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351B1 -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351B1
KR101605351B1 KR1020150109041A KR20150109041A KR101605351B1 KR 101605351 B1 KR101605351 B1 KR 101605351B1 KR 1020150109041 A KR1020150109041 A KR 1020150109041A KR 20150109041 A KR20150109041 A KR 20150109041A KR 101605351 B1 KR101605351 B1 KR 10160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erminal
site
tethering
sit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김민수
현창언
Original Assignee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72Virtual priva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transpor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임베디드 PLC 제어에 의하여 감시 대상 기기의 측정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통합형 현장서버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있어, 현장서버의 미공개 SSID와 단말의 앱 실행으로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한 현장서버의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접속된 단말에서 현장서버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 및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고,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현장서버의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 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단말과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의 감시대상기기의 운연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따라 기존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통신망의 고장으로 인한 해당 감시 대상 기기의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서버의 제어에 따라 현장에 마련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구동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고장 발생한 현장의 고장 원인 분석을 실행함에 따라 보다 정밀한 고장 원인 분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YSTEM USING LOCAL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개의 감시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현장서버와 복수 개의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유지 보수자가 휴대한 단말에 의해 형성된 Wi-Fi 망과 이동 통신망을 통해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각종 산업용 기기나 공조 빌딩 제어기기 또는 각종 가전제품 등과 같이 제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춘 제어기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제어가 필요하게 되는 바, 최근에는 이러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인터넷 망과 같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제어기의 모니터링을 위한 일반적인 웹서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제어기(2)는 RS-232 또는 RS-485와 같은 범용 통신 수단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4)을 통하여 웹서버(6)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웹서버(6)는 PC/UNIX 웹서버로 이루어지며 인터넷 통신망과 연결되어 원격지에 위치한 PC/UNIX 원격감시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단말(8)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웹서버(6)는 상기 통신모듈(4)을 통해 제어기(2)로부터의 모니터링용 데이터를 RS-232 포트와 같은 데이터 포트를 통해 제공받아 인터넷 망을 통해 네트워크 단말(8)로 송신하게 된다.
즉, 원격감시 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된 다양한 제어대상 및 감시대상 기기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이 네트워크 단말(8)의 제어에 따라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며, 제어 및 감시대상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단말(8)의 제어명령이나 제어 및 감시대상 기기에서 얻은 데이터도 네트워크 단말(8)로 수시로 보고되어야 한다.
통상 현장 별 및 규모별로는 펌프와 같은 해당 제어 대상기기나 계측기와 같은 감시대상기기를 무인 운전하기 위한 제어기(2)가 감시대상기기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통신모듈(4)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어기(2)는 입출력포트나 통신모듈(4)을 통해 유무선으로 제어 결과값이나 계측값을 포함하는 각종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각종 측정 데이터를 통신모듈(4)에 연결된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 단말(8)로 보고하며, 상위 네트워크 단말(8)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서 각종 제어나 감시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 제어기(2)는 각종 통신기기와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서 감시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원거리에 설치된 시설물의 안정적인 무인화 운전을 위한 방법으로는 대부분이 통신모듈(4)의 텔레메타 방식으로 구성되어 원격감시제어를 하고 있지만 기간 통신망 (한국통신시설망 등)의 낙뢰, 단선, 소자불량, 서지유입, 외부통신기기의 셧다운(shut down) 등으로 적지 않게 통신 장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통신 장애는 감시 대상 기기와 제어기 간의 통신하는 감시 데이터에 대한 오류의 발생 원인되고 이러한 감시 데이터의 오류는 감시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에 영향을 미친다.
즉, 상위 네트워크 단말(8)에서 감시대상 기기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하여 감사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및 기록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감시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현장서버와 복수 개의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유지 보수자가 휴대한 단말에 의해 형성된 Wi-Fi 망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함으로써,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에 따른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 각각에 마련된 감시 대상 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현장서버와 복수 개의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시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시간을 최소로 단축할 수 있는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은,
핫스팟 구축이 가능하고 각각의 현장에 마련된 감시 대상 기기에 대한 측정, 분석 및 고장 진단을 수행하여 감시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형 현장서버; 복수개의 현장서버와 접속되어 복수개의 현장서버 및 각각의 현장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서버에 의해 구축된 핫스팟 존을 통해 상기 현장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현장서버 및 관리서버 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은, 상기 현장서버에 의해 구축된 핫스팟에 접속하기 위한 앱이 설치되고,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라 핫스팟 무선망을 통해 현장서버와 접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장서버는 미공개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로 핫스팟을 구성하며, 상기 단말은 앱에 의해 관리 서버에서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현장서버에 핫스팟 테더링을 요청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현장 서버에는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SSL_VPN을 탑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장서버는 구축된 핫스팟 테더링을 요청한 단말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고 유효 단말인 경우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와 접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관리서버와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모드로 전환,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 후, 테더링 가능한 단말과 테더링을 실행하여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과 현장서버의 테더링은, Wi-Fi 테더링 또는 USB 테더링으로 이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현장서버는 POE 포트를 통해 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에 접속되어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현장서버에서 미공개 SSID로 핫스팟 존을 구축하는 (a) 단계; 및 핫스팟 존에 진입한 단말이 앱의 구동으로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핫스팟 테더링이 요청된 경우 현장서버에서 핫스팟 테더링이 요청된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실행하여 인증 성공 시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단말과 현장서버가 접속되어 단말에서 현장 서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바람직하게 현장서버에서 기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운영 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축된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는 (c) 단계; 현장서버에서 Wi-Fi모드로 전환 후 테더링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고 테더링 가능한 단말을 통해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Wi-Fi를 통해 테더링된 단말로 전달하는 (d) 단계; 및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임베디드 PLC 제어에 의하여 감시 대상 기기의 측정 데이터에 따라 감시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통합형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있어, 현장서버의 미공개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접속된 단말에서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 및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현장서버의 핫스팟을 종료하고 Wi-Fi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단말과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따라 기존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통신망의 고장으로 인한 해당 감시 대상 기기의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서버의 제어 하에서 현장에 마련된 카메라가 구동하고 구동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현장의 고장 원인 분석을 실행함에 따라, 보다 정밀한 고장 원인 분석이 가능한 잇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원격 제어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의 정상 동작 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신호 흐름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정상 동작 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에서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신호 흐름을 보인 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장치는, 현장서버에 의해 미공개 SSID로 구축된 핫스팟 존에 운영자가 소지한 단말이 접근하면, 단말에서 실행되는 앱에 의해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현장서버와 핫스팟 테더링을 구성하여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 및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장치는 복개의 현장에 각각 마련되고 각각의 현장의 다수의 감시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복수개의 통합형 현장서버(101-10N), 관리서버(300), 및 단말(50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현상 서버(101-10N) 각각에는 각 현장 별 특화되어 설치된 감시대상 기기들로부터 수집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검사 대상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감시 대상 기기라 함은, 다양한 산업 현장에 설치되는 다양한 기계, 전기 설비 및 계측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환경 또는 장비의 특성에 따라 구동을 감시 대상 기기의 구동을 단속하는 기계 구동 스위치, 구동 모터를 주파수로 제어하는 인버터, 감시 대상 기기의 순차 제어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된 PLC, 전원이 공급되지 아니한 경우를 대비한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현장의 전력 시설의 전류, 전압, 전력, 역률, 온도 등의 감시하는 계측기, 지시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감시 대상 기기 각각은 감시 대상 기기와 매칭되어 기 저장된 임베디드 PLC 제어를 통해 제어된다.
여기서, 임베디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모듈을 통하여 로직 기능, 시퀀싱, 타이밍, 카운팅, 연산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여러 종류의 기계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디지털 전자장치로서, 해당 장치를 운전 및 제어함에 있어 열악한 현장상황에서도 잘 견딜 수 있고 온도, 습도나 전기적 노이즈에 강하며 취급이 용이한 구조이므로 무인화 운전에는 PLC 구현이 아주 유효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임베디드 PLC는 계측기기나 변환기, 신호기, 펌프, 모터, 밸브, 신호발생기 등의 다수의 감시대상 기기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을 위해 감시대상 기기에서 얻은 제어결과값이나 계측값을 포함하는 각종 상기 측정 데이터를 전달하고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해당 감시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이 가능한 다양한 메모리 소자로 구현한다.
또한, 현장서버(101-10N)는 관리서버(300)로부터 감시 대상 기기와 매칭되어 기 저장된 임베디드 PLC 제어하에 의해 실행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기능을 가지는 웹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저장 및 실행하고, HMI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현장서버(101)에 의해 감시 대상 기기의 감시, 이력저장, 자료분석 및 제어가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되, 현장서버(101)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프로세스는 별도로 마련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현장서버는 감시 대상 기기의 측정, 분석에 따른 입출력, 제어 및 내부 연산 메모리를 이기종 시스템과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호환 가능한 범용 프로토콜을 탑재하여 유지 보수자 또는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현장서버(101-10N)은 동일한 핫스팟 존과 동일 관리서버에 접속된 다른 현장서버의 원격 접속을 통해 타 현장의 감시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현장서버(101-10N)은 미공개 SSID로 핫스팟 존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핫스팟 존 내에 존재하는 유지 보수자의 단말(500)은 실행되는 앱에 의해 조회된 SSID 보안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핫스팟 테더링을 요청하고 현장서버(101-10N)는 요청된 단말(500)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고 인증 성공인 경우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101-10N)와 단말(500)에 접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500)은 핸드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 북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OS(Operating System) 기반으로 제공된 앱을 다운 받아 저장하고, 이러한 앱의 실행에 따라 핫스팟 테더링을 위한 SSID 보안 비밀번호 조회 및 현장서버(101-10N) HMI 연계 주소를 제공받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500)은 핫스팟 무선망을 통해 현장서버와 접속되어 현장서버(101)에서 관리서버(300)로 전달되는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감시한다.
단말(500)은 실행되는 앱에 의해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현장서버와 핫스팟 테더링을 구성하므로 단말(500) 및 현장서버(101-10N)의 운영 정보에 대한 보안성은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시 대상 기기와 현장서버 간의 송수신되는 운영 정보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현장서버(101)는 End to End 보안을 위한 SSL_VPN(Secure Sockets Layer Virtual Private Network)이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현장서버(101-10N)는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포트를 통해 현장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에 따라 감시 대상 기기의 고장 원인의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현장서버(101-10N)는 관리서버(300)와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주 통신망 장애가 발생된 현장서버(101)의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 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500)을 검색하며,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500)과 테더링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테더링은 Wi-Fi 테더링 및 USB 테더링 중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하지 아니한다.
단말(500)과 현장서버(101) 간의 접속을 통해 현장서버(101)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단말(500)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달됨에 따라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시간이 단축된다.
이에 따라, 임베디드 PLC 제어에 의하여 감시 대상 기기의 측정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통합형 현장서버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있어, 현장서버의 미공개 SSID와 단말의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한 현장서버의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접속된 단말에서 현장서버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 및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현장서버의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 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단말과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의 감시대상기기의 운영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따라 기존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통신망의 고장으로 인한 해당 감시 대상 기기의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서버의 제어에 따라 현장에 마련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구동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고장 발생한 현장의 고장 원인 분석을 실행함에 따라 보다 정밀한 고장 원인 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임베디드 PLC 제어에 의거하여 감시 대상 기기의 측정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통합형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있어, 현장서버의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접속된 단말에서 현장서버의 감시대상기기의 운영 정보 및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고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현장서버의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 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단말과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의 감시대상기기의 운영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임베디드 PLC 제어에 의거하여 감시 대상 기기의 측정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통합형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있어, 현장서버에서 미공개 SSID로 핫스팟 영역(존)을 구축하고 구축된 핫스팟 존에 유지 보수자가 휴대한 단말이 진입하면 단말에서 실행되는 앱에 의해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핫스팟 테더링을 구성하고 현장서버는 유효 단말인지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고 인증 성공으로 유효 단말인 경우 단말의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와 접속된다(단계 S1-S4).
따라서 현장서버에서 관리서버로 전달되는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가 단말에 제공되고 단말은 관리서버에서 현장서버로 전달되는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한다(S5).
이 후 현장서버는 일정 시간 동안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운영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 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며 검색 결과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이 검색된 경우 검색된 단말과 테더링을 통해 단말과 현장서버가 Wi-Fi 망을 통해 접속된다(S6-S10).
이에 단말은 수신된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된다(S11).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임베디드 PLC 제어에 의하여 감시 대상 기기의 측정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통합형 현장서버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있어, 현장서버의 미공개 SSID와 단말의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한 현장서버의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접속된 단말에서 현장서버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 및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통신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고,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현장서버의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 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 후 검색된 단말과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의 감시대상기기의 운연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함에 따라 기존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통신망의 고장으로 인한 해당 감시 대상 기기의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서버의 제어에 따라 현장에 마련된 카메라를 구동하고 구동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고장 발생한 현장의 고장 원인 분석을 실행함에 따라 보다 정밀한 고장 원인 분석이 가능한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무인 감시 시스템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핫스팟 구축이 가능하고 각 현장에 마련된 감시 대상 기기에 대한 측정, 분석 및 고장 진단을 수행하여 감시 대상 기기를 제어하고, HMI 연계 주소를 생성한 후 생성된 HMI 연계 주소 및 운영 정보를 전송하는 통합형 현장서버;
    복수개의 현장서버에 접속되어 복수 개의 현장서버 및 각각의 현장의 감시 대상 기기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서버에 의해 구축된 핫스팟 존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현장서버 및 관리서버 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장서버는, 미공개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로 핫스팟 존을 구성하며, 관리서버와의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고 Wi-Fi 모드로 전환하여 테더링이 가능한 단말을 검색한 후 테더링 가능한 단말과 테더링을 실행하여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단말은,
    실행되는 앱에 의해 조회된 SSID 보안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현장서버에 핫스팟 테더링을 요청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현장서버는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SSL-VPN(Secure Sockets Layer Virtual Private Network)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현장서버에 의해 구축된 핫스팟에 접속하기 위한 앱이 설치되고,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라 핫스팟 무선망을 통해 현장서버와 접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서버는
    핫스팟 테더링을 요청한 단말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고 유효 단말인 경우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와 접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주 통신망 장애 발생 시 단말과 현장서버의 테더링은,
    Wi-Fi 테더링 및 USB 테더링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서버는
    POE 포트를 통해 현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에 접속되어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8.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방법에 있어서,
    현장서버에서 미공개 SSID로 핫스팟 존을 구축하는 (a) 단계; 및
    핫스팟 존에 진입한 단말이 앱의 구동으로 조회된 SSID 보안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핫스팟 테더링이 요청된 경우 현장서버에서 핫스팟 테더링이 요청된 단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실행하여 인증 성공 시 핫스팟 테더링을 통해 단말과 현장서버가 접속되어 단말에서 현장 서버의 운영 정보를 감시하는 (b)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 이후 현장서버에서 기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운영 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현장서버와 관리서버 간의 주 통신망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축된 핫스팟 서비스를 종료하는 (c) 단계;
    현장서버에서 Wi-Fi모드로 전환 후 테더링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고, 테더링 가능한 단말과 테더링을 통해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Wi-Fi를 통해 테더링된 단말로 전달하는 (d) 단계; 및
    현장서버의 운영 정보를 단말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며,
    SSL-VPN(Secure Sockets Layer 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End to End 보안을 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방법
  9. 삭제
KR1020150109041A 2015-07-31 2015-07-31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0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41A KR101605351B1 (ko) 2015-07-31 2015-07-31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041A KR101605351B1 (ko) 2015-07-31 2015-07-31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351B1 true KR101605351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041A KR101605351B1 (ko) 2015-07-31 2015-07-31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3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0639A (zh) * 2016-11-22 2018-05-29 上海安锐盟企业服务有限公司 基于设备服务的质量管理系统及方法
CN112919689A (zh) * 2021-03-18 2021-06-08 山东国信环能集团股份有限公司 远程云监控的村镇超滤水厂装置及方法
WO2023219234A1 (ko) * 2022-05-13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924B1 (ko) * 2006-05-25 2007-01-24 주식회사 훠엔시스 원격 감시 장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31991A1 (en) * 2012-07-26 2014-01-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associating an hvac controller with an external web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924B1 (ko) * 2006-05-25 2007-01-24 주식회사 훠엔시스 원격 감시 장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031991A1 (en) * 2012-07-26 2014-01-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associating an hvac controller with an external web ser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0639A (zh) * 2016-11-22 2018-05-29 上海安锐盟企业服务有限公司 基于设备服务的质量管理系统及方法
CN112919689A (zh) * 2021-03-18 2021-06-08 山东国信环能集团股份有限公司 远程云监控的村镇超滤水厂装置及方法
WO2023219234A1 (ko) * 2022-05-13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77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able device installations
KR101811832B1 (ko) 기계동작정보 자동 수집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공장 시스템, 공장 관리 정보 제공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7918306B (zh) 现场设备的物理位置信息确定
KR101605351B1 (ko) 근거리 자동 인식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64139A1 (en) Remotely controlling aspects of pools and spas
US10469308B2 (en) Communication adapter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 system being monitored
KR101986838B1 (ko) LoRa망 기반의 원격 센서 제어 및 계측용 딥러닝 안전관리시스템
US20150049750A1 (en) Remotely controlling aspects of pools and spas
KR102094185B1 (ko) 스마트 드라이버
KR102351620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지능형 설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135615A (zh) 空调器的调试方法和装置
JP2013152538A (ja) 無線ゲートウェイ装置
CN104895547A (zh) 钻机电控系统智能移动监控和全自动维护方法及装置
KR101178059B1 (ko) 무선을 이용한 현장모터의 진단 및 제어장치
CN204807971U (zh) 一种湿热试验箱实时监控系统
KR101126855B1 (ko) 디바이스 및 시설물의 원격 상태 관리, 제어를 위한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035027B2 (ja) エネルギー消費機器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の構築方法
US10797978B2 (en) Communication adapter and connection test run method therefor
CN110048909A (zh) 网络运维方法及装置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N205209544U (zh) 检测系统
JP5385821B2 (ja) 無線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CN110290594B (zh) 连接路由器判断方法和设备控制系统
KR20190046149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30021641A (ko) 모바일 통신망을 사용한 산업 안전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