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206B1 - 전기적 접속체 - Google Patents

전기적 접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206B1
KR101606206B1 KR1020090095125A KR20090095125A KR101606206B1 KR 101606206 B1 KR101606206 B1 KR 101606206B1 KR 1020090095125 A KR1020090095125 A KR 1020090095125A KR 20090095125 A KR20090095125 A KR 20090095125A KR 101606206 B1 KR101606206 B1 KR 101606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or
carrier
contact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258A (ko
Inventor
잇세이 미와
Original Assignee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0004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2Holders for supporting the complete device in operation, i.e. detachable f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보다 제작하기 쉬운 전기적 접속체를 제공한다.
전기적 접속체(10)는, 담체(20)에는 관통 구멍(21)과, 홈부(24)에 의해 마련되고 관통 구멍(21)의 양옆에 세워진 벽부(25)가 형성되고, 접속자(30)에는, 연결부(31)의 일단에 제1 빔(32)이, 연결부의 타단에 제2 빔(35)이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빔(32)측의 양옆에 규제부(36)가 배치되어 있고, 규제부(36)가 벽부(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의 축 회전이 규제되며, 제1 빔(32) 및 제2 빔(35)이 연결부(31)에 대해 굴곡되어 관통 구멍(21)의 개구부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의 접속자(30)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규제부(36)와 벽부(25)에 의해 접속자(30)의 축 회전이 보다 강고하게 규제되고, 관통 구멍(21)에 삽입된 접속자(30)의 빔을 굴곡시킴으로써 접속자(30)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전기적 접속체{ELECTRICAL CONNECTION BODY}
본 발명은, 전기적 접속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적 접속체로서는, 대향하는 전극의 한쪽에 접속되는 제1 접점을 갖는 제1 빔과, 대향하는 전극의 다른쪽에 접속되는 제2 접점을 갖는 제2 빔을 갖는 접속자가 담체를 협지(挾持)하여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기적 접속체에서는, 담체에 단차부를 마련하고, 접속자에 굴곡부를 형성하며, 접속자의 빔을 압박함으로써 접속자의 굴곡부가 담체의 단차부를 협지하여 유지한다. 이 때문에, 간이한 유지 구조이고, 용이하게 접속자의 배치수를 증대시키거나 협피치화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94384호 공보(도 12)
그러나,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기적 접속체에서는, 접속자의 굴곡부가 담체의 단차부를 보다 확실하게 협지시킬 필요가 있고, 단차부나 굴곡부에 대해 높은 가공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대향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및 제2 빔을 압박하여 접속자의 굴곡부가 담체의 단차부를 협지시키는 경우에는, 접속체의 제작 시에, 접속자의 스프링백의 영향에 의해,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는 적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백 회피를 위해, 접속자에 절곡부나 굴곡부 등을 마련하여, 복잡하게 절곡된 형상의 접속자를 이용한 경우 등에는, 담체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보다 제작하기 쉬운 전기적 접속체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는,
2개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대향하는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체로서,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의 근방에 상기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 세워진 벽부를 갖는 담체와,
상기 대향하는 전극의 한쪽에 접속되는 제1 접점을 갖는 제1 빔과, 상기 대 향하는 전극의 다른쪽에 접속되는 제2 접점을 갖는 제2 빔과, 일단에 상기 제1 빔이 배치되고 타단에 상기 제2 빔이 배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며 상기 벽부에 접촉하고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담체의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 각각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접속자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가 상기 벽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속자의 축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 전기적 접속체는, 담체에는 관통 구멍과 세워진 벽부가 형성되고, 접속자에는, 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제1 및 제2 빔이 배치되며, 규제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기적 접속체는, 규제부가 벽부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의 축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규제부와 벽부에 의해 접속자의 축 회전이 보다 강고하게 규제되기 때문에,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연결부에 규제부를 배치하면 좋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이 때, 상기 접속자는, 상기 제1 빔 및 제2 빔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연결부에 대해 굴곡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의 상기 접속자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관통 구멍에 삽입된 접속자의 빔을 굴곡시킴으로써(굴곡력의 분력에 의해 관통 구멍에) 접속자가 접촉 고정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의 치수 정밀도가 보다 완화되고, 보다 간편하게 접속자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벽부가 상기 관통 구 멍의 양옆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자는, 판형체인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양옆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관통 구멍의 양옆으로 규제부가 벽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접속자의 축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양옆」이란, 예컨대 관통 구멍의 좌우 양측으로 하더라도 좋고, 연결부의 좌우 양측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때, 상기 접속자는, 상기 판형체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벽부를 향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규제부가 벽부를 더욱 압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한층 더 확실하게 접속자의 축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규제부의 관통 구멍 방향의 길이가 접속자의 축 회전뿐만 아니라 축 방향의 이동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규제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접속자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빔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측의 상기 제2 빔이 S자형으로 굴곡되며 상기 S자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들어간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예컨대 빔의 스프링백의 영향 등을 보다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빔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연결부가 상기 관통 구멍으로의 삽입 이전에는 대략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관통 구멍에 접속자를 삽입하기가 더 쉬워지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빔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담체는, 상기 제1 빔이 배치되는 쪽의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가 상기 제2 빔이 배치되는 쪽의 개구부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관통 구멍의 개구부의 넓은 측으로부터 좁은 쪽을 향해,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제2 빔을 관통 구멍에 삽입 가능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에 접속자를 삽입하기가 더 쉬워지고,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또한, 좁은 쪽의 개구부에 삽입된 제2 빔을 굴곡하여 이 제2 빔과 개구부가 접촉하기 때문에, 접속자와 담체를 고정하기 쉬워진다. 이 때, 상기 담체는, 상기 관통 구멍이 복수의 단계적으로 개구폭이 형성됨으로써 제1 빔이 배치되는 쪽의 개구부가 제2 빔이 배치되는 쪽의 개구부보다도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상기 담체는, 상기 관통 구멍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빔이 배치되는 쪽의 개구부가 제2 빔이 배치되는 쪽의 개구부보다도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혹은,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담체에 세워진 벽부에 스프링력을 가하여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코일형의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코일형의 규제부에 의한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의 규제부로 함으로써, 접속자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이 때, 상기 접속자는, 상기 제1 빔, 상기 제2 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규제부가 1개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접속자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접속자는, 상기 담체의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직선형의 상기 제1 빔 및 직선형의 상기 제2 빔 각각이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제1 및 제2 빔이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으로의 삽입이나 관통 구멍으로부터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의 제1 접점 및 상기 제2 빔의 제2 접점은 접속하는 전극측을 향해 돌출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접속자와 전극의 접속을 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관통 구멍의 일부에 걸치도록 마련된 홈부의 벽면에 의해 상기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 세워진 벽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벽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관통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각각에 상기 접속자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때, 상기 담체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돌출되는, 복수개 구비되는 접속자의 빔은 서로 상기 담체의 중앙을 지향하여 대향될 수 있다. 또한, 이 접속체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빔은, 땜납 볼과, 상기 땜납 볼을 구비할 수 있는 랜드부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와 상기 담체 사이에는 접착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는, 규제부와 벽부가 접촉함으로써 접속자의 회전을 억제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접착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의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각각 상기 담체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의 빔 각도는 각각 15°이상 5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빔 폭과 빔 길이의 비가 1 이상 18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빔 두께와 빔 폭의 비가 2 이상 40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구리·니켈·주석합금, 구리·니켈·실리콘합금 및 니켈 베릴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를 주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체는, 엘라스토머, 세라믹스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절연성 재료를 주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담체는, 강성체라도 좋고, 탄성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어레이형으로 배열된 상기 전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는, 소켓 또는 인터포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속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도 제공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프로브 카드, 반도체나 칩의 검사 장치를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 기적 접속체는, 프로브 카드, 반도체나 칩의 검사 또는 실장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의 전극 사이를 접속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속체는,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제작하기가 보다 쉽다.
(제1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전기적 접속체(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전기적 접속체(1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전기적 접속체(10)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전기적 접속체(10)가 구비하는 접속자(30)의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체(10)는, 제1 디바이스(12)에 어레이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14)과, 제2 디바이스(16)에 어레이형으로 형성되고 제1 전극(14)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2 전극(18)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기적 접속체(10)는, 제1 디바이스(12)와 제2 디바이스(16) 사이에 배치되는 담체(20)와, 담체(20)에 배치되어 제1 전극과 제2 전극(18)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자(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기적 접속체(10)는, 제1 디바이스(12)와 제2 디바이스(16)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장착되어 이용된다. 검사하는 디바이스로서는, 프로브 카드, 반도체나 칩 등을 들 수 있다.
담체(20)는, 전체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형체이고, 접속자(30)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이 담체(20)는, 예컨대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재료 및 세라믹스 재료 등의 절연성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리콘엘라스토머나, FR4 등의 유리섬유함유에폭시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외에, 알루미나나 지르코니아 등 각종 세라믹스를 들 수 있다. 이 담체(20)는 강성체이어도 좋고, 탄성체이어도 좋지만, 강성체인 편이 디바이스의 접속성이나, 담체(20)의 평탄성이나 치수 정밀도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담체(20)에는, 행 및 열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21)과, 담체(20)의 상면측의 관통 구멍(21)의 일부에 걸치도록 관통 구멍(21)의 각 열마다 마련된 홈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1)은, 담체(20)를 좌우로 2분할하는 중앙부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1)은, 후술하는 접속자(30)의 규제부(36)가 형성되어 있는 쪽[도 1에 있어서의 담체(20)의 상면측]의 제1 개구부(22)가, 규제부(3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도 1에 있어서의 담체(20)의 하면측]의 제2 개구부(23)에 비해 그 개구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관통 구멍(21)은, 2단계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1 개구부(22)가 제2 개구부(23)에 비해 그 개구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개의 접속자(30)에 대해 개별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컨대 일렬로 정렬되는 복수개의 접속자(30)를 일괄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슬릿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홈 부(24)는, 각 열마다의 관통 구멍(21)의 상면측을 연통하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24)는, 접속자(30)의 제1 빔(32)이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24)가 관통 구멍(21)의 일부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24)의 관통 구멍(21)측의 벽부(25)는,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으로, 관통 구멍(21)의 양옆, 즉 관통 구멍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도 3 참조).
접속자(30)는, 캔틸레버형의 대략 C자형으로 굴곡한 형상을 갖는 도전성의 판형체이고, 각 디바이스간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접속자(30)는,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구리·니켈·주석합금, 구리·니켈·실리콘합금 니켈베릴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를 주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 도전성과 내구성의 관점에서 베릴륨구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재료의 표면은, 니켈 등의 하지 도금 등을 실시한 후 금 도금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 접속자(30)는, 평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거나 혹은 에칭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고(도 4의 위쪽의 도면 참조), 그 후 목적으로 하는 형상으로 절곡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도 4의 아래쪽의 도면 참조). 이 접속자(30)로서, 판 두께가 스프링 두께에 대응하는 평판형 캔틸레버나 판 폭이 스프링 두께에 대응하는 평판형 캔틸레버가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판 두께가 스프링 두께에 대응하는 평판형 캔틸레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평판형 캔틸레버에 의하면, 충분한 단면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도체 저항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접속자(30)로는, 판 두께가 0.01 ㎜ 이상 0.0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판 두께가 스프링 두께에 대응할 때, 적절한 탄성 내지 가요성을 얻을 수 있고, 스프링 폭과의 관계에서 양호한 도전성을 얻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 판 두께는 0.02 ㎜ 이상 0.06 ㎜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접속자(30)에는, 제1 접점(32a)을 갖는 제1 빔(32)과, 제2 접점(35a)을 갖는 제2 빔(35)과, 제1 빔(32)을 일단측에 제2 빔(35)을 타단측에 배치하고 관통 구멍(21)에 삽입되는 연결부(31)와, 연결부(31)의 제1 빔(32)측에서 양옆에 배치된 규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자(30)의 빔은, 서로 담체(20)의 중앙을 지향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이 제1 빔(32) 및 제2 빔(35)은 접속자(30)의 중앙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빔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 폭이 좁아짐으로써 접속자(30)의 표면 응력을 빔의 길이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하면서 큰 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제1 빔(32) 및 제2 빔(35)은, 각각의 빔 각도가 15°이상 5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빔 각도가 15°이상이면, 빔이 넘어지는 방향으로의 빔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인접하는 빔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여 필요한 변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빔 각도가 50°이하이면, 전극과 접촉하여 빔에 변위가 생겼을 때 하중 중의 수직 성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접점이 전극과 접촉하여 미끄러질 때의 마찰에 의해 과도한 힘이 걸리는 것을 억제하여 빔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50°이하이면, 동일한 변위량에 대한 접점의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피치가 작은 경우라도 접점을 전극에 확실하게 접촉 시켜 둘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빔 각도는 30°이상 40°이하이다. 또한, 빔 폭과 빔 길이의 비(빔 길이/빔 폭)가 1 이상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1 이상이면, 빔 형상을 사각형 형상으로 대략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굽힘 가공 시에 있어도 치수 정밀도를 확보하기 쉽고, 또한 18 이하이면 판 두께가 스프링 두께에 대응하는 평판형 캔틸레버가 세로로 길게 되는 것을 억제하여 도체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2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8 이하이다. 또한, 빔 길이는, 빔이 담체(20)의 표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빔 두께와 빔 폭의 비(빔 폭/빔 두께)가 2 이상 40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 비가 2 이상이면, 단면적의 증대에 의한 도체 저항의 저하의 우위성을 얻기 쉽고, 또한 40 이하이면, 빔 폭을 핸들링 가능한 판 두께에 대해 허용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으며, 접속자(30)의 고정화 피치를 일정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빔 두께와 빔 폭의 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2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 15 이하이다. 또한, 빔 폭은, 0.15 ㎜ 이상 0.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상기한 판 두께와의 관계에 있어서 양호한 도전성을 얻을 수 있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 이상 0.50 ㎜ 이하이다. 빔 길이는, 관통 구멍(21)의 형성 피치를 초과하게 형성할 수 있고, 관통 구멍(21)의 피치에도 의존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21)의 형성 피치에 대해 12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이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36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20)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21)의 형성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2.54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이상 1.6 ㎜ 이하이다. 또한, 제1 접점(32a) 및 제2 접점(35a)은, 접속하는 전극측을 향해 돌출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접속자(30)와 전극의 접속을 행하기 쉬워진다.
연결부(31)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빔(32)의 부분은, 굴곡한 절곡부(33)로 되어 있다. 이 절곡부(33)는, 제1 개구부(22)(개구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접속자(30)가 관통 구멍(21)의 하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연결부(31)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빔(35)의 부분은, 그 단면이 S자형 형상으로 굴곡한 S자부(34)로 되어 있다. 이 S자부(34)는, 적어도 그 일부가 제2 개구부(23)로부터 관통 구멍(21)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이 제2 빔(35)의 S자부(34)는, 제2 개구부(23)(개구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가 관통 구멍(21)의 위쪽으로 이동해버리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규제부(36)는, 연결부(31)의 양옆, 즉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가요성이 있는 판형체이고, 연결부(31)로부터 홈부(24)의 벽부(25)를 향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부(31)를 벽부(2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부재이다. 이 규제부(36)는, 그 가요성에 의해 스프링의 특징을 갖고, 관통 구멍(21)의 양옆에 형성된 벽부(25)에 접촉하여 이것을 압박함으로써, 평판형의 연결부(31)를 벽부(25)의 형성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고정하며, 접속자(30)가 축 방향으로 회전해 버리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 접속자(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31)와 제1 빔(32)과 제2 빔(35)과 규제부(36)를 일체로 성형하고, 각 부재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36)는, 벽부(25)와 접촉하여 접속자(30)를 고정하는 것으로 하면 좋고, 가요성을 갖지 않고 스프링의 기능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전기적 접속체(10)의 제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접속자(30)를 담체(20)에 조립하여 전기적 접속체(10)를 제작하는 각 공정의 설명도이다. 이 전기적 접속체(10)에서는, 우선 도 4의 위쪽의 도면에 도시하는 형상의 평판을 가공하고, 이 평판을 절곡 가공하여 도 4의 아래쪽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접속자(30)를 제작한다. 이 담체(20)에 조립하기 전의 접속자(30)는, 하단측의 선단에는 완만한 커브를 그리는 제2 접점(35a)이 형성되고, 연결부(31)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빔(35)의 부분에는 U자형으로 굴곡한 절곡부(35b)가 형성되어 있지만, 연결부(31)와 제2 빔(35)은 전체적으로는 대략 평판형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담체(20)에 관통 구멍(21)을 천공하고, 홈부(24)를 형성한다. 여기서는, 관통 구멍을 천공한 후, 천공한 관통 구멍보다도 외경이 큰 구멍을 담체(20)를 관통하지 않는 중간 위치까지 형성시킨다. 이렇게 해서, 제2 개구부(23)보다도 개구 직경이 큰 제1 개구부(22)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결부(31)가 관통 구멍(21)에 삽입되었을 때에 규제부(36)가 벽부(25)를 압박 가능한 위치에, 홈부(24)를 형성한다. 이 때, 접속자(30)의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의 위치 정밀도가 접속자(30)의 절곡부(33)나 S자부(34)로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홈부(24)의 깊이 방향의 가공 정밀도는, 비교적 낮더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형성한 접속자(30)를 담 체(20)에 삽입한다(도 5의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도면 참조). 이 때, 규제부(3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빔(35)의 선단을 개구 직경이 큰 제1 개구부(22)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연결부(31)가 관통 구멍(21)에 배치되고, 규제부(36)가 벽부(25)에 접촉한다 (도 5의 좌측 두 번째의 도면). 접속자(30)를 고정 위치에 삽입하면, 제2 빔(35)을 절곡한다(도 5의 좌측 세 번째의 도면). 이 때, 절곡부(35b)에 의해 형성되는 S자부(34)가 관통 구멍(21)의 내부에 들어간다. 또한, S자부(34)의 단부가 제2 개구부(23)에 접촉한다. 다음으로, 제1 빔(32)을 절곡하여, 절곡부(33)의 단부가 제1 개구부(22)에 접촉한다. 이 때, 규제부(36)가 벽부(25)를 압박하고, 연결부(31)가 벽부(2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향된다(도 5의 좌측 네 번째의 도면). 이렇게 해서, 규제부(36)가 벽부(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의 축 회전을 규제하고, 제1 빔(32) 및 제2 빔(35)이 연결부(31)에 대해 굴곡되어 관통 구멍(21)의 제1 개구부(22) 및 제2 개구부(23)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의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접속자(30)가 담체(20)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체(10)에 따르면, 담체(20)에는 관통 구멍(21)과, 홈부(24)에 의해 마련되고 관통 구멍(21)의 양옆에 세워진 벽부(25)가 형성되며, 접속자(30)에는, 연결부(31)의 일단에 제1 빔(32)이, 연결부의 타단에 제2 빔(35)이 배치되고, 제1 빔(32)측의 양옆에 규제부(36)가 배치되어 있으며, 규제부(36)가 벽부(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의 축 회전이 규제되고, 제1 빔(32) 및 제2 빔(35)이 연속부(31)에 대해 굴곡되어 관통 구멍(21)의 개구부에 각 각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의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규제부(36)와 벽부(25)에 의해 접속자(30)의 축 회전이 보다 강고하게 규제된다. 또한, 관통 구멍(21)에 삽입된 접속자(30)의 빔을 굴곡시킴으로써 접속자(30)가 고정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의 치수 정밀도가 보다 완화되고, 빔을 굴곡시킨다고 하는 가공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접속자(3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자(30)와 담체(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체(10)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또한, 홈부(24)를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 세워진 벽부(25)를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벽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21)의 일부에 걸치도록 홈부(24)를 형성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21)의 양옆에 벽부(25)를 형성하기 쉽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또한, 관통 구멍(21)의 양옆에서 규제부(36)가 벽부(25)에 접촉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접속자(30)의 축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규제부(36)가 연결부(31)로부터 벽부(25)를 향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36)가 보다 벽부(25)를 압박하기 쉽고, 한층 더 확실하게 접속자(30)의 축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측의 제2 빔(35)이 S자형 형상으로 굴곡된 S자부(34)이고, 이 S자부(34)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 구멍(21)의 내부에 들어간 상태로 제2 개구부(23)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빔의 스프링백의 영향 등을 보다 억제 가능하고, 접속자와 담체와의 고정을 한층 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빔(35)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22)는 제2 개구부(23)보다도 개구 직경이 크 기 때문에, 관통 구멍(21)에 접속자(30)를 삽입하기가 더 쉽고, 전기적 접속체(10)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또한, 개구 직경이 작은 제2 개구부(23)에 삽입된 제2 빔(35)이 굴곡되어 이 제2 빔(35)과 제2 개구부(23)가 접촉하기 때문에, 접속자(30)와 담체(20)를 고정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또한, 복수의 단계적으로 관통 구멍(21)의 개구 직경이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 직경이 상이한 관통 구멍을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접속자(30)는, 비교적 간이한 절곡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비교적 간이한 절곡에 의해 담체(20)에 고정 가능하기 때문에, 스프링백을 저감하는 잘록한 부분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접속자의 가공이 보다 간이하고, 접속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접속자(30)는, 절곡부(33) 및 S자부(34)에 의해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때문에, 벽부(25)의 깊이 방향에 대해 접속자(30)나 담체(20)의 가공 정밀도를 더 요구하지 않고, 제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연결부(31)와 제1 빔(32)과 제2 빔(35)과 규제부(36)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자(30)를 제작하기 쉬워진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절곡부(35b)를 마련하고 S자부(34)를 형성하여 접속자(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컨대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부(35b)를 마련하지 않고, S자부(34)의 형성을 생략하며, 굴곡부(134)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접속자(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인 전기적 접속체(1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전기적 접속체(110)가 구비하는 접속자(130)의 설명도이며, 도 8은 접속자(130) 를 담체(120)에 조립하여 전기적 접속체(110)를 제작하는 각 공정의 설명도이다. 또한, 이하에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는, 개구 직경이 변하지 않는 관통 구멍(1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개구 직경이 상이한 관통 구멍(21)을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개구 직경이 동일한 관통 구멍(21)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접속체(110)는, 담체(20)와, S자형 형상이 아닌 굴곡부(134)를 갖는 접속자(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기적 접속체(110)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규제부(136)가 벽부(125)에 접촉하여 접속자(130)가 축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굴곡부(134)와 제2 개구부(123)가 접촉하여 접속자(130)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규제부(136)가 홈부(124)의 저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절곡부(133)가 제1 개구부(122)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130)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 전기적 접속체(1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전기적 접속체(110)에서는, 우선 도 7의 위쪽의 도면에 도시하는 형상의 평판을 가공하고, 이 평판을 절곡 가공하여 도 7의 아래쪽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접속자(130)를 제작한다. 담체(120)에 조립하기 전의 접속자(130)는, 상단측의 선단에는 완만한 커브를 그리는 제1 접점(132a)이 형성되고, 하단측의 선단에는 완만한 커브를 그리는 제2 접점(135a)이 형성되어 있지만, 연결부(131)와 제2 빔(135)은 대략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담체(20)에는, 관통 구멍(121)의 제1 개구부(122)의 일부에 걸치도록 홈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접속자(130)의 관 통 구멍(121)의 형성 방향의 위치 정밀도는 접속자(130)의 굴곡부(134) 등으로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홈부(124)의 깊이 방향의 가공 정밀도는 비교적 낮더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형성한 접속자(130)를 담체(120)에 삽입하고(도 8의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의 도면 참조), 연결부(31)를 관통 구멍(121) 내부에 배치하며, 규제부(136)를 벽부(125)에 접촉시킨다(도 8의 좌측 두 번째의 도면). 접속자(130)를 고정 위치에 삽입하면, 제2 빔(135)을 절곡한다(도 8의 좌측 세 번째의 도면). 이 때, 굴곡부(134)의 단부가 제2 개구부(123)에 접촉한다. 다음으로, 제1 빔(132)을 절곡하면, 규제부(136)의 하단부가 홈부(124)의 저면에 접촉한다. 이 때, 규제부(136)가 벽부(125)를 압박하고, 연결부(131)가 벽부(12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향된다(도 8의 좌측 네 번째의 도면). 이렇게 해서, 규제부(136)가 벽부(1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130)의 축 회전을 규제하고, 규제부(136)가 홈부(124)의 저면에 접촉하며, 제2 빔(135)이 연결부(131)에 대해 굴곡되어 관통 구멍(121)의 제2 개구부(123)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130)의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접속자(130)가 담체(120)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접속자(130)와 담체(1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체(110)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자(130)는, 제2 빔(135)과 연결부(131)가 관통 구멍(121)에의 삽입 이전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121)에 접속자(130)를 보다 삽입하기 쉽고,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쉽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21)이 2단계의 직경으로 형성 되는 것에 의해, 제1 개구부(22)가 제2 개구부(23)에 비해 그 개구 직경이 크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제1 개구부(22)가 제2 개구부(23)와 상이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면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3단계 이상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으며, 관통 구멍(21)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빔(32)과 제2 빔(35)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자(30)를 갖는 전기적 접속체(10)로 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빔(232)과 제2 빔(235)이 상이한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자(230)를 갖는 전기적 접속체(210)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더라도, 규제부(136)와 벽부(125)가 접촉하여 접속자(230)의 회전을 억제하고, 제2 빔(235)과 제2 개구부(123)가 접촉하여 접속자(230)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하며, 접속자(230)와 담체(1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체(210)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36)가 연결부(31)에 대해 제1 빔(32)이 절곡되는 방향으로 벽부(25)를 향해 경사져 배치되고, 제1 빔(32)은, 이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자(30)로 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36)의 경사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빔(332)이 절곡부(333)에서 절곡된 접속자(330)로 하더라도 좋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담체(320) 및 접속자(330)의 설명도이다. 이렇게 하더라도, 접속자(330)와 담체(3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 하기가 더 쉬워진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홈부(24)를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으로 벽부(25)를 세워두는 담체(20)로 했지만,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 벽부를 세워두는 것으로 하면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1)의 일부에 걸치는 부분을 솟아오른 볼록부로 형성함으로써, 벽부(25)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더라도, 벽부(25)와 규제부(36)가 접촉하기 때문에, 접속자(330)가 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빔(32)이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홈부(24)를 마련하고, 이 홈부(24)의 벽부(25)에 접촉하도록 규제부(36)를 배치한 전기적 접속체(10)로 했지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기적 접속체(410)로 하더라도 좋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기적 접속체(510)로 하더라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전기적 접속체(410)는, 관통 구멍(21)의 일부에 걸치면서 관통 구멍(2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홈부(424)를 제1 빔(32)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한 담체(420)와, 연결부(431)의 양옆으로부터 홈부(424)의 형성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이 홈부(424)에 의해 세워진 벽부(425, 425)에 각각 접촉하는 규제부(436)를 배치한 접속자(4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자(430)는, 연결부(431)의 좌우 양측에 규제부(436)가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해 마련된다. 이렇게 하더라도, 규제부(436)가 벽부(4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430)의 축 회전이 규제되고, 접속자(430)와 담체(4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전기적 접속체(410)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혹은, 도 12에 도시하는 전기적 접속체(510)는, 관통 구멍(21)의 일부에 걸치면서 관통 구멍(21)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홈부(524)를 제1 빔(32)이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한 담체(520)와, 연결부(531)의 양옆으로부터 홈부(524)의 형성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이 홈부(524)에 의해 세워진 벽부(525, 525)에 각각 접촉하는 규제부(536)를 배치한 접속자(5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자(530)는, 연결부(531)의 좌우 양측에 규제부(536)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마련된다. 이렇게 하더라도, 규제부(536)가 벽부(5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530)의 축 회전이 규제되고, 접속자(530)와 담체(5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전기적 접속체(510)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1), 제1 빔(32), 제2 빔(35) 및 규제부(36)가 일체 성형된 접속자(30)로 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부재를 접합한 것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이 때, 제1 빔(32)이나 제2 빔(35)을 별도의 부재로 하더라도 좋고, 규제부(36)를 별도의 부재로 하더라도 좋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1)로부터 홈부(24)의 벽부(25)를 향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규제부(36)로 했지만, 벽부(25)와 접촉하여 접속자(30)를 고정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이며 경사져 있지 않는 규제부로 하더라도 좋고, 벽부(25)로부터 연결부(31)를 향해 경사하고 배치되어 있는 규제부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연결부(31)로부터 홈부(24)의 벽부(25)를 향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편이, 접속자(30)의 고정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또한, 규제 부(36)는 평판형으로 했지만, 다른 형상, 예컨대 막대 형상이더라도 좋다. 또한, 규제부(36)는 연결부(31)의 양옆(좌우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31)의 양옆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규제부(36)의 형성수는 하나의 접속자(30) 당 2개로 했지만, 1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상관없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격자형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21)의 이 격자의 변을 따라 홈부(24)를 마련한 담체(20)로 했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1)의 격자의 변을 따르지 않게 홈부(24B)를 마련한 담체(20B)를 구비한 전기적 접속체(10B)로 하더라도 좋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체(1 0B)의 설명도이다. 전기적 접속체(10B)에서는, 관통 구멍(21)의 격자의 대각선을 따라 홈부(24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전기적 접속체(10B)는, 홈부(24B)의 벽부(2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속자(30)의 제1 빔(32) 및 제2 빔(35)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각 접속자(30)의 빔이 겹쳐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접속자(30)의 파손 시 등에 교환하기가 더 쉽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빔(32) 및 제2 빔(35) 중 적어도 한쪽이 연결부(31)에 대해 굴곡되어 관통 구멍(21)의 개구부에 접촉함으로써,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접속자(30)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빔(32)이나 제2 빔(35)이 관통 구멍(21)의 개구부에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더라도, 규제부(36)가 벽부(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 때, 규제부(36)가 벽 부(25)를 압박함으로써,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으로의 접속자(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1 빔(32)이나 제2 빔(35)이 관통 구멍(21)의 개구부에 접촉하는 것으로 하는 편이, 접속자(30)의 이동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완만한 커브를 그리는 제1 접점(32a) 및 제2 접점(35a)에 의해 제1 디바이스(12) 및 제2 디바이스(16)와 접속하는 것으로 했지만, 제1 빔(32) 및 제2 빔(35) 중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어느 한쪽의 접점으로서, 땜납 볼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땜납 볼을 접점으로서 구비할 때에는, 땜납 볼을 고정화하기 위한 랜드부를 제1 또는 제2 빔의 선단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드부를 구비하는 경우, 랜드부를 구비하는 빔은 반드시 원래의 빔과 동일한 길이일 필요는 없고, 랜드부가 굴곡부(빔의 기초부)에 인접하고 있더라도 좋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접속자(30)와 담체(20) 사이에는 접착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체(10)는, 규제부(36)와 벽부(25)가 접촉함으로써 접속자(30)의 회전을 억제 가능하기 때문에, 이 접착층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2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전기적 접속체(6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는, 전기적 접속체(610)의 평면도와, 접속자(630)의 설명도를 도시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기적 접속체(610)는, 도 14,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담체(20)와 접속자(6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자(630)는, 대향하는 전극의 한쪽에 접속되는 제1 접점(632a)을 갖는 제1 빔(632)과, 대향하는 전극의 다른쪽에 접속되는 제2 접점(635a)을 갖는 제2 빔(635)과, 제1 빔(632)과 제2 빔(635)이 배치된 연결부(631)와, 담체(20)의 벽부(25, 25)에 접촉하여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636)를 갖고 있다. 이 전기적 접속체(610)에서는, 담체(20)의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제1 빔(632) 및 제2 빔(635) 각각이 돌출된 상태로 관통 구멍(21)에 연결부(635)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접속자(630)는, 담체(20)의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직선형의 제1 빔(632) 및 직선형의 제2 빔(635) 각각이 돌출되고 있고, 각각의 선단이 제1 접점(632a) 및 제2 접점(635a)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접속자(630)는, 제1 빔(632), 제2 빔(635), 연결부(631) 및 규제부(636)가 1개의 선재를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빔(632)과 제2 빔(635)은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체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631)는 제1 빔(632)과 제2 빔(635)을 접속하고 있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접속자(630)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도전성이 높은 재질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도전성 재료를 주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자(630)를 형성하는 선재의 직경은, 0.015 ㎜ 이상 0.3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8 ㎜ 이상 0.2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선재의 직경이 0.08 ㎜ 이상이면 형상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0.2 ㎜ 이하이면 접속자(630)의 배치 간격을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자(630)는, 제2 빔(635)으로부터의 권취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빔(6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자(630)는, 규제부(636)의 코일의 일단측에서 아래쪽을 향해 제2 빔(635)이 형성되고, 일단측과 대각으로 위치하는 타단측에서 위쪽을 향해 제1 빔(632)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636)는, 담체(20)에 세워진 벽부(25, 25)에 스프링력을 가하는 코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자(630)는, 홈부(2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1개의 선재를 권취하여 코일형의 규제부(636)를 형성하며, 일단측을 제1 빔(632)으로 하고, 타단측을 제2 빔(635)으로 하여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부(636)가 벽부(25, 25)에 접촉함으로써 접속자(630)의 축 회전을 규제하고, 접속자(630)의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의 이동도 규제하고 있다. 이 규제부(636)의 코일의 권취수는, 접속자(630)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스프링력을 갖는 것과 같은 수이면 좋고, 예컨대 2회 이상 6회 이하로 하더라도 좋다. 이 코일의 권취수는, 홈부(24)의 폭과 접속자(630)를 형성하는 선재의 직경에 따라, 코일이 홈부(24)에 삽입될 수 있는 수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홈부(24)의 폭은, 접속자(630)의 배치 간격이나 가공 정밀도 등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또한, 규제부(636)의 코일의 직경(R)은, 예컨대 홈부(24)의 홈 깊이(L) 이하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홈 깊이(L)의 2/3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접속자(63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기적 접속체(610)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2)와 제2 디바이스(16)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빔(632)측이 제1 디바이 스(12)와 접속하며, 제2 빔(635)측이 제2 디바이스(16)와 접속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12)의 제1 전극(14)과 제2 디바이스(16)의 제2 전극(18)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기적 접속체(610)로는, 제1 디바이스(12)와 제2 디바이스(16)를 구속하면, 제1 빔(632) 및 제2 빔(635)이 휘어지면서, 제1 접점(632a)과 제1 전극(1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접점(635a)과 제2 전극(1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 설명한 전기적 접속체(610)에서는, 규제부(636)의 코일이 그 스프링력에 의해 벽부(25, 25)를 압박하고, 접속자(630)의 축 회전이 보다 강고하게 규제되며, 접속자(630)의 관통 구멍(21)의 형성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된다. 또한, 코일형의 규제부(636)에 의해 접속자(630)가 고정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의 치수 정밀도가 보다 완화되고, 코일의 권취 가공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접속자(63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형의 규제부(636)에 의한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접속자(630)와 담체(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의 규제부(636)로 함으로써, 선재의 권취 가공에 의해 접속자(630)를 제작 가능하다. 따라서, 접속자(630)와 담체(20)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체(610)를 제작하기가 더 쉬워진다. 또한, 접속자(630)는, 제1 빔(632), 제2 빔(635), 연결부(631) 및 규제부(636)가 1개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자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쉬워진다. 또한, 접속자(30)의 제작 시에, 여분의 재료의 배출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빔(632) 및 제2 빔(635)이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21)으로의 삽입이나 관통 구멍으로부터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다. 이 때문에, 예컨대 파손 시의 접속자(630)의 개별적 인 교환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접속자(631)는, 비교적 간이한 권취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비교적 간이한 스프링력에 의해 담체(20)에 고정 가능하기 때문에, 스프링백을 저감하는 잘록한 부분 등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고, 접속자의 가공이 보다 간이하며, 접속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속자(630)는, 도전성 향상 등을 위해 도금 가공을 하는 경우가 있지만, 선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금 가공도 하기 쉽다. 그리고 또한, 홈부(24)를 형성함으로써,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 세워진 벽부(25)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벽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21)의 일부에 걸치도록 홈부(24)를 형성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21)의 근방에 벽부(25)를 형성하기 쉽다. 따라서, 전기적 접속체를 제작하기가 한층 더 쉽다.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2 빔(635)으로부터의 권취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1 빔(6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빔(735)으로부터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 빔(732)이 형성되어 있는 규제부(736)를 구비한 접속자(730)로 하더라도 좋다. 도 16은 전기적 접속체(7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렇게 하면,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보다 제작하기 쉬운 전기적 접속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담체(20)의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직선형의 제1 빔(632) 및 직선형의 제2 빔(635) 각각이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빔(832)의 제1 접점(832a) 및 제2 빔(835)의 제2 접점(835a)이, 접속하는 전극측을 향해 돌출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 더라도 좋다. 도 17은 접속자(830)의 설명도이다. 이렇게 하면, 접속자와 전극의 접속 상태를 안정화하기 용이하고, 전극에 지나친 힘이 작용했다고 하더라도 전극에 가하는 손상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자(630)는 1개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선재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선재와 평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1 빔(632)이나 제2 빔(635)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코일형의 규제부(636)를 구비한 캔틸레버형의 대략 C자형으로 굴곡한 형상을 갖는 접속자로 하더라도 좋다.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코일형의 규제부(636)의 스프링력에 의해 접속자(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했지만,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판 스프링 형상의 규제부의 스프링력에 의해 접속자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더라도, 접속자와 담체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보다 제작하기 쉬운 전기적 접속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체는, 제1 디바이스(12)와 제2 디바이스(16)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것으로 했지만,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면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제2 실시형태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전기적 접속체(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전기적 접속체(10)의 평면도.
도 3은 전기적 접속체(10)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
도 4는 전기적 접속체(10)가 구비하는 접속자(30)의 설명도.
도 5는 접속자(30)를 담체(20)에 조립하여 전기적 접속체(10)를 제작하는 각 공정의 설명도.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인 전기적 접속체(1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전기적 접속체(110)가 구비하는 접속자(130)의 설명도.
도 8은 접속자(130)를 담체(120)에 조립하여 전기적 접속체(110)를 제작하는 각 공정의 설명도.
도 9는 전기적 접속체(2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담체(320) 및 접속자(330)의 설명도.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체(410)의 설명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체(510)의 설명도.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전기적 접속체(10B)의 설명도.
도 14는 전기적 접속체(6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전기적 접속체(6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전기적 접속체(710)의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접속자(830)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210, 410, 510, 610, 710: 전기적 접속체
12: 제1 디바이스
14: 제1 전극
16: 제2 디바이스
18: 제2 전극
20, 20B, 120, 320, 420, 520: 담체
21, 121: 관통 구멍
22, 122: 제1 개구부
23, 123: 제2 개구부
24, 24B, 124, 424, 524: 홈부
25, 125, 425, 525: 벽부
30, 130, 230, 330, 430, 530, 630, 730, 830: 접속자
31, 131, 431, 531, 631, 731: 연결부
32, 132, 232, 332, 632, 732: 제1 빔
32a, 632a, 732a, 832a: 제1 접점
33, 133, 333: 절곡부
34: S자부
35, 135, 235, 635, 735: 제2 빔
35a, 135a, 635a, 735a, 835a: 제2 접점
35b: 절곡부
36, 136, 436, 536, 636, 736: 규제부
134: 굴곡부

Claims (13)

  1. 2개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대향하는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체로서,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의 근방에 상기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 세워진 벽부를 갖는 담체와,
    상기 대향하는 전극의 한쪽에 접속되는 제1 접점을 갖는 제1 빔과, 상기 대향하는 전극의 다른쪽에 접속되는 제2 접점을 갖는 제2 빔과, 일단에 상기 제1 빔이 배치되고 타단에 상기 제2 빔이 배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벽부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담체의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 각각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접속자
    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가 상기 벽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속자의 축 회전을 규제하며,
    상기 접속자는, 상기 제1 빔 및 제2 빔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연결부에 대해 굴곡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의 형성 방향으로의 상기 접속자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벽부가 상기 관통 구멍의 양옆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자는, 판형체인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양옆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판형체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벽부를 향해 경사져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빔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측의 상기 제2 빔이 S자형 형상으로 굴곡되며 상기 S자형 형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구멍 내에 들어간 상태로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빔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빔과 상기 연결부가 상기 관통 구멍으로의 삽입 이전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빔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담체는, 상기 제1 빔이 배치되는 쪽의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부가 상기 제2 빔이 배치되는 쪽의 개구부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담체에 세워진 벽부에 스프링력을 가하여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코일형의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제1 빔, 상기 제2 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규제부가 1개의 선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는, 상기 담체의 서로 다른 면으로부터 직선형의 상기 제1 빔 및 직선형의 상기 제2 빔 각각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11. 제1항, 제3항, 제4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의 제1 접점 및 상기 제2 빔의 제2 접점은 접속하는 전극측을 향해 돌출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12. 제1항, 제3항, 제4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관통 구멍의 일부에 걸치도록 마련된 홈부의 벽면에 의해 상기 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13. 제1항, 제3항, 제4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상기 관통 구멍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각각에 상기 접속자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체.
KR1020090095125A 2008-10-09 2009-10-07 전기적 접속체 KR101606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2493 2008-10-09
JP2008262493 2008-10-09
JP2009197371A JP5261325B2 (ja) 2008-10-09 2009-08-27 電気的接続体
JPJP-P-2009-197371 200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258A KR20100040258A (ko) 2010-04-19
KR101606206B1 true KR101606206B1 (ko) 2016-03-24

Family

ID=4209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125A KR101606206B1 (ko) 2008-10-09 2009-10-07 전기적 접속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87286B2 (ko)
JP (1) JP5261325B2 (ko)
KR (1) KR101606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7286B1 (en) * 2008-03-18 2011-08-30 Metrospec Technology, Llc Circuit boards interconnected by overlapping plated through holes portions
US8851356B1 (en) 2008-02-14 2014-10-07 Metrospec Technology, L.L.C. Flexible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and methods
US10334735B2 (en) 2008-02-14 2019-06-25 Metrospec Technology, L.L.C. LED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US11266014B2 (en) 2008-02-14 2022-03-01 Metrospec Technology, L.L.C. LED lighting systems and method
KR101437092B1 (ko) * 2013-09-30 2014-09-03 주식회사 엔티에스 반도체 칩 검사장치
JP6513480B2 (ja) * 2015-05-22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77563B2 (ja) * 2017-09-27 2022-05-31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CN108306138A (zh) * 2018-01-09 2018-07-2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WO2020032220A1 (ja) * 2018-08-10 2021-08-12 ニッタ株式会社 Icタグ
US10849200B2 (en) 2018-09-28 2020-11-24 Metrospec Technology, L.L.C. Solid state lighting circuit with current bia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US20240008208A1 (en) * 2022-06-29 2024-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andoff And Support Structures for Reliable Land Grid Array and Hybrid Land Grid Array Interconnec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184A (en) 1994-03-08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apparatus and method
JP2007294384A (ja) 2006-03-28 2007-11-08 Ngk Insulators Ltd 電気的接続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32521A1 (en) 2006-07-21 2008-02-07 Fujikura Ltd. Ic socket and ic package mou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7342B1 (en) * 1997-10-30 2001-04-17 Intercon Systems, Inc. Interposer assembly
US6921270B2 (en) * 2003-06-11 2005-07-26 Cinch Connectors, Inc.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184A (en) 1994-03-08 1998-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apparatus and method
JP2007294384A (ja) 2006-03-28 2007-11-08 Ngk Insulators Ltd 電気的接続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32521A1 (en) 2006-07-21 2008-02-07 Fujikura Ltd. Ic socket and ic package mou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14067A (ja) 2010-05-20
US20100093190A1 (en) 2010-04-15
US8287286B2 (en) 2012-10-16
KR20100040258A (ko) 2010-04-19
JP5261325B2 (ja)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206B1 (ko) 전기적 접속체
US987132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stack height
US6517360B1 (en) High speed pressure mount connector
US7393214B2 (en)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onnector
KR101003027B1 (ko) 암 커넥터, 그에 끼워 맞춰지는 수 커넥터, 이들이 끼워 맞춰져 이루어진 전기 접속구조, 이들을 이용한 전기·전자 부품 및, 반도체 패키지 소켓 또는 반도체 검사용 소켓
KR101030804B1 (ko) 인터페이스와 그 제조방법, 그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테스트 소켓, 및 그 테스트 소켓을 포함한 테스트 장치
US7448877B1 (en) High density flexible socket interconnect system
WO2009025971A1 (en) Miniature electrical ball and tube socket with self-capturing multiple-contact-point coupling
JP2022141762A (ja) 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及びスプリングコンタクト内蔵型テストソケット
JP2008226841A (ja) 電気相互接続構造
KR20200091840A (ko) 커넥터
US7503769B2 (en) Connector and pushing jig
US817261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module
US9048565B2 (en) Adapter apparatus with deflectable element socket contacts
KR102519610B1 (ko) 전기적 접속 구조
JPH10512389A (ja) プリント回路板用コネクタ
US9877404B1 (en) Adapter apparatus with socket contacts held in openings by holding structures
KR100781395B1 (ko) 프로브빔 조립체
JP2007294384A (ja) 電気的接続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293448B (zh) 压接结构的一体型弹簧针
TW200832836A (en) Electrical connecting body
KR20210132709A (ko)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 장치
US6270366B1 (en) Adaptable high integrated electric interconnecting system
JP2010098082A (ja) 基板間の接続構造
KR200432399Y1 (ko) 프로브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