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709B1 -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09B1
KR101608709B1 KR1020150145903A KR20150145903A KR101608709B1 KR 101608709 B1 KR101608709 B1 KR 101608709B1 KR 1020150145903 A KR1020150145903 A KR 1020150145903A KR 20150145903 A KR20150145903 A KR 20150145903A KR 101608709 B1 KR101608709 B1 KR 101608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student
functio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이흥수
김병일
강성원
전민수
우효동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15014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09B1/ko
Priority to JP2016093524A priority patent/JP6268217B2/ja
Priority to CN201610344892.6A priority patent/CN10660347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한 학습 관리와 운영을 하고, 학습 결과를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는 학습자 별로 맞춤형 보충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영어 학습용 어플리케이션 및 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수신된 학습 메시지에 포함된 이북(E-Book) 정보에 대응하는 이북 콘텐츠를 열람하는 기능, 학생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 기능을 포함하고,상기 디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학생이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학생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A terminal installed with the application form providing digital english learning contents}
본 발명은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한 학습 관리와 운영을 하고, 학습 결과를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는 학습자 별로 맞춤형 보충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영어 학습용 어플리케이션 및 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 시대에 영어의 중요성은 주지의 사실이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은 세계 대다수 국가,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표현의 차이 및 문화의 차이 때문에 겪는 어려움이 많아서, 영어 학습에 대한 투자와 노력이 계속되고 있고 영어 학습이 하나의 교육 산업으로서 인정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영어 교육을 위해 4∼5세의 유아부터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갈수록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 교육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도 영어 몰입교육, 원어민 강사, 해외유학 등 수많은 정책이 제안, 실행되고 있으며, 영어 마을까지 조성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10여 년을 공부해도 그 효과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이러한 현실에 맞추어 영어 학습 및 지도 방법도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방법들이 실시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단순히 암기하거나 과거의 학습방식을 답습하여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영어 학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하고도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하다.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러닝(e-learning) 학습 시스템들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이해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현황에 따른 기계적 진도관리 기능과 단순한 문제은행식 평가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어 개인별 성취도에 맞는 반복학습 및 수준별 학습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영어는 한국어와 어순과 문법구조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학습에 투자한 시간과 비용에 비해 학습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영어의 학습 방법이 전통적으로 암기와 문법 위주로 진행되고 있고, 학습자가 영어를 한국어처럼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하고 적절하며 개인별 수준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특허등록 제1055559호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콘텐츠 제공방법"과 같은 영어 학습방법에 관하여 많은 특허가 출원 및 등록되었다. 웹 사이트를 통한 영어 학습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획일화 된 학습 콘텐츠에 따른 전통적인 방법의 학습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학습자의 수준이나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학습 방법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학습하는 학습자는 다양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생활하면서 최신형 스마트 디지털 단말기기의 사용에 익숙해져 있는데, 지금까지의 학습 콘텐츠는 학습자의 이러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영어 학원의 경우 교사 중심의 교육, 즉 학원에서 배우고 집에서 이를 복습하는 방식의 영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는 교사가 학생을 가르친 후 어떤 부분에 취약점이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영원 학원의 경우 대부분 책으로 된 교재를 이용하여 영어 학습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원어민의 발음을 들려주기 위해 아이패드나 MP3 플레이어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원어민의 발음을 다시 듣거나 따라하기 위해서는 아이패드나 MP3 플레이어 등을 뒤로 돌려 재생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학습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 및 실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영어 교육을,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가르치기가 아닌 공부하는 학생 중심의 학습 및 일정 기간 학습 후 학생의 성취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평가시스템을 통해 평가 결과를 개개인의 수준에 맞춘 맞춤형 보충학습을 가능하게 한 디지털 방식의 맞춤형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영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해 태블릿PC를 활용하여 IBT(Internet Based Test)방식으로 학습한 결과를 수시로 점검하고 확인하여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맞춤형 보충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방식의 영어 학습 콘텐츠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응답하도록 구성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가 제공되고,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수신된 학습 메시지에 포함된 이북(E-Book) 정보에 대응하는 이북 콘텐츠를 열람하는 기능, 학생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디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학생이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학생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큰소리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큰소리 피드백 기능은 학생이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따라하기 학습을 수행할 때 단말기에 제공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감지하고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미리정해진 크기 이상으로 입력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일정 시간동안 자동 일시 정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자동 일시 정지 기능은, 학생이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따라하기 학습을 반복하여 수행할 때, 원어민의 발음이 재생된 후, 자동으로 일시정지 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일시정지 하지 않고 바로 원어민의 발음을 반복하여 말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자동 가림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자동 가림판 기능은, 학생이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학습을 수행할 때,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영어 및 한글 단어 또는 영어 문장을 화면으로부터 제거 또는 가리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지능형 문제출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지능형 문제출제는 기능은 온라인 워크북 학습결과에 따라 다음 날 제공되는 온라인 워크북의 출제 문항들이 부족한 부분에 맞추어 자동으로 출제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자동채점 및 재학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자동채점은 단어학습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학습할 때 제공되는 문제를 자동으로 채점하고 틀린 문제를 자동으로 다시 재학습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점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점검 기능은, 사용자가 상기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학습이 완료되면 교사용 단말에 대해 점검 요청을 송신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최종 점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최종 점검 기능은, 사용자가 상기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모두 완료 후 교사용 단말에서 최종 점수 및 학생의 틀린 문제를 확인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스마트평가 시스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스마트평가 시스템은 한 권의 학습이 완료된 후 IBT 형태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부족한 내용에 맞추어 자동으로 학습문제가 제공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수신된 학습 메시지에 포함된 이북(E-Book) 정보에 대응하는 이북 콘텐츠를 열람하는 기능, 학생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 기능을 포함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학생이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가르치는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가르치기가 아닌 공부하는 학생 중심의 학습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일정 기간 학습한 후 학생의 성취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평가시스템을 통해 평가 결과를 피드백해 주면서 개개인의 수준에 맞춘 맞춤형 보충학습을 가능하게 하므로, 영어 말하기와 쓰기 능력 및 실용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원어민이 발음하는 음원 따라하기를 할 때 태블릿이 자동으로 일정 시간 정지되도록 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수동으로 정지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학습에만 집중할 수 있고, 음원을 따라하는 학습자의 목소리를 측정하여 큰 소리로 말하는 훈련을 시키기 때문에 말하기 훈련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학습한 후에 이를 응용하는 문제를 푼 다음 틀린 문제만을 다시 풀어 볼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복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일정 기간 학습을 마친 다음에는 지필평가 대신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IBT (Internet Based Test)방식으로 영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4가지를 골고루 평가하고, 수시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여 학습 성취도를 정확히 진단해 내고 반복 훈련 및 개인별 부족한 부분에 대한 맞춤형 보충학습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영어 학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학생용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학생용 단말에서 로그인한 경우 제공되는 학습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학생용 단말에서 제공되는 학습 현황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학생용 단말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 중 단어 학습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학생용 단말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 중 단어 학습 화면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학생용 단말에서 수행된 학습 평가를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학생용 단말에서 제공되는 자동채점/재학습 및 점검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점검 기능에서 제공하는 자동 점검 사항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어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측 단말(1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측 단말(10)은 학생용 단말(11), 교사용 단말(12) 및 보호자용 단말(13)을 포함하며, 사용자측 단말(10) 중 학생용 단말(11)은 프로그램 설치 가능한 단말기, 예를 들면, 태블릿 PC, 스마트패드,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이동식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중에서도 태블릿 P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교사용 단말(12)은 학생용 단말(11)과 동일하게 프로그램 설치 가능한 단말기,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이다.
또한 보호자용 단말(13)은 학생용 단말(11)이나 교사용 단말(12)과 같이 프로그램 설치 가능한 단말기, 예를 들면, 태블릿 PC, 스마트패드,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이동식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호자용 단말(13)에는 서비스 제공 서버(2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네트워크망(100)은 인터넷, PSTN 등의 유선 통신망이나, CDMA, WCDMA 등의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지그비, 블루투스,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대해 설명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학습 운영 서버(30), 복수의 데이터 베이스(31, 32, 33, 34)로 구성된다. 학습 운영 서버(30)는 학생용 단말(11)에 영어 교육 콘텐츠를 포함한 학생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교사용 단말(12)에 현재 학생의 학습 상태, 출석 상태, 점검 상태와 같은 학습 상태 현황을 제공하기 위한 교사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보호자 단말(13)에 학생의 출석 상태, 학습 상태, 현재 학습 운영 서버(30)에 접속한 학생의 학습 상태 등에 대한 통계 자료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DB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가입된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다.
콘텐츠 DB(32)는 본 발명의 영어 교육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단어학습용 콘텐츠(321), 원리학습용 콘텐츠(322), 문제학습용 콘텐츠(323), 받아쓰기 콘텐츠(325),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326) 등을 포함하고, 학습 운영 서버(30)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판독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학습관리 DB(33)는 학생들 개개인에 대한 학습 진도, 출석 상황, 학습 결과 등과 같은 여러가지의 학습 관련 정보가 저장되고, 학습자 개인에 대한 단계별 학습결과, 학습 시간, 기타 학습과 연관된 통계자료가 저장된다.
또한, 학생용 단말(11)과 교사용 단말(12)은 학습 운영 서버(30)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학생 개개인에 대한 학습 상태를 교사용 단말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학생용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영어 학습 콘텐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학생용 단말(11)에 제공되는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110)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생용 단말(1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인 경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도 3과 같이 학습용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고, 회원이 아닌 경우 로그인 버튼의 하단에 마련된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학생이 학원에 등원한 후 로그인을 수행하는 경우 학습운영서버(30)는 학생이 로그인한 경우, 예를 들면, 학생용 단말(11)이 학습운영서버(30)에 설치된 사설 네트워크(예를 들면 학원 WiFi)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경우, 학습 운영 서버(30)는 학생이 로그인한 시간과 등교한 사실을 보호자 단말(1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보호자는 학생이 학원에 등원한 시간을 알 수 있게 되고 학생의 안전에 대한 염려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학생이 학원에서 로그아웃한 경우 로그인한 경우와 동일하게 보호자 단말(1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원 시간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학생이 학원에 등교한 후 로그인을 수행하는 경우 학습운영서버(30)의 교사용 단말(12)에 해당 학생이 출석하였음을 알리는 동시에 출석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직 회원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영어 교육 콘텐츠를 체험하도록 하기 위한 체험하기 버튼이 별도로 존재하고, 사용자는 체험하기 버튼을 눌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콘텐츠를 먼저 체험한 후 필요에 따라 회원가입을 신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서버(20)로부터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알림 메시지 수신 기능은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대에 서비스 제공 서버(20)로부터의 학습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이다. 학습 알림 메시지는 학생이 이번회차에 학습해야 하는 단원 또는 레슨과 관련된 E-Book 정보를 포함한다. 학생은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E-Book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E-Book을 학생용 단말(11)을 통해 찾아 읽고 원리와 개념에 대해 동영상으로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도 3a은 학생용 단말(11)의 로그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로그인 한 경우 제공되는 학습용 인터페이스의 다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학습 선택, 학습 현황, E-Book을 포함하는 메인 메뉴가 제공되고 사용자는 메인 메뉴바에서 원하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생이 학습 선택 메뉴를 클릭한 경우 학생용 단말(11)의 화면에는 현재 학습중인 교재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학생은 교재를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학습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 도 3a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학습 교재는 하나인 것으로 표시되었지만 학생이 학원에서 복수의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 복수의 교재가 표시될 수도 있다. 학생이 교재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학습 운영 서버(30)는 로그인된 학생의 정보에 기반하여 학습 관리 DB(33)로부터 학생의 진도 정보를 판독하고 매칭하는 교육 콘텐츠를 콘텐츠 DB(32)로부터 판독하여 학생에게 제공하게 된다.
학생용 단말(11)의 학습용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학습 현황을 선택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생이 수행한 단어 학습, 원리 학습, 문제풀이, 유창성, 받아쓰기, 온라인 워크북 학습 메뉴에 대해, 소요 시간, 학업 성취도, 복습율 정보가 표시되고, 학생은 이를 통해 학생 본인의 학습 진행율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본인 스스로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체계적인 학습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학생용 단말(11)의 학습용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E-Book을 선택하는 경우, 학습 단원 또는 레슨과 관련된 E-Book의 리스트가 제공되고, 학생은 E-Book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E-Book을 선택하여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a는 도 3b에서 학생이 학습 선택을 클릭한 경우 제공되는 학습용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학습용 화면 인터페이스에서는, 단어 학습, 원리 학습, 문제 풀이, 유창성, 받아쓰기, 온라인 워크북으로 이루어진 학습 메뉴가 제공된다.
단어 학습, 원리 학습, 문제 풀이, 유창성, 받아쓰기, 온라인 워크북 메뉴는 학생의 진도(예를 들면, 단원별, 레슨별)에 맞춰서 제공된다. 단어 학습에서는 학생의 현재 단원 또는 레슨에서 요구되는 단어를 훈련하고, 원리 학습에서는 단어들을 이용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훈련하고, 유창성 학습에서는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과 관련된 훈련을 수행하고, 받아쓰기 학습에서는 영어를 듣고 쓰는 것을 훈련하며, 온라인 워크북 학습에서는 해당하는 단원에서의 단어, 원리, 문제, 유창성, 받아쓰기를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메뉴들, 예를 들면, 단어 학습, 원리 학습, 문제풀이, 유창성, 받아쓰기 온라인 워크북으로 이루어진 학습 메뉴는 기본적으로 큰소리 피드백 기능, 자동 일시 정지 기능, 자동 가림판 기능, 자동채점/재학습 기능, 점검 기능을 공통적으로 지원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학습 메뉴들 중 단어 학습 메뉴를 기준해서, 위의 기능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어 학습은 학습 진도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데, 예를 들면, 도 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측에는 영어 단어와 함께 구강의 구조가 표시되고 화면의 우측에는 원어민이 발음하는 동영상이 함께 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런 화면 인터페이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화면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측에는 영어 단어가 화면의 우측에는 한글 뜻이 함께 표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학생은 단어 학습 메뉴를 통해 해당하는 진도에서 요구되는 단어들을 듣고 이를 따라 말 할 수 있다. 또한 단어 학습 메뉴에서 하나의 단어에 대해 복수회 스피킹할 것을 요구하게 되는데, 스피킹에 요구되는 횟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회 이상 반복하여 따라 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어 학습 메뉴에서는 가림판 기능이 제공되는데, 이 가림판 기능은 학생이 단어 학습을 수행하는 도중 화면에 표시되던 영어 단어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학생 스스로 표시되지 않는 단어에 대해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철자를 유추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메뉴에서 큰소리 피드백 기능을 지원한다. 큰소리 피드백 기능은 학생이 따라하는 소리가 학생용 단말의 마이크 부분을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소리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더 크게 따라할 것을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거나 소리를 통해 알리는 기능을 의미한다. 입력된 소리의 크기(dB)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큰 소리 피드백 기능에 의하면 사용자가 태블릿에 제공된 교재를 통해 혼자 듣고 따라하는 경우에도 학생 스스로 큰 소리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국인에게 실제 얘기할 때도 큰 소리로 자신있게 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이 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큰 소리로 따라한 항목들은 점수로 환산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사용 단말기로 전달되고, 학습 이력으로 기록되어 학부모에게 전달될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메뉴에서는 일정 시간동안 자동 정지 기능이 제공되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3회 원어민의 소리를 따라 말하는 경우 원어민의 소리를 재생한 후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은 학생이 반복해야 하는 시점에 맞춰 자동으로 일시정지 되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원어민 소리를 반복하여 재생하기 위해 카세트 또는 MP3 플레이어를 수동으로 일시정지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어 사용자의 학습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시정지 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가 따라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않는다.
학생이 하나의 단어에 대해 반복적인 따라하기를 완료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그 다음 단어가 화면에 표시되고 학생은 그 다음 단어에 대한 따라하기 학습을 진행하게 되며, 이와 같은 반복 학습에 의한 단어 학습을 완료하면, 단어 학습 시간에 소요된 시간이 체크되고 학습 관리 DB에 저장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단어 학습, 원리 학습, 문제 풀이, 유창성, 받아쓰기, 온라인 워크북으로 이루어진 학습 메뉴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즉, 단어 학습이 종료된 후 원리학습, 문제 풀이, 유창성, 받아쓰기, 온라인 워크북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각각의 학습 메뉴와 관련해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채점/재학습 기능과 점검 기능 및 지능형 문제출제 기능을 더 포함한다.
자동 채점/재학습 기능은 각각의 학습 메뉴에서 제시되는 문제에 대해 자동으로 채점을 수행하고 틀린 문제들에 대해 재학습을 수행하도록 기능하고, 점검 기능은 하나의 학습 메뉴가 종료된 뒤 이를 담당하는 교사에게 직접 오프라인을 통해 점검받도록 알려준다. 또한, 최종 점검 기능은, 사용자가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모두 완료 후 교사용 단말에서 최종 점수 및 학생의 틀린 문제를 확인하도록 기능한다.
지능형 문제출제 기능은 온라인 워크북 학습결과에 따라 다음 날(다음 학습날) 제공되는 온라인 워크북의 출제 문항들이 전번에 부족한 부분에 맞추어 자동으로 출제되도록 기능한다. 일례로 단어 학습에서 학생이 답안을 작성하고 학생의 답안에 대해 1차적으로 자동 채점이 수행되고, 학생이 틀린 문제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재학습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최종점검시 학생이 틀린 문제는 참고자료로서 교사의 단말로 전송됨으로써 교사는 학생이 어떤 문제에 취약한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이 재학습을 수행하고 이를 완료하면, "선생님에게 점검 받으세요"라는 메시지가 학생용 단말에 표시되는데, 학생이 이를 클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측 단말에는 해당 학생에 대한 학습 목표와 핵심 점검 사항이 표시된다.
교사는 화면에 표시된 핵심 점검 사항을 이용하여 해당 학생에게 점검을 수행하게 되고 점검 결과에 따라 승인, 재학습 등을 결정하게 되는데, 교사가 승인을 클릭한 경우 학습은 다음 단계로 진행되고, 재학습을 클릭하게 되면 학생용 단말로 재학습 메뉴가 재생성된다. 따라서 학습하지 않거나 일정 수준에 도달하지 않고 학습하는 학생이 임의로 특정 진도에 나갈 수 없으며, 학습하지 않고 보호자 또는 교사에게 학습했다고 거짓말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학습 메뉴마다 자동 채점/재학습 기능과 함께, 교사에 의해 수행되는 점검 기능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취약한 부분에 대해 개개인 맞춤형으로 집중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는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스마트평가 시스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스마트평가 시스템은 한 권의 학습이 완료된 후 IBT 형태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부족한 내용에 맞추어 자동으로 학습문제가 제공되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교사 중심의 일방적 가르치기가 아닌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학습을 제공할 수 있고, 현재 학생의 수준에 맞춰 정확한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영어 학원에서 온라인 상에 마련된 영어 교육 콘텐츠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단말기 11: 학생용 단말
12: 교사용 단말 13: 보호자용 단말
20: 서비스 제공 서버 30: 학습 운영 서버
3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32: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33: 학습 관리 데이터베이스 321: 단어학습 콘텐츠
322: 원리학습 콘텐츠 323: 문제학습 콘텐츠
324: 유창성학습 콘텐츠 325: 받아쓰기 콘텐츠
326: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

Claims (13)

  1. 오프라인 상의 학원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되고,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응답하도록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수신된 학습 메시지에 포함된 이북(E-Book) 정보에 대응하는 이북 콘텐츠를 열람하는 기능,
    학생의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로그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학생이 로그인을 수행한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학생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그인 기능은, 학생이 단말기를 이용해서 미리정해진 네트워크를 통해 로그인한 경우, 서비스 서버는 학생이 로그인한 시간과 학원에 등원한 사실을 미리 정해진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학생이 미리정해진 네트워크에서 로그아웃한 경우 보호자 단말기로 로그아웃한 시간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는, 단어 학습 콘텐츠,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자동채점 및 재학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동채점 기능은, 단어학습 콘텐츠, 받아쓰기 콘텐츠 및 온라인 워크북 콘텐츠를 학습할 때 제공되는 문제를 자동으로 채점하고 틀린 문제를 자동으로 다시 재학습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기능하고,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점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점검 기능은, 사용자가 상기 원리 학습 콘텐츠, 문제 풀이 콘텐츠, 유창성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학습 및 자동 채점이 완료되면 교사용 단말에 대해 오프라인 상에서의 점검 요청을 송신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큰소리 피드백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큰소리 피드백 기능은 학생이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따라하기 학습을 수행할 때 단말기에 제공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감지하고 입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으로 입력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일정 시간동안 자동 일시 정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동 일시 정지 기능은, 학생이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따라하기 학습을 반복하여 수행할 때, 원어민의 발음이 재생된 후, 자동으로 일시정지 되어, 사용자가 바로 원어민의 발음을 반복하여 말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자동 가림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동 가림판 기능은, 학생이 상기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학습을 수행할 때,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영어 및 한글 단어 또는 영어 문장을 화면으로부터 제거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45903A 2015-10-20 2015-10-20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KR101608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03A KR101608709B1 (ko) 2015-10-20 2015-10-20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JP2016093524A JP6268217B2 (ja) 2015-10-20 2016-05-08 デジタル英語学習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デジタル英語学習アプリケーションがインストールされた端末
CN201610344892.6A CN106603479B (zh) 2015-10-20 2016-05-23 带有数字化英语学习应用的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903A KR101608709B1 (ko) 2015-10-20 2015-10-20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709B1 true KR101608709B1 (ko) 2016-04-04

Family

ID=5579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903A KR101608709B1 (ko) 2015-10-20 2015-10-20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68217B2 (ko)
KR (1) KR101608709B1 (ko)
CN (1) CN106603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0706B (zh) * 2018-02-26 2021-11-05 北京迈瑞科教育科技有限公司 英语学习平台系统
CN109599108A (zh) * 2018-12-17 2019-04-0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听写辅助方法及听写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788A (ja) * 2000-04-14 2001-10-26 Eikoh Inc 情報システムを用いた学習システム
JP2002229431A (ja) * 2001-02-01 2002-08-14 Tdk Corp 学習システム
JP2005122056A (ja) * 2003-10-20 2005-05-12 Nec Fielding Ltd 外国語学習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804989Y (zh) * 2004-11-24 2006-08-09 深圳市泰嘉乐科技开发有限公司 数码多媒体智能学习机
CN102354465A (zh) * 2011-10-08 2012-02-15 许卫刚 一种以句子为最小单位进行英语学习的方法及系统
US8731454B2 (en) * 2011-11-21 2014-05-20 Age Of Learning, Inc. E-learning lesson delivery platform
CN103065510A (zh) * 2012-12-31 2013-04-24 江苏黄金屋教育咨询有限公司 基于云服务的课堂互动教学系统
CN103426336B (zh) * 2013-06-26 2015-09-09 西安科技大学 高校教学资源数字化系统及使用方法
CN103927910B (zh) * 2014-04-17 2016-03-23 西安夫子电子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移动教学平台
CN105574057A (zh) * 2014-11-11 2016-05-11 郑汉洙 外语学习系统及方法
CN104658359A (zh) * 2015-03-23 2015-05-27 黄河科技学院 一种英语学习机系统及其数据处理方法
CN105551328A (zh) * 2016-01-28 2016-05-04 北京聚力互信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移动交互和大数据分析的语言教学辅研同步集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78844A (ja) 2017-04-27
CN106603479B (zh) 2020-05-15
CN106603479A (zh) 2017-04-26
JP6268217B2 (ja)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mrell et al. The SAMR model as a framework for evaluating mLearning
Baker Exploring teachers' knowledge of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techniques: Teacher cognitions, observed classroom practices, and student perceptions
Fisher et al. Closely reading informational texts in the primary grades
CN102262820A (zh) 一种交互式外语学习方法
Peker et al.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in context: Examining engagement in three prekindergarten French classrooms
Mandak et al. The effects of an online training on preservic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use of family-centered skills
Melani The Effect of Google Classroom assisted extensive listening on listening comprehension accross learning autonomy
Billings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responsive teaching: Part I
KR101608709B1 (ko) 디지털 영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Fisher et al. Listening stations in content area learning
JP2016040591A (ja)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学習能力開発システム
WO2013105114A2 (en) A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statistically assessing co-scholastic skills of a user
McKeeman et al. 21st century world language classrooms: Technology tools supporting communicative competence
JP5911630B1 (ja) 言語学習システム、言語学習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Siegel et al. Learning listening
Tiang-uan An exploration of the opinions towards the use of the EWA application for improving ENglish listening ability of grade 8 students at an English medium instruction school in Samut Sakhon province
Bekaryan Developing learners’ top-down processing skills in listening
Ross Designing Lessons for EFL Listening Comprehension Classes.
Cowan The projected use of mobile applications for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class instruction
KR101739023B1 (ko) 참여형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Nemeth Technology to support dual language learners
Riadil et al. Most Common Learning Style Used By the Students of English Department of Tidar University
Rice Using a Ternion of Michigan’s Resources to Support a Symbiotic Family/School Partnership
Webb et al. Educators' and carers' perceptions of Aboriginal children's communication and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Duy et al. An ICT Tool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s on Improving English Speaking Skills Among Technology Students at Van Lang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