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320B1 - 유연성 체결 홀더 - Google Patents

유연성 체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320B1
KR101607320B1 KR1020140124660A KR20140124660A KR101607320B1 KR 101607320 B1 KR101607320 B1 KR 101607320B1 KR 1020140124660 A KR1020140124660 A KR 1020140124660A KR 20140124660 A KR20140124660 A KR 20140124660A KR 101607320 B1 KR101607320 B1 KR 10160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diameter
ring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557A (ko
Inventor
심성수
Original Assignee
심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수 filed Critical 심성수
Priority to KR102014012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3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의 고정 및 분리가 편리하고, 고정력이 높은 유연성 체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산업용 기계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유연성 체결 홀더에 있어서, 튜브가 삽입되는 내경홀과 일부 표면이 절개된 관통부와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며,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내경홀에 삽입되어 튜브를 지지하는 유연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링; 상기 몸체의 일부에 원주방향으로 결합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내부의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며,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 및 상기 나사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연성 체결 홀더{Flexible joint holder}
본 발명은 유연성 체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 및 산업기계에 사용되는 전원 또는 신호 케이블을 감싸는 튜브의 끝단 고정 위한 유연성 체결 홀더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 및 산업기계들은 구동부의 작동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이 필요하고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 또는 제어부에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을 필요로 한다. 이때 작업을 위하여 이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기계의 경우에는 해당 구동부의 동작과 제어를 위하여 케이블들이 같이 이동해야 하므로, 케이블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장치들이 사용된다.
먼저 케이블 자체의 보호와 이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케이블 가이드를 사용한다. 상기 케이블 가이드는 적용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실용신안 제223645호에는 스핀들장치가 수직축(Z축)으로 이동하는 입형선반에 있어서 칼럼으로부터 스핀들장치까지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덕트가 기계의 높이와 항상 같거나 낮은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높이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8-0001094호에는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튜브 단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을 가지는 튜브링;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튜브에 인입된 각각의 케이블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케이블삽입공을 형성한 상태로 튜브링에 내삽결합하는 케이블분배기; 튜브링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외삽되는 링 형상을 가지는 튜브클램프; 튜브클램프의 일측부에 결합하는 헤드결합부; 일단부가 산업용 로봇의 암 외측부에 외삽결합된 상태로 타단부는 헤드결합부에 결합하여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튜브가 암 외측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는 클램프지지부를 구비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1-0020640호에는 암(Arm)에 케이블의 측면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가이드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가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부재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이동부재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 클램프, 이동부재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제2 클램프를 포함하는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 조절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가이드 장치 중 가장 간편한 방식은 유연성 튜브 내부에 케이블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연성 튜브를 장치에 일부 고정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방식은 유연성 튜브와 상기 튜브를 고정하고 장치에 고정되는 체결 홀더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다양한 장치에 적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체결 홀더는 장치의 고정되고, 내부에 케이블들이 인출되는 구조이므로, 일측에는 장치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부를 구비하고, 타측은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튜브 고정구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이나, 일부 구조 및 생산 불량에 의하여 튜브가 분리되거나, 장치의 진동에 의하여 케이블의 진동 하중에 의하여 역시 튜브가 분리되고, 또한 튜브의 고정 및 분리가 어려우면, 튜브의 고정력이 약한 단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튜브의 고정 및 분리가 편리하고, 고정력이 높은 유연성 체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산업용 기계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유연성 체결 홀더에 있어서, 튜브가 삽입되는 내경홀과 일부 표면이 절개된 관통부와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며,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내경홀에 삽입되어 튜브를 지지하는 유연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링; 상기 몸체의 일부에 원주방향으로 결합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내부의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며,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 및 상기 나사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부는 몸체 표면의 일부를 절개한 다수의 관통구와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의 가압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가 환형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 내면에 상기 가압부가 형성되고, 베이스의 각 끝단에는 그립부와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는 돌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중 하나의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중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가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고, 상기 그립부와 경사부는 상기 돌출부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링은 원통형상을 기본으로 내경에는 튜브와 접촉하는 내경돌출부가 형성되고, 일끝단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내경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복수의 링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고정부는 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절개부, 상기 고정절개부에 몸체와 고정되어 변형 가능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 끝단에 몸체 내경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턱이 상기 고정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부와 고정나사 사이에는 와샤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체결 홀더는 튜브를 고정하는 방식이 몸체와 유연성 고정구만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착탈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고정구는 몸체와 정해진 위치에서만 결합하므로, 오결합에 의한 시공 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적은 부재수만으로 튜브를 높은 고정력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체결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링고정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링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구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압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체결 홀더(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안착되는 고정링(40), 상기 몸체(10) 상단 외부에 결합하는 고정구(60), 상기 몸체(10) 하단에 결합하는 고정나사(80)와 상기 고정나사(80)와 몸체(10) 사이에 위치하는 와샤(8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홀(11)이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플랜지부(12), 다수의 관통구(21)가 형성된 관통부(20), 상기 고정링(40)을 고정하는 링고정부(30), 공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육각부(13), 고정나사(80) 고정을 위한 나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2)는 몸체(10)의 끝단에 형성되며, 직경이 다른 부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내경홀(11)에 삽입되는 튜브(1)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랜지부(12)의 하부에는 관통부(2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20)는 상기 고정부(60)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구(21)가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21)와 관통구(21)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부(12)와 몸체(10)를 연결하는 지지부(22)가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구(21)는 4개가 적절하고, 상기 지지부(22) 역시 4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나의 지지부(22)에는 돌출부(23)가 하단에 위치하는 육각부(13)까지 연장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는 상기 고정구(60)의 결합 각도의 안내와 튜뷰(1)와 분리 시 회전 한계점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관통부(20) 하단에는 링고정부(30)가 2개 형성된다. 상기 링고정부(30)는 상기 몸체(10)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링(40)의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형성되는 고정절개부(31)와 상기 고정절개부(31)에 의하여 절개되 부위에 위치하며, 일단이 몸체(10)에 연장형성되는 고정지지부(32)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32) 끝단에 형성되어 몸체(10) 내경홀(11)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단턱(3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단턱(33)은 몸체(10) 하방향으로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링(40)을 상기 내경홀(11)에 삽입하는 경우 삽입은 용이하나, 분리는 어려운 형태로 상기 몸체(10)에 안착된다.
상기 몸체(10) 내경홀(11)의 끝단에는 안착단(15)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단(14)은 상기 고정링(40)의 일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절개부(31) 상단에 위치하는 하나의 지지부(22) 끝단에는 돌기(35)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35)는 상기 고정구(6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나사부(14)에는 와샤(81)가 삽입되고, 고정나사(80)가 결합한다.
상기 나사부(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에 삽입된 후, 와샤(81)와 대응되는 방향에 고정나사(80)가 결합하여 전체 몸체(1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고정링(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유연성 재질로 구성되며, 내경(41)에는 튜브(1)의 고정을 위한 다수의 내경돌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경(41)과 내경돌출부(42)는 일반적인 동일 직경 형태로도 구성되나, 필요한 경우, 테이퍼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테이퍼 구성은 튜브(1) 삽입 시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끝단은 내경 방향의 내경플랜지(43)가 형성되어 있어, 튜브(1) 끝단의 추가적인 진행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고정구(60)는 일부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절개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61)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61)에는 돌기홀(62)이 형성되어 몸체(10)에 형성된 돌기(35)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의 일끝단에는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립부(63)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그립부(63)의 취부가 편리하도록 경사부(6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61) 내면에는 상기 관통구(21)에 삽입하여 내부에 안착된 튜브(1)를 가압하는 가압부(65)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6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1)와 동일한 재질로 연장형성되며, 일부 변형을 수용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60)가 상기 몸체(10)에 결합하는 경우, 고정구(60)의 폭은 플린지부(12)와 육각부(13) 사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고, 상기 돌기홀(62)이 상기 돌기(35)를 수용하고, 그립부(63)와 경사부(64)가 돌출부(23)의 양측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결합 방식을 고정구(60)의 결합 시 약간의 가압력을 통하여 베이스(61)를 변형시켜 몸체(10)에 결합하고, 분해 시에는 상기 그립부(63)에 하중을 인가하여 역시 고정구(60)를 변형시켜 몸체(1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고정구(60)의 결합 및 분해에 따라 튜브(1) 역시 고정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 튜브(1)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튜브 10: 몸체
11: 내경홀 12: 플랜지부
13: 육각부 14: 나사부
20: 관통부 21: 관통구
22: 지지부 23:돌출부
30: 링고정부 31: 고정절개부
33: 고정단턱 35: 돌기
40: 고정링 41: 내경
42: 내경돌출부 43: 내경플랜지
60: 고정구 61: 베이스
62: 돌기홀 63: 그립부
64: 경사부 65: 가압부
80: 고정나사 81: 와샤
100: 유연성 체결 홀더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산업용 기계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유연성 체결 홀더에 있어서,
    튜브가 삽입되는 내경홀과 일부 표면이 절개된 관통부와 끝단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며,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내경홀에 삽입되어 튜브를 지지하는 유연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링;
    상기 몸체의 일부에 원주방향으로 결합하며,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내부의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며,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정구; 및
    상기 나사부에 결합하여 상기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부는 몸체 표면의 일부를 절개한 다수의 관통구와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의 가압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튜브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구는 평판 형태의 베이스가 환형으로 절곡된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 내면에 상기 가압부가 형성되고, 베이스의 각 끝단에는 그립부와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는 돌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중 하나의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중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가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홀에 삽입되고, 상기 그립부와 경사부는 상기 돌출부의 각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체결 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원통형상을 기본으로 내경에는 튜브와 접촉하는 내경돌출부가 형성되고, 일끝단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내경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체결 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복수의 링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체결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링고정부는 몸체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절개부, 상기 고정절개부에 몸체와 고정되어 변형 가능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 끝단에 몸체 내경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단턱이 상기 고정링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체결 홀더.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와 고정나사 사이에는 와샤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체결 홀더.
KR1020140124660A 2014-09-18 2014-09-18 유연성 체결 홀더 KR10160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60A KR101607320B1 (ko) 2014-09-18 2014-09-18 유연성 체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60A KR101607320B1 (ko) 2014-09-18 2014-09-18 유연성 체결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557A KR20160033557A (ko) 2016-03-28
KR101607320B1 true KR101607320B1 (ko) 2016-03-29

Family

ID=5566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60A KR101607320B1 (ko) 2014-09-18 2014-09-18 유연성 체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7016A1 (en) * 2020-02-05 2021-08-05 Saudi Arabian Oil Company Portable reactor loading station for vibrational loading of pilot plant reactor tub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06Y1 (ko) * 1998-10-13 2002-02-28 광 덕 장 배선용플렉시블튜브접속체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606Y1 (ko) * 1998-10-13 2002-02-28 광 덕 장 배선용플렉시블튜브접속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557A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531B2 (en) Chuck device and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US20140130631A1 (en) Umbilical member guide device at front end part of wrist of industrial robot and industrial robot
US20160161380A1 (en) Jig mounting device for material testing machine
CN105798682A (zh) 后拉式筒夹以及行星架加工设备
JP2009507666A (ja) 2つの部材を取り外し可能に連結させるための装置
KR101607320B1 (ko) 유연성 체결 홀더
CN201632652U (zh) 基于锥面弹性变形的电主轴安装固定结构
US9579756B2 (en) Screwing system
JP6286376B2 (ja) 電子機器の筐体からケーブルを引き出すための器具、および電子機器
KR20060101272A (ko) 콜릿 척
KR20160133949A (ko) 체결력이 강한 고장력 커넥터
JP7049091B2 (ja) 締付け装置
CN102431055A (zh) 切割设备内或有关切割设备的改进
US20170110224A1 (en) Cable fixator
CN107498355B (zh) 一种将夹头附接至拉杆的柔性连接件
JPWO2011158370A1 (ja) エレベータの改修工事用装置
JP2005090681A (ja) クリップ
KR102315120B1 (ko) 원형관 파지 및 회전 장치
WO2017110330A1 (ja) シャフトの連結構造
KR20140052705A (ko) 도관 고정 장치
KR20230028970A (ko) 차량용 체결 장치
CN103801738A (zh) 钻卡头
JP6527439B2 (ja) シール部材の組付方法及びシール部材の組付装置
KR101828947B1 (ko)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스카라 로봇
WO2017221890A1 (ja) 光ファイバの配索方法、光ファイバの配索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の伝送特性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