램프 와셔
31a..제2 삽입홀 33...제2 돌기부
40...길이 조절부 41, ...원통체
43...가이드 돌부

Claims (8)

  1. 접지 대상부에 연결되는 제1 클램프;
    상기 제1 클램프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장되는 접지 와이어;
    상기 접지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접지부에 연결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상기 접지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와인더 바디부를 포함하는 길이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더 바디부는,
    상기 제1 클램프 또는 상기 제2 클램프의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상기 접지 와이어를 롤(roll) 형상으로 감는 원통체인, 접지 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지 와이어를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돌부가 돌출되는, 접지 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접이홈이 형성되는, 접지 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의 돌출된 단부에는 외주면의 외부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 돌기가 돌출되는, 접지 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제1 클램프 와셔;
    상기 제1 클램프 와셔의 외측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접지 와이어의 일부분이 압입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접지 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제2 클램프 와셔;
    상기 제2 클램프 와셔의 외측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제2 돌기부; 및
    상기 접지 와이어의 일부분이 압입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접지 와이어.
KR1020140114043A 2014-08-29 2014-08-29 접지 와이어 KR101609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43A KR101609626B1 (ko) 2014-08-29 2014-08-29 접지 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43A KR101609626B1 (ko) 2014-08-29 2014-08-29 접지 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17A KR20160026117A (ko) 2016-03-09
KR101609626B1 true KR101609626B1 (ko) 2016-04-06

Family

ID=5553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043A KR101609626B1 (ko) 2014-08-29 2014-08-29 접지 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636B1 (ko) * 2016-12-23 2017-10-12 한국가스공사 배관검사 피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636B1 (ko) * 2016-12-23 2017-10-12 한국가스공사 배관검사 피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17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48542A1 (en) Wire harness, electrical wire protector, and electrical wire holder
CN105322473A (zh) 线束夹
KR20190007061A (ko) 지지 슬리브
US20150041175A1 (en) Electrical wire holder
JP2006311785A (ja) プロテクタ
JP5619495B2 (ja) 電気接続箱
CN107210594A (zh) 带夹
KR102090878B1 (ko) 케이블 타이
KR101609626B1 (ko) 접지 와이어
GB2494422A (en) Two component device for supporting and retaining wires and cables in a channel
KR200467192Y1 (ko) 차량용 안테나 체결 장치
US20160258555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band clip to corrugated tube
KR101246876B1 (ko) 호스용 클램프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US11817687B2 (en) Cable tray clip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3499103A (en) Strain relief device
JP6055640B2 (ja) ねじ緩み検出機能を備えた端子構造
US20120234988A1 (en) Structure for mounting cables to a device
JP6792801B2 (ja) 細長部材の保持構造
JP3191790U (ja) 引込電線引留具
KR20190081444A (ko) 커넥터 클립 고정구조
KR200487558Y1 (ko) 개폐기용 부싱 클램프
JP2017093114A (ja) 固定用金具
US20160104953A1 (en) Lug wire-binding screw
KR20190081440A (ko) 호환형 밴드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