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429B1 - Container h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ainer h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429B1
KR101604429B1 KR1020140025854A KR20140025854A KR101604429B1 KR 101604429 B1 KR101604429 B1 KR 101604429B1 KR 1020140025854 A KR1020140025854 A KR 1020140025854A KR 20140025854 A KR20140025854 A KR 20140025854A KR 101604429 B1 KR101604429 B1 KR 10160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ainer
unit
modul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4657A (en
Inventor
부재호
오성호
김태조
서창현
김형섭
박순기
박소정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4002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429B1/en
Priority to PCT/KR2015/000166 priority patent/WO2015133718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가열 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전원수신모듈을 구성되는 용기에 음식물 종류에 따른 등록코드를 부여하고, 용기가 올려지는 조리받침부에는 등록코드를 인증하는 전원송신모듈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조리받침부에 등록코드가 부여된 용기가 올려질 때 전원송신모듈에서 용기의 전원수신모듈로 전원을 무선 전송하면서 용기내의 음식물(예; 물, 커피, 녹차, 라면, 찌게류, 찜류 등)에 대한 가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등록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용기가 조리받침부에 올려질 경우에는 그 가열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용기 가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 만족도를 높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gistration code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is given to a container constituting a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for authenticating a registration code is provided in the cooking- (Eg water, coffee, green tea, ramen, steamed rice, steamed rice wine, etc.) when the container with the registration code is loaded on the cookware unit and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wirelessly transmits the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of the container. Etc.), as well a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the heating of the container while preventing the heating operation from being performed when a container to which a registration code is not assigned is placed on the cooking cavity, Thereby enhancing product satisfaction.

Description

용기 가열 장치{Container heating apparatus}[0001] Container heating apparatus [0001]

본 발명은 용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수신모듈을 구성되는 용기에 음식물 종류에 따른 등록코드를 부여하고, 용기가 올려지는 조리받침부에는 등록코드를 인증하는 전원송신모듈을 구성하여, 조리받침부에 올려진 용기내의 음식물(예; 물, 커피, 녹차, 라면, 찌게류, 찜류 등)에 대한 가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등록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용기가 조리받침부에 올려질 경우에는 그 가열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용기 가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for supplying a registration code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a container constituting a power receiving module, (For example, water, coffee, green tea, ramen, steamed rice, steam, etc.) in the container placed on the cooking cav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due to container heating while preventing the heating operation from being performed.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를 위한 장치에는 가스에 의해 가열동작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또는 설치형 가스레인지, 그리고 전기에 의해 가열동작이 이루어지는 전기스토브가 대표적이다.In general, a device for cooking food is a portable or installed type gas range in which a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gas, and an electric stove in which a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electricity.

휴대용 또는 설치형 가스레인지는 가스 공급시 점화부의 불꽃 점화를 통해 용기를 가열하는 것이고, 상기 전기스토브는 가열판을 가열시켜 용기를 가열하도록 한 것이다.The portable or stationary gas range is to heat the vessel through spark ignition of the ignition part when supplying gas, and the electric heater heats the heating plate to heat the vessel.

이때, 가스레인지는 용기를 가열할 때 그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음식물 조리시 항상 사용자가 용기를 지켜보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gas range does not hav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eating temperature when the container is heat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always has to watch the container when cooking food.

반면,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스토브는 온도센서를 통해 용기 가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ic stove using electricity controlled the temperature of the vessel heating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즉, 전기스토브는 가열온도가 온도센서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초과할 때, 그 가열동작이 오프되고, 가열온도가 온도센서에 의해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질 경우에는 다시 온의 가열동작이 이루어져 용기내의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exceeds the temperature set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heating operation is turned off.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set by the temperature sensor, So that cooking can be don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스토브의 온도제어방식은 온도센서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따라 가열판의 가열동작이 온-오프를 반복하는 방식인 바, 이러한 온-오프 방식은 전력 소비가 많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ic stove is a method in which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plate is repeatedly perform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t by the temperature sensor. Such an on-off method has a disadvantage of high power consumption.

또한, 종래에는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스토브에는 용기 사용에 제약이 없으므로,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스토브에 아무런 제약없이 용기를 올려 용기에 넣어진 내용물을 데우거나 조리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부주의나 노약자 또는 어린이가 실수로 가열하지 않아야 하는 용기를 올려 놓을 경우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sinc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container in the gas range or electric stove, it is possible to warm up or cook the contents put in the container by putting the container in the gas range or electric stove without restriction, but the carelessness,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ire occurs when a container which is not heated by mistake is placed.

이에, 본 발명은 음용 가능한 내용물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열 컵(특허출원 제 10-2013-0153166 호)의 기능을 개선하여 용기 발열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function of a heat-generating cup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153166) which enables a drinkable content to always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thereby proposing a container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원수신모듈을 구성되는 용기에 음식물 종류에 따른 등록코드를 부여하고, 용기가 올려지는 조리받침부에는 등록코드를 인증하는 전원송신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조리받침부에 등록코드가 부여된 용기가 올려질 때 전원송신모듈에서 용기의 전원수신모듈로 전원을 무선 전송하면서 용기내의 음식물(예; 물, 커피, 녹차, 라면, 찌게류, 찜류 등)에 대한 가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등록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용기가 조리받침부에 올려질 경우에는 그 가열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용기 가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for supplying a registration code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a container constituting a power receiving module and for authenticating a registration code in a cooking chamber for loading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raised,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wirelessly transmits the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of the container while keeping the heating temperature constant for the food (eg water, coffee, green tea, ramen, steam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which prevents the heating operation from being performed when a container to which a registration code is not assigned is placed on the cooking cavity.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용기 가열 장치는, 금속재 또는 세라믹재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 상기 용기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등록코드가 부여되면서 전원 수신을 통해 상기 용기를 가열시키는 전원수신모듈; 상기 전원수신모듈의 등록코드 인증을 통해 상기 전원수신모듈로의 전원 송신을 결정하고, 송신되는 상기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전원수신모듈의 가열에 따른 상기 용기의 음식물 조리를 위한 온도를 제어하는 전원송신모듈; 및, 상기 전원송신모듈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가 올려질 때 상기 전원송신모듈에서 전원수신모듈로의 전원 무선 송신을 결정하게 되는 온/오프의 전원스위치가 마련되는 조리받침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od or beverage container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ceramic material; A power receiving module form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power receiving module heating the container through power receiving while being provided with a registration cod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of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through the registration code authentication of the power receiving module and controls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of the power source to control the temperature for cooking food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heating of the power receiving module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n on / off power switch for establishing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determining power transmission from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to the power reception module when the container is lifted is provided; .

또한, 상기 전원수신모듈에는 제 1 통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원송신모듈에는 제 2 통신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 1,2 통신부는 통신모듈이 탑재된 제어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어단말기에는 상기 전원송신모듈에 의해 등록코드 인증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송신모듈에서 전원수신모듈로의 전원 무선 송신을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전원의 전류량이 조절하여 상기 전원수신모듈의 가열에 따른 상기 용기의 음식물 조리를 위한 온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전원송신모듈로 출력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한 것이다.The power receiving module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may includ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may be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control terminal equipped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Controls power supply radio transmission from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to the power supply receiving module on / off control according to a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when the registration code is authenticated by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And a control program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for cooking food of the container upon heating to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또한, 상기 전원수신모듈은,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시, 상기 전원송신모듈로부터 전원을 무선 수신하게 되는 전원수신부; 상기 용기의 외측 바닥면에 밀착 구성되고, 상기 전원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원으로부터 발열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단말기 또는 후술하는 제 1 제어기로 출력하는 온도센서; 및, 등록코드를 가지며,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발열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부의 발열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원송신모듈로 전송 처리하는 제 1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The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es: a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heating the container by a heating operation from a power source received through the power receiving unit;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on unit and outputting the temperature to a control terminal or a first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A first controller having a registration code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a calorific value of the heat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heating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ignal to a power transmitting module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unit; .

또한, 상기 전원송신모듈은, 외부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시 상기 전원수신부로 공급받게 되는 외부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전원송신부; 상기 조리받침부에 용기가 올려질 때 상기 제 1 제어기에 부여되는 등록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전원송신부의 외부전원 무선 전송을 제어하면서, 제 1,2 통신부의 통신을 통해 제 1 제어기의 발열량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전송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제어하고, 인증 실패시 상기 전원송신부의 외부전원 무선 전송을 차단 제어하는 제 2 제어기; 및, 외부전원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송신부로의 외부전원 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includes: a power transmitting unit tha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wirelessly transmits an external power su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may authenticate a registration code assigned to the first controller when the container is placed on the cookware unit to control the external power supply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ower supply unit, A seco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wirelessly transmitted power source and for blocking the external power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 case of authentication failure; A switching unit installed o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and for turning on / off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controller; .

또한, 상기 전원수신부는 플레이트형 코어에 권선되어 전원 수신시 자력선을 발생시키는 수신코일이고, 상기 전원송신부는 상기 수신코일에 자기유도전류를 전달하는 송신코일인 것이다.The power receiving unit is a receiving coil that is wound on a plate-shaped core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line when receiving power, and the power transmitting unit is a transmitting coil that transmits a magnetic induction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수신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맴돌이 전류(와전류)가 유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재의 플레이트형 구조물이고, 상기 발열부와 상기 수신코일의 사이에는 절연재가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is a plate-like structure of metal material that induces eddy current (eddy current) by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receiving coil, and an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heating unit and the receiving coil.

또한, 상기 조리받침부는 설치 고정형 구조물로 그 상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전원송신모듈을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okware unit is an installation-fixed structure, and one or a plurality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조리받침부는 이동형 구조물로 그 상면에는 하나의 상기 전원송신모듈을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okware unit is a movable structure, and one power transmission modul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전원송신모듈에는 상용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라인 또는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라인이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or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battery power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또한, 상기 전원수신모듈은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The power receiving module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수신모듈을 구성되는 용기에 음식물 종류에 따른 등록코드를 부여하고, 용기가 올려지는 조리받침부에는 등록코드를 인증하는 전원송신모듈을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조리받침부에 등록코드가 부여된 용기가 올려질 때 전원송신모듈에서 용기의 전원수신모듈로 전원을 무선 전송하면서 용기내의 음식물(예; 물, 커피, 녹차, 라면, 찌게류, 찜류 등)에 대한 가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등록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용기가 조리받침부에 올려질 경우에는 그 가열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용기 가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for supplying a registration code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a container constituting the power receiving module and authenticating the registration code is provided in the cooking pot receiving portion. When the container with the registration code is raised,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wirelessly transmits the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of the container, and the heating temperature for food (eg water, coffee, green tea, rame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heating of the container an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while preventing the heating operation from being performed when the container having no registration code is placed on the cooking cavity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 가열 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치 고정형 조리받침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형 조리받침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stalled stationary coo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able cook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 가열 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용기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치 고정형 조리받침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동형 조리받침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fixed mounting-type cooking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cooking cavity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negative por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가열 장치는 용기(10), 전원수신모듈(20), 전원송신모듈(30), 온/오프의 전원스위치(41)를 구성한 조리받침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제어단말기(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1 to 6, a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10, a power receiving module 20, a power transmitting module 30, an on / off power switch 41, And a cooktop 40 constituting the control terminal 50. 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5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용기(10)는 금속재 또는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는 물, 커피, 녹차, 라면, 찌게류, 찜류 등의 내용물(또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것이다.The container 10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or a ceramic material and contains the contents (or food) such as water, coffee, green tea, ramen, steamed rice, and steam.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은 제 1 통신부(20a)를 포함하면서 상기 용기(10)의 외부 바닥면에 일체 또는 분리되는 구조물로, 등록코드가 부여되면서 상기 전원송신모듈(30)로부터 송신하는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용기(10)를 가열시키는 것이며, 전원수신부(21), 발열부(22), 온도센서(23), 제 1 제어기(MCU)(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part 20a and is integrally or separated from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is provided with a registration code, And includes a power receiving unit 21, a heating unit 22, a temperature sensor 23, and a first controller (MCU) 24.

상기 전원수신부(21)는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온시, 상기 전원송신모듈(30)로부터 전원을 무선 수신하는 것으로, 이는 플레이트형 코어(21a)에 권선되는 전원 수신이 이루어질 때 자력선을 발생시키는 수신코일인 것이다.The power receiving unit 21 wirelessly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30 when the power switch 41 is turned on so that the power receiving unit 21 generates a magnetic force line when receiving power to be wound on the plate- It is the receiving coil.

상기 발열부(22)는 상기 전원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전원으로부터 발열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용기(10)를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맴돌이 전류(와전류)가 유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재의 플레이트형 구조물로서, 상기 용기(10)의 외측 바닥면에 밀착 구성되고, 이에따라 상기 발열부(22)와 상기 수신코일의 사이에는 절연재(25)를 구성하도록 하였다.The heating unit 22 is heated by a power source received through the power receiving unit 21 to heat the container 10. An eddy current (eddy current) is induced by a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in the receiving coil A plate-like structure of a metal material for generating heat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so that an insulating material 25 is formed between the heating portion 22 and the receiving coil.

상기 온도센서(23)는 상기 발열부(22)의 발열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단말기(50) 또는 상기 제 1 제어기(24)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temperature sensor 23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unit 22 and outpu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terminal 50 or the first controller 24.

상기 제 1 제어기(24)는 등록코드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23)로부터 측정된 발열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부(22)의 발열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 1 통신부(20a)를 통해 제 2 통신부(30a)를 가지는 전원송신모듈(30)로 전송 처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first controller 24 has a registration code and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 calorific value of the heating unit 22 according to the measured heating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3 and outputs i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a To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ha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0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0a.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은 상기 전원수신모듈(20)에 포함되는 제 1 제어기(24)에 부여되는 등록코드 인증을 통해 상기 전원수신모듈(20)로의 전원 송신을 결정하고, 송신되는 상기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의 가열에 따른 상기 용기(10)의 음식물 조리를 위한 온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전원송신부(31), 제 2 제어기(32), 스위칭부(3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30 determines power transmission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through a registration code authentication given to the first controller 24 included in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The second controller 32, the switching unit 33, and the control unit 33.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heating of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

상기 전원송신부(31)는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온시 상기 전원수신부(21)로 공급받게 되는 외부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것으로, 이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신코일에 자기유도전류를 전달하는 송신코일인 것이다.The power transmitting unit 31 wirelessly transmits an external power source to be su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21 when the power switch 41 is turned on. The power transmitting unit 31 transmits a self induction current to the receiving coil It is a coil.

상기 제 2 제어기(32)는 상기 조리받침부(40)에 용기가 올려질 때 상기 제 1 제어기(24)에 부여되는 등록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전원송신부(31)의 외부전원 무선 전송을 제어하면서, 제 1,2 통신부(20a)(30a)의 통신을 통해 제 1 제어기(24)의 발열량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전송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한편, 인증 실패시에는 상기 전원송신부(31)의 외부전원 무선 전송을 차단 제어하기 위해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econd controller 32 authenticates the registration code assigned to the first controller 24 when the container is loaded on the cookware unit 40 and controls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of the power transmitter 31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calorific power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ler 24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units 20a and 30a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of the wirelessly transmitted power, In order to control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external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스위칭부(33)는 외부전원라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송신부(31)로의 외부전원 공급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switching unit 33 is provided o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and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unit 3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controller 32.

상기 조리받침부(40)는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용기(10)가 올려질 때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서 전원수신모듈(20)로의 전원 무선 송신을 결정하게 되는 온/오프의 전원스위치(41)가 마련된 것이다.The cooker unit 40 is configured to form the power transmitter module 30. When the container 10 is lifted up, the power transmitter module 30 determines to transmit power to the power receiver module 20 On / off power switch 41 is provided.

이때, 상기 조리받침부(40)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설치 고정형 구조물로서 그 상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을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이동형 구조물로서 그 상면에 하나의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을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5, one or more power transmission modules 3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40, or may be formed as a movable type And one power transmission module 3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s a structure.

여기서, 상기 조리받침부(40)를 설치 고정형 구조물로 설계하는 경우, 상기 조리받침부(40)는 여러개의 용기(10)가 올려지도록 종래 가스레인지 또는 전기스토브의 형상을 가지면서 주방에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동형 구조물로 설계한다라는 것은 하나의 용기(10)만이 올려지도록 하면서 주방내에서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When the cooking receptacle 40 is designed as a fixed mounting structure, the cooking receptacle 40 is installed in the kitchen with the shape of a conventional gas range or electric stove so that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can be lifted up And designing the movable structure means that only one container 10 can be lifted so that the position can freely be changed in the kitchen.

즉, 상기 조리받침부(40)에는 외부전원라인이 연결되어야 하므로, 주방내에 고정형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주방 범위내에서 싱크대, 수납장, 식탁 등 그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since the external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cooking cavity 40, the cooking cavity 40 can be fixedly installed in the kitchen,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ink, the cabinet, and the table can be freely changed within the kitchen range.

한편,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 외부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하였지만,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라인을 연결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터리 전원 공급의 전원라인을 연결시에 상기 이동형 구조물인 조리받침부(40)는 댁내에서 그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 음식물 조리시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lthough the power supply line for external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ransmission module 30,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battery power. When the power supply line for the battery power supply is connected, Since the position of the cooking cavity 40, which is a movable structure, is free to move in the house, it is possible to use the cooking cavity 40 even when the food is cooked.

한편, 상기 제어단말기(50)는 스마트패드, 스마트폰, 용기 가열 장치 전용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의 제 1 통신부(20a) 및/또는 전원송신모듈(30)의 제 2 통신부(30a)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이 탑재된 것이며,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 의해 등록코드 인증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서 전원수신모듈(20)로의 전원 무선 송신을 온/오프 제어하는 한편,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의 가열에 따른 상기 용기(10)의 음식물 조리를 위한 온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전원송신모듈(30)로 출력하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다.The control terminal 50 may be any one of a smart pad, a smart phone, and a terminal dedicated to the container heating apparatus. The control terminal 50 may be a terminal for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a of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and /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0a of the transmission module 30 is mounted. When the registration cod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30, And controls the on / off control of power supply radio transmission from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to the power supply receiving module 20 and adjust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receiving module 20, And a control program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for cooking food to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is mounted.

여기서, 상기 등록코드라 함은, 용기(10)가 조리받침부(40)에 올려져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할 때, 그 데움이나 조리를 위한 용기인지를 등록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만약 등록코드가 없을 경우 조리단말기(40)의 전원스위치(41) 또는 상기 제어단말기(50)에 의해 전원공급을 위한 온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용기(10)의 전원수신모듈(20)로 전원의 무선 송신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전원수신모듈(20)에 포함되는 발열부(22)의 발열동작 또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Here, the registration code refers to information registered when the container 10 is placed on the cooking cavity 40 to warm or cook the food, or to register the container for cooking or cooking. If the registration code Even if an on signal for power supply is generated by the power switch 41 of the cooking utensil 40 or the control terminal 50, So that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22 included in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can not be performed.

즉, 상기 조리받침부(40)에는 등록코드가 부여된 용기(10)만이 올려져야만, 상기 발열부(22)의 발열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등록코드는 음식물 종류에 따라 부여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only the container 10 to which the registration code is affixed is provided in the cooking cavity 40 so that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heating unit 22 can be performed. Also, the registration cod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You can do it.

일예로, 라면을 끓이는 용기, 국을 끓이는 용기, 찌게를 끓이는 용기, 물을 데우는 용기, 볶음 조리를 위한 용기, 튀김 조리를 위한 용기 등으로 구분하여 등록코드를 부여하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의 제 2 제어기(32) 또는 제어단말기(50)에서는 음식물 종류에 따라 등록된 코드를 인증처리하여 음식물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전원송신부(21)를 통해 송신하게 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전원수신모듈(20)에 포함되는 발열부(22)의 발열량을 제어하여 음식물 종류에 따른 소비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제 2 제어기(32) 및/또는 제어단말기(50)에는 음식물 종류에 따라 달리지는 용기(10)의 가열온도정보가 저장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부(22)의 발열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For example, a registration code is assigned to a container for boiling ramen, a container for boiling rice, a container for boiling pot, a container for warming water, a container for fried cooking, a container for frying, etc., The second controller 32 or the control terminal 50 of the controller 30 authenticates the code regist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to determine the type of food to control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transmitter 21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22 included in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For this purpose, the second controller 32 and / The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10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is stored in the terminal 50 so tha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22 can be controlled using the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가열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용기(10)의 내부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어둔 상태에서, 상기 용기(10)를 조리받침부(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원송신모듈(30)의 위에 올려놓는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n the state where the food to be cooked is stored in the container 10, And is placed on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er unit 40.

다음으로, 상기 조리받침부(40)의 전원스위치(41)를 온시키게 되면, 외부전원은 전원송신부(21)로 입력된다.Next, when the power switch 41 of the cookware unit 40 is turned o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input to the power source transmitting unit 21.

이때,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 포함되는 제 2 제어기(32)는 올려진 용기(10)의 전원수신모듈(20)에 포함되는 제 1 제어기(24)로부터 등록코드를 수신한 후 인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ler 32 included in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30 receives the registration code from the first controller 24 included in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of the loaded container 10, do.

따라서, 상기 제 2 제어기(32)는 등록코드 인증이 확인될 때, 송신코일인 전원송신부(31)는 전원라인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는 외부전원을 무선전송하고, 이에따라 용기(10)에 일체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수신모듈(20)의 전원수신부(21)인 수신코일에서는 전원을 수신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registration code authentication is confirmed, the second controller 32 wirelessly transmits the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unit 31, which is the transmitting coil, Which is the power receiving unit 21 of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즉, 상기 전원수신부(21)인 수신코일은 전원송신부(31)인 송신코일과 자기적으로 형성되면서 상호 인덕턴스로 인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력선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수신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발열부(22)에서는 맴돌이 전류(와전류)가 유도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receiving coil, which is the power receiving unit 21, is magnetically formed with the transmitting coil 31 as the power transmitting unit 31, and generates magnetic force lines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due to mutual inductance. By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receiving coil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2, an eddy current (eddy current) is induced to generate heat.

이에따라, 상기 발열부(22)는 일정온도로 발열이 이루어지고, 그 발열에 따른 온도는 금속재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10)로 전이되면서, 상기 용기(10)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음식물은 일정온도로 데워지거나 가열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heating unit 22 generates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22 is transferred to the metal or ceramic material container 1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10 is increased. The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cooked.

이때, 상기 발열부(22)에 의해 용기(10)가 일정온도로 가열시, 상기 발열부(22)의 발열온도는 온도센서(23)에 의해 측정된 후 제 1 제어기(24)에 전달되는 바, 상기 제 1 제어기(24)에서는 상기 온도센서(23)로부터 측정된 온도에 따라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제 1 통신부(20a)를 통해 제 2 통신부(30a)를 가지는 전원송신모듈(30)의 제 2 제어기(32)로 전송처리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ontainer 10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ing unit 22,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22 i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3 and then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ler 24 The first controller 24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3 to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30 having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0a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a To the second controller 32 of the second processor 32. [

그러면, 상기 제 2 제어기(32)는 등록코드가 부여된 용기(10)의 발열부(22)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질 때, 그 조리온도가 항상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전원송신부(31)로부터 전원수신부(2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발열부(22)의 발열온도가 높으면 전류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발열부(22)의 발열온도가 낮으면 전류량을 증대시켜, 상기 발열부(22)의 발열량에 따른 용기(10)의 음식물에 대한 조리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Then, the second controller 32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o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22 of the container 10 to which the registration code is assigned, The amount of current is reduced when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on unit 22 is high and the amount of current is increased when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on unit 22 is low, The cooking temperature of the food in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22 is always maintained constant.

한편, 상기 용기(10)에 등록코드가 부여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전원수신부(21)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리받침부(40)에 용기(10)가 올려지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조리받침부(40)의 전원스위치(41)를 온 시키거나 또는 제어단말기(50)를 통해 전원공급을 위한 온의 스위칭신호를 무선 전송하더라도, 상기 제 2 제어기(32)는 등록코드의 인증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용기(10)의 전원수신부(21)로 전원을 전송하지 않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용기(10)의 음식물 조리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10 is lifted up to the cooking cavity 4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10 is not provided with a registration code or the power reception unit 21 is not provided, Even if the power switch 41 of the pedestal 40 is turned on or the switching signal of the on-state for power supply is transmitted via the control terminal 50, the second controller 32 does not authenticate the registration code The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21 of the vessel 10, so that the vessel 10 is not cooked.

즉, 본 발명은 등록코드가 부여된 용기(10)만이 조리받침부(40)에 올려질 때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그 음식물 조리가 항상 일정한 온도에서 이루어지도록 전원송신모듈(30)내의 제 2 제어기(32)가 무선 송신하는 전원의 전류량을 상기 발열부(22)의 발열온도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the container 10 to which the registration code is attached is loaded on the cooking cavity 40, the food can be cooked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wirelessly, so that the food is always cooked at a constant temperature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of the power source transmitted by the second controller 32 in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unit 22. [

한편, 상기 제어단말기(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이에따라 상기 전원송신부(31)에서 전원수신부(21)로 전원에 대한 무선 전송은 물론, 무선 전송되는 전원의 전류량 제어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제어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control terminal 50 is operated by a user so that not only th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power transmitter 31 to the power receiver 21 but also the control of the current amount of the wirelessly transmitted power is performed manually May be controlled.

이상에서 본 발명 용기 가열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용기 20; 전원수신모듈
20a; 제 1 통신부 21; 전원수신부
21a; 플레이트형 코어 22; 발열부
23; 온도센서 24; 제 1 제어기
25; 절연재 30; 전원송신모듈
30a; 제 2 통신부 31; 전원송신부
32; 제 2 제어기 33; 스위칭부
40; 조리받침부 41; 전원스위치
50; 제어단말기
10; Vessel 20; Power receiving module
20a;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 Power receiver
21a; A plate-shaped core 22; The heating unit
23; A temperature sensor 24; The first controller
25; Insulating material 30; Power transmission module
30a;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1; Power source transmitter
32; A second controller 33; The switching unit
40; A cooker portion 41; Power switch
50; Control terminal

Claims (10)

금속재 또는 세라믹재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조리용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등록코드가 부여되면서 전원 수신을 통해 상기 용기를 가열시키는 전원수신모듈(20);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의 등록코드 인증을 통해 상기 전원수신모듈(20)로의 전원 송신을 결정하고, 송신되는 상기 전원의 전류량을 조절하여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의 가열에 따른 상기 용기(10)의 음식물 조리를 위한 온도를 제어하는 전원송신모듈(30); 및,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10)가 올려질 때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서 전원수신모듈(20)로의 전원 무선 송신을 결정하게 되는 온/오프의 전원스위치(41)가 마련되는 조리받침부(40);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전원수신모듈(20)에는 제 1 통신부(20a)를 구성하고,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는 제 2 통신부(30a)를 구성하며, 상기 제 1,2 통신부(20a)(30a)는 통신모듈이 탑재된 제어단말기(50)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어단말기(50)에는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 의해 등록코드 인증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서 전원수신모듈(20)로의 전원 무선 송신을 온/오프 제어하고, 상기 전원의 전류량이 조절하여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의 가열에 따른 상기 용기(10)의 음식물 조리를 위한 온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전원송신모듈(30)로 출력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
A food cooking vessel (10)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ceramic material; A power receiving module (20) form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nd heating the container by power receiving while being provided with a registration code; The power supply receiving module 20 determines the transmission of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through the registration code authentication of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and adjust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of the power source to be transmitted, 1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for food preparation; And an on / off power switch for determining power transmission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30)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when the container (10) is lifted up, (40) provided with a cooking cavity (41); And,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constitutes a first communicating part 20a and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30 constitutes a second communicating part 30a.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ng parts 20a, And a control terminal (50) on which the module is mounted,
The control terminal 50 is provided with an on / off control for power supply radio transmission from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according to a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during registration code authentication by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And a control program for outputting to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for cooking food of the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heating of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by adjusting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of the power supply Wherein the container heating device compris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은,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온시, 상기 전원송신모듈(30)로부터 전원을 무선 수신하게 되는 전원수신부(21);
상기 용기(10)의 외측 바닥면에 밀착 구성되고, 상기 전원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전원으로부터 발열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용기(10)를 가열하는 발열부(22);
상기 발열부(22)의 발열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제어단말기(50) 또는 후술하는 제 1 제어기(24)로 출력하는 온도센서(23); 및,
등록코드를 가지며, 상기 온도센서(23)로부터 측정된 발열온도에 따라 상기 발열부(22)의 발열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 1 통신부(20a)를 통해 전원송신모듈(30)로 전송 처리하는 제 1 제어기(24);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
The power suppl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A power receiving unit (21)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30) when the power switch (41) is turned on;
A heating unit 2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nd which heats the container 10 by generating heat from a power source received through the power receiving unit 21;
A temperature sensor 23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unit 22 and outputting the temperature to the control terminal 50 or a first controller 24 to be described later; And
And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calorific value of the heating unit 22 according to the measured heating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23 and transmits it to the power transmitting module 3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0a. A first controller (24) for transmitting / Wherein the container heating device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은,
외부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전원스위치(41)의 온시 상기 전원수신부(21)로 공급받게 되는 외부전원을 무선 송신하는 전원송신부(31);
상기 조리받침부(40)에 용기(10)가 올려질 때 상기 제 1 제어기(24)에 부여되는 등록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전원송신부(31)의 외부전원 무선 전송을 제어하면서, 제 1,2 통신부(20a)(30a)의 통신을 통해 제 1 제어기(24)의 발열량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전송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제어하고, 인증 실패시 상기 전원송신부(31)의 외부전원 무선 전송을 차단 제어하는 제 2 제어기(32); 및,
외부전원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제어기(3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송신부(31)로의 외부전원 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부(33);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
4. The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A power transmitting unit 31 that receives external power and wirelessly transmits an external power su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21 when the power switch 41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0 authenticates the registration code given to the first controller 24 when the container 10 is lifted up to the cooking receptacle 40 and controls the external power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ower transmitter 31, Receives the calorific power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ler (24) through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s (20a) and (30a) to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wirelessly transmitted power source, and interrupts the external power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ower source transmission unit A second controller 32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ntroller 32; And
A switching unit 33 installed o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for turning on / off external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unit 3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controller 32; Wherein the container heating device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신부(21)는 플레이트형 코어(21a)에 권선되어 전원 수신시 자력선을 발생시키는 수신코일이고, 상기 전원송신부(31)는 상기 수신코일에 자기유도전류를 전달하는 송신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power receiving unit (21) is a receiving coil that is wound around the plate-like core (21a) to generate magnetic force lines when receiving power, and the power transmitting unit (31) Wherein the heating coil is a transmission coi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22)는 상기 수신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맴돌이 전류가 유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재의 플레이트형 구조물이고, 상기 발열부(22)와 상기 수신코일의 사이에는 절연재(2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The heat generating unit (22)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heat generating unit (22) is a plate-like structure of metal material that generates eddy current by induction of eddy current by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from the receiving coil, (25).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받침부(40)는 설치 고정형 구조물로 그 상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The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king cavity (40) is an installation fixed structure, and one or a plurality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s (30)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받침부(40)는 이동형 구조물로 그 상면에는 하나의 상기 전원송신모듈(30)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The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king cavity (40) is a movable structure, and one power transmission module (30) is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송신모듈(30)에는 상용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라인 또는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라인을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The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ower supply transmitting module (3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or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battery pow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신모듈(20)은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가열 장치.The container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ower receiving module (20) is integrally o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KR1020140025854A 2014-03-05 2014-03-05 Container heating apparatus KR101604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54A KR101604429B1 (en) 2014-03-05 2014-03-05 Container heating apparatus
PCT/KR2015/000166 WO2015133718A1 (en) 2014-03-05 2015-01-08 Container h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54A KR101604429B1 (en) 2014-03-05 2014-03-05 Container h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657A KR20150104657A (en) 2015-09-16
KR101604429B1 true KR101604429B1 (en) 2016-03-18

Family

ID=5405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54A KR101604429B1 (en) 2014-03-05 2014-03-05 Container h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4429B1 (en)
WO (1) WO201513371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488B1 (en) * 2016-03-15 2018-09-2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automatic heat generating device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519B1 (en) * 2016-03-28 2023-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table
CN105867449B (en) * 2016-03-29 2017-10-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Control the method and device of temperature
IT201600093505A1 (en) * 2016-09-16 2018-03-16 De Longhi Appliances Srl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ITS METHOD
CN109753098A (en) * 2017-11-02 2019-05-1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heating method of foods heat unit
CN111419091A (en) * 2020-03-24 2020-07-17 镓能半导体(佛山)有限公司 Wireless eddy-current heating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7530A1 (en) 2004-12-23 2006-06-29 Roger Payn Appliances for heating and cooling liquids
JP2008100081A (en) 2004-04-28 2008-05-01 Imura Chikaki Heatable substance controlled by radio-frequency discrimination
KR101335136B1 (en) * 2006-03-23 2013-12-05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System and method for food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4902B2 (en) * 2003-12-03 2009-01-28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Electric hot water sto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081A (en) 2004-04-28 2008-05-01 Imura Chikaki Heatable substance controlled by radio-frequency discrimination
WO2006067530A1 (en) 2004-12-23 2006-06-29 Roger Payn Appliances for heating and cooling liquids
KR101335136B1 (en) * 2006-03-23 2013-12-05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System and method for food prepa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488B1 (en) * 2016-03-15 2018-09-2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automatic heat generating devic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657A (en) 2015-09-16
WO2015133718A1 (en)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429B1 (en) Container heating apparatus
ES2339887T3 (en) SYSTEM AND PROCEDURE INTENDED FOR FOOD PREPARATION.
US9955529B2 (en) Smart cookware
EP2907363B1 (en) A wireless cooking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EP3178149B1 (en) Wireless pow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50312969A1 (en) A food preparation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CN108291724A (en) The device of the support cooking container of stove is incuded for intelligent low-laying type
KR101632742B1 (en) Induction range
ES2588195T5 (en) Procedure for operating an electrical food preparation appliance
US11627643B2 (en) Induction cooktop system
EP3384813A1 (en) Cooking vessel for an induction cooking hob
KR101844717B1 (en)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GB2553906B (en) Induction heated cooking vessel
CN203676842U (en) Intelligently controlled kettle
KR101442642B1 (en) Electric range equipped with wireless energy transfer apparatus
CN109691878B (en) Cooking system, cook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GB2552531B (en) Temperature sensor in induction cooker
JP2016083079A (en) Heating cooker
CN112438612A (en) Heating tool
CN208371523U (en) cooking system
JP3177274U (en) Temperature control cook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cooking container
EP3490415B1 (en) Pot usable on induction plates
CN206044338U (en) A kind of intelligent electromagnetic rice cooker based on cloud service
KR20160047685A (en) Cooking receptacle for electric range
KR20230001130U (en) Induction r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