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443B1 -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443B1
KR101604443B1 KR1020140143121A KR20140143121A KR101604443B1 KR 101604443 B1 KR101604443 B1 KR 101604443B1 KR 1020140143121 A KR1020140143121 A KR 1020140143121A KR 20140143121 A KR20140143121 A KR 20140143121A KR 101604443 B1 KR101604443 B1 KR 10160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artial discharge
surge pulse
voltage level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황돈하
윤영우
선종호
손채화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써지펄스의 최대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크기로 자동 조절하고, 측정된 파형을 분석하여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소정 전압레벨의 써지펄스를 생성하여 전동기 권선에 인가하는 써지펄스 생성부; 상기 써지펄스가 전동기 권선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방전 판단부; 상기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의 전압레벨을 조절하는 전압레벨 조절부; 및 상기 써지펄스 발생부와 부분방전 판단부 및 전압레벨 조절부에 세팅되는 기초값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에서 측정되는 파형의 최대전압과 상기 써지펄스의 전압레벨을 기초로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확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PDIV tester for motor and a method of the measuring}
본 발명은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기 권선에 써지펄스를 인가하여 권선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신호의 유무 및 크기를 통하여 절연상태를 진단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기기가 초고압 대용량화되어 감에 따라 여러 유형의 사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고에 따른 피해 규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전력기기는 기계적 스트레스, 온도 등의 영향으로 절연열화가 발생하여 내부 절연부분에서의 국부적인 부분방전(PD: Partial Discharge)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부분방전이라 함은 각종 산업체 및 전력계통에 설치되는 수전설비, 고압 배전반 및 회전기 등과 같은 전력기기의 어느 한 부분에 발생하는 방전을 총칭하는 것으로, 도체의 첨단 부근에 발생하는 코로나방전, 절연물의 표면을 따라서 발생하는 연면방전, 절연물 내의 공극에 발생하는 보이드방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부분방전 신호는 짧은 펄스폭을 가지는 임펄스 형태로 발생하고 방전량에 따라 신호의 크기가 비례하며 반복되는 AC 사이클에서 방전 개시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부분방전을 유발하는 원인에 따라 특정 위상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부분방전 현상은 초기에는 시스템의 성능 및 작동에 문제가 없더라도 지속적인 시간 동안 발생하는 경우 전기트리 및 부분방전시 발생하는 산화물 등에 의해 절연열화의 정도가 증가하게 되어 전력기기의 기능정지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기기의 이상 유무 감지 및 절연체의 열화 정도를 감시하고 수리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부분 방전의 측정 및 감시로 이러한 예측과 관리가 가능하다.
고압 전동기의 경우에도 이러한 목적으로 부분방전 측정장치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기 부분방전 측정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임펄스 발생부가 써지펄스를 발생시켜 진단 대상의 전동기에 주입하면, 진단 대상의 전동기 고정자 권선에 절연이상이 있을 경우 부분방전이 발생하고, 이 부분방전을 센서가 측정하여 부분방전 측정부가 디지털화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써지펄스의 크기 및 폭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하는 방식이며, 절연진단의 중요한 파라미터인 부분방전 개시전압(PDIV: Partial Discharge Inception Voltage)을 사용자가 직접 측정하여 확인하여야 하므로, 시험 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적이지 못하고, 시험자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17897 B1 KR 10-0736866 B1 KR 10-0897974 B1 KR 10-0246201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써지펄스의 최대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크기로 자동 조절하고, 측정된 파형을 분석하여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전압레벨의 써지펄스를 생성하여 전동기 권선에 인가하는 써지펄스 생성부와; 상기 써지펄스가 전동기 권선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방전 판단부와; 상기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의 전압레벨을 조절하는 전압레벨 조절부; 및 상기 써지펄스 발생부와 부분방전 판단부 및 전압레벨 조절부에 세팅되는 기초값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에서 측정되는 파형의 최대전압과 상기 써지펄스의 전압레벨을 기초로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확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와 상기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선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급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와 연결되는 커패시터 형태의 접촉식 센서; 및 상기 급전선에 접촉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급전선으로부터 부분방전 신호가 전자기적으로 유도되는 신호도전체와, 상기 신호도전체에서 유도된 신호를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신호도전체와 도파관 구조를 형성하는 접지도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신호도전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로의 신호전송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는 포트로 구성되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기 권선에 써지펄스(V)를 인가하여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써지펄스의 초기 전압레벨(V0)과, 상기 초기 전압레벨(V0)에서 일정 간격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전압간격(Vd)과, 상기 전압간격의 최종 감소치인 최소전압간격(Vdf)과, 상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턱전압(Vth)을 설정하는 기본값 설정단계와; 상기 써지펄스(V)를 전동기 권선에 인가하는 써지펄스 인가단계와; 상기 써지펄스를 전동기에 인가함에 따라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한 파형을 측정하는 파형 측정단계와; 상기 파형에서 측정된 최대전압(Vmax)과 상기 문턱전압(Vth)의 크기를 비교하는 부분방전 판단단계와; 상기 최대전압(Vmax)이 상기 문턱전압(Vth)보다 작으면 부분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써지펄스(V)의 크기를 기설정된 전압간격(Vd)만큼 상승시켜 상기 써지펄스 인가단계로 피드백시키는 전압레벨 상승조절단계와; 상기 최대전압(Vmax)이 상기 문턱전압(Vth)보다 크면 부분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때의 최대전압 크기와 써지펄스의 전압레벨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방전발생 데이터 저장단계와; 상기 전압레벨 조절단계에서 상승된 전압간격(Vd)과 상기 최소전압간격(Vdf)의 크기를 비교하는 전압간격 비교단계와; 상기 전압간격(Vd)이 상기 최소전압간격(Vdf)보다 작으면 상기 전압간격(Vd)을 감소시키고, 상기 써지펄스(V)의 전압레벨을 감소된 전압간격(Vd)만큼 하강시켜 상기 써지펄스 인가단계로 피드백시키는 전압레벨 하강조절단계; 상기 전압간격(Vd)이 상기 최소전압간격(Vdf)보다 크면 이때의 써지펄스 전압레벨을 부분방전 개시전압으로 확정하는 개시전압 확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레벨 하강조절단계는, 상기 전압간격(Vd)에 기설정된 감소계수를 곱하여 상기 전압간격(Vd)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써지펄스(V)의 전압레벨을 상기 감소된 전압간격만큼 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시전압 확정단계 이후에, 상기 부분방전 개시전압이 확정된 때의 피시품 정보, 측정 일시 정보, 써지펄스의 전압레벨별 최대전압 크기 정보, 환경 정보, 시각 정보, 또는 설정 기본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측정완료 데이터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써지펄스의 최대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크기로 자동 조절하고, 측정된 파형을 분석하여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자동으로 획득함으로써, 부분방전 측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기 부분방전 측정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3은 도2의 비접촉식 센서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지펄스 생성부(100)와, 센서부(300)와, 부분방전 판단부(500)와, 전압레벨 조절부(700)와,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먼저, 써지펄스 생성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100)는 소정 전압레벨의 써지펄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써지펄스를 전동기 권선에 인가한다.
이러한 써지펄스 생성부(100)는 전동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분방전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에 절연이상 등이 있을 경우 부분방전에 따른 임펄스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센서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써지펄스가 전동기 권선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100)와 상기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선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100)를 수용하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식 장비로 사용시 관리가 편리하고 센서와 측정 케이블 간의 접속이 필요 없으므로 비전문가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 케이블은 전동기의 전원 단자를 클립으로 집는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동기의 급전 커넥터에 맞게 3상 전원을 차례로 꽂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비전문가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2를 참조하면, 전기자동차용 전동기와 같이 전동기측 급전단자에 연결이 어려울 경우 인버터측 단자에 연결된 커넥터를 분리하여 측정 케이블에 접속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00)는 접촉식 센서(320)와 비접촉식 센서(340)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식 센서(320)는 측정 감도가 높으나 저주파수의 잡음에 영향을 많이 받고, 비접촉식 센서(340)는 측정 감도는 낮으나 100MHz 이상의 펄스 측정이 가능하여 잡음에 강하다. 따라서, 서로 상반되는 특성을 가지는 접촉식 센서(320)와 비접촉식 센서(340)를 함께 접목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측정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식 센서(320)는 상기 급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와 연결되는 커패시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센서(3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전선에 접촉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342)와, 상기 몸체(342)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급전선으로부터 부분방전 신호가 전자기적으로 유도되는 신호도전체(344)와, 상기 신호도전체(344)에서 유도된 신호를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50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신호도전체(344)와 도파관 구조를 형성하는 접지도체(346)와, 상기 몸체(342)의 외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신호도전체(344)와 연결되어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로(500)의 신호전송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는 포트(348)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부분방전 판단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500)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부분방전 판단부(500)는 써지 펄스 인가 후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파형을 분석하여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파형의 최대전압이 기설정된 문턱전압보다 크면 부분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전압레벨 조절부(7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압레벨 조절부(700)는 상기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의 전압레벨을 조절한다.
이러한 전압레벨 조절부(700)는 상기한 부분방전 판단부(5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써지 펄스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파형의 최대전압이 문턱전압보다 작으면 써지펄스의 크기를 기설정된 전압간격만큼 상승시키도록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100)를 제어한다. 이외 전압레벨 조절부(700)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9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써지펄스 발생부(100)와 부분방전 판단부(500) 및 전압레벨 조절부(700)에 세팅되는 기초값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500)에서 측정되는 파형의 최대전압과 상기 써지펄스의 전압레벨을 기초로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확정한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원리라 할 수 있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은 전동기 권선에 써지펄스(V)를 인가하여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기본값 설정단계(S100)와, 써지펄스 인가단계(S200)와, 파형 측정단계(S300)와, 부분방전 판단단계(S400)와, 전압레벨 상승조절단계(S420)와, 부분방전발생 데이터 저장단계(S500)와, 전압간격 비교단계(S600)와, 전압레벨 하강조절단계(S620,S640)와, 부분방전 개시전압 확정단계(S7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기본값 설정단계(S100)에서는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에 필요한 각종 기본값을 설정하는 단계로, 상기 써지펄스(V)의 초기 전압레벨(V0)과, 상기 초기 전압레벨(V0)에서 일정 간격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전압간격(Vd)과, 상기 전압간격의 최종 감소치인 최소전압간격(Vdf)과, 상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턱전압(Vth)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문턱전압은 주변잡음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이외에 펄스폭(tw)과 펄스상승시간(tr)을 더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펄스폭 및 펄스상승시간은 피시품의 상태 및 시험 목적, 관련 규격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써지펄스 인가단계(S200)에서는 상기 써지펄스(V)를 전동기 권선에 인가한다.
다음으로, 파형 측정단계(S300)에서는 상기 써지펄스를 전동기에 인가함에 따라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한 파형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부분방전 판단단계(S400)에서는 상기 파형에서 측정된 최대전압(Vmax)과 상기 문턱전압(Vth)의 크기를 비교하여 부분방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최대전압(Vmax)이 상기 문턱전압(Vth)보다 작으면 부분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최대전압(Vmax)이 상기 문턱전압(Vth)보다 크면 부분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전압레벨 상승조절단계(S420)는 부분방전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써지펄스(V)의 크기를 기설정된 전압간격(Vd)만큼 상승시켜 상기 써지펄스 인가단계로 피드백시킴으로써 상승된 써지펄스(V)를 전동기에 다시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부분방전발생 데이터 저장단계(S500)는 부분방전이 발생했을 때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최대전압(Vmax)이 상기 문턱전압(Vth)보다 크면 부분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때의 최대전압 크기와 써지펄스의 전압레벨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전압간격 비교단계(S600)는 상기 전압레벨 조절단계에서 상승된 전압간격(Vd)과 상기 최소전압간격(Vdf)의 크기를 비교한다.
다음으로, 전압레벨 하강조절단계는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전압간격(Vd)이 상기 최소전압간격(Vdf)보다 작으면 상기 전압간격(Vd)을 감소시키고, 상기 써지펄스(V)의 전압레벨을 감소된 전압간격(Vd)만큼 하강시켜 상기 써지펄스 인가단계로 피드백시킨다.
이러한 전압레벨 하강조절단계는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간격(Vd)에 기설정된 감소계수를 곱하여 상기 전압간격(Vd)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S620)와, 상기 써지펄스(V)의 전압레벨을 상기 감소된 전압간격만큼 감하는 단계(S640)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개시전압 확정단계(S700)에서는 상기 전압간격(Vd)이 상기 최소전압간격(Vdf)보다 크면 이때의 써지펄스 전압레벨을 부분방전 개시전압으로 확정한다.
다음으로, 측정완료 데이터 저장단계(S800)는 상기 개시전압 확정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는 단계로서, 상기 부분방전 개시전압이 확정된 때의 피시품 정보, 측정 일시 정보, 써지펄스의 전압레벨별 최대전압 크기 정보, 환경 정보, 시각 정보, 또는 설정 기본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써지펄스의 최대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적절한 크기로 자동 조절하고, 측정된 파형을 분석하여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자동으로 획득함으로써, 부분방전 측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써지펄스 생성부
300: 센서부
320: 접촉식 센서
340: 비접촉식 센서
500: 부분방전 판단부
700: 전압레벨 조절부
900: 제어부

Claims (6)

  1. 소정 전압레벨의 써지펄스를 생성하여 전동기 권선에 인가하는 써지펄스 생성부;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와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선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써지펄스가 전동기 권선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부분방전 판단부;
    상기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의 전압레벨을 조절하는 전압레벨 조절부; 및
    상기 써지펄스 생성부와 부분방전 판단부 및 전압레벨 조절부에 세팅되는 기초값을 설정하고,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에서 측정되는 파형의 최대전압과 상기 써지펄스의 전압레벨을 기초로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확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급전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와 연결되는 커패시터 형태의 접촉식 센서; 및
    상기 급전선에 접촉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급전선으로부터 부분방전 신호가 전자기적으로 유도되는 신호도전체와, 상기 신호도전체에서 유도된 신호를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신호도전체와 도파관 구조를 형성하는 접지도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신호도전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분방전 판단부로의 신호전송을 위한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는 포트로 구성되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전동기 권선에 써지펄스(V)를 인가하여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써지펄스의 초기 전압레벨(V0)과, 상기 초기 전압레벨(V0)에서 일정 간격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전압간격(Vd)과, 상기 전압간격의 최종 감소치인 최소전압간격(Vdf)과, 상기 전동기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로부터 부분방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턱전압(Vth)을 설정하는 기본값 설정단계;
    상기 써지펄스(V)를 전동기 권선에 인가하는 써지펄스 인가단계;
    상기 써지펄스를 전동기에 인가함에 따라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에 대한 파형을 측정하는 파형 측정단계;
    상기 파형에서 측정된 최대전압(Vmax)과 상기 문턱전압(Vth)의 크기를 비교하는 부분방전 판단단계;
    상기 최대전압(Vmax)이 상기 문턱전압(Vth)보다 작으면 부분방전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써지펄스(V)의 크기를 기설정된 전압간격(Vd)만큼 상승시켜 상기 써지펄스 인가단계로 피드백시키는 전압레벨 상승조절단계;
    상기 최대전압(Vmax)이 상기 문턱전압(Vth)보다 크면 부분방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때의 최대전압 크기와 써지펄스의 전압레벨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방전발생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전압레벨 상승조절단계에서 상승된 전압간격(Vd)과 상기 최소전압간격(Vdf)의 크기를 비교하는 전압간격 비교단계;
    상기 전압간격(Vd)이 상기 최소전압간격(Vdf)보다 작으면 상기 전압간격(Vd)을 감소시키고, 상기 써지펄스(V)의 전압레벨을 감소된 전압간격(Vd)만큼 하강시켜 상기 써지펄스 인가단계로 피드백시키는 전압레벨 하강조절단계; 및
    상기 전압간격(Vd)이 상기 최소전압간격(Vdf)보다 크면 이때의 써지펄스 전압레벨을 부분방전 개시전압으로 확정하는 개시전압 확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레벨 하강조절단계는,
    상기 전압간격(Vd)에 기설정된 감소계수를 곱하여 상기 전압간격(Vd)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써지펄스(V)의 전압레벨을 상기 감소된 전압간격만큼 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전압 확정단계 이후에,
    상기 부분방전 개시전압이 확정된 때의 피시품 정보, 측정 일시 정보, 써지펄스의 전압레벨별 최대전압 크기 정보, 환경 정보, 시각 정보, 또는 설정 기본값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측정완료 데이터 저장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방법.
KR1020140143121A 2014-10-22 2014-10-22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60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121A KR101604443B1 (ko) 2014-10-22 2014-10-22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121A KR101604443B1 (ko) 2014-10-22 2014-10-22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443B1 true KR101604443B1 (ko) 2016-03-25

Family

ID=5564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121A KR101604443B1 (ko) 2014-10-22 2014-10-22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6174A (zh) * 2018-02-05 2018-06-22 四川大学 一种变频电机绝缘局部放电pdiv及pdev自动测试系统以及方法
CN117665505A (zh) * 2023-11-30 2024-03-08 上海吴淞电气实业有限公司 Gtu试验设备及其试验方法、装置和存储介质
WO2024057418A1 (ja) * 2022-09-13 2024-03-21 日新パルス電子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パルス絶縁試験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6174A (zh) * 2018-02-05 2018-06-22 四川大学 一种变频电机绝缘局部放电pdiv及pdev自动测试系统以及方法
WO2024057418A1 (ja) * 2022-09-13 2024-03-21 日新パルス電子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パルス絶縁試験装置
CN117665505A (zh) * 2023-11-30 2024-03-08 上海吴淞电气实业有限公司 Gtu试验设备及其试验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7665505B (zh) * 2023-11-30 2024-05-03 上海吴淞电气实业有限公司 Gtu试验设备及其试验方法、装置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443B1 (ko) 전동기의 부분방전 개시전압 자동측정장치 및 그 방법
CN101738546B (zh) 一种电声脉冲法空间电荷测量装置、系统及方法
US20220128539A1 (en) A sensor for transformer condition assessment
US9863995B2 (en) Antenna-and-cable connection-state verification device and verification method
KR102314148B1 (ko) 전력설비의 절연열화상태 측정장치
JP2017009548A (ja) 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異常検知方法
KR101641515B1 (ko) Hfct가 내장된 진단 장치를 적용한 배전반
JP2008286715A (ja) 部分放電測定装置
US9412670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F power compensation in plasma etch chamber
CN107179483A (zh) 一种油纸绝缘局部放电起始电压智能测量系统
JP4378478B2 (ja) 部分放電開始電圧計測方法及びその装置
CA2921170C (en) Two-wire resistance terminated ground check
CN103764434A (zh) 交通工具的能量储存装置的用于充电的方法和设备
JP2012154879A (ja) 部分放電計測装置
CN111512170B (zh) 电力转换装置、使用它的旋转电机系统及其诊断方法
TWI379089B (en) Apparatus for testing printed circuit and method therefor
CN115561538B (zh) 一种新能源大功率直流充电桩的检测方法
CN106291081B (zh) 远场区验电系统和方法
US107468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wire ground check measurement
US201501987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buried pipe
JP2016212122A (ja) 繰り返しインパルス電圧による部分放電計測システムおよび部分放電計測方法
RU2245559C1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яции силовых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Shafiq et al. Identifcation and Location of Partial Discharge Defects in Medium Voltage AC Cables
KR102164812B1 (ko) 스마트 전기·전자제품 시험 계측기
JP2011252779A (ja) 磁界プローブを用いた電気機器の部分放電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