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171B1 -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71B1
KR101606171B1 KR1020140081317A KR20140081317A KR101606171B1 KR 101606171 B1 KR101606171 B1 KR 101606171B1 KR 1020140081317 A KR1020140081317 A KR 1020140081317A KR 20140081317 A KR20140081317 A KR 20140081317A KR 101606171 B1 KR101606171 B1 KR 10160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valve hole
screw cylinder
screw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250A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료공급장치는 스크류 실린더와, 스크류와, 회전기구, 및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스크류 실린더는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제1,2,3 작업 구간 순으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제1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한쪽 측부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구가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배출구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2,3 작업 구간에 일부 대응되는 부위로 공급되는 열매체에 의해 가열된다. 스크류는 스크류 실린더 내에서 회전 동작함에 따라 원료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원료를 원료 배출구로 이송하는 것으로, 스크류 실린더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회전 샤프트와, 제1,2,3 작업 구간에 걸쳐 회전 샤프트의 외측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선 날개들을 구비하며, 나선 날개들 중 제1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나선 날개들의 각 에지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절단 홈이 형성된다. 회전기구는 스크류를 회전시킨다. 체크 밸브는 원료 배출구에 장착되어 사출기에 연결되며, 사출기로부터 원료가 사출될 때 스크류 실린더로 원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Material supply apparatus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에 구비되는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 원료를 가소화시켜 사출기로 공급하는 원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이란 가열에 의해 가소화된 원료를 금형 속으로 사출시켜 고화 또는 경화시킴에 따라 성형품을 만드는 가공방법이다. 사출 성형기는 고무 성형품 또는 플라스틱 성형품 등을 얻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일 예로, 고무 성형품을 사출하기 위한 성형기는 사출기, 원료공급장치, 금형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료공급장치는 스크류 실린더 내로 고체 상태로 주입되는 고무 원료를 스크류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열매체로 가열하는 과정에 의해 가소화시켜 사출기로 공급한다. 그러면, 사출기는 가소화된 고무 원료를 사출 실린더 내로 공급받아서 플런저의 압입 동작에 의해 금형 속으로 사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원료는 스크류 실린더의 주입구를 통해 스크류 실린더 내로 주입되면, 스크류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고무 원료는 스크류 실린더 내로 연속되게 주입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원료공급장치에 의하면, 스크류 실린더 내로 주입되는 고무 원료의 끊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크류 실린더 내로 주입되는 원료의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는 스크류 실린더와, 스크류와, 회전기구, 및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스크류 실린더는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제1,2,3 작업 구간 순으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제1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한쪽 측부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구가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배출구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제2,3 작업 구간에 일부 대응되는 부위로 공급되는 열매체에 의해 가열된다. 스크류는 스크류 실린더 내에서 회전 동작함에 따라 원료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원료를 원료 배출구로 이송하는 것으로, 스크류 실린더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회전 샤프트와, 제1,2,3 작업 구간에 걸쳐 회전 샤프트의 외측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선 날개들을 구비하며, 나선 날개들 중 제1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나선 날개들의 각 에지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절단 홈이 형성된다. 회전기구는 스크류를 회전시킨다. 체크 밸브는 원료 배출구에 장착되어 사출기에 연결되며, 사출기로부터 원료가 사출될 때 스크류 실린더로 원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 실린더의 원료 주입구 쪽에 위치한 나선 날개들에 제1 절단 홈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원료 주입구로부터 고체 상태의 원료를 끊김 없이 스크류 실린더로 주입시킨 후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류 실린더는 원료 주입구와 열매체 채널부 사이에 공랭부를 구비함으로써, 원료 주입구를 통해 스크류 실린더에 주입된 고체 상태의 원료가 열매체의 열로 인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체는 사출기로부터 역류되려는 원료와 접하는 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스크류 실린더의 원료 배출구 쪽으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하여 원료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스크류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스크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스크류에 기포 배출 통로, 기포 유입 홀들, 및 제2 절단 홀을 구비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영역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Ⅱ-Ⅱ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체크 밸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밸브체의 좌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밸브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스크류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스크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100)는 스크류 실린더(110)와, 스크류(120)와, 회전기구(130), 및 체크 밸브(check valve, 140)를 포함한다.
스크류 실린더(110)는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제1,2,3 작업 구간(111a)(111b)(111c) 순으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제2 작업 구간(111b)은 제1,3 작업 구간(111a)(111c)보다 각각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스크류 실린더(110)의 내부 공간은 원형 중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류 실린더(110)는 제1 작업 구간(111a)에 대응되는 한쪽 측부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구(112)가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원료 주입구(112)에는 미도시된 호퍼가 설치되어 호퍼를 통해 원료, 예컨대 고체 상태의 고무 원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스크류 실린더(110)는 외부로부터 제2,3 작업 구간(111b)(111c)에 일부 대응되는 부위로 공급되는 열매체에 의해 가열된다. 스크류 실린더(110)는 제3 작업 구간(111c)으로부터 제2 작업 구간(111b)의 일부 구간까지 대응되는 부위에 열매체를 공급받는 열매체 채널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열매체 채널부(114)는 열매체를 공급받아서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스크류 실린더(110)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주입구(112)로부터 주입된 고체 상태의 원료는 열매체에 의해 가열되어 가소화된 후 원료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열매체로는 액상의 열매체유가 이용될 수 있다.
스크류 실린더(110)는 제2 작업 구간(111b)의 나머지 구간에 대응되는 부위에 공랭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공랭부(115)는 원료 주입구(112)와 열매체 채널부(114) 사이에 마련된다. 공랭부(115)에는 열매체가 공급되지 않는다. 공랭부(11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는 고체 상태로 원료 주입구(112)를 통해 스크류 실린더(110)로 주입된 후, 원료 배출구(113)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열매체에 의해 가열되어 가소화된다. 가소화된 원료는 설정 양만큼 사출기(미도시)로 공급된 후 나머지가 후속 사출을 위해 스크류 실린더(110)에 잔류해서 대기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 실린더(110)는 열매체 채널부(114)에 의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공랭부(115)는 열매체 채널부(114)에서 발생된 열이 원료 주입구(11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원료 주입구(112)를 통해 스크류 실린더(110)에 주입된 고체 상태의 원료가 열매체의 열로 인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공랭부(115)는 후술할 나선 날개(126)들 중 대략 3개의 나선 날개(126)들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공랭부(115)는 원료의 끊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범주에서 다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스크류 실린더(110)는 제1,2 스크류 실린더(110a)(110b)가 동축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크류 실린더(110a)는 제1 작업 구간(111a) 중 일부 구간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크류 실린더(110a)의 측부에 원료 주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류 실린더(110b)는 제1 작업 구간(111a) 중 나머지 구간과 제2,3 작업 구간(111b)(111c)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2 스크류 실린더(110b)에는 열매체 채널부(114)와 공랭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120)는 스크류 실린더(110) 내에서 회전 동작함에 따라 원료 주입구(112)를 통해 주입되는 원료를 원료 배출구(113)로 이송한다. 스크류(120)는 회전 샤프트(121)와, 다수의 나선 날개(126)들을 구비한다. 회전 샤프트(121)는 스크류 실린더(110)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회전 샤프트(121)는 제1,2,3 작업 구간(111a)(111b)(111c)에 걸쳐 배치되고, 한쪽 단부가 스크류 실린더(110)로부터 인출되어 회전기구(130)의 회전 구동축(131b)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21)는 회전 구동축(131b)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21)는 반대쪽 단부가 원추 형태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선 날개(126)들은 제1,2,3 작업 구간(111a)(111b)(111c)에 걸쳐 회전 샤프트(121)의 외측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 나선 날개(126)들 중 제1 작업 구간(111a)에 대응되는 나선 날개(126)들은 각 에지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절단 홈(127)이 형성된다. 제1 절단 홈(127)을 각각 갖는 나선 날개(126)들은 고무가 잘 물릴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원료 주입구(112)로부터 고체 상태의 원료를 끊김 없이 스크류 실린더(110)로 주입시킨 후 이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절단 홈(127)은 제1 작업 구간(111a)의 나선 날개(126)의 에지 부위에 ㄴ자 형태로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단 홈(127)은 나선 날개의 지름이 50㎜인 경우, 4㎜ ~ 6㎜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단 홈(127)은 제1 작업 구간(111a)의 나선 날개(126)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정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선 날개(126)들은 스크류 실린더(110)의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피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나선 날개(126)들은 B피치가 A피치보다 0.3 ~ 0.6㎜ 정도로 감소하는 것과 같이, 스크류 실린더(110)의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피치가 0.3 ~ 0.6㎜ 정도씩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선 날개(126)들의 회전시 원료를 원료 주입구(112)로부터 원료 배출구(113)로 압송하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원료는 스크류 실린더(110)에 잔류량이 생기지 않고 원료 배출구(113)를 통해 모두 배출됨으로써, 원료 배출구(113)에서 원료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선 날개(126)들의 피치가 감소됨에 따라 원료가 사출기로 가면서 원료의 조밀성이 좋아져서 성형품 불량의 원인이 되는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나선 날개(126)들은 일정 피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회전기구(130)는 스크류(120)를 회전시킨다. 예컨대, 회전기구(130)는 회전 모터(13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31)는 모터 몸체(131a)가 브래킷에 의해 스크류 실린더(110)에 고정되고, 회전 구동축(131b)이 스크류(120)의 한쪽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구동축(131b)은 베어링(132)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체크 밸브(140)는 원료 배출구(113)에 장착되어 사출기에 연결된다. 체크 밸브(140)는 사출기로부터 스크류 실린더(110)로 원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사출기는 스크류 실린더(110)로부터 원료를 공급받는 플런저 실린더와, 플런저 실린더로 공급된 원료를 노즐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및 플런저의 가압 작용에 의해 원료를 금형으로 주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가 원료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원료의 일부분이 스크류 실린더(110)의 원료 배출구(113) 쪽으로 역류할 수 있다. 이때, 체크 밸브(140)는 원료의 역류를 방지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121)는 기포 배출 통로(122), 및 기포 유입 홀(123)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포 배출 통로(122)는 원료 주입구(112)에 인접한 단부 개구로부터 내부 중심을 따라 제2 작업 구간(111b)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기포 유입 홀(123)들은 제2 작업 구간(111b)에 대응되는 측부에 제2 작업 구간(111b)을 따라 서로 이격된다. 기포 유입 홀(123)들은 기포 배출 통로(122)와 각각 통하도록 형성되어 원료 속의 기포를 기포 배출 통로(122)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료는 기포가 제거되어 사출기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사출 성형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날개(126)들 중 제2 작업 구간(111b)에 대응되는 나선 날개(126)들은 각 에지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절단 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료 속의 기포는 제2 절단 홈(128)들을 통해 출입 가능하게 되어 기포 유입 홀(123)들 쪽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으므로, 원료 속의 기포를 보다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절단 홈(128)은 제2 작업 구간(111b)의 나선 날개(126)의 에지 부위에 ㄴ자 형태로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단 홈(128)은 깊이가 커질수록 용융 상태의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기포를 출입시킬 수 있는 범주에서 최소화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단 홈(128)은 제2 작업 구간(111b)의 나선 날개(126)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정 간격을 두고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1에 있어서, 체크 밸브(140)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체크 밸브(140)는 밸브 하우징(141), 및 밸브체(146)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141)에는 제1,2 밸브 홀(142)(1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 홀(142)은 입구가 원료 배출구(113)에 연결된다. 제2 밸브 홀(143)은 입구가 제1 밸브 홀(142)의 출구에 연결되고 제1 밸브 홀(142)의 출구로부터 확장되어 일정한 지름을 갖도록 연장된다.
예컨대, 제1 밸브 홀(142)은 원료 배출구(113)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후 일정 지름을 갖도록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 하우징(141)은 스크류 실린더(110)에 다음과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스크류 실린더(110)는 원료 배출구(113)가 형성된 단부의 중앙에 인입 홈이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141)은 스크류 실린더(110)의 인입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21)는 테이퍼진 단부가 원료 배출구(113)를 통해 인출되고, 제1 밸브 홀(142)은 테이퍼진 부위에 회전 샤프트(121)의 테이퍼진 단부를 간격을 두고 삽입시킬 수 있다.
밸브체(146)는 개폐부(147), 및 이동 가이드부(148)를 구비한다. 개폐부(147)는 제2 밸브 홀(143) 쪽에서 제1 밸브 홀(142)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한다. 개폐부(147)는 제1 밸브 홀(142)에 삽입되는 부위가 원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148)는 제2 밸브 홀(143)에 수용되어 개폐부(147)에 연결된다. 이동 가이드부(148)는 제2 밸브 홀(143)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147)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동 가이드부(148)는 제2 밸브 홀(143)의 출구에 인접한 단부가 오목 면(148a)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동 가이드부(148)는 원료와 접하는 면적이 증대되므로, 원료가 역류되려는 힘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147)는 제1 밸브 홀(142)의 출구를 보다 신속하게 폐쇄하도록 이동하여 원료 배출구(113)로 원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부(148)는 제2 밸브 홀(143)의 중앙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각 안쪽 단이 서로 연결되고 각 바깥쪽 단이 제2 밸브 홀(143)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돌기(149)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149)들은 개폐부(147)가 제1 밸브 홀(142)의 출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제1 밸브 홀(142)의 중심 축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147)가 제1 밸브 홀(142)의 출구를 비스듬한 상태로 폐쇄하지 않고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기로 공급된 원료가 제1 밸브 홀(142)의 출구를 통해 역류되지 않게 되므로, 고무 배합이 잘 될 수 있고 기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돌기(149)들은 서로 이격된 사이로 원료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개폐부(147)에 의해 제1 밸브 홀(142)의 출구가 개방되어 원료가 제2 밸브 홀(143)로 유입될 때, 유입된 원료는 돌기(149)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 제2 밸브 홀(143)의 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돌기(149)들은 제2 밸브 홀(143)의 출구에 인접한 각 단부가 오목 면(148a)을 갖도록 형성되어 원료와 접하는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돌기(149)들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돌기(149)들은 3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4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스크류 실린더 112..원료 주입구
113..원료 배출구 115..공랭부
120..스크류 121..회전 샤프트
122..기포 배출 통로 123..기포 유입 홀
126..나선 날개 127..제1 절단 홈
128..제2 절단 홈 130..회전기구
140..체크 밸브 141..밸브 하우징
146..밸브체 147..개폐부
148..이동 가이드부

Claims (7)

  1.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까지 제1,2,3 작업 구간 순으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한쪽 측부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 주입구가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 원료를 배출하는 원료 배출구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2,3 작업 구간에 일부 대응되는 부위로 공급되는 열매체에 의해 가열되는 스크류 실린더;
    상기 스크류 실린더 내에서 회전 동작함에 따라 상기 원료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원료를 상기 원료 배출구로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 실린더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회전 샤프트와, 상기 제1,2,3 작업 구간에 걸쳐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측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선 날개들을 구비하며, 상기 나선 날개들 중 상기 제1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나선 날개들의 각 에지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절단 홈이 형성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 및
    상기 원료 배출구에 장착되어 사출기에 연결되며, 상기 사출기로부터 원료가 사출될 때 상기 스크류 실린더로 원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원료 주입구에 인접한 단부 개구로부터 내부 중심을 따라 상기 제2 작업 구간에 대응되게 형성된 기포 배출 통로, 및
    상기 제2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측부에 상기 제2 작업 구간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상기 기포 배출 통로와 각각 통하도록 형성되어 원료 속의 기포를 상기 기포 배출 통로로 유입하는 기포 유입 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날개들은 상기 스크류 실린더의 한쪽 단부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피치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날개들 중 상기 제2 작업 구간에 대응되는 나선 날개들의 각 에지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절단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입구가 상기 원료 배출구에 연결된 제1 밸브 홀과, 입구가 상기 제1 밸브 홀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밸브 홀의 출구로부터 확장되어 일정한 지름을 갖도록 연장된 제2 밸브 홀을 구비하는 밸브 하우징; 및
    상기 제2 밸브 홀 쪽에서 상기 제1 밸브 홀의 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개폐부와, 상기 제2 밸브 홀에 수용되어 상기 개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밸브 홀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안내하며 제2 밸브 홀의 출구에 인접한 단부가 오목 면을 갖도록 형성된 이동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밸브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밸브 홀의 중앙 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각 안쪽 단이 서로 연결되고 각 바깥쪽 단이 상기 제2 밸브 홀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밸브 홀의 출구에 인접한 각 단부가 오목 면을 갖도록 형성된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실린더는,
    상기 제3 작업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작업 구간의 일부 구간까지 대응되는 부위에 열매체를 공급받는 열매체 채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작업 구간의 나머지 구간에 대응되는 부위에 공랭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KR1020140081317A 2014-06-30 2014-06-30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KR10160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317A KR101606171B1 (ko) 2014-06-30 2014-06-30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317A KR101606171B1 (ko) 2014-06-30 2014-06-30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50A KR20160002250A (ko) 2016-01-07
KR101606171B1 true KR101606171B1 (ko) 2016-03-29

Family

ID=5516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317A KR101606171B1 (ko) 2014-06-30 2014-06-30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43A (ko) * 2018-06-26 2020-01-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스크류 피더 타입의 고압 분체연료 연속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043A (ko) * 2018-06-26 2020-01-0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스크류 피더 타입의 고압 분체연료 연속 공급장치
KR102145230B1 (ko) 2018-06-26 2020-08-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스크류 피더 타입의 고압 분체연료 연속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50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8312B2 (ja) 射出成形システムおよび部品製造方法
US11331859B2 (en) Plasticizing device,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lding device
US9931773B2 (en)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ng a component
US7390118B2 (en) Extruder assembly
WO2016047732A1 (ja) 溶融器、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装置、並びに、射出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部材間の接合体の製造方法
ES2929589T3 (es) Máquina de moldeo y método para moldear una pieza
JP5846998B2 (ja) 可塑化装置、射出装置、射出成形装置、押出機、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606171B1 (ko) 사출 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JP2021070189A (ja) 射出装置
US3209408A (en) Antifriction plasticizer head for plastic-extruding machines
JP6758381B2 (ja) 部品成形方法
JP2004322438A (ja) 樹脂材料の可塑化方法及びそのための可塑化装置
CN211993880U (zh) 材料供应装置、注射成型装置以及三维造型装置
KR101667923B1 (ko) 합성수지 불순물 제거장치
CN102802909A (zh) 含有相对于阀针尖端定位的树脂止流装置的模具工具组件
JP6352036B2 (ja) 材料供給装置、及び射出成形機
JP6436454B2 (ja) 溶融材料供給装置
KR102401052B1 (ko) 섬유 보강 플라스틱 몰딩들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성형 기계
JP2013086455A (ja) 射出成形機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967009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사출기용 배럴
KR20160086700A (ko) 믹싱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장치
KR20180090322A (ko) 몰딩 기계 및 몰딩 기계의 작동 방법
KR200334461Y1 (ko) 선가소타입 사출성형기
JP6366058B2 (ja) トーピードが設けられた溶融材料供給装置
JP2010143185A (ja) 可塑化装置、可塑化装置のスクリュ、および可塑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