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127B1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127B1
KR101605127B1 KR1020090112777A KR20090112777A KR101605127B1 KR 101605127 B1 KR101605127 B1 KR 101605127B1 KR 1020090112777 A KR1020090112777 A KR 1020090112777A KR 20090112777 A KR20090112777 A KR 20090112777A KR 101605127 B1 KR101605127 B1 KR 101605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environment setting
setting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090A (ko
Inventor
은성호
유정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27B1/ko
Priority to US12/949,880 priority patent/US8917331B2/en
Priority to CN201010566751.1A priority patent/CN102075685B/zh
Publication of KR2011005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2201/214Checking or indicating the storage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4Orientation, e.g. landscape or portrait; Location or order of the image data, e.g. in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의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환경 설정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특화되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조작부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설정의 변경은 주로 셋업 메뉴(setup menu)에서 수행되는데, 사용자는 촬영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설정, 이미지 삭제 또는 복사 설정, 비디오 모드, 언어 모드, 시간 모드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설정은 셋업 메뉴를 리셋(reset)하거나, 시용자가 설정을 변경하기 전까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온/오프, 촬영 수행 여부 등에 관계없이 이전의 설정 대로 유지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스마트한 기능을 가진 디지털 촬영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특정한 조건에 따라 환경 설정이 자동적으로 변환되는 디 지털 촬영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적으로 환경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화되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 또는 삽입 해제하는 설정을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 촬영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지 여부로,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부가 정보 삽입 설정으로 되고,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부가 정보 삽입 해제 설정으로 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가능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기능 설정으로 되고, 상기 저장부 의 잔여 용량이 있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기능 해제로 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 실시 준비를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를 실시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비디오 모드, 언어 모드 또는 시간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에 의한 것으로, 상기 위치가 유럽인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비디오 모드를 PAL(Phase Alternating Line)방식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환경 설정을 해당 국가의 언어 모드로 변경하거나,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환경 설정을 해당 위치의 날짜 또는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하는 조건 판단부; 상기 조건에 따른 상기 환경 설정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저장부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환경 설정 변환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 설정 또는 삽입 해제하는 설정을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재생 모드 또는 프 리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 촬영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지 여부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촬영 상태 정보 표시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부가 정보 삽입 설정으로 되고,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부가 정보 삽입 해제 설정으로 되는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이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기능을 설정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지 확인하는 저장부 잔여 용량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이미지 삭제 기능을 설정하는 이미지 삭제 기능 설정 변환부; 이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 실시 준비를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지 확인하는 저장부 잔여 용량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를 할 준비를 하는 이미지 파일 복사 설정 변환부;이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비디오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에 의하여 얻은 위치 정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유럽인지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유럽인 경우 상기 비디오 모드를 PAL방식으로 변경하는 비디오 모드 설정 변환부;이 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언어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에 의하여 얻은 위치 정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언어 모드를 해당 지역의 언어로 변경하는 언어 모드 설정 변환부; 이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은 시간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에 의하여 얻은 위치 정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시간 모드를 해당 지역의 날짜 또는 시간으로 변경하는 시간 모드 설정 변환부;이다.
여기서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건에 따라 디지털 촬영 장치의 환경 설정이 자동적으로 변환됨으로써 사용자는 번거롭게 환경 설정을 변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건에 따라 변환되는 환경 설정값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서 특화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전원 버튼(11)은 디지털 촬영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3)은 스틸 컷 또는 동영상 촬영 모드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L: 이미지 센서)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광각 줌 버튼 또는 망원 줌 버튼(17)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이 입력되면, 줌 아웃(zoom out)되면서 피사체가 멀리 떨어져 보인다. 즉, 화각이 넓어져 넓은 각도의 피사체 촬영에 유리한 상태가 되며,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진다. 망원-줌 버튼이 입력되면, 줌 인(zoom in)되면서 피사체가 가깝게 보인다. 즉 화각이 좁아지고 좁은 각도의 피사체 촬영에 유리한 상태가 되며,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방향 버튼 또는 메뉴 선택 버튼(19)는 메뉴를 활성화하거나 커서를 이동할 때 사용한다. 상기 방향 버튼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메뉴 선택 버튼은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표시부(15), 렌즈부(21) 렌즈 구동부(23), 이미지 센서(CCD)(25),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27), 위성항법장치(GPS)(29), 조작부(31),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33), 저장부(35)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렌즈부(21)는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렌즈,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하는 셔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렌즈들은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셔터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CCD(25)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
렌즈 구동부(23)는 상기 렌즈부(21)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모터는 DSP(33)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렌즈부(2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렌즈 구동부(23)는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조정, 조리개 조정, 줌, 초점 변경 등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셔터의 동작 등을 구동할 수 있다.
CCD(Charge coupled device)(25)는 렌즈부(21)로부터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센서로 CCD(25)를 예로 들었지만 CCD 외에도 이미지 센서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27)는 CCD(25)로부터 공급된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이를 디지털화한다.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미도시)에는 약 16만년에 1초 정도만 틀리는 정밀한 시계가 4대가 장착되어 있어 이를 기반으로, 30m의 오차와 10-9 단위 이하의 시간정보를 제공하고 아울러 위도, 경도, 고도 등 3차원 위치까지 알려준다
GPS (29)는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초 간격)으로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자신의 GPS 정보 즉, 시간정보,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수신한다.
GPS 위성(미도시) 및 디지털 촬영 장치(10)에 포함된 GPS(29)를 포함하는 GPS 시스템은, 지구 주위 고도 약 20,000 km에 있는 24개의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매초마다 동시에 지상으로 송출되는 위치 측정용 전파를 디지털 촬영 장치(10) 내의 GPS(29)가 수신하여, 자신의 시간 및 현재위치(위도, 경도, 고도)를 3차원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위치정보를 수치 지도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작부(31)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 의 사용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원 버튼(11), 셔터 릴리즈 버튼(13), 광각 줌 버튼 또는 망원 줌 버튼(17), 방향 버튼 또는 메뉴 선택 버튼(19)은 모두 조작부(31)에 포함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33)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 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DSP(33)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DSP(33)에서는 표시부(15)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부가 정보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DSP(33)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3)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LC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저장부(35)는 입력 영상의 데이터, 연산 처리를 위한 데이터, 처리 결과 등을 임시 저장하고,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기록 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에 해당하는 환경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외장 메모리(37)는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러한 외장 메모리는 디지털 촬영 장치(10)에서 탈착이 가능하며,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형의 기억장치인 메모리 카드 형태일 수 있다.
이상,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제어부(2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조건 판단부(201),저장부 검색부(202) 및 환경 설정 변환부(203)을 구비할 수 있다.
조건 판단부(201)는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 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조건이란, 디스플레이(15)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었는지 여부, 저장부(35)의 잔여 용량의 유무 또는 GPS(29)에 의한 위치 정보 등 이다. 또한 상기 환경 설정이란,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구동 환경을 설정하는 각종 값에 해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가 삽입되는지 여부, 이미지 삭제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 외장 메모리(37)로 이미지 파일이 복사되기 위한 환경인지 여부, 비디오 모드, 언어 모드, 시간 모드 등이 환경 설정값 일 수 있다.
저장부 검색부(202)는 상기 조건 판단부(201)에 의한 판단 결과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설정값을 저장부(35)로부터 검색한다.
환경 설정 변환부(203)는 상기 저장부 검색부(202)에 의한 검색 결과에 따라 환경 설정을 변경한다. 환경 설정 변환부(203)는 표시부(15), 외장 메모리 (37) 등 디지털 촬영 장치(10)에 포함된 구성부를 제어하여, 변경된 환경 설정을 표시하거나 적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볼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환경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조건이 내부적, 외부적으로 충족된다면 자동으로 환경 설정이 변경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설정은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특화된 디지털 촬영 장치(10)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제어부(200)의 다른 실시 예 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어부(21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200)와 비교하여 조건에 따라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상기 조건의 종류와 변경되는 환경 설정값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촬영 상태 정보 표시 판단부(211), 저장부 검색부(212) 및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촬영 상태 정보 표시 판단부(211)는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표시부(15)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재생 모드에서 재생 모드 여부를 표시하는 아이콘, 촬영 일자, 해상도, 플래시 on/off, 셔터 속도, 조리개값, 음성 메모 유무, 이미지 보호 여부 등을 표시하는 아이콘이 표시부(15)에 표시되었는지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어, 프리뷰 모드에서 표시부(15)에 촬영 모드를 알려주는 - 자동, 프로그램, ASR의 모드 등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지, 장면 촬영 모드를 알려주는 풍경, 근접, 문자, 석양, 역광, 인물 모드 등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지, 조리개 값(예를 들어 F 2.8 등), 셔터 속도(예를 들어 1/30 등), 플래시, 음성녹음 금지, 노출 보정 마크, 측광, 화질, 해상도 아이콘이 표시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에서 예를 든 아이콘과 같은 촬영 상태 표시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표시부(15)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값에 해당한다.
저장부 검색부 (212)는 표시부(15)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었는지 표시 되지 않았는지 여부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환경 설정값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상태 정보 표시 여부에 따라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또는 해제 여부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검색한다.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213)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환경 설정값의 일종인 `부가 정보 삽입 설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표시부(15)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의 부가 정보를 이미지 상에 노출하는 것을 원하는 것이다. 이 경우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213)는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에 날짜, 시간, 메모 등의 부가 정보를 삽입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압축된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213)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부가 정보 데이터를 합성하여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하여 저장, 압축한다. 일 실시예로 표시부 (15) 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부가 정보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에 합성함으로써 삽입을 설정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eable Image File) 헤더부의 하나의 세그먼트에 `1`로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 이 경우 이미지 파일을 읽어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또는 이미지 파일을 읽어 이를 출력하는 프린터 등에서는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213)에서 포함시킨 Exif 헤더의 상기 명령 신호를 해독한다. 그 결과 이미지 파일을 표시 또는 출력할 때 관련 부가 정보가 이미지에 합성되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표시부(15)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의 부가 정보를 이미지 상에 노출하는 것을 원하지 않고 부가 정보 삽입이 없는 이미지만 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213)는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에 날짜, 시간, 메모 등의 부가 정보의 삽입을 해제 설정한다. 일 실시예로 표시부 (도 2의 15) 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도록 사용자가 설정한 경우, 부가 정보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에 합성하지 않게 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Exchangeable Image File) 헤더부의 하나의 세그먼트에 `0`으로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 이 경우 이미지 파일을 읽어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또는 이미지 파일을 읽어 이를 출력하는 프린터 등에서는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213)에서 포함시킨 Exif 헤더의 상기 명령 신호를 해독한다. 그 결과 이미지 파일을 표시 또는 출력할 때 관련 부가 정보가 이미지에 합성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설정한 조건에 따라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의 부가 정보 삽입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특화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제어부(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4와 비교하여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는 조건 및 변경되는 환경 설정의 종류가 상이하므로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5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저장부 잔 여 용량 판단부(221), 저장부 검색부(222), 이미지 삭제 기능 설정 변환부(223-1), 이미지 파일 복사 설정 변환부(223-2)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 잔여 용량 판단부(221)은 저장부 (35)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잔여 용량이 있는지 판단한다.
저장부 검색부(222)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설정을 검색한다. 저장부(35)의 잔여 용량이 없으면 이미지 삭제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외장 메모리(37)로 이미지 파일을 복사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설정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미지 삭제 기능 설정 변환부(223-1)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모듈이다. 저장부(35)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이미지 삭제 기능 설정 변환부(223-1)에 의하여 이미지 파일을 임시로 삭제하기 위한 `휴지통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휴지통 기능이란, 이미지 파일을 영구 삭제하지 않고 별도의 폴더에 따로 보관하는 것으로 실수로 사진을 삭제한 경우에도 다시 복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삭제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임시적으로 저장부(35)의 잔여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휴지통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은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휴지통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휴지통 기능을 실행하시겠습니까`하는 팝업 창을 표시부(15)에 띄우거나, 휴지통 기능이 연결되는 아이콘을 표시부(15)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미지 파일 복사 설정 변환부(223-2)는 저장부(35)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외장 메모리(37)로 이미지 파일을 복사하기 위한 설정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외장 메모리(37)가 디지털 촬영 장치(10)에 장착되었는지 확인하고, 외장 메모 리(37)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이미지 파일의 복사가 가능한지 체크하며, 표시부(15)에 `외장 메모리로 복사를 시작하시겠습니까`라는 팝업 창을 띄워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이미지 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설정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저장부(35)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10)는 실수로 원하는 이미지를 지우지 않으면서 잔여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이미지 삭제 기능을 설정하는 동시에 외장 메모리(37)로 이미지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설정을 개별적으로 변경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저장부(35) 용량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촬상 장치(10)의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4 및 도 5와 비교하여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는 조건 및 변경되는 환경 설정의 종류가 상이하므로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6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위치 판단부(231), 저장부 검색부(232), 비디오 모드 설정 변환부(233-1), 언어 모드 설정 변환부(233-2), 시간 모드 설정 변환부(233-3)를 구비할 수 있다.
위치 판단부(231)는 GPS(29)에서 수신한 자신의 GPS 정보 즉, 시간정보,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통하여 위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를 종합하여 수치 지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자신의 시간 및 현재 위치(위도, 경도, 고도)를 3차원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GPS 정보를 통한 시간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 검색부(232)는 상기 시간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부(35)에 저 장된 환경 설정을 검색한다.
비디오 모드 설정 변환부(233-1)는 상기 위치 판단부(231)의 위치 판단 결과 유럽인 경우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컬러 인코딩 방식인 PAL(Phase-Alternating Line, Phase Alternation by Line 또는 Phase Alternation Line) 방식이므로 비디오 모드를 PAL로 변경한다. 또한 위치 판단 결과 한국, 일본, 북중미 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비디오 모드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로 변경한다.
언어 모드 설정 변환부(233-2)는 상기 위치 판단부(231)의 위치 판단 결과에 따라 각 국가에 맞는 언어로 언어 모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위치 판단 결과 미국이라면 영어로 언어 모드를 변경하고, 일본이라면 일본어로 언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시간 모드 설정 변환부(233-3)는 상기 위치 판단부(231)의 위치 판단 결과에 따라 그 위치에 맞는 날짜 및 시간으로 시간 모드를 변경한다. 위치 판단부(231)를 통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10)가 위치한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GPS 위성과 통신하여 시간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모드, 언어 모드, 시간 모드는 상기 위치 조건이 충족되면 이에 따라 변경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임의로 조건을 설정하고 설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환경 설정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대하여 임의로 변경하고자 하는 환경 설정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판단부(231)에 의하여 프랑스로 판단되는 경우 언어 모드는 영어로, 시간 모드는 섬머타임(summer time)을 고려하여 프랑스 현지 시각보다 1시간 빠르게 설정하도록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에게 특화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번거롭게 설정을 변경할 필요 없이 지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환경 설정이 되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촬영 장치(10)에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환경 설정이 변경되는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고, 비활성화 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의 메뉴 선택 버튼 및 방향 버튼(19)을 통하여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선택한다.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데, 사용자는 이 중에 원하는 기능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연관된 촬영 상태 정보 표시에 따라 저장, 출력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 삽입을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저장부 용량 관리 기능과 GPS 에 의한 위치 판단에 의한 각종 모드를 변경하는 기능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자. 이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버튼 및 메뉴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만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하지 않은 기능은 조건이 충족되더라도 자동으로 환경 설정이 변하지 않고 기존의 환경 설정을 계속 유지하거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조 시에 입력된 디폴트 값(default value)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작부를 통하여 자동 환경 설정 메뉴를 시작하고,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한다. (S801, S802)
사용자가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부는 환경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한다. (S803)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저장부를 검색하여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설정을 찾고, 이에 따라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S804, S805)
사용자가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환경 설정이 변하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이 변하지 전까지는 기존의 설정을 유지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8과 비교하여 조건 및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설정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점이 상이하므로 이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 환경 설정 메뉴를 시작하고,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을 사용하도록 선택하면(S901, S902), 구체적으로 어떤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표시부(15)에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촬영 상태 정보 표시 관리에 관한 기능 (이 하, 제1기능이라 함)을 사용할 것인지, 저장부 용량 관리 기능(이하, 제2기능이라 함)을 선택할 것인지, 위치 정보 관리 기능(이하, 제3기능이라 함)을 선택할 것인지 등이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복수 개 선택할 수 있다. (S903, S904, S905)
제1기능을 선택한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표시부(15)에 촬영 상태 정보가 아이콘 등으로 표시되는지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표시부(15) 에 플래시 on/off, 셔터 속도, 조리개값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지,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숨기는지 판단한다.(S906)
상기 상태 정보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각종 정보를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것을 원하는 것이므로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에 날짜, 시간, 메모 등의 부가 정보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설정을 한다. (S907)
상기 상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이미지 그대로를 원하는 것이므로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에 각종 부가 정보를 삽입하지 않고 순수한 이미지 그대로를 얻을 수 있게 설정 한다. (S908)
제2기능을 선택한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저장부(35)의 잔여 용량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저장부는 내장 메모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기록 장치로서의 SDcard/MMC를 가리킬 수도 있다.(S909)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자동적으로 변경될 환경 설정값을 탐색한다.(S910) 예를 들어,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새로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될 공간이 없으므로,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파일 중 일부를 임시로 삭제하거나, 기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복사하여 다른 외장 메모리(37)로 옮겨 저장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상기 환경 설정 값은 이미지 삭제 기능을 실행하지 위한 설정 값이거나,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을 복사하기 위한 설정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의 설정값은 이미지를 임시로 삭제하기 위하여 휴지통 기능을 활성화하는 설정이다. 후자의 설정값은 외장 메모리를 인식하고 외장 메모리의 용량을 확인하여 이미지 파일을 복사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설정이다. (S911)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판단 결과 잔여 용량이 있는 경우, 새로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
제3기능을 선택한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는 내부의 GPS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를 판단한다. 상기 위치는 위도, 경도 정보 형태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를 국가나 도시 정보로 변환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S912)
다음으로 해당 위치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변경될 환경 설정값이 있는지 검색한다.(S913)
검색 결과대로 해당 위치에 따라 비디오 모드, 언어 모드, 시간 모드 등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위치 판단시 유럽인 경우 비디오 모드를 PAL로 변경하거나, 위치 판단시 미국인 경우 언어 모드는 영어로, 시간 모드는 미국 현지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S914)
이로써 여행 중 나라가 바뀌면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GPS가 위치를 판 단하고 위치에 따른 환경 설정으로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롭게 시간, 비디오 모드를 바꿀 필요가 없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위에서 제1기능, 제2기능, 제3기능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환경 설정값을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디지털 촬영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도 2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디지털 촬영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자동 환경 설정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원 버튼 13 : 셔터 릴리즈 버튼
15 : 표시부
17 : 광각 줌 버튼 또는 망원 줌 버튼
19 : 방향 버튼 또는 메뉴 선택 버튼

Claims (16)

  1. 디지털 촬영 장치의 환경 설정 - 상기 환경 설정은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 또는 삽입 해제하는 명령 신호를 포함함- 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 촬영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지 여부로,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명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 해제하는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가능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기능 설정으로 되고,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있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기능 해제로 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 실시 준비를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를 실시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비디오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에 의한 것으로,
    상기 위치가 유럽인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비디오 모드를 PAL(Phase Alternating Line)방식으로 변경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언어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에 의한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환경 설정을 해당 국가의 언어 모드로 변경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시간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로부터 얻은 위치 정보에 의한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상기 환경 설정을 해당 위치의 날짜 또는 시간으로 변경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이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환경 설정- 상기 환경 설정은 저장 또는 출력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 또는 삽입 해제하는 명령 신호를 포함함- 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판단하는 조건 판단부;
    상기 조건에 따른 상기 환경 설정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저장부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환경 설정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은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에 촬영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지 여부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재생 모드 또는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었는지 판단하는 촬영 상태 정보 표시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명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상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경 설정은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 해제하는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삽입 설정 변환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이미지 삭제 기능을 설정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지 확인하는 저장부 잔여 용량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 경우, 이미지 삭제 기능을 설정하는 이미지 삭제 기능 설정 변환부;
    인 디지털 촬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 실시 준비를 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 여부에 의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의 잔여 용량이 없는지 확인하는 저장부 잔여 용량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외장 메모리로 이미지 파일 복사를 할 준비를 하는 이미지 파일 복사 설정 변환부;
    인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비디오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에 의하여 얻은 위치 정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유럽인지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유럽인 경우 상기 비디오 모드를 PAL방식으로 변경하는 비디오 모드 설정 변환부;
    인 디지털 촬영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언어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에 의하여 얻은 위치 정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언어 모드를 해당 지역의 언어로 변경하는 언어 모드 설정 변환부;
    인 디지털 촬영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은 시간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건은 GPS에 의하여 얻은 위치 정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건 판단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판단부; 및
    상기 환경 설정 변환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시간 모드를 해당 지역의 날짜 또는 시간으로 변경하는 시간 모드 설정 변환부;
    인 디지털 촬영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환경 설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이 가능 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90112777A 2009-11-20 2009-11-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5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77A KR101605127B1 (ko) 2009-11-20 2009-11-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2/949,880 US8917331B2 (en) 2009-11-20 2010-11-19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010566751.1A CN102075685B (zh) 2009-11-20 2010-11-19 数字摄影设备以及控制该数字摄影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77A KR101605127B1 (ko) 2009-11-20 2009-11-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90A KR20110056090A (ko) 2011-05-26
KR101605127B1 true KR101605127B1 (ko) 2016-03-21

Family

ID=4403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777A KR101605127B1 (ko) 2009-11-20 2009-11-2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17331B2 (ko)
KR (1) KR101605127B1 (ko)
CN (1) CN102075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0571B2 (en) * 2016-05-05 2019-02-05 Nvidia Corporation Displaying an adjusted image according to ambient light conditions
JP2018185880A (ja) * 2017-04-27 2018-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CN115237369B (zh) * 2022-09-23 2022-12-13 成都博宇利华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信息戳标记方法
WO2024085506A1 (ko) * 2022-10-21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635A (ja) 2000-10-19 2002-05-10 Canon Inc 撮像装置、外部機器、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09017315A (ja) 2007-07-05 2009-01-22 Hoya Corp 画像出力制御機能付き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5804A (ja) * 1998-04-15 1999-10-29 Canon Inc カメラ
JP4504824B2 (ja) * 2005-01-13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顕微鏡用カメラ
CN1984254A (zh) 2005-12-13 2007-06-20 普立尔科技股份有限公司 存储器已满时仍可继续拍照的方法
US20090005071A1 (en) * 2007-06-28 2009-01-01 Apple Inc. Event Triggered Content Presentation
JP4922149B2 (ja) * 2007-12-27 2012-04-2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カメラ,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532610B1 (ko) * 2009-01-22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635A (ja) 2000-10-19 2002-05-10 Canon Inc 撮像装置、外部機器、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09017315A (ja) 2007-07-05 2009-01-22 Hoya Corp 画像出力制御機能付き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90A (ko) 2011-05-26
CN102075685B (zh) 2015-05-20
US8917331B2 (en) 2014-12-23
US20110122290A1 (en) 2011-05-26
CN102075685A (zh)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6451B2 (en) Camera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W527828B (en) Image-capturing apparatus
JP592108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085333B2 (en) Digital camera
US75454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ing duplex thumbnail mode
JP555885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67006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260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7342605B2 (en) Digital camera having an all-frame print number setting device to collectively set all recorded frames for printing
US7796178B2 (en) Camera capable of storing the central coordinates of a reproduction image that has been enlarged
CN102761692A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60512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02834A (ko) 참조 영상을 제공하는 촬상장치 및 그의 참조 영상 제공방법
US20060055808A1 (en) Method for increasing storage space in a digital camera apparatus
JP572596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235228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5908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73965B2 (ja) 撮像装置
JP2012085223A (ja) 撮影条件生成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影条件生成プログラム
JP2002051238A (ja) 電子カメラ
JP5027029B2 (ja) 拡大表示機能付きカメラおよびカメラの制御方法
JP2009033296A (ja) 撮像装置
JP5207930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183565A (ja) 撮像装置、画像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09672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