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682B1 -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682B1
KR101608682B1 KR1020150053024A KR20150053024A KR101608682B1 KR 101608682 B1 KR101608682 B1 KR 101608682B1 KR 1020150053024 A KR1020150053024 A KR 1020150053024A KR 20150053024 A KR20150053024 A KR 20150053024A KR 101608682 B1 KR101608682 B1 KR 101608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elescope
ring
waterproof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석오
이성모
제도흥
강용우
송민규
이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천문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천문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망원경의 전파 수신기 등의 설치를 위해 반사판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사용중에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스티로폼을 이용함으로써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Waterproof method for vertex window of radio telescope reflector}
본 발명은 전파망원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파망원경의 설치 및 운용시 전파 수신기 등의 설치를 위해 반사판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예를 들면,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사용중에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기존의 광학 망원경과 함께 전파망원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파망원경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천체로부터 복사되는 전파를 관측하기 위한 것으로, 천체로부터 날아오는 전파의 강도를 기록하여 천체를 관측하는 장비이다.
여기서, 전파망원경은, 가시광선 대역을 이용하는 광학 망원경과는 달리 전파는 빛보다 파장이 길기 때문에 지향성과 분해능이 떨어지므로 동일한 크기의 광학 망원경에 비해 필연적으로 분해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파망원경은, 일반적으로 광학 망원경보다 훨씬 큰 구경의 포물면 형태의 반사판을 가지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분해능을 높이도록 구성되며, 이때, 천체에서 방출되는 전파는 매우 미약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전파망원경의 직경도 크게 하여 집광능력을 크게 하여야 한다.
즉, 현재 가장 큰 전파 망원경은 미국의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천문대에 설치된 지름 305m인 전파망원경이다.
또한, 건축 구조 및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망원경 크기를 늘리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더 좋은 분해능을 얻기 위해 다수의 작은 전파 망원경을 일정한 거리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배열 전체의 넓이와 같은 구경의 단일 망원경과 동일한 분해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망원경 배열도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망원경 배열은 배열 전체 크기의 단일 망원경에 비해 분해능만 동일할 뿐, 집광 능력은 크게 떨어진다.
아울러, 전파망원경이 설치된 전파 천문대는, 일반 천문대가 대기 간섭을 피하기 위해 산 정상 부근에 위치한 것과 달리 전자기파 차단을 위해 라디오, 텔레비전, 레이더 등과 같은 전자장비와의 전자기파 간섭을 피해 도심에서 떨어진 지역이나 계곡 안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 산하의 대덕전파천문대에서 1986년부터 지름 14m의 단일 전파망원경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내에도 지름 6m의 전파망원경이 설치되어 2002년부터 연구에 이용되고 있고, 더욱이,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름 21m의 전파 망원경 3개를 서울(연세대학교), 울산(울산대학교), 제주도(제주국제대학교)에 건설하여 망원경 배열을 구성한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전파망원경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먼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8619호에 따르면, 주반사판과 부반사판, 복사혼을 포함한 카세그렌 또는 그레고리안 안테나에서, 안테나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직회전기어; 수직회전기어를 서로 인접하여 양측에서 구동하기 위한 2개의 수직 감속기; 2개의 수직 감속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피니언 기어가 부착된 하나의 수직 구동모터; 안테나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회전기어; 수평회전기어를 인접하여 양측에서 구동하기 위해 피니언 기어와 샤프트, 입력기어로 된 2개의 수평감속기; 2개의 수평 감속기의 입력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피니언 기어가 부착된 하나의 수평 구동모터;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안테나 지지구조물; 및 안테나 지지구조물에 용접되고 수평 감속기의 일단을 고정하여 수평방향의 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횡력저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회전중 정지시의 관성이나 태풍이나 강풍 등과 같이 풍압에 의해 수평회전 감속모터나 피니언 기어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방향 회전 부반사판형 카세그린 안테나가 제시된 바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전파망원경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2190호에 따르면, 유전체 장하혼을 이용하여 정재파를 개선하고 메탈라스망의 반사판을 이용하여 강한 풍압에도 견딜 수 있으며 경량인 유전체 장하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반사판 안테나가 제시된 바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92호에 따르면, 판상 부재 구동부를 간소화할 수 있어 장치 자체의 비용은 물론 설치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3줄의 와이어를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백래시와 같은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정밀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3줄의 와이어를 이용한 판상 부재의 구동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태양 추적장치 및 태양광 반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더욱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4312호에 따르면, 복수의 레이어를 적층하여 안테나용 반사판을 형성함으로써 반사판의 강도를 강화하고 반사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테나용 반사판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전파망원경에 관련하여 여러 가지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대부분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안테나나 전파망원경의 설치 및 운영에 관련된 기술내용은 제시된 바 없었다.
즉, 전파망원경을 설치 및 운영함에 있어서는, 전파망원경의 특성상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파 수신기 등의 설치를 위해 반사판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를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행하여 안테나 내부의 수신기 등과 같은 전자장치를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같이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종래에는, 예를 들면,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하여 개구부를 덮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중에 강풍 등으로 인해 섬유가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고어텍스 섬유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능성 섬유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섬유가 늘어나게 되면 바람 등으로 인해 섬유가 펄럭이게 되고, 이러한 섬유의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어,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전파망원경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기존의 기능성 섬유를 사용하는 대신, 방수기능을 가지면서 전파손실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기존의 기능성 섬유와 같이 파손이나 늘어짐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그것에 의해 스탠딩 위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수신신호에 잡음 혼입이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방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8619호(2007.09.07.)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2190호(2011.04.22.)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8392호(2014.01.27.)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4312호(2014.04.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파망원경의 설치 및 운용시 전파 수신기 등의 설치를 위해 반사판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사용중에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스티로폼을 이용함으로써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고어텍스(Gore-Tex)를 포함하는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상기 섬유가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상기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 부분에 콘프레임(cone frame)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프레임의 표면에 하부링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하부링의 하단부에서 고정볼트를 삽입하고 방수처리를 행하는 단계; 상기 하부링에 삽입된 상기 고정볼트에 방수링과 방수부재 및 상부링을 차례로 각각 끼워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링의 상단면에 돌출된 상기 고정볼트에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콘프레임, 상기 하부링, 상기 방수링,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상부링을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과 일체로 결합 및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콘프레임은, 단면이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곡률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 각도로 절곡된 직선 형태나,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곡률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반사판에 형성된 상기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링은, 상기 반사판에 형성된 상기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콘프레임에 볼트결합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 및 상기 방수링과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상부링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나사공의 내측으로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볼트 삽입공을 포함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 삽입공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볼트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콘프레임에 상기 하부링을 결합한 후 상기 고정볼트 삽입공에 상기 고정볼트를 삽입하고 실리콘을 포함하는 방수재로 방수처리를 행한 다음 상기 방수링과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상부링을 차례로 상기 고정볼트에 끼우는 것에 의해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부재의 교체를 포함하는 유지보수 작업시에도 상기 고정너트만 풀고 교체하면 되므로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작업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링은, 상기 하부링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뾰족한 침이나 못을 복수 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조류 접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콘프레임과 상기 하부링 및 상기 상부링은 각각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링은,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반사판의 상기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링과 상기 방수부재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버텍스 윈도우에 대한 방수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방수부재는,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상기 방수링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상부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링의 두께만큼의 깊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링이 상기 방수부재 위로 돌출되지 않고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우천시 및 우천 후에 물이 고이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수신신호에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방수처리방법은, 상기 방수부재가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어텍스를 포함하는 기능성 섬유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가공이 용이한 데 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어텍스를 포함하는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상기 섬유가 찢어지거나 빗물이 고여 상기 섬유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신호에 잡음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버텍스 윈도우에 대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반사판이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버텍스 윈도우에 대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망원경의 설치 및 운용시 전파 수신기 등의 설치를 위해 반사판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스티로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사용중에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적용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 방수처리구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적용된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버텍스 윈도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콘프레임에 하부링을 결합하고 고정볼트 삽입공에 고정볼트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방수링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방수부재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파망원경의 설치 및 운용시 전파 수신기 등의 설치를 위해 반사판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사용중에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스티로폼을 이용함으로써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파망원경(10)은, 크게 나누어, 중심부가 오목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주반사판(11)과, 주반사판(11)의 초점 위치에 설치되어 주반사판(11)으로부터 반사된 전파를 주반사판(11)의 후면 측에 설치된 수신기 쪽으로 다시 반사시키는 부반사판(12) 및 부반사판(12)을 통해 반사된 전파가 수신기에 수신되도록 주반사판(11)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13) 및 버텍스 윈도우(13)를 통하여 수신기에 수신된 전파를 분석하고 기록하기 위한 분석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주반사판(11)과 부반사판(12) 및 버텍스 윈도우(13)를 통하여 주반사판(11)의 후면 측에 설치된 수신기에 전파가 수신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신된 전파를 분석하여 천체의 관측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버텍스 윈도우(13)는 주반사판(11)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로서 이루어지며, 그 안쪽에는 수신기와 같은 전자기기들이 설치되므로, 빗물이나 기타 다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가 가능한 구조로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종래에는, 버텍스 윈도우(13)를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로 덮은 다음,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실리콘 처리를 행하여 방수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강풍 등으로 인해 섬유가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섬유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아울러, 이와 같이 섬유가 늘어지게 되면 바람이 불 때마다 섬유가 펄럭거리게 되면서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신호에 잡음이 혼합되어 정확한 측정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고어텍스를 이용한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방수처리를 위한 새로운 전파망원경의 전파인입 개구부 구조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적용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 방수처리구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적용된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버텍스 윈도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 방수처리구조는, 크게 나누어,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콘프레임(cone frame)(21)과, 상기 콘프레임(21)의 표면에 볼트결합 등으로 결합되는 하부링(22)과, 상기한 하부링(22) 위에 삽입되는 방수링(23)과, 상기한 방수링(23) 위에 설치되는 방수부재(24)와, 상기한 방수부재(24)의 상단면에 결합되는 상부링(25) 및 상기한 하부링(22), 방수링(23), 방수부재(24), 상부링(25)을 각각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26) 및 고정너트(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콘프레임(2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곡률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로 절곡된 직선 형태나, 또는, 상부가 절단된 원뿔 형태와 같이,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곡률에 대응하는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를 가지고, 중심부에는 반사판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한 관통공의 주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하부링(2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판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관통공의 주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 및 고정볼트 삽입공(28)을 가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나사공을 통하여 상기한 콘프레임(21)의 상면에 볼트결합 등으로 결합되며, 이때, 하부링(22)의 하단에서부터 고정볼트 삽입공(28)을 통해 고정볼트(26)를 관통시킨 다음 실리콘 등과 같은 방수재질로 방수처리를 행하고, 각각의 관통공의 직경 차이로 인하여 콘프레임(21)의 관통공 안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상기한 방수링(23), 방수부재(24) 및 상부링(25)을 각각 차례로 설치한 후, 상부링(25)의 상단에서 고정너트(27)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볼트 삽입공(28)의 내측에는 고정볼트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콘프레임(21)에 하부링(22)을 먼저 결합하고 고정볼트 삽입공(28)에 고정볼트(26)를 삽입하여 실리콘 등과 같은 방수재질로 방수처리를 행한 다음 방수링(23), 방수부재(24) 및 상부링(25)을 차례로 고정볼트(26)에 끼우고 고정너트(27)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설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콘프레임(21)에 하부링(22)을 결합하고 고정볼트 삽입공(28)에 고정볼트(26)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프레임(21)에 하부링(22)을 결합하고 고정볼트 삽입공(28)에 고정볼트(26)를 삽입하여 방수처리를 행한 상태에서 나머지 부재의 결합작업을 행함으로써, 각각의 부재에 대한 간격을 맞추거나 할 필요 없이 고정볼트(26)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하부링(2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류 등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뾰족한 침이나 못 등을 복수 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조류 접근 방지수단(31)이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콘프레임(21)과 하부링(22) 및 상부링(25)은 각각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방수링(23)은,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방수링(23)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방수링(23)은,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중심부에는 반사판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관통공의 주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가지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링(22)과 방수부재(24)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버텍스 윈도우에 대한 방수 및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방수부재(2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방수링(23)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단부에는 상부링(25)이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상부링(25)의 두께만큼의 깊이로 가이드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29)이 형성된 부분에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방수부재(24)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링(25)의 두께만큼의 깊이로 가이드홈(29)이 형성됨으로써,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링(25)까지 결합하여 방수처리가 완료된 후에도 상부링(25)이 방수부재(24) 위로 돌출되지 않고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우천시 및 우천 후에 빗물이 고이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수신신호에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방수부재(24)는,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고체인 스트로폼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고어텍스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강풍 등으로 섬유가 찢어지거나 빗물 등이 고여 섬유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것에 의해,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신호에 잡음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항상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구조는, 스티로폼의 투과손실이 1% 미만이므로 전파의 투과에도 문제가 없으며, 가공이 용이한 데 더하여, 기존의 방법과 같이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스티로폼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함께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구조는, 콘프레임(21)에 하부링(22)을 결합하고 고정볼트 삽입공(28)에 고정볼트(26)를 삽입하여 방수처리한 다음 나머지 부재들은 고정볼트(26)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방수부재(24)의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 작업시에도 고정너트(27)만 풀고 해당 부재를 교체하면 되므로, 조립이 쉬운 만큼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작업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지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 부분에 콘프레임(cone frame)(21)을 설치하는 단계(S71)와, 상기 단계에서 설치된 콘프레임(21)의 표면에 하부링(22)을 결합하는 단계(S72)와, 상기 단계에서 설치된 하부링(22)의 고정볼트 삽입공(28)을 통하여 하부링(22)의 하단부에서 고정볼트(26)를 삽입하고 방수처리를 행하는 단계(S73)와, 상기 단계에서 하부링(22)의 고정볼트 삽입공(28)에 삽입된 고정볼트(26)에 방수링(23)과 방수부재(24) 및 상부링(25)을 차례로 각각 끼우는 단계(S74)와, 상기 단계에서 설치된 상부링(25)의 상단면에 돌출된 고정볼트(26)에 고정너트(27)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 및 고정하는 단계(S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콘프레임(21), 하부링(22), 방수링(23), 방수부재(24), 상부링(25), 고정볼트(26), 고정너트(27) 및 고정볼트 삽입공(28)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펄럭임이 없고 투과손실이 작은 스트로폼과 같은 방수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고어텍스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강풍 등으로 섬유가 찢어지거나 빗물 등이 고여 섬유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신호에 잡음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항상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부재로서 스티로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의 방법에 비해 전파의 투과손실이 적고, 가공이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되는 데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므로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망원경의 설치 및 운용시 전파 수신기 등의 설치를 위해 반사판의 중심부에 개구부로서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종래의 고어텍스와 같은 기능성 섬유 대신에 스티로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늘어나거나 펄럭임이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설치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된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고어텍스(Gore-Tex)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사용중에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전파망원경 11. 주반사판
12. 부반사판 13. 버텍스 윈도우
21. 콘프레임 22. 하부링
23. 방수링 24. 방수부재
25. 상부링 26. 고정볼트
27. 고정너트 28. 고정볼트 삽입공
29. 가이드홈 31. 조류 접근 방지수단

Claims (10)

  1. 전파망원경의 반사판 중심부에 형성되는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의 방수처리를 위해 고어텍스(Gore-Tex)를 포함하는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상기 섬유가 강풍 등으로 인해 찢어지거나 물이 고여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있는 데 더하여, 바람이 불면 늘어진 상기 섬유가 펄럭임으로 인해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가 발생하여 수신전파에 노이즈가 혼합되는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방수처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버텍스 윈도우(vertex window) 부분에 콘프레임(cone frame)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프레임의 표면에 하부링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하부링의 하단부에서 고정볼트를 삽입하고 방수처리를 행하는 단계;
    상기 하부링에 삽입된 상기 고정볼트에 방수링과 방수부재 및 상부링을 차례로 각각 끼워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링의 상단면에 돌출된 상기 고정볼트에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콘프레임, 상기 하부링, 상기 방수링,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상부링을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과 일체로 결합 및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프레임은,
    단면이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곡률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 각도로 절곡된 직선 형태나,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곡률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반사판에 형성된 상기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은,
    상기 반사판에 형성된 상기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콘프레임에 볼트결합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 및
    상기 방수링과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상부링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나사공의 내측으로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볼트 삽입공을 포함하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 삽입공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볼트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콘프레임에 상기 하부링을 결합한 후 상기 고정볼트 삽입공에 상기 고정볼트를 삽입하고 실리콘을 포함하는 방수재로 방수처리를 행한 다음 상기 방수링과 상기 방수부재 및 상기 상부링을 차례로 상기 고정볼트에 끼우는 것에 의해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부재의 교체를 포함하는 유지보수 작업시에도 상기 고정너트만 풀고 교체하면 되므로 분해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작업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전파망원경의 전체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은,
    상기 하부링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뾰족한 침이나 못을 복수 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조류 접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프레임과 상기 하부링 및 상기 상부링은 각각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링은,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반사판의 상기 버텍스 윈도우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링과 상기 방수부재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파망원경 반사판의 버텍스 윈도우에 대한 방수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상기 방수링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상부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링의 두께만큼의 깊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부분에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나사공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링이 상기 방수부재 위로 돌출되지 않고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우천시 및 우천 후에 물이 고이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수신신호에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처리방법은,
    상기 방수부재가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어텍스를 포함하는 기능성 섬유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가공이 용이한 데 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어텍스를 포함하는 기능성 섬유를 이용함으로 인해 상기 섬유가 찢어지거나 빗물이 고여 상기 섬유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스탠딩 웨이브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에 의해 신호에 잡음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9. 청구항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버텍스 윈도우에 대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반사판.
  10. 청구항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을 이용하여 버텍스 윈도우에 대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망원경 시스템.
KR1020150053024A 2015-04-15 2015-04-15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KR101608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024A KR101608682B1 (ko) 2015-04-15 2015-04-15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024A KR101608682B1 (ko) 2015-04-15 2015-04-15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682B1 true KR101608682B1 (ko) 2016-04-04

Family

ID=5579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024A KR101608682B1 (ko) 2015-04-15 2015-04-15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6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7704A (zh) * 2017-04-19 2017-06-23 西北工业大学 一种轨道式重心可变的水面浮动射电望远镜结构
CN110112536A (zh) * 2019-06-11 2019-08-0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用于太阳成像观测的集成式射电望远镜天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420A (ja) 2001-09-21 2003-04-04 Alps Electric Co Ltd 衛星放送受信用コンバ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420A (ja) 2001-09-21 2003-04-04 Alps Electric Co Ltd 衛星放送受信用コンバー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7704A (zh) * 2017-04-19 2017-06-23 西北工业大学 一种轨道式重心可变的水面浮动射电望远镜结构
CN110112536A (zh) * 2019-06-11 2019-08-09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用于太阳成像观测的集成式射电望远镜天线
CN110112536B (zh) * 2019-06-11 2024-03-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用于太阳成像观测的集成式射电望远镜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6245B2 (en) Base station antenna
EP2577802B1 (en) Segmented antenna reflector with shield
KR101608682B1 (ko) 전파망원경 전파인입 개구부의 방수처리방법
CN101517826B (zh) 成型弹道屏蔽装置
ES2388431T3 (es)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con una baliza de obstáculo
US6211834B1 (en) Multiband ring focus antenna employing shaped-geometry main reflector and diverse-geometry shaped subreflector-feeds
US20190058239A1 (en) Antenna mounting bracket assembly
US9466889B2 (en) Tracking antenna system adaptable for use in discrete radio frequency spectrums
KR101842652B1 (ko) 안테나 위장용 장치
WO2007074443A3 (en) Millimeter wave imaging system
KR101567122B1 (ko) 밀폐형 반사경 안테나 마운트
CN210006887U (zh) 一种天线围子
JP7075960B2 (ja) カバー組立体
US10090604B2 (en) Antenna device
JP7107764B2 (ja) 基準点用リフレクタ
US20190235218A1 (en) Panoramic sensing apparatus
RU184248U1 (ru) Полноповоротная антенна с радиопрозрачным обтекателем
CN104685712B (zh) 用于将天线罩固定到天线反射器上的连接设备
JP2007043284A (ja) レドーム
EP3372512B1 (en) Manual microwave probe for satellite, having fixed reflection plate
WO2020241274A1 (ja) 通信用アンテナ付きポール
JP2005325651A (ja) 天体観測ドーム
KR20200135015A (ko) 조립식 돔 하우스
JP2001185929A (ja) テレビジョン電波送信アンテナ
JP2002353723A (ja) レドーム付パラボラ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