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052B1 -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052B1
KR101609052B1 KR1020140067108A KR20140067108A KR101609052B1 KR 101609052 B1 KR101609052 B1 KR 101609052B1 KR 1020140067108 A KR1020140067108 A KR 1020140067108A KR 20140067108 A KR20140067108 A KR 20140067108A KR 101609052 B1 KR101609052 B1 KR 10160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torage tank
support frame
collect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728A (ko
Inventor
김담
박대영
정수연
Original Assignee
김담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담, 대한민국(해양경찰청장) filed Critical 김담
Priority to KR102014006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0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이나 차량,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저장탱크의 기름이나 유해성 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시 이를 안전하게 회수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하고자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파공부에 설치하도록 된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에 있어서, 원단에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일정한 원형으로 복원되며 상향 개방된 유입부를 통해 유해물질이 투입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부 및 이 배출부에 결합하여 유해물질을 안전한 곳으로 이송하는 호스; 상기 바스켓을 저장탱크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Toxic substance recovery device}
본 발명은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이나 차량,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저장탱크의 기름이나 유해성 물질의 유출사고가 발생시 이를 안전하게 회수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차량, 기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으로 기름이나 유류, 화학약품, 오수, 유독성 물질 등의 저장매체(이하 '유해물질'이라 함)를 운반하는 저장탱크 또는 연료탱크 등에서 사고로 인해 누설이 발생시, 자원의 유실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과 함께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의 유출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유출 방지장치에는 동일발명자에 의해 선출원 된 국내특허출원 제10-2014-0064869호(2014.05.29자)의 '유출유의 회수장치'가 있다. 이에 따르면,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1견인줄을 가진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서 개폐되는 커버와, 집유수단으로 연결되는 호스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스켓과 커버는 보관시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절첩되는 구조로서 금속 혹은 수지로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본체는 상당히 무겁고 작업자는 힘들게 설치하면서 많은 시간을 지체하게 되고 유출유의 회수능력이 크게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구성으로 평상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긴급상황이 발생시 사고현장의 저장탱크에 투입하여 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유해성 물질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유출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되는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성이 우수한 방수 원단으로 바스켓을 구성하고 바스켓의 에어튜브(지지프레임)에 압축가스를 주입하여 팽창 및 복원시킴에 따라, 바스켓이 원터치로 팽창 및 전개되면서 파공부위를 신속하게 커버할 수 있게 되는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파공부에 설치하도록 된 유출유 수거장치에 있어서, 원단에 형성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일정한 원형으로 복원되며 상향 개방된 유입부를 통해 유해물질이 투입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부 및 이 배출부에 결합하여 유해물질을 안전한 곳으로 이송하는 호스; 상기 바스켓을 저장탱크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은 방수성 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팽창 및 복원되는 에어튜브이고, 이 에어튜브에 압축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공급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CO2가스 공급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은 상부에 견인줄을 연결하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전자석, 영구자석, 고정고리, 고정클램프, 고정밴드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은 상부 유입부에 결합되며 파공부를 감싸서 유해물질의 진입을 안내하는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과 커버의 지지프레임에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형 선박이나 유조선, 차량이나 기차의 화물칸 등의 저장탱크에서 사고로 인해 유해성 물질이 유출되는 긴급상황이 발생시, 사고현장에 신속히 투입하여 파공부위에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것으로 특히, 에어튜브 형태로 팽창되는 바스켓이 가스공급수단에 의해 신속히 복원됨에 따라, 부피가 작고 매우 가벼우며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유출사고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이 간편하고 또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간단한 구성으로서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하여 보급시킴에 따라 유출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선박이나 유조선, 화물차량, 기차의 화물칸 등의 운송수단에 매우 적합하며 해상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해상에서 선체의 기름 유출사고에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해양으로 기름 유출을 최소화하고 해양오염을 예방 및 방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탱크(T)의 파공부(H)에 설치하도록 된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에 있어서, 원단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2)에 의해 일정한 원형으로 복원되며 상향 개방된 유입부(14)를 통해 유해물질이 투입되는 바스켓(10); 상기 바스켓(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부(22) 및 이 배출부(22)에 결합하여 유해물질을 안전한 곳으로 이송하는 호스(24); 상기 바스켓(10)을 저장탱크(T)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100)는 유체(액체) 등이 담긴 저장탱크에 파공부(H)가 발생시, 저장탱크에 바스켓(10)을 간편하게 부착시켜 유해성 물질을 신속히 회수하고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된다. 이에, 상기의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100)는 바스켓(10), 배출부(22) 및 호스(24), 고정수단(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스켓(10)은 상향 개방되고 상부의 유입부(14)을 통해 에 유해물질이 투입되고 하부의 배출부(22)에 호스(24)를 연결하여 이 호스를 통해 유해물질을 안전한 장소(수거함)로 보내져 안전하게 회수하게 된다. 상기 배출부(22)는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구비되며 이 연결수단은 배관용 크라운 너트, 씰링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평상시에 상기 바스켓(10)과 호스(24)는 분리한 상태로 소정의 수납용 가방이나 배낭 등의 수납구(미도시)에 담아 안전하게 보관하게 되며, 보관은 물론 이동, 취급, 설치 등이 매우 편리하다.
상기 바스켓(10)은 방수성 원단으로 이루어져 누설의 위험성이 없고 접어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프레임(12)을 형성함으로써 펼쳤을 때 일정한 형태의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10)은 평평하게 형성된 접촉면(11)이 저장탱크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감 있게 접촉하게 된다.
상기 바스켓(10)은 방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원단을 사용하여 누설의 위험성이 없고 다단으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방수 원단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우레탄, 합성고무 등으로 구성이 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10)은 원단에 수지로 코팅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며, 무엇보다도 상기 바스켓(10)은 나일론 420데니아(Denier)인 원단에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코팅 처리한 방수 원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바스켓(10) 및 지지프레임(12)을 제작시 방수 원단을 정해진 단위규격으로 재단하고 접합부위를 고주파 접착시켜 매우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생산성이 뛰어나다.
상기 바스켓(10)은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유입부(14)와 하부 배출부(22), 접촉면(11)의 양측 그리고 둘레 면에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지지프레임(12)을 형성함에 따라, 이 지지프레임(12)에 의해 바스켓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은 자연스럽게 휘어지거나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원형으로 복원이 되어 바스켓(10)을 지탱한다. 이를 위해 에어튜브, 탄력적인 폴(Pole)이나 스틱(선재) 등으로 구성하여 원단이 결합되며, 이는 바스켓(10)을 전개시켜 원형으로 복원시켜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복원력)이 작용하는 것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2)은 바스켓과 마찬가지인 방수 원단이 바람직하며, 탄성적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우레탄, 합성고무, 금속 와이어로프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10)은 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이 팽창 및 복원되는 에어튜브이고, 이 에어튜브에 압축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공급수단(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2)은 바스켓의 상부 유입부(14)와 하부 배출부(22) 그리고 접촉면(11)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연통하는 에어튜브를 형성하고, 가스공급수단(20)에서 공급되는 압축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원형으로 복원이 된다. 상기 가스공급수단(20)은 에어튜브의 주입구를 통해 압축가스를 강제 주입하여 팽창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바스켓을 유입부를 파공부(H)에 고정한 상태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스공급수단(20)은 CO2가스 공급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공급수단(20)은 에어튜브에 압축가스(공기, 기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기 위한 것으로, 교체식 가스탱크를 가지는 CO2가스 공급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CO2가스 공급기는 CO2가스가 담긴 가스탱크, 격발기를 가지는 헤드유닛, 상기 격발기를 동작시키는 작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격발기에 연결된 작동줄을 당김과 동시에 격발기가 가스탱크의 출구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 압축가스(CO2가스)의 압력에 의해 에어튜브(지지프레임)이 신속히 팽창하게 되는 원터치 작동방식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10)은 상부 유입부(14)에 결합되며 파공부(H)를 감싸서 유해물질의 진입을 안내하는 커버(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커버(16)는 바스켓(10)의 상부 유입부(14)에 결합하여 유해물질이 외부로 확산하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16)는 바스켓(10)의 상단 유입부에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의 유입부(14)가 저장탱크(T)를 향해 측방으로 개방된 채 파공부(H)를 커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16)는 바스켓(10)과 동일한 소재가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6)는 선단에 지지프레임(12)을 반원형으로 형성된 채, 상기의 바스켓(10)을 접었을 때 상단 유입부(14)에 있는 지지프레임에 포개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10)과 커버(16)의 지지프레임(12)에 탈부착수단(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바스켓(10)은 상단 유입부와 커버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12)에 탈부착수단(18)을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바스켓을 커버 내측으로 접어넣고 탈부착수단(18)을 접합시켜 콤팩트하게 접어서 보관 가능함은 물론 취급 및 운반 등이 아주 용이하다. 이후 긴급상황의 발생으로 인해 회수장치를 사용시에는 상기 탈부착수단(18)을 분리하고 커버를 개방하면서 뒤집으면 바스켓이 노출된다. 상기 탈부착수단(18)은 파스너(Fastener), 벨크로(Velcro) 테이프, 원터치 버튼(단추)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스켓(10)은 상부에 견인줄(28)을 연결하는 연결고리(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바스켓(10)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연결고리(26)가 구비되며 이 연결고리에 견인줄(28)을 매달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해 둘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바스켓(10)의 유입부(14)를 저장탱크의 파공부(H)에 위치시키고 안전하게 회수하도록 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바스켓(10)을 저장탱크(T)의 표면에 고정하여 임의대로 분리되지 않고 이탈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유해물질을 회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30)은 전자석, 영구자석, 고정고리, 고정클램프, 고정밴드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30)은 탱크에 접촉하는 바스켓의 측면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자력체를 부착하고 이 자력체의 자력선에 의해 선박(선체)과 같은 금속성 자성체에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력체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전자적은 메가스위치, 마그네틱 자석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수단(30)은 바스켓의 접촉면 가장자리에 걸고리나 후크(Hook), 고정용 링과 같은 고정고리 내지 고정클램프, 고정밴드(묶음띠)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에 뚫린 파공부의 인근에는 고정용 브래킷 또는 러그(Lug)와 같은 결합구를 부착하여 간편하게 고정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100)는 바스켓(10)의 연결고리(26)에 견인줄(28)을 결합하고 커버(16)의 탈부착수단(18)을 분리하여 바스켓을 전개하고 유입부(14) 및 커버(16)가 파공부(H)를 커버하도록 설치가 된다. 이와 함께, 상기의 가스공급수단(20)을 작동시켜 지지프레임(에어튜브)을 팽창시킴에 따라, 상기 바스켓(10)이 신속히 원형으로 복원하여 유입부(14)로 파공부의 유해물질이 투입된다. 이때, 상기 바스켓(10)은 선체에 윈치 등에 매달아 측면 접촉면(11)이 저장탱크(T)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파공부로 내려지고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이 된다. 이렇게 상기 바스켓으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은 하부 배출부(22)에 연결되는 호스(24)를 통해 소정의 장소(수거함)로 안전하게 이송 및 회수하게 되며, 외부로 유출이 차단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100)는 해상의 선박 또는 정유회사와 같은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사고로 인해 저장탱크의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긴급상황이 발생시, 상기 저장탱크(T)의 파공부(H)에 신속히 설치하여 유해물질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되며 유해물질의 외부 유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10:바스켓 11:접촉면 12:지지프레임
14:유입부 16:커버 18:탈부착수단
20:팽창수단 22:배출부 24:호스
26:연결고리 28:견인줄 30:고정수단
100:회수장치 T:저장탱크 H:파공부

Claims (7)

  1. 삭제
  2. 저장탱크(T)의 파공부(H)에 설치하도록 된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에 있어서,
    방수성 원단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견인줄(28)을 연결하는 연결고리(26)가 구비되며 상향이 개방된 유입부(14)에 파공부(H)를 감싸서 유해물질의 진입을 안내하는 커버(16)가 구비되는 바스켓(10);
    상기 바스켓(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스공급수단(20)을 가진 에어튜브로 로 구성된 지지프레임(12);
    상기 바스켓(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부(22) 및 이 배출부(22)에 결합하여 유해물질을 안전한 곳으로 이송하는 호스(24);
    상기 바스켓(10)을 저장탱크(T)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전자석, 영구자석, 고정고리, 고정클램프, 고정밴드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10)과 커버(16)의 지지프레임(12)에 탈부착수단(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KR1020140067108A 2014-06-02 2014-06-02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KR10160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08A KR101609052B1 (ko) 2014-06-02 2014-06-02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08A KR101609052B1 (ko) 2014-06-02 2014-06-02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728A KR20150138728A (ko) 2015-12-10
KR101609052B1 true KR101609052B1 (ko) 2016-04-05

Family

ID=5497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08A KR101609052B1 (ko) 2014-06-02 2014-06-02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0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393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유출유 포집 장치
KR20200063394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20210072593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내부 이송 장치
KR20210072585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용 견인 및 조인트 접속 장치
KR20210072556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이송 배관 장치
KR20220096289A (ko) 2020-12-30 2022-07-07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9303A (en) 1984-09-27 1986-02-11 Mcduff George L Ship fluid cargo salvage diaper
US5138964A (en) 1991-06-03 1992-08-18 William Langford Oil spill control for an oil tanker and method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9303A (en) 1984-09-27 1986-02-11 Mcduff George L Ship fluid cargo salvage diaper
US5138964A (en) 1991-06-03 1992-08-18 William Langford Oil spill control for an oil tanker and method of using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393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유출유 포집 장치
KR20200063394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20210072593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내부 이송 장치
KR20210072585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용 견인 및 조인트 접속 장치
KR20210072556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이송 배관 장치
KR20220096289A (ko) 2020-12-30 2022-07-07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728A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052B1 (ko) 에어튜브형 유출유 수거장치
US6080027A (en) Flotation device
JP3068849B2 (ja) 水難救命器具
US5080783A (en) Apparatus for recovering, separating, and storing fluid floating on the surface of another fluid
WO1991009178A1 (en) Ship-mounted oil spill recovery apparatus
US20170320661A1 (en) Tank assembly with liner
KR101846462B1 (ko) 이동식 소화제 저장조 및 산불 진화 시스템
KR102253682B1 (ko) 침몰선의 잔존유 포집 및 이송장치
US11358689B2 (en) Yacht preserver
KR101809106B1 (ko)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KR101531310B1 (ko) 유출유의 회수장치
KR101665403B1 (ko) 오일 펜스의 자동설치 장치
KR101703794B1 (ko) 해난 구조 시스템
KR101809103B1 (ko)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US20080229995A1 (en) Boom system for encircling vessel
KR101531990B1 (ko) 수상 인명구조용 공기주입식 구조 시스템
US20230415861A1 (en) Inflatable salvage bag
US5522334A (en) Flexible portable container for leaking tanks
KR20120038639A (ko) 선박 긴급 보수장치
US20190359299A1 (en) Yacht preserver
KR101857439B1 (ko) 파공부의 봉쇄장치
EP3085350B1 (en) Recovery bag
JP4900906B2 (ja) 救命装置
CN210766678U (zh) 一种断时自动报警的吸油拖栏
JPH07156864A (ja) 船舶用油流出防止タンク構造および油輸送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