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203B1 -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203B1
KR101606203B1 KR1020150112704A KR20150112704A KR101606203B1 KR 101606203 B1 KR101606203 B1 KR 101606203B1 KR 1020150112704 A KR1020150112704 A KR 1020150112704A KR 20150112704 A KR20150112704 A KR 20150112704A KR 101606203 B1 KR101606203 B1 KR 10160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optical cable
flow
base blo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용
Original Assignee
폴그린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그린테크(주) filed Critical 폴그린테크(주)
Priority to KR102015011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 G08B13/124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with the breaking or disturbance being optically detected, e.g. optical fibers in the perimeter fe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81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optical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구조물에 설치되는 광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차단구조물의 기둥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동블록;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유동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안착홈부; 상기 유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연결부; 설정치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광케이블에 상기 설정치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장력이 발생되면 상기 안착홈부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을 굴곡시키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INTRUSION DETECTION DEVICE FOR STRUCTURE BLOCKED}
본 발명은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으로 세운 울타리에 설치되어 절단되거나 설정치 이상 당겨지면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으로 감지하는 광케이블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이 설정치 이상 당겨지면 광케이블에 과도한 변형을 제공하여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남북이 분단된 국가로서 155마일에 이르는 휴전선 전 지역에는 엄중한 철책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모든 철책을 수많은 병사들이 매일같이 경계근무하면서 지키고 있다.
철책의 완전한 경계는 국가 안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최근에는 병사들에 의한 직접적인 경계근무와 더불어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철책에 광 그물망으로 된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침입자가 무단으로 철책을 넘거나 파손하는 경우를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처럼 최전방지역에 광 그물망 센서를 설치하여 과학적으로 적의 침투를 감시하고 경계하는 GOP(전방소초) 과학화 경계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과학화 경계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광 그물망에 실제로 침투가 일어났을 경우 이를 모두 검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침투가 없이 단지 비, 눈, 바람, 낙엽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서 광 그물망이 흔들릴 경우에는 센서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검출작용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철책 등에 설치된 광 그물망 센서 설비의 경우에는 철책의 하단부에 늘어뜨려진 광 그물망을 들추고 틈을 확보해서 침입할 수가 있었으며, 이런 경우에는 침입사실이 전혀 감지되지 않아 고가의 광 그물망 설비가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광 그물망 센서 설비의 경우에는 광 그물망을 구성하는 광케이블 자체가 굴곡에 의해서 상당 정도 신호레벨이 올라가 있어서 비, 바람, 눈 등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서 광 그물망이 영향을 받더라도 침입자가 있는 것으로 잘못 오인하여 작동하는 일이 많아서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철책에 설치된 무인 침입감지 시스템에는 광 그물망을 설치하는 것과 더불어 철책의 하단부에 단선으로 된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그 광케이블의 신호를 측정하여 광케이블을 건드리는 일이 있는지는 감지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 경우도 실제의 침입이 있는 경우에는 모두 검출하도록 하고, 반면 자연현상에 의한 잡음은 걸러내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광케이블 그립장치가 개방되었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광케이블 그립장치는, 내부에 광케이블이 통과하는 하우징으로서, 제1측면 및 제1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측면을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과 결합되어 하우징의 개방된 면을 덮는 덮개와, 하우징 내의 고정된 위치에 마련되며, 광케이블을 완만한 곡선 형태로 굴곡시켜 안내하는 곡선형 안내 영역과, 하우징 내의 곡선형 안내 영역과 제2측면의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해 제1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광케이블을 완만한 곡선 형태로 굴곡시켜 안내하는 회동판과, 회동판 상에 입설되고, 곡선형 안내 영역을 경유하여 이어져 온 광케이블의 배치경로를 제공하는 제1안내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3293호(2015년 01월 16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광케이블 그립장치는, 광케이블을 당기는 외력이 회동판에 전달되는 동력전달구조가 복잡하고, 회동판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광케이블이 변형되는 변형량이 크기 않아 광케이블이 당겨지는 경우에도 광케이블의 변형이 쉽게 감지되지 않아 침입 감지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으로 세운 울타리에 설치되어 절단되거나 설정치 이상 당겨지면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으로 감지하는 광케이블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이 설정치 이상 당겨지면 광케이블에 과도한 변형을 제공하여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단구조물에 설치되는 광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차단구조물의 기둥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동블록;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유동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안착홈부; 상기 유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연결부; 설정치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광케이블에 상기 설정치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장력이 발생되면 상기 안착홈부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을 굴곡시키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광케이블이 통과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이 유동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삽입홀부에는 유동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설치되는 결합축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블록은 상기 결합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동연결부는,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는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슬라이딩축; 및 상기 슬라이딩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유동블록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싱부는, 상기 슬라이딩축에 구비되는 굴곡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동블록을 관통한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부재; 상기 제2너트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축에 설치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와 상기 유동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착홈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에 대향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유동블록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는, 베이스블록에 유동블록이 유동연결부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블록과 유동블록 사이에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므로 광케이블이 당겨지면 유동블록이 슬라이딩되면서 광케이블의 안착홈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센싱부에 의해 과도하게 굴곡되면서 광케이블을 따라 흐르는 빛에 저항을 제공하게 되어 광케이블이 당겨질 때에 오작동 없이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의 센싱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의 센싱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는, 차단구조물에 설치되는 광케이블(14)이 통과되도록 차단구조물의 기둥부(10)에 설치되는 케이스(30)와, 케이스(30)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72)과, 베이스블록(72)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동블록(74)과, 베이스블록(72)과 유동블록(74) 사이에 형성되고 광케이블(14)이 권취되는 안착홈부(76)와, 유동블록(74)을 베이스블록(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연결부(90)와, 설정치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유동블록(74)을 베이스블록(7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80)와, 광케이블(14)에 설정치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장력이 발생되면 안착홈부(76)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광케이블(14)을 굴곡시키는 센싱부(100)를 포함한다.
차단구조물은 군사지역에 설치되는 철책 또는 사유지에 설치되는 철망(12) 등 다양한 형상의 차단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는데, 특히, 철망(12)이 설치되는 차단구조물은 침입자가 철망(12)의 하단을 변형시키거나 절단하여 침입을 시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장치는, 차단구조물의 기둥에 케이스(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케이스(30)를 통과하는 광케이블(14)이 안착홈부(76)에 권취된 후에 케이스(30)를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침입자가 철망(12)의 하단을 들어 올려 침입 공간을 확보하여 할 때에는 철망(12) 하단에 연결되는 광케이블(14)이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케이스(30) 외측으로 광케이블(14)을 당기게 되어 케이스(30)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광케이블(14)을 당기는 장력이 발생된다.
이때, 광케이블(14)은 베이스블록(72)과 유동블록(74)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76)에 권취된 상태이므로 광케이블(14)의 일단이 케이스(30) 외측으로 당겨지면 안착홈부(76)에 권취되는 광케이블(14)이 형성하는 원형의 권취구간 지름이 작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14)의 원형 권취구간 지름이 작아지게 되면 광케이블(14)이 유동블록(74)을 베이스블록(72)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유동블록(74)이 슬라이딩축(92)을 따라 베이스블록(72) 외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베이스블록(72)과 유동블록(7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서 센싱부(100)가 노출되므로 광케이블(14)을 과도하게 굴곡시키게 된다.
따라서 광케이블(14)을 따라 흐르던 빛에 저항이 형성되면서 빛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빛의 흐름이 방해되어 광케이블(14)이 연결되는 통제실에 침입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감시자는 광케이블(14)을 통한 침입신호를 인지하여 차단구조물을 통과하는 침입을 판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30)에는 광케이블(14)이 통과되는 삽입홀부(34)가 형성되고, 광케이블(14)이 유동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삽입홀부(34)에는 유동홈부(56a)가 형성되는 가이드관(56)이 설치되므로 케이스(3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홀부(34)에 가이드관(56)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관(56)의 일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유동홈부(56a)가 형성되므로 삽입홀부(34)가 유동홈부(56a)에 안착되도록 가이드관(56)을 설치하고, 광케이블(14)이 한 쌍의 가이드관(56)을 통과하여 케이스(30)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광케이블(14)이 침입자에 의해 상측으로 들려질 때에 가이드관(56)이 유동홈부(56a)를 중심으로 회전회면서 가이드관(56)의 외측 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광케이블(14)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케이스(30)의 전면은 개구되고, 케이스(30)의 전면에는 커버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케이스(30) 내부로 개폐할 수 있고, 케이스(30)의 상부에는 케이스(30)와 커버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홀부(32)가 형성되고, 커버부재(50)의 상부에는 결합홀부(32)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조립홀부(52)가 형성되어 커버부재(50)의 상부가 케이스(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감시자는 차단구조물을 따라 경계 근무를 행할 때에 커버부재(50)의 하단을 상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케이스(30) 내부를 개방하여 광케이블(14)의 권취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케이스(30)의 배면에는 'U' 모양으로 굴곡되는 볼트부재(36)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조립홀부가 형성되고, 볼트부재(36)가 기둥부(10)를 감싸도록 볼트부재(36)를 기둥부(10)에 걸림결합시킨 후에 케이스(30)의 조립홀부에 볼트부재(36)의 양단부를 삽입하고, 볼트부재(36)의 양단부에 각각 너트부재(38)를 체결하여 케이스(30)를 기둥부(10)에 결합시키게 된다.
베이스블록(72)은 케이스(30)에 설치되는 브래킷(54)에 설치되는 결합축(54a)에 설치되고, 유동블록(74)은 베이스블록(72)으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딩축(92)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유동블록(74)은 베이스블록(72)으로부터 케이스(30) 외측으로 슬라이딩축(9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유동연결부(90)는, 결합축(54a)이 삽입되는 홀부가 형성되고 베이스블록(72)으로부터 돌출되는 슬라이딩축(92)과, 슬라이딩축(9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유동블록(74)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94)를 포함한다.
베이스블록(72)의 중앙부에는 케이스(30)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축(92)이 형성되고, 유동블록(74)에는 슬라이딩축(9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슬라이딩축(92)과 단면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94)가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축(54a)에 다수 개의 너트부재를 체결한 후에 결합축(54a)을 베이스블록(72) 중앙부에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하고 슬라이딩축(92)에 유동블록(74)을 삽입한 후에 가압부(80)를 결합축(54a)에 설치하여 베이스블록(72) 및 유동블록(74)을 브래킷(54) 상면, 즉 케이스(30)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블록(72)의 배면에는 너트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연결홈부(74a)가 형성되고, 연결홈부(74a)의 평면 형상은 너트부재와 동일한 육각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결합축(54a)을 베이스블록(72)의 홀부에 삽입하면 결합축(54a)에 체결된 너트부재가 연결홈부(74a)에 삽입되어 베이스블록(72)이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축(54a)에 설치된다.
베이스블록(72)의 중앙부로부터 케이스(30)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축(92)에는 유동블록(74)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유동블록(7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결합축(54a)의 단부에는 가압부(80)를 설치하여 유동블록(74)이 베이스블록(7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렇게 베이스블록(72)과 유동블록(74)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베이스블록(72)과 유동블록(74) 사이에는 안착홈부(76)가 형성되어 광케이블(14)의 권취될 수 있게 되며, 케이스(30)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광케이블(14)은 안착홈부(76)에 권취된 후에 케이스(30)의 타측으로 배출되게 설치된다.
안착홈부(76)는, 베이스블록(72)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76a)과, 제1경사면(76a)에 대향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유동블록(74)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76b)을 포함하므로 제1경사면(76a)과 제2경사면(76b)이 'V' 모양을 이루면서 안착홈부(76)를 형성하게 된다.
센싱부(100)는, 슬라이딩축(92)에 구비되는 굴곡단부(102)를 포함하며, 굴곡단부(102)는 슬라이딩축(92)이 사각형 마름모 등의 다각 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딩축(92)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모서리에 의해 이루어지고, 다각 기둥의 모서리 중 일부분의 모서리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광케이블(14)의 당겨져서 슬라이딩축(92)에 감기게 되면 예각을 이루는 슬라이딩축(92)의 굴곡단부(102)에 의해 광케이블(14)이 예각으로 꺾이게 되면서 광케이블(14)을 따라 흐르는 빛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광케이블(14)을 따라 흐르는 빛이 차단되는 것이 통제실에서 감지되면 침입의 신호가 출력되어 감시자가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을 판단하게 된다.
가압부(80)는, 유동블록(74)을 관통한 상기 결합축(54a)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부재(86)와, 제2너트부재(86)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축(54a)에 설치되는 와셔(84)와, 와셔(84)와 유동블록(74)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82)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케이블(14)이 안착홈부(76)에 권취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82)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블록(72)과 유동블록(74)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굴곡단부(102)가 유동블록(74) 내부에 배치된다.
이후에, 광케이블(14)의 케이스(30)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면 광케이블(14)의 권취부위 지름이 작아지면서 유동블록(74)을 결합축(54a) 외측으로 가압하므로 탄성부재(82)가 압축되면서 광케이블(14)의 권취부위가 굴곡단부(102)에 밀착되면서 예각으로 꺾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광케이블(14)이 예각으로 꺾이면 광케이블(14)을 따라 흐르던 빛이 차단되면서 통제실에 침입신호가 출력된다.
광케이블(14)을 케이스(30) 외측으로 당기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82)의 복원력에 의해 유동블록(74)이 베이스블록(72) 측으로 이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때, 유동블록(74)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76b)은 광케이블(14)을 안착홈부(76)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광케이블(14)의 꺾인 부분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빛이 통과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14)을 따라 빛이 다시 흐르게 되면 통제실에 출력되었던 침입신호가 소멸되어 침입 감지 전 상태로 복원된다.
이로써,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으로 세운 울타리에 설치되어 절단되거나 설정치 이상 당겨지면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으로 감지하는 광케이블에 설치되고, 광케이블이 설정치 이상 당겨지면 광케이블에 과도한 변형을 제공하여 외부인 또는 적군의 침입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감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기둥부 12 : 철망
14 : 광케이블 30 : 케이스
32 : 결합홀부 34 : 삽입홀부
36 : 볼트부재 38 : 제1너트부재
50 : 커버부재 52 : 조립홀부
54 : 브래킷 54a : 결합축
56 : 가이드관 56a : 유동홈부
72 : 베이스블록 74 : 유동블록
74a : 가압홈부 76 : 안착홈부
76a : 제1경사면 76b : 제2경사면
80 : 가압부 82 : 탄성부재
84 : 와셔 86 : 제2너트부재
90 : 유동연결부 92 : 슬라이딩축
94 : 슬라이딩홀부 100 : 센싱부
102 : 굴곡단부

Claims (7)

  1. 차단구조물에 설치되는 광케이블이 통과되도록 차단구조물의 기둥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유동블록;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유동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이 권취되는 안착홈부;
    상기 유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연결부;
    설정치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유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광케이블에 상기 설정치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장력이 발생되면 상기 안착홈부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상기 광케이블을 굴곡시키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광케이블이 통과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케이블이 유동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삽입홀부에는 유동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설치되는 결합축에 설치되고, 상기 유동블록은 상기 결합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연결부는,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는 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슬라이딩축; 및
    상기 슬라이딩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유동블록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슬라이딩축에 구비되는 굴곡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동블록을 관통한 상기 결합축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부재;
    상기 제2너트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축에 설치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와 상기 유동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형성되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에 대향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유동블록에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KR1020150112704A 2015-08-10 2015-08-10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KR101606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704A KR101606203B1 (ko) 2015-08-10 2015-08-10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704A KR101606203B1 (ko) 2015-08-10 2015-08-10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203B1 true KR101606203B1 (ko) 2016-03-25

Family

ID=5564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704A KR101606203B1 (ko) 2015-08-10 2015-08-10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20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051B1 (ko) * 2016-07-26 2018-01-22 주식회사 에이랩 보안펜스 접속형 감지장치
KR101822291B1 (ko) 2016-07-26 2018-01-25 주식회사 에이랩 보안펜스 고리형 감지장치
WO2020104395A1 (en) * 2018-11-19 2020-05-28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Modularized cable termination apparatus
US10935748B2 (en) 2017-04-17 2021-03-02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Modularized cable termination unit
US11092768B2 (en) 2012-04-03 2021-08-17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clamp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CN115331369A (zh) * 2021-05-11 2022-11-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基于不同光学信号的入侵试验电缆探测装置
US11852883B2 (en) 2012-04-03 2023-12-26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clamp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US11867962B2 (en) 2019-09-16 2024-01-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fixation assembly with strength member anchor adap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861A (ja) 1999-05-20 2000-11-3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蓋開閉検知センサ
JP2006053888A (ja) 2004-07-16 2006-02-23 Furukawa Engineering & Construction Inc 侵入検知装置及び侵入検知システム
JP2006127456A (ja) 2004-09-30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ンションセンサおよび侵入監視システム
KR101483293B1 (ko) 2013-07-15 2015-01-16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861A (ja) 1999-05-20 2000-11-3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蓋開閉検知センサ
JP2006053888A (ja) 2004-07-16 2006-02-23 Furukawa Engineering & Construction Inc 侵入検知装置及び侵入検知システム
JP2006127456A (ja) 2004-09-30 2006-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ンションセンサおよび侵入監視システム
KR101483293B1 (ko) 2013-07-15 2015-01-16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2768B2 (en) 2012-04-03 2021-08-17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clamp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US11852883B2 (en) 2012-04-03 2023-12-26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clamp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KR101821051B1 (ko) * 2016-07-26 2018-01-22 주식회사 에이랩 보안펜스 접속형 감지장치
KR101822291B1 (ko) 2016-07-26 2018-01-25 주식회사 에이랩 보안펜스 고리형 감지장치
US10935748B2 (en) 2017-04-17 2021-03-02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Modularized cable termination unit
WO2020104395A1 (en) * 2018-11-19 2020-05-28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Modularized cable termination apparatus
US11867962B2 (en) 2019-09-16 2024-01-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fixation assembly with strength member anchor adapter
CN115331369A (zh) * 2021-05-11 2022-11-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基于不同光学信号的入侵试验电缆探测装置
CN115331369B (zh) * 2021-05-11 2023-07-2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基于不同光学信号的入侵试验电缆探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203B1 (ko) 차단구조물용 침입 감지장치
US7852213B2 (en) Double-end fiber optic security system for sensing intrusions
KR100562828B1 (ko) 보안 펜스를 오르는 것을 탐지할 수 있게 광케이블에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장치
US6805627B2 (en) Security cover for ventilation duct
US7402790B2 (en) Fiber optic security system for sensing the intrusion of secured locations
KR101483293B1 (ko)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
US8443550B1 (en) Window guard
WO2015197848A1 (fr) Pièce de support pour supporter un dispositif, détecteur de fumée et prolongateur de cloueur pour clouer une telle pièce de support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US10535238B2 (en) Barbed tape and security sensor assembly
KR100609657B1 (ko) 지하매설용 보안펜스
KR102586965B1 (ko) 침입 감지 시스템
KR101523475B1 (ko) 출입 감지 장치
KR20180085452A (ko) 케이블 벤딩 유발 장치
KR101574120B1 (ko) 건축물의 방범기능을 갖춘 창 구조물
KR101799076B1 (ko) 광망 하단 감지장치
KR101822291B1 (ko) 보안펜스 고리형 감지장치
CN215992522U (zh) 防漏放置机构以及防鼠装置
KR101705740B1 (ko) 보안펜스 침입 감지장치
EP1673746A1 (en) Signal line, f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ence
WO2005101340A1 (en) Intrusion preventing apparatus for fences or the like
CN208330080U (zh) 一种多功能安全门
JP6867018B2 (ja) 地震後の盗難防止装置及び方法
KR101821051B1 (ko) 보안펜스 접속형 감지장치
KR101751532B1 (ko) 자기장센싱 기반의 침입경보 시스템의 방충망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