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519B1 - 연성 커튼레일 구조 - Google Patents

연성 커튼레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519B1
KR101609519B1 KR1020150128588A KR20150128588A KR101609519B1 KR 101609519 B1 KR101609519 B1 KR 101609519B1 KR 1020150128588 A KR1020150128588 A KR 1020150128588A KR 20150128588 A KR20150128588 A KR 20150128588A KR 101609519 B1 KR101609519 B1 KR 10160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ail
curtain
outer plate
groov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디브라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디브라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디브라인드
Priority to KR102015012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에 복수 개 연결된 롤러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튼레일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커튼레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판부 및 상기 외판부의 중심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판부를 고정하고, 상기 커튼의 무게를 지지하는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판부와 상기 중심부는 각각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고, 각각 사용자의 조정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설치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구부려서 원하는 각도로 곡선을 형성할 수 있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성 커튼레일 구조 {Flexible curtain rail structure}
본 발명은 연성 커튼레일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커튼레일의 구조를 각각 나뉘어있어, 곡선형성을 위해 구부렸을 때 커튼롤러가 움직이는 롤러구동부의 폭이 유지되면서 구부려지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튼레일은 곡선으로 형성하기 위해선 처음부터 사출을 곡선으로 형성하였기에 곡선의 중심각을 설치장소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필요에 따라 곡선을 주는 것을 현장에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 문제점으로 인해, 설치장소에 맞는 곡선을 갖는 커튼레일을 주문하고, 만들어진 상태에서 받아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커튼레일을 설치하는 과정과 시간이 낭비되었으며, 커튼레일의 곡선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를 돌리는 과정에서 비용손실이 발생해 왔다.
한편, 커튼레일과 관련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19657호(1998.04.30.공개, 가림막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길이조절식 커튼레일)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커튼의 설치를 위해 실내천정에 부착설치되는 커튼레일을 커튼상부를 가리기위한 장식부재로서 가림막이 설치되는 가림막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커튼 설치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실시 할 수 있는 동시에 커튼레일의 길이를 일정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커튼이 설치될 실내크기(폭)에 따라 커튼레일의 절단이나 이어 붙임작업이 필요없이 그때 그때 설치될 커튼의 길이에 적절히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커튼레일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가림막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길이조절식 커튼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당 특허 문헌 등 종래의 커튼레일은 주로 커튼레일의 설치구조, 길이의 연장에 관한 해결방안에 집중하였으며, 현장에서 커튼레일을 원하는 곡선형태로 구부려 사용하는 것에 대한 기술을 전혀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19657호(1998.04.30.공개), 가림막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길이조절식 커튼레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설치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구부려서 원하는 각도로 곡선을 형성할 수 있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에 복수 개 연결된 롤러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튼레일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커튼레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판부 및 상기 외판부의 중심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판부를 고정하고, 상기 커튼의 무게를 지지하는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판부와 상기 중심부는 각각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고, 각각 사용자의 조정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판부는, 상기 중심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 1 외판 및 상기 중심부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외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는, 상기 중심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형성되어, 상기 제 1 외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결합홈 및 상기 중심부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형성되어, 상기 제 2 외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결합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외판은, 상기 제 1 외판 일측의 상기 제 1 결합홈과 접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단부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제 1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외판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튼레일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커튼 고정부 및 천장에 상기 커튼레일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제 1 고정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외판은, 상기 제 2 외판 일측의 상기 제 2 결합홈과 접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단부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제 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2 돌출부, 상기 제 2 외판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튼레일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커튼 고정부 및 천장에 상기 커튼레일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제 2 고정구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홈은, 상기 제 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 및 상기 제 1 걸림부가 삽입되는 제 1 이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격홈은, 부피가 상기 제 1 걸림부의 부피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결합홈은, 상기 제 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 및 상기 제 2 걸림부가 삽입되는 제 2 이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이격홈은, 부피가 상기 제 2 걸림부의 부피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외판부는,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연성 커튼레일 구조는, 상기 커튼레일을 상기 제 1 외판 방향 또는 상기 제 2 외판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굽혔을 경우, 상기 제 1 외판, 상기 제 2 외판 및 상기 중심부가 각각 별개로 휘어지며, 상기 제 1 커튼 고정부와 상기 제 2 커튼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롤러구동부의 간격이 상기 커튼레일이 휘어지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커튼레일 구조에 의하면,
첫째, 커튼레일의 구조가 각각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되 각각의 구조가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설치장소에 따라 현장에서 사용자가 쉽게 구부릴 수 있으며, 분리되어 형성된 각각의 구조가 서로 다른 각도로 동일한 중심을 갖는 호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롤러구동부가 회손되지 않고 유지된다.
둘째, 결합홈의 이격홈이 걸림부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판과 심이 각각 구부려질 때 외판이 구부려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제 1 외판과 제 2 외판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완충효과를 준다.
셋째, 연성을 주기 위해 고무재질이 아닌 합성수지를 중심부로 두고 외판부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여 벨벳재질의 커튼과 같은 무거운 재질의 커튼의 무게도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성 커튼레일의 단면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성 커튼레일을 휘었을 때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휜 연성 커튼레일에 커튼롤러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휜 연성 커튼레일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성 커튼레일(100)의 단면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튼에 복수 개 연결된 롤러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연성 커튼레일(100)의 구조는 외판부와 중심부(120)를 갖는다.
레일의 외벽을 형성하며, 롤러가 커튼레일(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판부는 중심부(12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 1 외판(110a)과 중심부(120)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외판(110b)을 포함하고, 제 1 외판(110a)은 제 1 돌출부(111a), 제 1 커튼 고정부(113a) 및 제 1 고정구 결합부(114a)를 갖고, 제 2 외판(110b)은 제 2 돌출부(111b), 제 2 커튼 고정부(113b) 및 제 2 고정구 결합부(114b)를 갖는다.
또한, 외판부의 중심을 형성함으로써 외판부를 고정하고, 커튼의 무게를 지지하는 중심부(120)는 중심부(120)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형성되어, 제 1 외판(110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결합홈과 중심부(120)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형성되어, 제 2 외판(110b)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결합홈을 포함하고, 제 1 결합홈은 제 1 삽입홈(121a) 및 제 1 이격홈(122a)을 갖고, 제 2 결합홈은 제 2 삽입홈(121b) 및 제 2 이격홈(122b)을 갖는다.
제 1 외판(110a) 일측의 제 1 결합홈과 접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 1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111a)는 단부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제 1 걸림부(112a)를 포함하며, 제 1 커튼 고정부(113a)는 제 1 외판(110a)의 타측에 위치하여, 커튼레일(10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제 1 외판(110a)부의 일측 외부면에는 제 1 고정구 결합부(114a)에는 천장에 커튼레일(100)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된다.
제 1 삽입홈(121a)에는 제 1 돌출부(111a)가 삽입되며, 이때, 제 1 걸림부(112a)가 제 1 이격홈(122a)에 삽입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분리하지 않는 이상 제 1 외판(110a)과 제 1 결합홈간의 결합이 해지되지 않는다.
이때, 제 1 이격홈(122a)은 그 부피가 제 1 걸림부(112a)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홈의 이격홈이 걸림부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판과 심이 각각 구부려질 때 외판이 구부려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제 1 외판(110a)과 제 2 외판(110b)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완충효과를 준다.
제 2 외판(110b) 또한 제 1 외판(110a)과 동일하게, 제 2 외판(110b) 일측의 제 2 결합홈과 접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2 돌출부(111b)는 단부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제 2 걸림부(112b)를 포함하며, 제 2 커튼 고정부(113b)는 제 2 외판(110b)의 타측에 위치하여, 커튼레일(10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제 2 외판(110b)부의 일측 외부면에는 제 2 고정구 결합부(114b)에는 천장에 커튼레일(100)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삽입홈(121b)에는 제 2 돌출부(111b)가 삽입되며, 이때, 제 2 걸림부(112b)가 제 2 이격홈(122b)에 삽입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분리하지 않는 이상 제 2 외판(110b)과 제 2 결합홈간의 결합이 해지되지 않으며, 앞서 언급한 제 1 이격홈(122a)의 형상과 같이, 제 2 이격홈(122b)은 그 부피가 제 2 걸림부(112b)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된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부와 중심부(120)는 각각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고, 각각 사용자의 조정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때, 연성을 갖는 재질로서 외판부는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금, 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중심부(120)는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성을 주기 위해 고무재질이 아닌 합성수지를 중심부(120)로 두고 외판부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여 벨벳재질의 커튼과 같은 무거운 재질의 커튼의 무게도 견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성 커튼레일(100)을 휘었을 때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휜 연성 커튼레일(100)에 커튼롤러(20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휜 연성 커튼레일(100)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성 커튼레일(100) 구조는 곡선을 형성하였을 때 롤러구동부(130)의 폭이 좁아지거나 절곡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커튼롤러(200)의 이동이 커튼레일(100)이 수평이었을 때와 동일하게 부드럽게 이뤄진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커튼레일(100)의 구조에 의하여 가능해 지는데, 커튼레일(100)을 제 1 외판(110a) 방향 또는 제 2 외판(110b)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사용자가 굽혔을 경우, 제 1 외판(110a), 제 2 외판(110b) 및 중심부(120)가 각각 별개로 휘어지며, 제 1 커튼 고정부(113a)와 제 2 커튼 고정부(113b) 사이에 형성된 롤러구동부(130)의 간격이 커튼레일(100)이 휘어지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렇게 곡선이 형성된 커튼레일(100)은 양 단에 커튼레일캡(300)이 씌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연성 커튼레일(100) 구조는, 커튼레일(100)의 구조가 각각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되 각각의 구조가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설치장소에 따라 현장에서 사용자가 쉽게 구부릴 수 있으며, 분리되어 형성된 각각의 구조가 서로 다른 각도로 동일한 중심을 갖는 호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롤러구동부(130)가 회손되지 않고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커튼레일 110a...제 1 외판
110b...제 2 외판 111a...제 1 돌출부
111b...제 2 돌출부 112a...제 1 걸림부
112b...제 2 걸림부 113a...제 1 커튼 고정부
113b...제 2 커튼 고정부 114a...제 1 고정구 결합부
114b...제 2 고정구 결합부 120...중심부
121a...제 1 삽입홈 121b...제 2 삽입홈
122a...제 1 이격홈 122b...제 2 이격홈
130...롤러구동부 200...커튼롤러
300...커튼레일캡

Claims (7)

  1. 커튼에 복수 개 연결된 롤러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튼레일의 외벽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커튼레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판부; 및
    상기 외판부의 중심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판부를 고정하고, 상기 커튼의 무게를 지지하는 중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판부와 상기 중심부는 각각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고, 각각 사용자의 조정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한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판부는,
    상기 중심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 1 외판; 및
    상기 중심부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 2 외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상기 중심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형성되어, 상기 제 1 외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결합홈; 및
    상기 중심부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형성되어, 상기 제 2 외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외판은,
    상기 제 1 외판 일측의 상기 제 1 결합홈과 접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단부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제 1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외판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튼레일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제 1 커튼 고정부; 및
    천장에 상기 커튼레일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제 1 고정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외판은,
    상기 제 2 외판 일측의 상기 제 2 결합홈과 접하는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단부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제 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2 돌출부;
    상기 제 2 외판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튼레일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제 2 커튼 고정부; 및
    천장에 상기 커튼레일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체결되는 제 2 고정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레일을 상기 제 1 외판 방향 또는 상기 제 2 외판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사용자가 굽혔을 경우, 상기 제 1 외판, 상기 제 2 외판 및 상기 중심부가 각각 별개로 휘어지며, 상기 제 1 커튼 고정부와 상기 제 2 커튼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롤러구동부의 간격이 상기 커튼레일이 휘어지기 전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홈은,
    상기 제 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 및
    상기 제 1 걸림부가 삽입되는 제 1 이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격홈은,
    부피가 상기 제 1 걸림부의 부피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결합홈은,
    상기 제 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 및
    상기 제 2 걸림부가 삽입되는 제 2 이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이격홈은,
    부피가 상기 제 2 걸림부의 부피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부는,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티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커튼레일 구조.
  7. 삭제
KR1020150128588A 2015-09-10 2015-09-10 연성 커튼레일 구조 KR10160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588A KR101609519B1 (ko) 2015-09-10 2015-09-10 연성 커튼레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588A KR101609519B1 (ko) 2015-09-10 2015-09-10 연성 커튼레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519B1 true KR101609519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588A KR101609519B1 (ko) 2015-09-10 2015-09-10 연성 커튼레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2739A (zh) * 2016-05-05 2016-09-28 胡俊南 复合窗帘导轨及其应用的窗帘导轨组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985B2 (ja) 1992-02-27 2000-07-04 日新製鋼株式会社 焼結鉱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985B2 (ja) 1992-02-27 2000-07-04 日新製鋼株式会社 焼結鉱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2739A (zh) * 2016-05-05 2016-09-28 胡俊南 复合窗帘导轨及其应用的窗帘导轨组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3203S1 (en) Profile section for mounting extrusion
CN203308297U (zh) 门组件
RU2700822C2 (ru) Шкаф
US20120087604A1 (en) Slide rail for rack sever
JP2015508852A (ja) スクリーンガイドレールを取り付ける装置
US9010045B1 (en) Add-on wall panel arrangement for wall systems
KR101609519B1 (ko) 연성 커튼레일 구조
US20180332964A1 (en) Bracket mechanism for pre-fabricated office enclosure beam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273005B2 (ja) シャックル
JP2006274687A (ja) 間仕切りパネルにおける枠部材の取付構造
JP6957379B2 (ja) 間仕切パネル
US20160177990A1 (en) Coupling device and lamp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492672Y1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US11739882B2 (en) Bracket for adjustable-depth mounting of electrical boxes
US965750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trofitting glass wall panel system with glass wall panel
JP5808952B2 (ja) カーテンレールのカバー装置、シーリング、及びカーテンレールの組立体
EP3406170A1 (en) Fixing device
JP2019135365A (ja) 移動間仕切装置
KR200493092Y1 (ko) 키오스크용 디스플레이 프레임 조립체
JP6996737B2 (ja) 防煙垂壁
JP2019085707A (ja) 移動間仕切装置
JP2019218691A (ja) 移動間仕切装置
GB2482109A (en) A seal for a shower enclosure
KR101547521B1 (ko) 패널형 커튼
JP2008255736A (ja) 間仕切壁の端部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