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550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550B1
KR101609550B1 KR1020150131486A KR20150131486A KR101609550B1 KR 101609550 B1 KR101609550 B1 KR 101609550B1 KR 1020150131486 A KR1020150131486 A KR 1020150131486A KR 20150131486 A KR20150131486 A KR 20150131486A KR 101609550 B1 KR101609550 B1 KR 10160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ecomposition
pipe
decomposition chamber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Priority to KR102015013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씽크대의 배수홀에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단투입구를 갖는 케이싱의 내측에 한조의 분쇄기를 구비하는 음식물분쇄영역과 분해챔버를 갖는 음식물분해영역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분해영역은 다공상의 스크린으로 분해챔버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면서 상부에 교반기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에 미생물을 토입토록 케이싱의 일측에 미생물저장조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필터부재가 더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씽크대의 배수홀에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단투입구를 갖는 케이싱의 내측에 한조의 분쇄기를 구비하는 음식물분쇄영역과 분해챔버를 갖는 음식물분해영역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분해영역은 다공상의 스크린으로 분해챔버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면서 상부에 교반기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에 미생물을 투입토록 케이싱의 일측에 미생물저장조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냄새의 발생을 방지하는 필터부재가 더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의 싱크대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건조하거나 분리 배출하여 처리가 용이하도록 부피 및 무게를 줄이며, 또는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분쇄수단에 의해 잘게 분쇄하여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319741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내측 바닥면이 경사면(14)으로 된 분해조(12)와; 상기 분해조(12)의 중간부에 구비되고 분쇄기에서 분쇄한 음식물쓰레기가 상부의 유입구(16)를 통해 투입되고 저면에 제1슬릿(21)을 가지는 제1교반조(20) 및, 상기 제1교반조(20)의 일측으로 구비되고 1차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재차 파쇄하며 저면에 제2슬릿(23)을 가지는 제2교반조(22)와; 상기 교반조(20,22)에 투입하여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혼합되고 미생물 서식처를 제공하는 세라믹볼(30)과; 상기 교반조(20,22) 내에 구비되면서 음식물쓰레기와 세라믹볼(30)을 혼합시키기 위한 교반날개(24,25)로 구성되되, 상기 제1교반조(20) 보다도 제2교반조(22)가 위에 형성되며, 상기 분해조(12)의 유출구(17)를 제1슬릿(21)과 제2슬릿(23) 사이에 구비되고 그 아래로 크리스토랩(13)이 형성되며; 상기 분해조(12)의 저부 크리스토랩(13)에 수중 미생물 담체(32)가 담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해조(12)는 내측 중간부에 반원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교반조(20,22)가 구비되며, 저부 일측에 유출구(17)를 구비하되, 유출구가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에 형성하여 유출구 아래로 소정의 크리스토랩(13)을 형성하고, 상기 교반조에는 세라믹볼(30)이 담겨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혼합 교반되며, 이를 위해 제1, 제2교반조 내에 제1, 제2교반날개(24,25)가 구비된 상기 분해조(12)는 상부 일측에 오버플로우(18, Overflow)가 구비되고 상기 오버플로우(18)는 하부의 투입구(19)로 연결하여서, 유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교반조에 과도하게 투입되면 물이 오버플로우를 통해 흘러크리스토랩으로 투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식물 처리장치는, 별도의 파쇄기를 구비하여야 하여 연결및 설치가 복잡하게 되고, 싱크대에 직접 설치가 힘들에 음식물 쓰레기의 공급이 번거롭게 되며, 미생물 담체(32)가 수용되는 공간이 정형화되어 분해시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쇄기와 분해처리조가 일체로 시스템화되어 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토록 하며, 처리장치의 유지보수 및 청결상태의 유지가 가능토록 하고, 분해처리시 발생되는 냄새의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하며, 다양한 씽크대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토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씽크대의 배수홀에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단투입구를 갖는 케이싱의 내측에 한조의 분쇄기를 구비하는 음식물분쇄영역과 분해챔버를 갖는 음식물분해영역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분해영역은 다공상의 스크린으로 분해챔버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면서 상부에 교반기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에 노즐을 통하여 미생물을 토입토록 케이싱의 일측에 노즐과 연결되는 미생물저장조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필터부재가 더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챔버는, 수평방향에 분할 설치되면서 상부에 분리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공급수단은, 분쇄기의 하측에 연결되는 메인관 및 상기 메인과에 연결되는 단위공급관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메인배출관과 연결되는 단위배출관이 각각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싱은, 다단투입구에 개폐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다단투입구를 폐쇄하는 한조의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면서 나사산이 구비되는 작동바와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는 구동모터로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케이싱은, 드레인되는 물 또는 수도물에 의해 청소가 가능토록 복수의 청소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청소노즐은 볼및 크랭크축이 연결되면서 상기 크랭크축에는 모터가 연결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다단투입구는, 측면에 제1드레인공이 형성되어 케이싱 저부의 제2드레인공과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스크린이 구비되면서 다단투입구의 내경측에 대구경의 제1연결너트가 나사결합되거나 아답터가 결합된 후 그 내경측에는 소구경의 제2연결너트가 구비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쇄기와 분해처리조가 일체로 시스템화 되어 처리가 신속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처리장치의 유지보수 및 청결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분해처리시 발생되는 냄새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다양한 씽크대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저면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투입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투입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부입부 및 챔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저면사시도 및 분해도이며,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투입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투입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부입부 및 챔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씽크대(미도시)의 배수홀에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단투입구(110)를 갖는 케이싱(130)의 내측에 한조의 분쇄기(151)를 구비하는 음식물분쇄영역(150)과 분해챔버(171)를 갖는 음식물분해영역(170)이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분해영역(170)은, 다공상의 스크린(173)으로 분해챔버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면서 상부에 교반기(17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해챔버(171)에 미생물공급관(177)을 통하여 미생물을 토입토록 케이싱(130)의 일측에 미생물공급관(177)과 연결되는 미생물저장조(190)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케이싱(130)의 상부에는 분해챔버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제거를 위하여 필터부재(180)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분해챔버(171)는, 수평방향에 다수의 분해챔버로 분할 설치되면서 상부에 분리공급수단(160)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공급수단(160)은, 분쇄기의 하측에 연결되는 메인관(161) 및 상기 메인관에 연결되는 단위공급관(163)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메인배출관(165)과 연결되는 단위배출관(167)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30)은, 다단투입구(110)에 개폐수단(1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120)은 다단투입구를 폐쇄하는 한조의 덮개판(121)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면서 나사산이 구비되는 작동바(123)와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는 구동모터(125)로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케이싱(130)은, 드레인되는 물 또는 수도물에 의해 청소가 가능토록 복수의 청소노즐(135)이 구비되고, 상기 청소노즐(135)은 볼(132)및 크랭크축(133)이 연결되면서 상기 크랭크축에는 모터(137)가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다단투입구(110)는, 측면에 제1드레인공(111)이 형성되어 케이싱 저부의 메인배출관과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스크린(113)이 구비되면서 다단투입구의 내경측에 대구경의 제1연결너트(115)가 나사결합되거나, 아답터(117)가 결합된 후 그 내경측에는 소구경의 제2연결너트(119)가 구비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연결너트의 내경측에는 커버(미도시)가 각각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처리장치(I)는, 씽크대(미도시)의 배수홀에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단투입구(110)를 갖는 케이싱(130)의 내측에 한조의 분쇄기(151)를 구비하는 음식물분쇄영역(150)과 분해챔버(171)를 갖는 음식물분해영역(170)이 일체로 설치되어 씽크대에 직접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처리장치(I)는 씽크대에 연결하여 동작시 물이 분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파쇄및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순차로 이루어져 파쇄와 분해를 위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처리장치(I)에 의한 일괄작업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장치(I)는, 먼저 다단투입구(110)에 구비되는 스크린을 통하여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한 후 음식물 쓰레기만을 다단투입구(110)에 투입하면 상기 분쇄기(151)에 의해 분쇄한 후 분해챔버(171)에 공급토록 되고, 상기 분해챔버(171)에서는 미생물이 온도가 조절되는 물과 함께 공급되어 공급되는 음식물을 분해토록 한다.
이때, 상기 미생물은 삼나무칩(미생물)과 프라스틱담체로 구성되며, 삼나무칩통에 미지근한 물을 투입한 후 미생물을 배양토록 하고, 상기 미생물이 저장되는 미생물저장조는, 히터가 내장되면서 물이 공급토록 설치되어 습도 및 온도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음식물분해영역(170)은, 다공상의 스크린(173)으로 분해챔버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면서 상부에 교반기(175)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분해가 완료된 음식물은 스크린의 하측에 분해가 진행되는 음식물은 스크린의 상부에서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면서 분해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케이싱(130)의 상부에는 분해챔버에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시 발생되는 냄새를 필터부재(180)에 의해 제거한 후 외부에 배출토록 한다.
한편, 상기 분해챔버(171)는, 한번에 대량의 음식물을 처리할 수도 있으나 수평방향에 다수의 분해챔버로 분할 설치되면서 분리공급수단을 통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부분만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분리공급수단(160)은, 분쇄기의 하측에 연결되는 메인관(161) 및 상기 메인관에 연결되는 단위공급관(163)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에 메인배출관(165)과 연결되는 단위배출관(167)이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분리설치되는 분해챔버에 각각 분리공급되고, 처리가 완료된 액상의 음식물쓰레기 단위배출관을 통하여 분리배출된 후 메인배출관으로 모이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30)은, 다단투입구(110)에 개폐수단(120)이 더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시 분쇄기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120)은 다단투입구를 폐쇄하는 한조의 덮개판(121)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면서 나사산이 구비되는 작동바(123)와 상기 나사산에 치합되는 구동모터(125)로서 이루어져 스위치의 동작시에만 덮개판이 개방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케이싱(130)은, 드레인되는 물 또는 수도물에 의해 청소가 가능토록 복수의 청소노즐(135)이 구비되어 분해챔버 내측을 고압의 물에 의해 청소하여 청결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청소노즐(135)은 볼(132)및 크랭크축(133)이 연결되면서 상기 크랭크축에는 모터(137)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모터의 회전시 크랭크축이 동작하면서 청소노즐의 방향이 좌우로 조절되어 청소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계속하여, 상기 다단투입구(110)는, 측면에 제1드레인공(111)이 형성되어 케이싱 저부의 메인배출관과 연결되어 음식물과 분리되는 물은 곳바로 메인배출관을 통하여 배출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단투입구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113)이 구비되면서 다단투입구의 내경측에 대구경의 제1연결너트(115)가 나사결합되거나, 아답터(117)가 결합된 후 그 내경측에는 소구경의 제2연결너트(119)가 구비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씽크의 배수홀 직경에 상관없이 연결작업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제1,2연결너트의 내경측에는 커버(미도시)가 각각 장착되어 미 사용시 다단투입구를 폐쇄토록 하여 냄새등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110...다단투입구 130...케이싱
132...볼 135...청소노즐
151...분쇄기 171...분해챔버
173...스크린 175...교반기
180...필터부재

Claims (5)

  1. 씽크대의 배수홀에 연결되도록 상부에 다단투입구를 갖는 케이싱의 내측에 한조의 분쇄기를 구비하는 음식물분쇄영역과 분해챔버를 갖는 음식물분해영역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분해영역은, 다공상의 스크린으로 분해챔버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면서 상부에 교반기가 구비되며,
    상기 분해챔버에 미생물공급관을 통하여 미생물을 투입토록 케이싱의 일측에 미생물공급관과 연결되는 미생물저장조가 구비되고,
    상기 분해챔버는, 수평방향에 분할 설치되면서 상부에 분리공급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분리공급수단은, 분쇄기의 하측에 연결되는 메인관 및 상기 메인관에 연결되는 단위공급관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메인배출관과 연결되는 단위배출관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필터부재가 더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다단투입구에 개폐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다단투입구를 폐쇄하는 한조의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면서 나사산이 구비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나사산에 각각 치합되는 구동모터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드레인되는 물 또는 수도물에 의해 청소가 가능토록 복수의 청소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청소노즐은, 볼을 통하여 케이싱에 연결되면서 일측이 모터에 크랭크축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투입구는, 측면에 제1드레인공이 형성되어 케이싱 저부의 제2드레인공과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스크린이 구비되면서 다단투입구의 내경측에 대구경의 제1연결너트가 나사결합되거나,
    아답터가 결합된 후 그 내경측에는 소구경의 제2연결너트가 구비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50131486A 2015-09-17 2015-09-1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0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86A KR101609550B1 (ko) 2015-09-17 2015-09-1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86A KR101609550B1 (ko) 2015-09-17 2015-09-1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550B1 true KR101609550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86A KR101609550B1 (ko) 2015-09-17 2015-09-1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5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491Y1 (ko) * 2005-12-22 2006-03-07 서경태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200431031Y1 (ko) * 2006-08-10 2006-11-13 안병철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0750210B1 (ko) * 2006-10-27 2007-08-17 바이오델타(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491Y1 (ko) * 2005-12-22 2006-03-07 서경태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200431031Y1 (ko) * 2006-08-10 2006-11-13 안병철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0750210B1 (ko) * 2006-10-27 2007-08-17 바이오델타(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9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59033A (ko) 2단 칼날 구조와 자체 정화 구조를 가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KR20070099411A (ko)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JP5736416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1700458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104368A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130025936A (ko) 개수대에 구비된 음식쓰레기 절단 및 탈수장치
KR102267604B1 (ko) 일체형 싱크대 장착형 음식물 처리기
KR20190012256A (ko) 압착 스크루, 압착모듈 및 푸드프로세서
KR1016095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1134164U (zh) 一种生活垃圾处理装置
KR10070187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분해 여과장치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KR101388560B1 (ko) 요리 폐수와 설거지 물을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38398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디스포저의 음식물 2차 처리기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6869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88996B1 (ko) 탈수와 분쇄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2350523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065720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