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747B1 - 조경용 경계석 - Google Patents

조경용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47B1
KR101608747B1 KR1020150101486A KR20150101486A KR101608747B1 KR 101608747 B1 KR101608747 B1 KR 101608747B1 KR 1020150101486 A KR1020150101486 A KR 1020150101486A KR 20150101486 A KR20150101486 A KR 20150101486A KR 101608747 B1 KR101608747 B1 KR 101608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ndscaping
water
space
land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근
이은구
Original Assignee
대영종합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종합조경(주) filed Critical 대영종합조경(주)
Priority to KR102015010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경용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감지센서를 통해 조경공간부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조경에 필요한 물의 공급시기를 감지 후,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물을 분사부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은 물론, 물공급에 대한 시간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조경용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은 내부에 식물 및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토양이 수용되어 불특정 다수인의 조경(造景)을 위한 조경공간부가 형성된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조경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지면에 띠 형태로 다수 연결설치되며, 상기 조경공간부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하고, 내부에 조경에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경공간부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수용된 물을 흡입 또는 분사하는 분사부와,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상기 몸체부가 원형, 사각 및 굴곡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경용 경계석{A boundary stone for landscape of road}
본 발명은 조경용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감지센서를 통해 조경공간부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조경에 필요한 물의 공급시기를 감지 후,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물을 분사부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은 물론, 물공급에 대한 시간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조경용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용 경계석이라 함은 공원 또는 정원 등을 조경할 경우 인도와 조경물을 구획하여 인도를 확보하고 조경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근래에 도출되는 조경용 경계석은 지면과의 고정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 특히, 야간에 경계석의 위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경계석에 관한 내용들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기술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50283호(2010.03.23)인 '공원 녹지 조성용 연속경계석'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봉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연속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발광봉의 경계석에 삽입된 부분에는 경계석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발광봉의 삽입된 부분의 둘레에 발광봉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구비된 경사 돌출대와, 경사 돌출대의 단부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대로 구성되며 상기 경계석의 상부에는 박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다수의 반사경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박힘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수평대에 등간격의 다수로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각각의 반사경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어 시공되는 경계석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홀에 관통 고정되는 수직 박힘축으로 구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발광봉을 경계석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접촉이나 하/동절기에 경계석의 신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발광봉의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기술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73390호(2007.01.17)인 '공원용 조명경계석'의 구성을 살펴보면, 보도블록의 선단에 설치되는 사다리꼴의 직육면체로 상면에서 하부로는 내측나사부를 갖는 식재공이 관통형성되어 지면과 접하고, 좌우측면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방수전선관이 관통되는 전선공이 형성되며, 보도블록측 전방 중하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내측면에는 반사유리가 장착되며, 개방부 중부 내측면에는 삽입홈이 전방측으로 형성되고, 개방부 선단부에는 방수패킹이 삽입되어 밀폐시키는 밀폐홈이 빙둘러서 형성되며, 개방부 상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개방부 중부 내측 좌우측면에는 안착밀폐홈이 형성된 경계석틀과 상기 경계석틀 상면의 식재공의 내측나사부에 결합되는 외측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식재공 하부의 지면에 위치되어 지면으로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조경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화분과 상기 경계석틀의 개방부에 안착되는 방수케이스로 양측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선공을 통해 유입된 방수전선관과 방수되게 연결되어 하단부에 고정된 투명창을 통해 개방부 하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형광등이 형성된 형광등방수케이스와 상기 경계석틀의 개방부의 체결공에 체결고정되어 하부만을 개방시킨 조명발산공이 형성되고, 밀폐고정되는 금속재질의 커버와 상기 경계석틀의 개방부 하부 커버 내측에 위치되어 우기시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반사유리와 상기 커버 내측면 및 안착밀폐홈과 각각 밀착되어 상부로 수분의 유입을 방지시키는 방수부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공원주변이나 내부에 설치되어 야간에 보행자나 차량운전자들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보도블록을 보다 미려하게 조명할 수 있으며, 눈이나 빗물에 대해 방수처리되고, 설치작업이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며, 식별이 용이한 시인성과 조명의 조도로 보행자의 안전과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지면과의 고정이나 야간에 운전자나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조경에 필요한 물을 공급시에 작업자가 일일이 외부수도관을 호스로 연결하여 공급하여야 하는 일이 빈번하여 특히, 여름철 가문이 극심한 경우에는 많은 인적자원이 투입되어 물공급을 실시하여야 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어려움은 물론,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도 많은 단점을 갖게 된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50283호(2010.03.23) '공원 녹지 조성용 연속경계석' 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73390호(2007.01.17) '공원용 조명경계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 조경에 필요한 물공급을 실시시에 인적자원의 투입이 불필요하여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은 이득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경에 필요한 물을 공급시에 외부수도관을 통한 물공급이 불필요하여 시간적인 이득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은 내부에 식물 및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토양이 수용되어 불특정 다수인의 조경(造景)을 위한 조경공간부(S)를 형성하는 조경용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조경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지면에 띠 형태로 다수 연결설치되며, 상기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유량을 수분감지센서(130)로 측정하고, 내부에 조경에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경공간부(S)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00)에 수용된 물을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부(200);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상기 몸체부(100)와 몸체부(100) 사이에 설치되고 각각의 양측단은 상기 몸체부(100)의 결합돌기(127)와 삽입홈(129)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결합하여 원형, 사각 및 굴곡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연결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 또는 상기 분사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하면이 지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11)가 형성된 하부몸체(110), 상기 하부몸체(110)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11)를 개폐하는 상부몸체(120)와, 상기 상부몸체(120)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20)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감시창(123), 상기 수용공간부(111)와 연통되게 상기 상부몸체(12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사부(2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구(121), 상기 상부몸체(120)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상부몸체(1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27), 상기 상부몸체(120)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27)와 형상맞춤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상부몸체(1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129), 상기 조경공간부(S)를 바라보도록 상기 상부몸체(120) 후면에 형성된 결합공(125), 상기 결합공(125)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센서몸체(131) 및 상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센서몸체(131)에 구비되어 상기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감지봉(133)으로 이루어진 수분감지센서(130)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200)는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상기 연결구(121)와 나사 결합하는 결합관(210), 상기 결합관(210)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며 상부에는 노즐(221)이 구비된 분사체(220), 상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몸체(110)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을 압력에 의해 흡입하여 상기 노즐(221)을 통해 상기 조경공간부(S)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중펌프(240), 상기 결합관(210) 내부에 관통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수중펌프(240)와 관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240)에서 흡입된 물이 상기 분사체(2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급관(23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00)는 다수의 상기 몸체부(100)가 지면 상에 사각의 띠 형태로 연결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제1연결부재(310) 또는 다수의 상기 몸체부(100)가 지면 상에 원형 또는 굴곡진 띠 형태로 연결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제2연결부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부재(310)는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27)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홈(31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삽입홈(129)과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돌기(31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재(320)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각각 주름지게 형성되어 인장/수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자바라(321), 사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바라(321) 양측에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자바라(321)와 고정접착되는 접착홈(329)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329)과 대칭되는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27) 또는 상기 삽입홈(129) 중 어느 하나와 형상맞춤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제2끼움홈(325) 또는 제2끼움돌기(327)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연결몸체(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감지센서를 통해 조경에 필요한 물의 공급시기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몸체부 내부에 수용된 물을 분사부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은 물론, 물공급에 대한 시간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공원 녹지 조성용 연속경계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공원용 조명경계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의 몸체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대한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의 분사부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9는 도 8에 대한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의 연결부 중 제1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의 연결부 중 제2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이하, 간략하게 '경계석'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1)은 크게 몸체부(100), 분사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실내/외에 한정된 구역을 띠 형태로 제공함과 동시에 그 띠 형태의 내부에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조경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하며, 조경공간부(S)에 구비된 토양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식물의 서식에 필요한 물(W)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몸체(110), 상부몸체(120) 및 수분감지센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몸체(110)는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술하는 감시창(123)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수용공간부(111) 내부에 수용된 물의 용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상기 감시창(123)과 대향되는 면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하부몸체(110)는 하부가 지면에 소정거리 이웃하게 다수가 띠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토양이 수용되는 다수의 조경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이종의 식물이 서로 간섭없이 서식하기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참조)
또한 상부몸체(120)는 하부가 개방된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몸체(110)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되어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수용공간부(111)를 개폐한다.
아울러, 상부몸체(120) 상면에는 분사체(220)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연결구(121)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전면에는 상부몸체(120) 외부에서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의 용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수직길이방향으로 투명재질의 감시창(123) 및 후면 즉, 조경공간부(S)의 내벽을 이루는 상부몸체(120) 외면에는 수분감지센서(130)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결합공(125)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몸체(120) 양측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결합돌기(127)가 돌출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삽입홈(129)이 형성되어 다른 상부몸체(120)들 끼리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연결부(3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몸체(120)들 간에 서로 직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감지센서(130)는 상부몸체(120)에 형성된 결합공(125)과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여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센서몸체(131) 및 감지봉(133)을 포함한다.
예컨대, 센서몸체(13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면은 상부몸체(120)에 형성된 결합공(125)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후면에는 감지봉(133)이 고정되도록 삽입설치된다. 이때, 센서몸체(131)에 삽입설치된 감지봉(133)은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감지봉(133)을 통해 감지된 토양의 수분함량 값을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감지봉(133)은 전체적으로 판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센서몸체(131)에 삽입설치되고, 타단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조경공간부(S)의 중심부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도 12 또는 도 13 참조)
아울러, 수분감지센서(130)는 지면에 띠 형태로 다수 연결설치된 각각의 상부몸체(120)에 전부 설치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상부몸체(120) 중 일부에만 구비되어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을 전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수분감지센서(130)가 설치되지 않은 상부몸체(120)에 형성된 결합공(125)은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마개(135)를 통해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부(200)는 도 4,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의 제어를 통해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결합관(210), 분사체(220), 공급관(230) 및 수중펌프(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관(210)은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부몸체(120) 상부에 돌출형성된 연결구(121)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고, 상부는 분사체(220)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여 분사부(200)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분사체(220)는 하부가 결합관(210) 상부와 나사 결합하며, 상부 일측에는 공급관(230)을 통해 유입된 수용공간부(111)의 물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노즐(221)이 구비된다. 이때, 노즐(221)은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는 공급관(23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빨대(straw)가 구비되고, 조경공간부(S)의 중심부까지 물 분사가 가능하도록 분사체(220) 상부에 소정각도(D)를 갖도록 들리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노즐(221)은 수중펌프(240)의 압력에 의해 조경공간부(S)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분사되는 물은 분무형식으로 분사되어 토양 또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공급관(230)은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을 갖도록 결합관(210) 내부에 관통삽입되며, 상부는 분사체(220) 내부로 삽입되어 공급관(230)을 통해 유입된 물이 노즐(22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는 수중펌프(240)와 연결되어 수용공간부(111)의 물이 분사체(22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중펌프(240)는 하부가 물이 수용된 수용공간부(111) 내에 위치하도록 하부몸체(110)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공급관(230) 상부와 관 연결되어 압력에 의해 수용공간부(111)의 물을 흡입하여 노즐(2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300)는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몸체부(100)가 지면 상에 띠 형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연결부재(310) 또는 제2연결부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때, 제1연결부재(310)는 다수의 몸체부(100)가 지면 상에 사각의 띠 형상을 갖도록 설치될 때 그 모서리 부분에 사용하며, 제2연결부재(320)는 다수의 몸체부(100)가 지면 상에 원형이나 타원형 등과 같은 굴곡지게 형성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연결부재(310)는 전체적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상부몸체(120)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27)와 형상맞춤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홈(3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부몸체(120) 타측에 형성된 삽입홈(129)과 형상맞춤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돌기(313)가 돌출형성된다.(도 12 참조)
아울러, 제1연결부재(310)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끼움홈(311) 및 제1끼움돌기(313)는 결합하고자 하는 상부몸체(120)에 형성된 결합돌기(127) 및 삽입홈(129)의 형성위치에 따라 서로 반대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320)는 길이조절 및 굴곡지게 회전가능한 자바라(321) 및 상기 자바라(321)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부몸체(120)에 끼움 결합하는 연결몸체(323)를 포함한다.
예컨대, 자바라(321)는 인장/수축 가능하도록 전/후면이 각각 주름지게 형성되어 상기 자바라(321)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몸체(323) 간의 폭 길이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 상에 다수 설치되는 몸체부(100)가 전체적으로 원형, 타원형 및 굴곡지게 곡선을 이루어 띠 형상을 형성시에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바라(321)는 길이조절이나 굴곡을 형성시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되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시에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 참조)
예컨대, 연결몸체(323)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자바라(321)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연결몸체(323) 일면에는 자바라(321) 양측이 삽입되어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홈(329)이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몸체(323) 타면에는 상부몸체(120)에 형성된 결합돌기(127)가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홈(129)에 삽입되는 제2끼움홈(325) 또는 제2끼움돌기(327)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400)는 토양의 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로 정해진 용량의 물(W)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설정된 소정 시간 단위는 작업자 또는 운용자에 의하여 지정되고 입력된 시간이 설정될 수 있으나, 계절에 따라 봄과 가을에는 3 내지 5 시간 단위마다 주기적으로 물(W)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여름에는 온도를 감안하여 1 시간 내지 3 시간 단위로 물(W)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여름 계절의 온도가 30 도를 넘는 경우 야간 시간에 주간의 물 공급 시간 주기의 절반에 해당하는 시간 주기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간과 야간의 경계는 일출과 일몰을 기준으로 한다. 이때, 비가 오거나 비 온후 하루(24시간) 동안은 물(W)을 공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수분감지센서(130)를 통해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조경에 필요한 물의 공급시기를 감지 후, 그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하고,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 물(W)을 분사부(200)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은 물론, 물공급에 대한 시간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경계석
100: 몸체부 110: 하부몸체
111: 수용공간부 120: 상부몸체
121: 연결구 123: 감시창
125: 결합공 127: 결합돌기
129: 삽입홈 130: 수분감지센서
131: 센서몸체 133: 감지봉
200: 분사부 210: 결합관
220: 분사체 221: 노즐
230: 공급관 240: 수중펌프
300: 연결부 310: 제1연결부재
311: 제1끼움홈 313: 제1끼움돌기
320: 제2연결부재 321: 연결몸체
323: 제2끼움홈 325: 제2끼움돌기
327: 접착홈 400: 제어부
S: 조경공간부 W: 물

Claims (1)

  1. 내부에 식물 및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토양이 수용되어 불특정 다수인의 조경(造景)을 위한 조경공간부(S)를 형성하는 조경용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조경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지면에 띠 형태로 다수 연결설치되며, 상기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유량을 수분감지센서(130)로 측정하고, 내부에 조경에 필요한 물이 수용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경공간부(S)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00)에 수용된 물을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부(200);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상기 몸체부(100)와 몸체부(100) 사이에 설치되고 각각의 양측단은 상기 몸체부(100)의 결합돌기(127)와 삽입홈(129)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결합하여 원형, 사각 및 굴곡진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연결부(300); 및
    상기 몸체부(100) 또는 상기 분사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하면이 지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부(111)가 형성된 하부몸체(110), 상기 하부몸체(110)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11)를 개폐하는 상부몸체(120)와, 상기 상부몸체(120)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20)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감시창(123), 상기 수용공간부(111)와 연통되게 상기 상부몸체(12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분사부(2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구(121), 상기 상부몸체(120)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상부몸체(1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27), 상기 상부몸체(120)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27)와 형상맞춤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상부몸체(12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129), 상기 조경공간부(S)를 바라보도록 상기 상부몸체(120) 후면에 형성된 결합공(125), 상기 결합공(125)과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센서몸체(131) 및 상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센서몸체(131)에 구비되어 상기 조경공간부(S)에 수용된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감지봉(133)으로 이루어진 수분감지센서(130)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200)는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상기 연결구(121)와 나사 결합하는 결합관(210), 상기 결합관(210)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며 상부에는 노즐(221)이 구비된 분사체(220), 상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몸체(110)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부(111)에 수용된 물을 압력에 의해 흡입하여 상기 노즐(221)을 통해 상기 조경공간부(S)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중펌프(240), 상기 결합관(210) 내부에 관통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수중펌프(240)와 관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240)에서 흡입된 물이 상기 분사체(2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급관(23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300)는 다수의 상기 몸체부(100)가 지면 상에 사각의 띠 형태로 연결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제1연결부재(310) 또는 다수의 상기 몸체부(100)가 지면 상에 원형 또는 굴곡진 띠 형태로 연결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제2연결부재(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부재(310)는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27)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홈(31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삽입홈(129)과 끼움 결합하는 제1끼움돌기(313)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재(320)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각각 주름지게 형성되어 인장/수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자바라(321), 사각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자바라(321) 양측에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자바라(321)와 고정접착되는 접착홈(329)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329)과 대칭되는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27) 또는 상기 삽입홈(129) 중 어느 하나와 형상맞춤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는 제2끼움홈(325) 또는 제2끼움돌기(327)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연결몸체(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경계석.
KR1020150101486A 2015-07-17 2015-07-17 조경용 경계석 KR101608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86A KR101608747B1 (ko) 2015-07-17 2015-07-17 조경용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86A KR101608747B1 (ko) 2015-07-17 2015-07-17 조경용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747B1 true KR101608747B1 (ko) 2016-04-05

Family

ID=5580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486A KR101608747B1 (ko) 2015-07-17 2015-07-17 조경용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7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033B1 (ko) * 2016-04-20 2017-03-07 (주)아시아젠트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는 보도블록 장치
KR102141763B1 (ko) * 2019-09-23 2020-08-05 김현중 도로연석을 이용한 도로상의 미세먼지 저감장치
CN112982072A (zh) * 2021-02-19 2021-06-18 广东东篱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KR20220088172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식물의 근권부 모니터링 방법 및 이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83B1 (ko) 2009-06-12 2010-03-3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공원 녹지 조경용 연속 경계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83B1 (ko) 2009-06-12 2010-03-3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공원 녹지 조경용 연속 경계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033B1 (ko) * 2016-04-20 2017-03-07 (주)아시아젠트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는 보도블록 장치
KR102141763B1 (ko) * 2019-09-23 2020-08-05 김현중 도로연석을 이용한 도로상의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220088172A (ko) * 2020-12-18 2022-06-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식물의 근권부 모니터링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2446251B1 (ko) * 2020-12-18 2022-09-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식물의 근권부 모니터링 방법 및 이의 장치
CN112982072A (zh) * 2021-02-19 2021-06-18 广东东篱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747B1 (ko) 조경용 경계석
ES2335936T3 (es) Sumidero, en particular en forma de un canal de desague de ducha.
KR102275544B1 (ko) 자동관수와 식물의 성장분석으로 생육관리가 용이한 벽면조경시스템
ES2583760T3 (es) Persiana enrollable que tiene un elemento superior adaptado para recibir uno o más elementos auxiliares, conjunto de apantallamiento que comprende una persiana enrollable del tipo mencionado y uno o más elementos auxiliares,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dicho conjunto de apantallamiento
CN109744014B (zh) 一种市政防护隔离栏
US6925753B1 (en) Landscape edging
KR100762203B1 (ko) 잔디 주차장 구조
US20200128767A1 (en) Plant pot insert
KR101667775B1 (ko) 신호등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벽돌고정 파레트
US20070022693A1 (en) Tile mounting system and method
CN212961172U (zh) 一种园林地灯
ES2307453B1 (es) Sistema de formacion de zonas ajardinadas en paredes.
US6611968B1 (en) Water body (e.g., pool) water level replenishment system and method
KR200477868Y1 (ko) 옥외소화전을 보호하도록 구비된 보호가드
KR100673390B1 (ko) 공원용 조명경계석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200445933Y1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200061103A (ko) 방초 매트 시스템
US20070044378A1 (en) Plant watering,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control system
KR100790466B1 (ko) 화분 겸용 조립식 볼라드
CN113796256A (zh) 一种城市道路绿化带
KR102224136B1 (ko) 다기능 가로수 관수장치
KR101296196B1 (ko) 화분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급수 기능을 갖는 펜스
KR101763557B1 (ko) 보도 블록
CN217722145U (zh) 现代园艺多功能种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