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663B1 -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663B1
KR101605663B1 KR1020157006859A KR20157006859A KR101605663B1 KR 101605663 B1 KR101605663 B1 KR 101605663B1 KR 1020157006859 A KR1020157006859 A KR 1020157006859A KR 20157006859 A KR20157006859 A KR 20157006859A KR 101605663 B1 KR101605663 B1 KR 101605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parameter
bin
context
image
binary arith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830A (ko
Inventor
게이이치 조노
히로후미 아오키
유조 센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4Measured or subjectively estimated visual quality after decoding, e.g. measurement of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variable length code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부(11); 양자화 파라미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연산부(12);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有意)할 경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正負)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수단(1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METHOD FOR CODING VIDEO QUANTIZATION PARAMETER AND METHOD FOR DECODING VIDEO QUANTIZATION PARAMETER}
본 발명은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복호 장치 등에 적합하게 적용 가능한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프로그램,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는, 각각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CABAC: 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도 15는 CABAC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기술에 있어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이후, 일반적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라고 함)는, 예측기(101), 버퍼(102), 2치화기(1030),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 및 스위치(SW)(111)를 포함한다.
예측기(101)로부터 공급되는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PQP: Predicted QP)는, 일반적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입력되는 양자화 파라미터(QP: Quantization Parameter)로부터 감해진다. PQP가 감해진 QP를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QP: Delta QP)라고 한다.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 PQP는, 마지막에 재구축된 화상 블록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LastRQP: Last Reconstructed QP)이다. 비특허문헌 2에 있어서, PQP는, 좌측에 인접하는 화상 블록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LeftRQP: Left Reconstructed QP) 또는 마지막에 재구축된 화상 블록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LastRQP)이다.
이후의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를 위해, PQP가 DQP에 더해지고 그 합이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RQP: Reconstructed QP)로서 버퍼(102)에 저장된다.
2치화기(1030)는, DQP를 2치화하여, bin string을 얻는다. bin string 중 하나의 비트를 bin이라고 한다. bin string에 있어서, 처음에 2치 산술 부호화되는 bin을 제1 bin(1st bin)이라고 하고, 2번째로 2치 산술 부호화하는 bin을 제2 bin(2nd bin)이라고 하며, n번째로 2치 산술 부호화하는 bin을 제n bin(nth bin)이라고 한다. bin 및 bin string은, 비특허문헌 1의 3.9 및 3.12에서 정의되어 있다.
도 16은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DQP(최우측열)와 Bin string(중앙열) 간의 대응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에 있어서의 최좌측열의 bin string index는, DQP 값에 대응하는 bin string의 인덱스를 표시한다. bin string index는, DQP가 0일 경우에 1이고, DQP가 0보다 클 경우에 2*DQP-1이고, DQP가 0 미만일 경우에 -2*DQP+1이다(여기서, "*"는 곱셈을 나타냄).
도 16에 있어서의 최하측행의 Context index는, 대응하는 열의 bin의 2치 산술 부호화에 이용하는 컨텍스트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DQP=-1에 대응하는 bin string은 110이며, 제1 bin의 값은 1, 제2 bin의 값은 1, 제3 bin의 값은 0이다. 제1 bin의 2치 산술 부호화에 이용하는 Context index는 0이고, 제2 bin의 2치 산술 부호화에 이용하는 Context index는 2이며, 제3 bin의 2치 산술 부호와에 이용하는 Context index는 3이다. 여기서 언급한 컨텍스트는, bin의 우세 심볼(PS: Most Probable Symbol)과 그 발생 확률의 조합이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스위치(111)를 통해 공급되는 bin string의 각 bin을 선두로부터 대응하는 Context index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부호화한다. 또한,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이후의 2치 산술 부호화를 위해, 2치 산술 부호화한 bin의 값에 따라 Context index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의 상세한 동작은 비특허문헌 1의 9.3.4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상술한 동작에 의거하여, 입력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한다.
ISO/IEC 14496-10 Advanced Video Coding "WD3: Working Draft 3 of High-Efficiency Video Coding", Document: JCTVC-E603,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JCT-VC) of ITU-T SG16 WP3 and ISO/IEC JTC 1/SC29/WG11 5th Meeting: Geneva, CH, 16-23 March, 2011
일반적인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의(有意)한 DQP의 양음(正負)에 관한 정보와 유의한 DQP의 절대값에 관한 정보를 구별하지 않고 2치화한다. 따라서, 이하의 3개의 요인에 기인하여, 유의한 DQP를 적합하게 부호화할 수 없는 과제가 있다.
제1 요인은, 제2 bin(2nd열의 bin)과 그 이후의 bin(3rd 이후의 열의 bin)이, 1개의 bin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3개 이상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적절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할 수 없는 것이다. 1개의 bin으로 표현 가능한 정보는 어떤 2개의 상태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이다. 그러나, 제2 bin과 그 이후의 bin은, 1개의 bin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3개 이상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서, 제2 bin은, DQP의 양음의 정보, 및 유의한 DQP의 절대값이 1 이상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후속하는 제3 이후의 bin(3rd 이후의 열)은, DQP의 양음의 정보와 유의한 DQP의 절대값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1개의 bin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3개 이상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bin과 그 이후의 bin은, 적절한 컨텍스트에 의해 2치 산술 부호화할 수 없다.
제2 요인은, DQP의 치역(値域)이 양과 음 사이에서 비대칭일 경우에, 용장한 bin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없는 것이다. DQP의 치역이 양과 음 사이에서 비대칭이면, 전송되지 않은 DQP의 bin string의 존재에 의해, 용장한 bin을 줄이지 않고 특정한 DQP를 부호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2에 의해 정해지는 DQP의 치역은 -26 내지 25이며, DQP의 치역은 양과 음 사이에서 비대칭이다. 도 16에서, 전송하지 않은 DQP=26의 bin string의 존재에 의해, 용장한 제52 및 제53 bin을 줄이지 않고 DQP=-26를 부호화할 필요가 있다.
제3 요인은, 유의한 DQP의 양음의 정보와 유의한 DQP의 절대값을 독립적으로 2치화할 경우의 bin의 개수에 대하여, 일반적인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가 취급하는 bin string에 포함되는 bin의 개수가 약 2배가 되는 것이다. bin의 개수가 많으면, 부호화 데이터의 양이 늘어나며, 또한, DQP의 부호화 처리 및 복호 처리의 스피드도 저하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요인을 해소함으로써,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를 적합하게 부호화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은,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부호화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으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QP)를 2치화하여 얻어지는 비트열에 있어서의 각 비트),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은,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복호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으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부호화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과, 양자화 파라미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과,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는,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복호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과,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프로그램은,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부호화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의 컴퓨터에,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처리와, 양자화 파라미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처리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프로그램은,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복호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의 컴퓨터에,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처리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를 적합하게 부호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DQP과 Bin string의 대응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3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제4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DQP와 Bin string의 대응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기능을 실현 가능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일반적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DQP와 Bin string의 대응표의 일반적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예측기(101), 버퍼(102), 2치화기(1031),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 2치 산술 부호화기(105), 스위치(SW)(111) 및 스위치(SW)(112)를 포함한다.
예측기(101)로부터 공급되는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PQP)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입력되는 양자화 파라미터(QP)로부터 감해진다.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DQP)(DQP=QP-PQP)에는, 이후의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를 위해, PQP가 더해지고 그 합이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RQP)(RQP=DQP+PQP)로서 버퍼(102)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특징인 2치화기(1031)는, 입력되는 DQP를, DQP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1 bin(bin(1))에 대응시키고, 유의한 DQP가 양인지 음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2 bin(bin(2))에 대응시키고, DQP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bin과 그 이후의 bin(bin(n): n=3, 4, …)에 대응시켜 2치화한다. 정식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된다.
bin(1)=func1(DQP) …(1)
bin(2)=func2(DQP) …(2)
bin(n)=func3(n-2, |DQP|) …(3)
여기서, func1(a)은 a가 0이면 0, 0이 아니면 1을 반송하는 함수, func2(a)는 a가 양이면 0, 양이 아니면 1을 반송하는 함수, func3(a, b)은, a가 b 미만이면 1, 그렇지 않으면 0을 반송하는 함수이다. 한편, DQP가 유의한 값일 경우(즉, func1(DQP)이 1일 경우)에만, bin(n)(n=2, 3, …)은 부호화된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스위치(111)를 통해 공급되는 bin string의 제2 bin 이외의 각 bin(bin(n): n=1, 3, 4, …)을 bin에 대응하는 Context index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부호화하고, 스위치(112)를 통해 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이후의 2치 산술 부호화를 위해, 2치 산술 부호화한 bin의 값에 따라, Context index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2치 산술 부호화기(105)는, 등확률로, 스위치(111)를 통해 공급되는 bin string의 제2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고, 스위치(112)를 통해 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구성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2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특징인, 2치화기(1031),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 및 2치 산술 부호화기(105)의 동작을 설명한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초기값 파라미터 n을 3으로 설정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101에서는, 2치화기(1031)는, DQP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1 bin에 대응시키고, 유의한 DQP가 양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2 bin 에 대응시키고, DQP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bin과 그 이후의 bin에 대응시켜 DQP를 2치화한다.
스텝 S102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bin(1)을 적응 2치 산술 부호화한다.
스텝 S103에서는, 2치 산술 부호화기(105)는, DQP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DQP가 유의한 경우에, 2치 산술 부호화기(105)는 스텝 S104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2치 산술 부호화기(105)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4에서는, 2치 산술 부호화기(105)는, bin(2)을 2치 산술 부호화한다. 스텝 S105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bin(n)을 적응 2치 산술 부호화한다.
스텝 S106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bin string의 모든 bin을 부호화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모든 bin을 부호화했을 경우에,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는, 후속하는 bin(n)을 적응 2치 산술 부호화하기 위해, n을 인크리먼트하여 스텝 S105로 진행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의 특징인, 2치화기(1031),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104), 및, 2치 산술 부호화기(105)의 동작 설명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QP(최우측 열)와 Bin string(중앙 열) 간의 대응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서, bin string의 제2열째의 X는, DQP가 양인지의 여부, 즉, DQP의 양음을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를 나타낸다. X=0을 양, X=1을 음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면, DQP=1의 bin string은 100, DQP=-1의 bin string은 110이다. 한편, Context index의 행에 있어서의 na는, 컨텍스트를 이용하지 않음(즉, 우세 심볼과 그 발생 확률이 고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2치화 처리에 의해, 상술한 과제의 기인인 3개의 요인은 이하와 같이 해소된다.
제1 요인은, 제2 bin과 그 이후의 bin을 적절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부호화됨으로써 해소된다. 도 3에서, 제2 bin은, DQP의 양음의 정보, 즉, 어느 2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만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제3 bin은, DQP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의 여부의 정보, 즉, 어느 2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만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2 bin 및 제3 bin은 적절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부호화된다. 마찬가지로, 제4 bin과 그 이후의 bin에 대해서도, Context index를 열에 따라 더함으로써, DQP의 절대값이 주어진 값보다 큰지의 여부의 정보, 즉, 어느 2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만을 나타내도록 설계 가능해진다.
제2 요인은, 제2 bin의 값으로부터 복호기가 DQP의 양음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DQP의 치역이 양과 음 사이에서 비대칭이어도 부호화기가 용장한 bin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음으로써 해소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 DQP=-26을 부호화할 때에, DQP의 최소값이 -26이므로, 제27 bin이 1이 된 시점에서 복호측이 DQP=-26임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용장한 제28 bin을 부호화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DQP=25를 부호화할 때에, DQP의 최대값이 25이므로, 제26 bin이 1이 된 시점에서 복호측이 DQP=25임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용장한 제27 bin을 부호화하지 않아도 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대응표와 도 3에 나타내는 대응표를 비교하면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요인은, bin string에 포함되는 bin의 개수가, 유의한 DQP의 양음의 정보와 유의한 DQP의 절대값을 독립적으로 2치화할 경우의 bin의 개수와 같아짐으로써 해소된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대응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는, 예측기(201), 버퍼(202), 2치화 해제기(2031),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 2치 산술 복호기(205), 스위치(SW)(211) 및 스위치(SW)(212)를 포함한다.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스위치(212)를 통해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bin(1)을 2치 산술 복호하여 스위치(211)를 통해 2치화 해제기(2031)에 공급한다. 또한,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이후의 2치 산술 복호를 위해, 2치 산술 복호한 bin의 값에 따라, 제1 bin에 대응하는 Context index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bin(1)이 1일 경우, 2치 산술 복호기(205)는, 스위치(212)를 통해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bin(2)을 2치 산술 복호하여 스위치(211)를 통해 2치화 해제기(2031)에 공급한다.
bin(1)이 1일 경우, 또한,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스위치(212)를 통해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로부터, 0의 값의 bin을 복호할 때까지, bin(n)(n=3, 4, …)을 2치 산술 복호하여 스위치 SW(201)를 통해 2치화 해제기(2031)에 공급한다.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이후의 2치 산술 복호를 위해, 2치 산술 복호한 bin의 값에 따라, 제n bin에 대응하는 Context index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갱신한다.
2치화 해제기(2031)는, bin string이 0일 경우(n=1일 경우), 0의 값의 DQP를 출력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n≥3일 경우), 이하의 계산식에 의해 얻어지는 값의 DQP를 출력한다.
DQP=(1-2*bin(2))*(n-2) …(4)
여기서, 식 (4)에서의 "*"는 곱셈을 나타낸다.
2치화 해제기(2031)로부터 공급되는 DQP에, 예측기(201)로부터 공급되는 PQP가 더해져서, RQP를 얻는다.
또한, RQP는, 이후의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를 위해, 버퍼(202)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구성 설명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5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특징인, 2치화 해제기(2031),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 및 2치 산술 복호기(205)의 동작을 설명한다.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초기값 파라미터 n을 3으로 설정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201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bin(1)을 적응 2치 산술 복호한다.
스텝 S202에서는, 2치 산술 복호기(205)는, bin(1)의 값이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1"은, DQP가 유의한 것을 나타낸다. bin(1)의 값이 1이면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텝 S206으로 진행된다.
스텝 S203에서는, 2치 산술 복호기(205)는, bin(2)을 2치 산술 복호한다. 스텝 S204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bin(n)을 적응 2치 산술 복호한다.
스텝 S205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모든 bin을 복호했는지의 여부, 즉, bin(n)의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모든 bin을 복호했을 경우, 스텝 S206으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후속하는 bin(n)을 적응 2치 산술 복호하기 위해, n을 인크리먼트하여 스텝 S204로 진행된다.
스텝 S206에서는, 2치화 해제기(2031)는, 복호한 bin string을 2치화 해제하여, DQP를 결정한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특징인, 2치화 해제기(2031),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 및 2치 산술 복호기(205)의 동작 설명을 종료한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DQP의 치역에 제약이 없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를 나타냈다. DQP의 치역에 제약이 있을 경우, DQP의 치역을 이용하여, 용장한 DQP의 bin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DQP의 치역(최소 DQP와 최대 DQP의 조합)을 이용하도록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를 개량한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의 2치화기(1032)는, 최소 DQP(minDQP≤0)와 최대 DQP(maxDQP≥0)의 조합을 이용한다. 2치화기(1032)는, 이하의 식에 의해 DQP의 제1 bin과 제2 bin, 및 제3 bin과 그 이후의 bin의 최대 개수 cMax를 계산한다.
bin(1)=func1(DQP) …(5)
bin(2)=func2(DQP) …(6)
cMax=max(0, func4(minDQP, maxDQP, DQP)-1) …(7)
여기서, func4(a, b, c)는, c가 음일 경우 -a, c가 양일 경우 b를 반송하는 함수이다. DQP가 유의한 값일 경우(즉, func1(DQP)이 1일 경우)에만, bin(n)(n=2, 3, …)은 부호화된다.
cMax≥1일 때, 2치화기(1032)는, 이하의 식에 의해 bin(n)(n=3, …, 2+cMax)을 계산한다.
bin(n)=func5(n-2, cMax, |DQP|) …(8)
여기서, func5(a, b, c)는, b와 c가 동등할 경우에 1을 반송하고, c가 b 미만이며, 또한 a가 c 미만일 경우에 1을 반송하고, 그 밖의 경우(c가 b 미만이며, 또한 a가 c와 동등할 경우)에 0을 반송하는 함수이다. 식 (8)에 의해 얻어지는 제3 bin과 그 이후의 bin(신택스 요소값 |DQP|로 함)은, 비특허문헌 1의 9.3.2.2에 기재되어 있는 Truncated unary(TU) binarization process에 의해 얻어지는 Bin string의 bin과 같다.
도 6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대응하는 도 7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 2치화 해제기(2032)는, minDQP, maxDQP, 및 2치 산술 복호한 bin(2)에 의거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cMax를 계산한다.
cMax=max(0, func6(minDQP, maxDQP, bin(2))-1) …(9)
여기서, func6(a, b, c)은, c가 1일 경우(즉, func2(a)의 정의에 따라, 복호하는 DQP의 값이 음일 경우) -a를 반송하고, c가 0일 경우(즉, func2(a)의 정의에 따라, 복호하는 DQP의 값이 양일 경우) b를 반송하는 함수이다.
또한, 2치화 해제기(2032)는 DQP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Max≥1이며, 또한, 마지막에 복호한 bin의 값이 1일 경우, 2치화 해제기(2032)는 이하의 식 (10)을 이용한다.
DQP=(1-2*bin(2))*(n-1) …(10)
cMax=0이며 또한 bin(1)=1일 경우, 2치화 해제기(2032)는 이하의 식 (11)을 이용한다.
DQP=(1-2*bin(2)) …(11)
그 밖의 경우, 2치화 해제기(2032)는 식 (4)를 이용한다.
식 (10) 및 식 (1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2치화 해제기(2032)는, DQP의 치역 및 bin(2)(DQP의 양음의 부호)에 의해 결정되는 제3 bin과 그 이후의 bin의 최대 개수 cMax에 의거하여, 영상 부호화 처리에서 줄어든 용장한 bin의 값을 추정하여, DQP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도 7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2치화 해제기(2032),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 및 2치 산술 복호기(205)의 동작을 설명한다.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초기값 파라미터 n을 3으로 설정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301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bin(1)을 적응 2치 산술 복호한다.
스텝 S302에서는, 2치 산술 복호기(205)는, bin(1)의 값이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bin(1)의 값이 1이면 스텝 S303으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텝 S308로 진행된다.
스텝 S303에서는, 2치 산술 복호기(205)는, bin(2)을 2치 산술 복호한다.
스텝 S304에서는, 2치화 해제기(2032)는, cMax를 계산한다. 스텝 S305에서는, 2치화 해제기(2032)는, cMax가 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cMax가 1 이상이면 스텝 S306으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텝 S308로 진행된다.
스텝 S306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bin(n)을 적응 2치 산술 복호한다.
스텝 S307에서는,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모든 bin을 복호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모든 bin은, bin(n)의 값이 0인 조건, n-2의 값이 cMax와 동등한 조건, 또는 그 양쪽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복호된다. 모든 bin을 복호했을 경우, 스텝 S308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는, 후속하는 bin(n)을 적응 2치 산술 복호하기 위해, n을 인크리먼트하여 스텝 S306으로 진행된다.
스텝 S308에서는, 2치화 해제기(2032)는, 복호한 bin string의 2치화를 해제하여 DQP를 결정한다.
이상에서, 도 7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2치화 해제기(2032), 적응 2치 산술 복호기(204), 및 2치 산술 복호기(205)의 동작 설명을 종료한다.
도 3에는, minDQP=-26, maxDQP=25로 하는, 도 6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 용장한 DQP의 bin을 줄이는 예도 나타나 있다. DQP=-26의 bin string에 관하여, 제27의 bin이 1이 된 시점에서 복호기가 DQP=-26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용장한 제28 bin을 부호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양과 음의 값에서 DQP의 절대값의 치역이 다를 경우에도, DQP의 치역 및 부호화한 제2 bin(DQP의 양음의 부호)을 이용하여, DQP의 양음의 부호 뒤에 부호호하는, DQP의 bin 중에서 용장한 bin을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는, DQP의 절대값의 치역이 양과 음 사이에서 다를 경우에도, DQP의 치역 및 부호화한 DQP의 양음의 부호를 이용하여, DQP의 양음의 부호 뒤에 복호하는 DQP의 bin 중에서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처리에서 줄어든 용장한 bin의 값을 추정하여, DQP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및 복호기에 있어서, minDQP 및 maxDQP를,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최소 QP와 최대 QP의 조합)과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PQP)로부터 생성할 수도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9 및 도 10은, 최소 QP(minQP)와 최대 QP(maxQP)의 조합 및 PQP에 의거하여 minDQP 및 maxDQP를 생성하는, 개량된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과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도 9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치역 결정기(106)를 더 포함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는 치역 결정기(206)를 더 포함한다. 치역 결정기(106, 206)는, 이하의 식에 의해 minDQP와 maxDQP를 계산한다.
minDQP=minQP-PQP …(12)
maxDQP=maxQP-PQP …(13)
치역 결정기(106, 206)를 포함함으로써, 부호화 대상의 QP가 minQP 또는maxQP의 값에 근접할 때에 보다 효과적으로 용장한 bin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minDQP=-26, maxDQP=25로 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및 복호기에 있어서는, 식 (12) 및 (13)을, 이하의 식 (12)' 및 (13)'으로 대체해도 된다.
minDQP=max(-26, minQP-PQP) …(12)'
maxDQP=min(25, maxQP-PQP) …(13)'
상술한 발명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및 복호기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난 예를 사용하는 대신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열 이후의 bin에 대하여 Context index의 값이 고정된 대응표에 의거하여 동작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대응표에서는, 제4열과 그 이후의 열의 bin에 있어서, Context index의 값은 3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제1 bin은, DQP가 유의한지의 여부의 정보, 즉, 어느 2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만을 나타낸다. 제2 bin은, DQP의 양음의 정보, 즉, 어느 2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만을 나타낸다. 제3 bin은, DQP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의 여부의 정보, 즉, 어느 2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만을 나타낸다. 제4 bin과 그 이후의 bin에 대해서는, Bin string이 종단(終端)하는지의 여부의 정보, 즉 어느 2개의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의 정보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DQP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DQP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DQP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3 bin, 및, Bin string이 종단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1 bin에 대응시키고, 유의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양인지 음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2 bin에 대응시키고, 유의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3 bin과 그 이후의 bin에 대응시켜 2치화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의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를 적합하게 부호화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적합한 부호화는,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각 bin에 적절한 컨텍스트가 할당되는 것,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용장한 bin을 줄이는 것,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bin string에 포함되는 bin의 개수를 줄이는 것의 3개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프로세서(1001), 프로그램 메모리(1002),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 매체(1003) 및 비트 스트림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 매체(1004)를 구비한다. 기억 매체(1003)와 기억 매체(1004)는, 별개의 기억 매체여도 되고, 동일한 기억 매체에 포함된 기억 영역이어도 된다. 기억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 메모리(1002)에는, 도 1, 도 4, 도 6, 도 7, 도 9, 도 10의 각각에 나타난 각 블록(버퍼의 블록을 제외함)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 메모리(100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1, 도 4, 도 6, 도 7, 도 9, 도 10의 각각에 나타난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또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는,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부(11)와, 양자화 파라미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연산부(12)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부(13)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는,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부(21)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부(22)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이하의 부기에서 일부 또는 전부 기재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 양자와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으로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줄이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2) 부기 1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3) 부기 2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역을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과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으로부터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4)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영상 부호화 처리에서 줄어든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추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5) 부기 4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6) 부기 5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역을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과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으로부터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7)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로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줄이는 줄임 수단을 포함한다.
(부기 8) 부기 7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 상기 줄임 수단은,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한다.
(부기 9) 부기 8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 상기 줄임 수단은, 상기 치역을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과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으로부터 생성한다.
(부기 10)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제2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로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영상 부호화 처리에서 줄어든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을 포함한다.
(부기 11) 부기 10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 상기 줄임 수단은,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한다.
(부기 12) 부기 11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 상기 줄임 수단은, 상기 치역을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과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으로부터 생성한다.
(부기 13)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으로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의 정보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줄이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14) 부기 13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bin과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에서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15) 부기 13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16)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으로서,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을 복호하여 얻어지는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의 정보와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영상 부호화 처리에서 줄어든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추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17) 부기 16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bin과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에서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복호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18) 부기 16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부기 19)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로서,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의 정보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줄이는 줄임 수단을 포함한다.
(부기 20) 부기 19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 bin과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에서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부호화한다.
(부기 21) 부기 19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 상기 줄임 수단은,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한다.
(부기 22)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로서,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을 복호하여 얻어지는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의 정보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치역을 이용하여, 영상 부호화 처리에서 줄어든 용장한 상기 그 밖의 bin을 추정하는 추정 수단을 포함한다.
(부기 23) 부기 22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 상기 제1 bin과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bin에서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2치 산술 복호한다.
(부기 24) 부기 22에 따른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 상기 줄임 수단은, 상기 치역을 규격 등에 의해 정해진 치역으로 설정한다.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 및 상세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2011년 6월 2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1-142453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를 본 명세서에 포함시킨다.
11: 예측부
12: 연산부
13: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부
21: 예측부
22: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부
101: 예측기
102: 버퍼
1031, 1032: 2치화기
104: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
105: 2치 산술 부호화기
106: 치역 결정부
111: 스위치
112: 스위치
201: 예측기
202: 버퍼
2031, 2032: 2치화 해제기
204: 적응 2치 산술 부호화기
205: 2치 산술 부호화기
206: 치역 결정부
211: 스위치
212: 스위치

Claims (10)

  1.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부호화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으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有意)할 경우,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正負)을 나타내는 sign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들을 2치 산술 부호화하고,
    상기 2치 산술 부호화는, 상기 sign bin에 대해서 컨텍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1 bin에 대해서 제1 컨텍스트를 이용하고, 그 밖의 bin에 대해서 상기 제1 컨텍스트와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2.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복호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으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sign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들을 2치 산술 복호하고,
    상기 2치 산술 복호는, 상기 sign bin에 대해서 컨텍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1 bin에 대해서 제1 컨텍스트를 이용하고, 그 밖의 bin에 대해서 상기 제1 컨텍스트와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3.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부호화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연산 수단;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sign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들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수단은, 상기 sign bin에 대해서 컨텍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1 bin에 대해서 제1 컨텍스트를 이용하고, 그 밖의 bin에 대해서 상기 제1 컨텍스트와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해서 상기 2치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
  4.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복호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로서,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예측 수단;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sign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들을 2치 산술 복호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수단은, 상기 sign bin에 대해서 컨텍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1 bin에 대해서 제1 컨텍스트를 이용하고, 그 밖의 bin에 대해서 상기 제1 컨텍스트와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해서 상기 2치 산술 복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
  5.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부호화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기에 있어서의 컴퓨터에,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양자화 파라미터 및 상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할 경우,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sign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들을 2치 산술 부호화하는 것을 실행시키고,
    상기 2치 산술 부호화는, 상기 sign bin에 대해서 컨텍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1 bin에 대해서 제1 컨텍스트를 이용하고, 그 밖의 bin에 대해서 상기 제1 컨텍스트와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
  6. 컨텍스트 베이스 적응 2치 산술 부호화에 의거한 영상 복호 처리를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를 복호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기에 있어서의 컴퓨터에,
    과거의 재구축 양자화 파라미터로부터 예측 양자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및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가 유의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1 bin,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양음을 나타내는 sign bin, 및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그 밖의 bin들을 2치 산술 복호하는 것을 실행시키고,
    상기 2치 산술 복호는, 상기 sign bin에 대해서 컨텍스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1 bin에 대해서 제1 컨텍스트를 이용하고, 그 밖의 bin에 대해서 상기 제1 컨텍스트와 다른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 기록 매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7006859A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1605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2453 2011-06-28
JPJP-P-2011-142453 2011-06-28
PCT/JP2012/004162 WO2013001808A1 (ja) 2011-06-28 2012-06-27 映像量子化パラメータ符号化方法及び映像量子化パラメータ復号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493A Division KR20130135357A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21A Division KR101643527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830A KR20150036830A (ko) 2015-04-07
KR101605663B1 true KR101605663B1 (ko) 2016-03-28

Family

ID=47423727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513A KR101751671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57006859A KR101605663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67019804A KR101696589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37027493A KR20130135357A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77000384A KR101727449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67006621A KR101643527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513A KR101751671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804A KR101696589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37027493A KR20130135357A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77000384A KR101727449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KR1020167006621A KR101643527B1 (ko) 2011-06-28 2012-06-27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방법 및 영상 양자화 파라미터 복호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40105282A1 (ko)
EP (4) EP3324635B1 (ko)
JP (3) JP5867504B2 (ko)
KR (6) KR101751671B1 (ko)
CN (8) CN107071452B (ko)
AU (3) AU2012277174B2 (ko)
BR (1) BR112013033572B1 (ko)
CA (1) CA2834193C (ko)
ES (4) ES2716933T3 (ko)
MX (3) MX338541B (ko)
PL (4) PL2728864T3 (ko)
RU (5) RU2627099C1 (ko)
TR (3) TR201815834T4 (ko)
WO (1) WO2013001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28864T3 (pl) * 2011-06-28 2018-05-30 Nec Corporation Sposób kodowania parametru kwantowania wideo i sposób dekodowania parametru kwantowania wideo
TR201906561T4 (tr) 2011-07-12 2019-05-21 Nec Corp Video Kod Çözümü İçin Nicemleme Parametresi Kodunun Çözülmesi İçin Kod Çözme Yöntemi Ve Kod Çözücü
US10499056B2 (en) * 2016-03-09 2019-12-0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based on quantization parameter
WO2019009776A1 (en) * 2017-07-05 2019-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CODING VIDEO SAMPLE BLOCK
US11234023B2 (en) * 2019-06-28 2022-01-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eatures of range asymmetric number system encoding and deco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141A (ja) * 2005-06-08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符号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8245T3 (es) * 2000-10-20 2006-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y procedimiento de codificacion/descodificacion para datos de nodo interpolador de la orientacion.
KR100480787B1 (ko) * 2001-11-27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좌표 인터폴레이터의 키 값 데이터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6900748B2 (en) * 2003-07-17 2005-05-3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apparatus for binarization and arithmetic coding of a data value
KR100624432B1 (ko) * 2004-08-05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용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03776B1 (ko) * 2005-04-19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코딩 효율을 갖는 컨텍스트 기반 적응적 산술 코딩및 디코딩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N1878309A (zh) * 2005-06-08 2006-12-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视频编码装置
EP1911290A4 (en) * 2005-07-08 2010-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ODELING A VIDEO SIGNAL CODE INFORMATION FOR COMPRESSING / DECOMPRIMING CODING INFORMATION
CN101218826A (zh) * 2005-07-08 2008-07-0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建模视频信号的编码信息来压缩/解压该信息的方法
CN100584025C (zh) * 2005-08-04 2010-01-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内容自适应的算术解码系统及装置
CN100461863C (zh) * 2005-08-05 2009-02-11 上海富瀚微电子有限公司 基于上下文自适应二进制算术解码器
US7221296B2 (en) * 2005-08-22 2007-05-22 Streaming Networks (Pvt.) Ltd. Method and system for fast context 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US7956930B2 (en) * 2006-01-06 2011-06-07 Microsoft Corporation Resampling and picture resizing operations for multi-resolution video coding and decoding
CN101366284B (zh) * 2006-01-09 2016-08-10 汤姆森许可贸易公司 为多视点视频编码提供降低分辨率更新模式的方法和装置
KR101200535B1 (ko) * 2006-01-12 2012-11-27 (주)휴맥스 매크로블록 기반의 조명 변화에 대한 적응적 움직임예측/보상 장치 및 방법
US7983343B2 (en) * 2006-01-12 2011-07-19 Lsi Corporation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decoding for high definition video
US7626521B2 (en) * 2006-06-08 2009-12-01 Via Technologies, Inc. Decoding control of computational core of programmable graphics processing unit
US7656326B2 (en) * 2006-06-08 2010-02-02 Via Technologies, Inc. Decoding of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es in computational core of programmable graphics processing unit
JP4928176B2 (ja) * 2006-06-27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符号化装置及び映像符号化方法
US8275045B2 (en) * 2006-07-12 2012-09-25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ompression usin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es
US8345767B2 (en) * 2006-12-14 2013-01-01 Nec Corporation Video encoding method, video encoding device, and video encoding program
JP2008160402A (ja) * 2006-12-22 2008-07-10 Canon Inc 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符号化装置
CN101212676B (zh) * 2006-12-29 2010-06-02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高效并行cabac解码方法及其装置
KR101356733B1 (ko) * 2007-03-07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텍스트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장치
US7839311B2 (en) * 2007-08-31 2010-11-23 Qualcomm Incorporated Architecture for multi-stage decoding of a CABAC bitstream
JP5278827B2 (ja) * 2007-09-06 2013-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符号化装置、映像復号装置、映像符号化方法、映像復号方法、映像符号化あるいは復号プログラム
US8782379B2 (en) * 2007-09-27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H.264 video decoder CABAC core optimization techniques
US7777654B2 (en) * 2007-10-16 2010-08-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ematic encoding and decoding
US9008171B2 (en) * 2008-01-0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Two pass quantization for CABAC coders
JP5373909B2 (ja) * 2008-08-19 2013-12-18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圧縮ビデオにおける構文要素のcabac/avc準拠の透かし入れ
US8325796B2 (en) * 2008-09-11 2012-12-04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ding using adaptive segmentation
JP5274317B2 (ja) * 2009-03-17 2013-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符号量推定装置、符号量推定方法、符号量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符号量推定集積回路
US20110274162A1 (en) * 2010-05-04 2011-11-10 Minhua Zhou Coding Unit Quantization Parameters in Video Coding
US9591320B2 (en) * 2010-07-15 2017-03-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ext and bypass encoding video
CN101951516B (zh) * 2010-09-25 2013-06-05 清华大学 基于h.264/avc中cabac的并行编码实现电路及编码方法
US9112526B2 (en) * 2011-06-15 2015-08-18 Sony Corporation Binarization of DQP using separate absolute value and sign (SAVS) in CABAC
PL2728864T3 (pl) * 2011-06-28 2018-05-30 Nec Corporation Sposób kodowania parametru kwantowania wideo i sposób dekodowania parametru kwantowania wide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141A (ja) * 2005-06-08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符号化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 Chono, et al. Efficient binary representation of cu_qp_delta syntax for CABAC. JCT-VC of ITU-T SG16 WP3 and ISO/IEC JTC1/SC29/WG11. JCTVC-F046 Ver.1. Jul. 1 2011, pp.1-10
T. Wiegand, et al. WD3: Working Draft 3 of High-Efficiency Video Coding. JCT-VC of ITU-T SG16 WP3 and ISO/IEC JTC1/SC29/WG11. JCTVC-E603 Ver.7. Jun. 15 2011, pp.1-2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728864T3 (pl) 2018-05-30
ES2694381T3 (es) 2018-12-20
EP3324634A1 (en) 2018-05-23
CN103597829A (zh) 2014-02-19
BR112013033572A2 (pt) 2017-02-07
JP5867504B2 (ja) 2016-02-24
CA2834193A1 (en) 2013-01-03
EP2728864B1 (en) 2017-12-27
RU2627099C1 (ru) 2017-08-03
EP3324634B1 (en) 2018-12-19
EP2728864A4 (en) 2015-03-25
BR112013033572B1 (pt) 2022-02-15
PL3324635T3 (pl) 2019-02-28
TR201901502T4 (tr) 2019-02-21
MX352866B (es) 2017-12-13
JP2016086430A (ja) 2016-05-19
KR101727449B1 (ko) 2017-04-14
US20140105282A1 (en) 2014-04-17
EP3324635A1 (en) 2018-05-23
AU2016250440B2 (en) 2018-01-25
KR20160037240A (ko) 2016-04-05
KR20130135357A (ko) 2013-12-10
CN106878739A (zh) 2017-06-20
EP3324635B1 (en) 2018-10-03
PL3324633T3 (pl) 2019-06-28
CN106878714A (zh) 2017-06-20
CN107071454A (zh) 2017-08-18
CN107105274B (zh) 2020-01-21
CN107071452B (zh) 2019-03-05
AU2012277174B2 (en) 2015-10-29
PL3324634T3 (pl) 2019-06-28
KR101643527B1 (ko) 2016-07-27
EP3324633B1 (en) 2018-12-12
WO2013001808A1 (ja) 2013-01-03
JP2016116238A (ja) 2016-06-23
AU2012277174A1 (en) 2013-10-17
AU2016200045B2 (en) 2016-09-29
KR20170005522A (ko) 2017-01-13
JP5892287B1 (ja) 2016-03-23
CN107105274A (zh) 2017-08-29
TR201815834T4 (tr) 2018-11-21
CN107071453A (zh) 2017-08-18
KR20170042810A (ko) 2017-04-19
AU2016200045A1 (en) 2016-01-28
CN106454366A (zh) 2017-02-22
KR101696589B1 (ko) 2017-01-13
CN107071452A (zh) 2017-08-18
RU2653256C1 (ru) 2018-05-07
KR20150036830A (ko) 2015-04-07
ES2660911T3 (es) 2018-03-26
JP6146492B2 (ja) 2017-06-14
ES2715749T3 (es) 2019-06-06
ES2716933T3 (es) 2019-06-18
EP3324633A1 (en) 2018-05-23
RU2664403C1 (ru) 2018-08-17
KR101751671B1 (ko) 2017-06-27
MX338541B (es) 2016-04-21
TR201901869T4 (tr) 2019-03-21
JPWO2013001808A1 (ja) 2015-02-23
MX2013012728A (es) 2013-12-06
CN103597829B (zh) 2017-03-22
CA2834193C (en) 2016-11-29
AU2016250440A1 (en) 2016-11-17
RU2636125C1 (ru) 2017-11-20
RU2571404C2 (ru) 2015-12-20
RU2013157100A (ru) 2015-08-10
EP2728864A1 (en) 2014-05-07
KR20160090401A (ko) 2016-07-29
CN106878714B (zh)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4403C1 (ru) Способ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а квантования видео и способ для декодир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а квантования видео
RU2638009C1 (ru)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ов квант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ов квант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AU2015252148B2 (en) Image quantization parameter encoding method and image quantization parameter deco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