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08B1 -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08B1
KR101605708B1 KR1020150124151A KR20150124151A KR101605708B1 KR 101605708 B1 KR101605708 B1 KR 101605708B1 KR 1020150124151 A KR1020150124151 A KR 1020150124151A KR 20150124151 A KR20150124151 A KR 20150124151A KR 101605708 B1 KR101605708 B1 KR 10160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ixing
fixing member
moving membe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수 filed Critical 김범수
Priority to KR102015012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61H2201/162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7Sitting on the buttocks with stretched legs, like in a 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일단에 구비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등받이보다 앞쪽 베이스 프레임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보다 앞쪽 베이스 프레임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장치{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하체를 늘려주는 하체 스트레칭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체적인 노동, 잘못된 자세, 운동 부족, 단조로운 업무 환경 등으로 인하여 허리, 목 등을 포함한 전신 근육의 강직, 긴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한 자세 변형, 운동 중의 불편함 또는 통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스트레스를 해소 및 건강 증진을 위하여 다양한 스트레칭 방식의 운동기기, 국부 또는 전신 안마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기들은 대부분 신체 자중에 의존하거나 무거운 추를 이용하여 스트레칭 방식이기 때문에 자세가 불안정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08616호는 "하체 운동기"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체 스트레칭 운동을 하면서 독서를 즐길 수 있는 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일단에 구비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등받이보다 앞쪽 베이스 프레임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보다 앞쪽 베이스 프레임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봉은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조절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공에 대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봉은 나사봉이고, 상기 결합봉은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무릎 부근을 고정하는 좌, 우 한 쌍의 제1 고정부재; 및 제1 고정부재 보다 앞에 위치하면서 발목 부근을 고정하는 좌, 우 한 쌍의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의 일단은 절개되고 절개 부위에는 절개 부위를 연결하는 탈부착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부재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제1 이동부재에 구비되고, 제2 고정부재는 제2 이동부재에 구비되며, 제1 이동부재 및 제2 이동부재는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는 개별 작동 또는 동시 작동 가능하도록 당김부재에 의해 윈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위치 이동이 가능한 책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책상은 하부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받침부의 상부와 연결되면서 받침부의 상부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판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 하부에 구비되는 레일부는 베이스 프레임 일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홈에 대응 결합되어 레일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 저면에는 탄성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돌기는 레일 홈에 구비되는 요철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에 의하면, 하체 스트레칭을 통해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하체 스트레칭과 동시에 이동 가능한 선반에 책을 놓고 독서를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에 구비된 레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1) 및 등받이(12)가 구비되는 본체(10), 베이스 프레임(1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가랑이 부위가 밀착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재(20) 및 베이스 프레임(1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은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베이스 프레임(11)은 외형에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태인 것이 좋다. 베이스 프레임(11)에는 위치조절부(210) 및 고정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12)는 운동과정에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등받이(12)의 하부는 베이스 프레임(11)의 일단과 연결된다. 등받이(12)의 하부는 베이스 프레임(11)과 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등받이(12)는 최초 베이스 프레임(11)과 직각으로 이루도록 세워진 상태이다가 베이스 프레임(11)과 둔각으로 이루도록 베이스 프레임(11)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등받이(12)를 완전히 젖히면 베이스 프레임(11)과 수평을 이룬다.
여기서 등받이(12)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등반이(12)의 하부 좌측 또는 우측에는 손잡이 레버(121)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121)를 잡고 당기거나 누르면 등받이(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등받이(12)의 각도조절 구조는 차량 운전석 시트와 같은 구조이므로 등받이(12)의 각도조절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부재(20)는 운동과정에서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몸이 앞쪽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20)를 손으로 잡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등받이(12) 앞쪽의 베이스 프레임(11) 부위에 위치하는 위치조절부(210)에 탈부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0)의 하부에는 결합봉(21)이 연장 형성된다. 위치조절부(210)에는 결합봉(21)이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공(211)이 복수로 구비된다. 결합봉(21)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나사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합봉(21)과 결합공(211)은 나사 결합된다.
지지부재(20)의 위치는 사용자의 신체를 고려하여 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0)의 위치를 뒤로 이동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결합봉(21)을 위치조절부(210)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공(211) 중 뒤쪽에 위치하는 결합공(211)에 결합한다. 반대로 지지부재(20)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결합봉(21)을 위치조절부(210)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공(211) 중 앞쪽에 위치하는 결합공(211)에 결합한다.
고정부재는 사용자의 하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는 무릎 부근을 고정하는 좌, 우 한 쌍의 제1 고정부재(31) 및 발목 부근을 고정하는 좌, 우 한 쌍의 제2 고정부재(32)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31)는 지지부재(20) 앞쪽 베이스 프레임(11) 부위에 구비된 제1 이동부재(311)에 고정된다. 제2 고정부재(32)는 제1 이동부재(311) 앞쪽 베이스 프레임(11) 부위에 구비된 제2 이동부재(312)에 고정된다.
제1 고정부재(31) 및 제2 고정부재(32)는 반원 형태이며 무릎, 발목 부근을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일단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위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절개 부위에는 탈부착 부재(300)가 구비된다. 탈부착 부재(300)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일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1) 및 제2 고정부재(32)는 밴드 형태일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1) 및 제2 고정부재(32)에는 공기압 마사지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압 마사지기를 통해 무릎 또는 발목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다. 공가압 마사지기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제1 이동부재(311)와 제2 이동부재(312)는 베이스 프레임(11)에 구비된 가이드 프레임(320)을 따라 이동한다. 제1 이동부재(311)와 제2 이동부재(312)는 각각 개별 작동 부재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부재(311)와 제2 이동부재(312)는 동시 작동은 물론 개별 작동이 가능하다. 제1 이동부재(311)는 별도로 구비되는 당김부재(331)에 의해 윈치(332)와 연결된다. 제2 이동부재(312)는 별도로 구비되는 당김부재(331)에 의해 윈치(332)와 연결된다. 당김부재(331)는 장력조절 롤러를 경유하여 윈치(332)에 연결함으로써 당김부재(331)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윈치(332)에 감길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프레임(11)의 일 측면에는 베이스 프레임(11)의 일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책상(40)이 구비된다. 도 4, 5와 같이 책상(40)은 상판부(42)를 받쳐주는 받침부(41) 및 받침부(41)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책, 기타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부(42)를 포함한다. 상판부(42) 하부는 받침부(41)의 상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독서를 하거나, 기타 물건을 올려놓고 싶을 경우에는 받침부(41)와 직각을 이루도록 받침부(41)를 수평으로 펼친다. 책상(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판부(42)를 받침부(41)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받침부(41)에 밀착되도록 접는다.
도 6, 7과 같이 받침부(41) 하부에는 레일부(411)가 구비된다. 레일부(411)는 베이스 프레임(11)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홈(111)에 대응 결합된다. 레일부(411)는 레일 홈(111)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부(411)은 레일 홈(111)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레일 홈(111)에 부합하는 "┫"와 같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부(411) 저면에는 탄성돌기(412)가 구비된다. 탄성돌기(412)는 레일부(411) 저면에 대응하는 레일 홈(111) 면을 따라 구비되는 톱니형 요철부(112)를 따라 이동한다. 책상(40)을 힘을 주어 밀면 탄성돌기(412)가 요철부(11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책상(4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돌기(412)는 요철부(112)를 이동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요철부(1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책상(4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책상(40)에서 힘을 제거하면 탄성돌기(412)가 요철부(112)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책상(40)이 멈추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제1 운동부재(311)와 제2 운동부재(312)를 구동하는 당김부재(331) 및 윈치(332)가 베이스 프레임(11)의 외측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김부재(331) 및 윈치(332)를 베이스 프레임(11)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사용자는 하체 스트레칭 운동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11) 위에 앉는다. 이때 바르고 안정된 자세 유지를 위해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12)에 밀착한다.
사용자는 지지부재(20)가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앉는다. 지지부재(20)의 위치가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을 경우 지지부재(20)를 위치조절부(210)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다음 지지부재(20)의 결합봉(21)을 위치조절부(210)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공(211) 중 원하는 위치의 결합공(211)에 결합하여 지지부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가 다를 수 있으나, 지지부재(20)는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가 다르더라도 운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고정부재로 사용자의 하체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양쪽 다리의 무릎 부근은 제1 고정부재(31)로 고정한다. 양쪽 다리의 발목 부근은 제2 고정부재(32)로 고정한다. 하체 고정시 제1 고정부재(31)와 제2 고정부재(32)의 절개 부위를 통해 고정하고자 하는 하체 부위를 넣고 절개 부위에 마련된 탈부착 부재(300)로 제1 고정부재(31)를 연결하고, 제2 고정부재(32)를 연결한다.
위에서 지지부재(20)의 위치를 먼저 조절하고 하체 고정부재를 나중에 결합한다고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하체 고정부재를 먼저 결합하고 지지부재(20)의 위치를 나중에 조절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20)와 하체 고정부재의 조작순서는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하체의 고정이 완료되면 작동버튼(50)을 눌러 운동장치를 구동한다. 작동버튼(50)은 전선이 연결되는 유선형 또는 리모트컨트롤(remote control) 형태일 수 있다. 작동버튼(50)을 누르면 윈치(332)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윈치(332)가 회전한다. 윈치(332)의 회전작동에 의해 당김부재(331)가 당겨진다. 윈치(332)가 당김부재(331)를 끌어당기면 당김부재(331)와 연결된 제1 이동부재(311)와 제2 이동부재(312)가 가이드 부재(320)를 따라 이동한다.
사용자의 하체는 제1 이동부재(311)와 제2 이동부재(312)에 구비된 제1 고정부재(31)와 제2 고정부재(3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이동부재(311)와 제2 이동부재(312)의 전진 운동에 따라 사용자의 양다리가 당겨지면서 하체 스트레칭이 이루어진다.
지지부재(20)는 사용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하체를 당기더라도 사용자가 앞으로 당겨지거나 쏠리지 않는다. 또한, 지지부재(20)를 손으로 잡을 경우 안정감이 배가될 수 있다.
하체 스트레칭 운동과 동시에 독서를 즐기고 싶을 경우 책상(40)의 상판부(42)를 수평으로 펼친 다음 상판부(42)에 책을 올려놓고 독서를 즐기면 된다. 책상(40)은 사용자의 배나 가슴 부위 쪽으로 밀착시키거나 배나 가슴 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는 등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편안히 누운 상태에서 스트레칭 운동을 즐기고 싶을 경우에는 레버(121)를 당기거나 눌러 등받이(12)가 베이스 프레임(11)과 수평을 이루도록 등받이(12)를 완전히 편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는, 앉은 자세 또는 누운 자세에서 하체 스트레칭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스트레칭 운동과 더불어 독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운동과 독서를 함께 즐길 수 있고 사용이 매우 편리하기 때문에 운동이 부족하고 바쁜 현대인들에게 최적의 운동기구이다. 또한, 편안한 자세를 통한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본체 11:베이스 프레임
12:등받이 20:지지부재
21:결합봉 31:제1 고정부재
32:제2 고정부재 40:책상
41:받침부 42:상판부
50:작동버튼 111:레일 홈
112:요철부 121:레버
210:위치조절부 211:결합공
300:탈부착 부재 311:제1 이동부재
312:제2 이동부재 320:가이드 부재
331:당김부재 332:윈치
411:레일부 412:탄성돌기

Claims (13)

  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일단에 구비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등받이보다 앞쪽 베이스 프레임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보다 앞쪽 베이스 프레임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위치 이동이 가능한 책상이 구비되고,
    상기 책상은,
    하부가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받침부의 상부와 연결되면서 받침부의 상부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판부; 를 포함하는 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봉은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조절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공에 대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은 나사봉이고, 상기 결합봉은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무릎 부근을 고정하는 좌, 우 한 쌍의 제1 고정부재; 및
    제1 고정부재 보다 앞에 위치하면서 발목 부근을 고정하는 좌, 우 한 쌍의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운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의 일단은 절개되고 절개 부위에는 절개 부위를 연결하는 탈부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부재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제1 이동부재에 구비되고, 제2 고정부재는 제2 이동부재에 구비되며, 제1 이동부재 및 제2 이동부재는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제2 이동부재는 개별 작동 또는 동시 작동 가능하도록 당김부재에 의해 윈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하부에 구비되는 레일부는 베이스 프레임 일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홈에 대응 결합되어 레일 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 저면에는 탄성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돌기는 레일 홈에 구비되는 요철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KR1020150124151A 2015-09-02 2015-09-02 운동장치 KR10160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51A KR101605708B1 (ko) 2015-09-02 2015-09-02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151A KR101605708B1 (ko) 2015-09-02 2015-09-02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708B1 true KR101605708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151A KR101605708B1 (ko) 2015-09-02 2015-09-02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3497A (zh) * 2018-09-30 2019-03-12 深圳市科迈爱康科技有限公司 交互式训练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708B2 (ja) * 1995-04-17 2001-02-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プラントの支持構造
KR101057361B1 (ko) * 2009-02-16 2011-08-17 유재웅 신체교정용 침대
KR101157009B1 (ko) * 2011-10-12 2012-06-21 이성완 골반 및 하체교정장치
KR200463280Y1 (ko) * 2010-05-27 2012-10-25 김현수 무릎관절용 이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708B2 (ja) * 1995-04-17 2001-02-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プラントの支持構造
KR101057361B1 (ko) * 2009-02-16 2011-08-17 유재웅 신체교정용 침대
KR200463280Y1 (ko) * 2010-05-27 2012-10-25 김현수 무릎관절용 이완장치
KR101157009B1 (ko) * 2011-10-12 2012-06-21 이성완 골반 및 하체교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3497A (zh) * 2018-09-30 2019-03-12 深圳市科迈爱康科技有限公司 交互式训练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53497B (zh) * 2018-09-30 2021-02-05 深圳市科迈爱康科技有限公司 交互式训练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258145U (zh) 一种康复训练设备以及康复训练系统
US11541277B2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US99498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US10888476B2 (en) Standing chair
JP2015036115A (ja) マッサージチェア
US4838249A (en) Lower back therapy device
FI123644B (fi) Selän hoitolaite
KR20130086672A (ko) 자동 안마장치
KR101665054B1 (ko) 하체 및 복부 단련용 운동기구
KR101605708B1 (ko) 운동장치
KR20170114874A (ko) 복근강화 및 수족지압 의자
KR20110002690U (ko) 허리지지 벨트를 구비하는 거꾸리 운동장치
JP6612386B2 (ja) 健康器具
KR101935587B1 (ko) 교체 장착이 가능한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JP2009022789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07252674A (ja) 施療機
TWM581487U (zh) Sports chair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CN110787421A (zh) 三角形仰卧起座健身器
CN217794336U (zh) 一种舞蹈柔韧性训练器
JP2005074138A (ja) 座位補助具
CN220834018U (zh) 下肢训练器
CN214105730U (zh) 一种仰卧起坐辅助器
CN217091403U (zh) 一种复合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