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717B1 -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 Google Patents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717B1
KR101844717B1 KR1020170099867A KR20170099867A KR101844717B1 KR 101844717 B1 KR101844717 B1 KR 101844717B1 KR 1020170099867 A KR1020170099867 A KR 1020170099867A KR 20170099867 A KR20170099867 A KR 20170099867A KR 101844717 B1 KR101844717 B1 KR 10184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duction heater
smart
indu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이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이우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기술미래
Priority to KR102017009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7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induction range and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smart induction range comprises: an enclosure-shaped main body having an opened upper portion; an induction heater suppor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 induction heater mounted on and fixated to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a heat dissipating unit dissipating heat in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n upper cover supporting cooking utensils; an input module to which cooking modes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er and cooking parameter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oking mode are inputted; a temperature sensor which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utensils; and an induction heater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induction heater and the heat dissip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arious cooking modes and the cooking parameter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oking modes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cooking modes and the cooking parameters, and food is cooked, thereby remarkably enhancing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induction range and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모듈 또는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리마파미터가 설정가능한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induction range and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induction range and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일반적으로 음식은 물이나 양념이 첨가된 상태에서 조리기에 의해 가열되거나 끓여져 조리된다. 이러한 조리기에는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븐, 찜기, 전기밥솥, 포트 등 다양한 가열식 조리기가 포함된다.Generally, food is cooked by being heated or boiled by a cooker with water or seasoning added. These cooking utensils include various cooking utensils such as a microwave oven, a gas range, an oven, a steamer, an electric rice cooker, and a pot.

가열식 조리기들은 오래전 나무를 연소시키거나 석유를 연소시키는 방식보다 훨씬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청결하기 때문에 근래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연소 방식보다는 전기와 같이 연소과정이 없는 가열식 조리기가 더 각광받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기오븐, 전자레인지 뿐만 아니라 근래 들어 핫플레이트레인지, 하이라이트레인지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Heated cookers are more convenient than wood burning or petroleum burning since long ago, and they have been widely used recently because they are clean. Especially, there is a tendency that a heating cooker which does not have a burning process like electricity is more popular than a burning type. In this trend, not only electric ovens and microwave ovens but also hot plate ranges and highlight ranges have been widely used.

현재 많이 보급되어 있는 가스레인지의 경우에는 대부분 싱크대에 설치되어 조리가 편리한 점은 있으나, 자동으로 온도가 조절될 수 없고 조리의 선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염으로 인해 부주의시에는 화재의 염려도 있어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다.Although most of the gas ranges that are widely used now are installed in the sink, it is convenient to cook, but the temperature can not be controlled automatically and the cooking can not be selected. In case of carelessness due to the flame, There is an inconvenience.

따라서 가스레인지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전기오븐,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등과 같이 조리시 화재의 염려도 적으면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리장치가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핫플레이트레인지, 하이라이트레인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cooking device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like a gas range, and which can be conveniently and safely used while reducing the risk of fire during cooking, such as an electric oven, a microwave oven, and an electric rice cooker. In response to this demand, , A highlight range and the like are used.

그러나 핫플레이트레인지, 하이라이트레인지 등은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좀 더 편리하게 되었지만, 장치 내부의 가열코일에 의해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플레이트부분이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한번 가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된 판은 쉽게 식지 않는 등 조리할 때 음식의 온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ot plate range, the highlight range and the like are made more convenient because of the use of electricity, since the plate portion o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is heated by the heating coil inside the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s desired when cooking such that the heated plate is not easily cooled.

또한 한번 가열된 가열판은 쉽게 식지 않고 최소 수 십분이 경과되어야 식기 때문에, 조리가 끝난 가열판으로 인해 화재나 화상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hot plate heated once does not easily cool down, and there is a danger of fire or burn due to the cooked plate because the plate must be cooled for at least several tens minute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코일에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조리용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유도가열식 조리기, 일명 인덕션레인지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유도가열식 조리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93681호(2012.08.23. 공개)에는 고주파 자기장이 발생되는 워킹코일과, 고주파 자기장이 발생되는 워킹코일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로 랜지플레이트가 형성된 레인지커버케이스와, 상기 워킹코일에서 고주파 자기장이 발생되게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히햅코 컨트롤러와,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자기장의 공진주파수가 발생되도록 하는 공진주파수발생부와, 상기 공진주파수발생부와 연결되어 공진주파수를 자동으로 찾도록 하는 주파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조절부는 상기 공진주파수발생부의 공진코일과 직렬로 연결되는 조절공진코일과, 상기 조절공진코일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주파수조절이동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유도가열 인덕션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induction heating cooker has been developed which generates an induction current by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a coil to heat the cooking vessel. An example of such an induction heating cook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 -0093681 (published on Aug. 23, 2012), a range cover case in which a working coil in which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 working coil in which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nd a top plate is formed, and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A resonance frequency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resonance frequency of a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working coil, and a frequency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resonance frequency generating unit to automatically search for a resonance frequency, Wherein the frequency adjusting unit includes a resonance frequency generating unit The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induction ov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coil and a resonant frequency adjustment movement which is moved inside the control resonant co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re through to the coils in series are provided.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31118호(2014.11.12. 공개)에는 피가열체를 지지하되, 센싱홀이 형성된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되 중앙부에 결합홀이 형성되며 워킹코일이 권취되는 워킹코일베이스와, 상부가 상기 탑플레이트와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홀에 체결되도록 돌출되어 구비된 중공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센서베이스와, 상단부가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 내측에 탄발지지되는 돌출형 센서를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Also,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31118 (published on November 12, 2014), a top plate having a sensing hole formed therein to support a heating target, a coupling hole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top plate, A sensor base including a working coil base on which a coil is wound and a hollow guide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working coil base and protrud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t a lower portion; And a protruding sensor which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hole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inside the hollow guide portion.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19308호(2015.05.11. 공고)에는 가열 용기가 놓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 용기를 고주파 유도가열하게 되는 유도가열부와, 상기 유도가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도가열부에 대하여 상기 가열 용기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는 복수 개의 높낮이 조절봉과, 상기 높낮이 조절봉을 승강작동시키는 승강 작동 수단과, 상기 높낮이 조절봉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 용기의 저면부가 접하는 상태로 가열 용기가 안착됨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열전도부가 마련된 용기 안착판과, 상기 용기 안착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 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실리콘 고무 패드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유도가열 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9308 (published on May 5, 2015) discloses an induction heating furnace which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 heating vessel is placed and is subjected to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of the heating vessel, A plurality of elevation control rods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heating vessel with respect to the induction heating unit; elevation operation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on adjustment rods; There is disclosed a noncontact induction heating range including a container seating plate on which a heating vessel is mounted and a heat conducting portion provided o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silicone rubber pad arranged on the vessel seating plate to prevent slippage of the heating vessel.

그러나 종래의 인덕션레인지는 단순히 각 인덕션히터의 발열여부 및 발열정도만 입력패널을 통해 선택될 뿐, 다양한 조리모드의 선택이 불가능함에 따라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조리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duction range, only the heat generation and the heat generation of each induction heater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panel, and it is impossible to select various cooking modes, which is very inconvenient to use and deteriorates the cooking quality.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인덕션레인지는 IT 관련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용자가 직접 입력패널을 터치함으로써 각 인덕션히터의 발열여부 및 발열정도를 선택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사용편의성과 관련된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induction range, although the IT related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ed, since the user can directly touch the input panel to select the heat generation and the heat generation of each induction heater, There was a problem,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93681호(2012.08.23. 공개)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93681 (published on Aug. 23, 2012)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31118호(2014.11.12. 공개)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31118 (published Nov. 12, 2014)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19308호(2015.05.11. 공고)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9308 (published on May 20, 2015)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조리모드의 선택과 해당 조리모드에 따른 조리파라미터의 선택을 통해 인덕션히터의 작동이 자동 제어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selection of various cooking modes and selection of cooking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s, And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제어가능함에 따라 사용편의성과 관련된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oblem of providing a smart induction range and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wirelessly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mee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related to ease of us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인덕션히터지지대와,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 상에 안착고정되는 인덕션히터와,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덮여지고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히터의 작동을 위한 조리모드와 상기 조리모드에 따른 조리파라미터가 입력되는 입력모듈과,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의 정중앙에 지지되어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모듈 및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인덕션히터 및 상기 방열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덕션히터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인덕션레인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open top shape; an induction heater support bas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 induction heater seated and fixed on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base; And a cooking chamber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er and a cooking mode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er, A temperature sensor which is supported in the center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utensil; and a temperature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And an induction heat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in response to signal reception Smart induction cooking are achieved by provid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 내에 저장된 조리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and externally transmitting the cook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조리 시에 조리용기의 내에 수용된 조리대상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수신하여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음향센서를 더 포함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oustic sensor is provided which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receives a sound generated from a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avity during cooking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커버 상에 설치되며 조리 시에 조리용기의 내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무게센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or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and measuring a weight of the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avity during cook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 의해 선정된 조리모드와 조리파라미터를 음성신호로 안내하고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에 작동상태를 음성신호로 안내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further includes a speak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for guiding the cooking mode and the cooking parameter selected by the input module to a voice signal and for guiding the operation state to a voice signal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인덕션레인지과,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 가능하며 내부에는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로 상기 인덕션히터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mart induction range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And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er is mounted on the smart cooking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가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로부터 발신되는 조리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induction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smart induction range; a smart induction range; and a smart induction ran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oked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에 의하면, 입력모듈을 통해 다양한 조리모드와 그에 따른 조리파라미터를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 조리모드와 조리파라미터에 맞게 인덕션히터의 작동이 자동 제어되면서 음식물이 조리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induction range and the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and the cooking parameters by selecting various cooking modes and the corresponding cooking parameters through the input module, As a result, the usability is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에 의하면,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조리온도, 음향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무게센서에 의한 조리물의 무게에 대응되어 인덕션히터의 작동이 자동 제어되면서 음식물이 조리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smart induction range and the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oking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food sensed by the acoustic sensor, and the weight of the food by the weight sensor, The operation of the heat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nd the convenience of use is greatly increased as the food is cook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직접적으로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작동이 제어가능하고 가정 내에 설치된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작동이 제어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근거리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과 관련된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induction range and the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can be directly controlled wirelessly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can be controlled indirectly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can be controlled not only in the vicinity but also in the remote place,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블럭구성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현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a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mplementation diagram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in a smart cooking system using a smart induction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인덕션히터지지대(20)와, 인덕션히터지지대(20) 상에 안착고정되는 인덕션히터(30)와,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본체(10) 내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유닛(40)과, 본체(10)의 상부에 덮여지고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부커버(50)와, 상부커버(50)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을 위한 조리모드와 조리모드에 따른 조리파라미터가 입력되는 입력모듈(60)과,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정중앙에 지지되어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와,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타측에 설치되고 입력모듈(60) 및 온도센서(70)의 신호 수신에 따라 인덕션히터(30) 및 방열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를 포함한다.1 to 3, a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n open top shape and a main body 10 having an induction heater support An induction heater 30 mounted on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so as to be seated and fixed on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and a heat dissipating unit 4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for dissipating heat in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An upper cover 50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supports the cooking vessel and which is provided directly below the upper cover 50 and which is provided with a cooking mode and cooking mode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er 30 A temperature sensor 70 which is supported in the center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vessel and a temperature sensor 7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The induction heater 30 and the heat dissipating unit 40 And an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여기서, 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구성부재를 위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진다. Here, the main body 10 corresponds to a base frame form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a component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s a whole.

전술한 본체(10) 내에는 인덕션히터지지대(20)가 설치된다. 인덕션히터지지대(20)는 차후에 설명될 인덕션히터(30)를 하부에서 지지고정하는 것으로, 인덕션히터(30)에 대응되는 개수로 본체(10) 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An induction heater support 2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supports and fixes the induction heater 30 to be described later from below and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epair passag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induction heater 30. [

인덕션히터지지대(20)는 다수의 인덕션히터(30)가 차후에 설명될 상부커버(50)의 하부에 동일한 수직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21)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스페이서(2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스프링(21)의 설치를 위해 본체(10) 상에는 탄성스프링(21)의 하측이 끼워져 지지되는 스프링지지구(22)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스페이서(23)는 내열성 실리콘으로 형성가능하다.The induction heater support 20 is mounted on the elastic spring 21 as shown in FIG. 2 so that a plurality of induction heaters 30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vertical distance below the upper cover 5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acers 23 are provided on the upper edge. In order to install the elastic spring 21, a spring retainer 22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spring 21 is inserted and supported. Further, the spacers 23 can be formed of heat-resistant silicon.

전술한 인덕션히터지지대(20) 상에는 인덕션히터(30)가 각각 안착고정된다. 인덕션히터(30)는 고주파 전류가 가해질 때 교류자기장을 발생시킴에 따라 그 상부의 조리용기에 와류전류 및 그에 따른 줄열이 발생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나선형 코일 형상을 가진다. 인덕셕히터(30)는 동심원 형태로 설치되는 내측유도코일과 외측유도코일로 분리형성될 수도 있다.The induction heater 30 is seated and fixed on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20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heater 30 induces a swirling current in the upper cooking vessel and a corresponding joule heat due to the generation of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when a high-frequency current is applied. The induction heater 30 has a helical coil shape. The induction heater (30) may be separately formed from an inner induction coil and an outer induction coil installed in a concentric shape.

이러한 인덕셕히터(30)는 인덕션레인지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uch an inductive heater 30 is already known in the field of induction rang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for the sake of simplification of the description.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일측에는 방열유닛(40)이 설치된다. 방열유닛(40)은 인덕션히팅과 관련하여 본체(10) 내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A heat dissipating unit (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base (20). The heat dissipation unit 40 serves to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in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in relation to the induction heating.

방열유닛(40)은 인덕션히터(30) 또는 차후에 설명될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에 면접지지되는 방열핀(41)과, 본체(10)를 기준으로 내부열기와 내부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방열팬(43)과, 본체(10) 상에 형성되는 방열공(45)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 중에서 방열팬(43)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방열팬(43)에 의한 내부열기의 방출을 위한 열기방출공이 관통형성된다.The heat dissipation unit 40 includes a heat dissipation fin 41 that is held in contact with the induction heater 30 or an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heat dissipation fin 41 that promotes the circulation of the internal air and the internal air, (43), and a discharging hole (45) formed on the main body (10). A heat radiating hole for radiating internal heat by the heat radiating fan 4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radiating fan 43 in the main body 10.

전술한 본체(1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50)가 덮여진다. 상부커버(50)는 본체(10)의 개방 상부면을 폐쇄함과 동시에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열성 세라믹글라스 재질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The upper cover 50 is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The upper cover 50 serves to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o support the cooking vessel, and is formed of a plate made of a heat-resistant ceramic glass material.

또한 상부커버(50)에는 조리용기의 안착자리를 나타하는 동심원이 표시되고, 그 동심원의 중앙에는 차후에 설명될 온도센서(70)를 위한 관통공(51)이 형성된다.A concentric circle representing the seating position of the cooking container is displayed on the upper cover 50 and a through hole 51 for the temperature sensor 7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전술한 본체(10) 중에서 상부커버(50)의 일측 직하부에는 입력모듈(60)이 설치된다. 입력모듈(60)은 사용자가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을 위한 조리모드와 조리모드에 따른 조리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한 일종의 입력패널에 해당한다. 입력모듈(60)은 터치스크린과 LCD 패널의 조합체로 형성가능하다.An input module 6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ver 50 of the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The input module 60 corresponds to a kind of input panel for the user to input the cooking parameters for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and the cooking parameters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The input module 60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touch screen and an LCD panel.

입력모듈(60)은 특히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원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전원버튼(61)과, 특정시간 이상동안 터치 또는 가압됨에 의해 입력모듈(60) 자체의 작동여부가 선택되도록 하는 잠금설정버튼(62)과, 취사, 가열, 물끓임, 죽, 찜, 삶기, 튀김, 팬요리, 볶음, 구이, 라면 등의 조리모드가 선택되도록 하는 조리모드입력부(63)와, 조리모드입력부(63)에 의해 선택가능한 조리모드와 조리모드입력부(63)에 의해 선택된 조리모드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 1 디스플레이(64)와, 예를 들어 조리모드가 취사일 때 백미밥, 잡곡밥, 찹쌀밥, 현미밥 등과 같은 조리파라미터, 예를 들어 조리모드가 가열일 때 화력 강, 중 약과 같은 조리파라미터 또는 조리모드가 튀김일 때 튀김온도 160℃, 180℃, 200℃와 같은 조리파라미터가 선택되도록 하는 조리파라미터입력부(65)와, 조리파라미터입력부(65)에 의해 선택가능한 조리파라미터와 조리파라미터입력부(65)에 의해 선택된 조리파라미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 2 디스플레이(66)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input module 60 includes a power button 61 for selecting on / off of a power source, and a power button 61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he input module 60 itself is operated by being touched or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 cooking mode input unit 63 for selecting a cooking mode such as cooking, heating, boiling, pouring, steaming, boiling, frying, pan cooking, roasting, A first display 64 for displaying a cooking mode selected by the mode input unit 63 and a cooking mode selected by the cooking mode input unit 63 and a second display 64 for displaying a cooking mode selected by the cooking mode input unit 63, Cooking parameters such as rice, brown rice, etc., for example, when the cooking mode is heating, cooking parameters such as thermal power, medium cooking, or cooking parameters are selected so that cooking parameters such as frying temperatures of 160 캜, 180 캜 and 200 캜 are selected A cooking parameter input unit 65, Li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66) that triggers the cooking parameters selected by the parameter input unit 65 can select the cooking parameters and cooking parameter input section 65 by the.

전술한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정중앙에는 온도센서(70)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온도센서(70)는 조리용기의 바닥면 온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하부지지대의 상부면 중앙에 최대 300℃의 온도 측정이 가능한 전자식 온도센서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A temperature sensor 70 is supported in the center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20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sensor 70 directly measures the bottom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oking utensil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nic temperature sensor member capable of temperature measurement of 300 ° C at maximum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또한 온도센서(7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50)의 관통공(51)에 대응되는 중앙돌출부(73)를 기지는 장착커버(71)가 상부커버(50)에 접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mounting cover 7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70 so as to fix the central protrusion 73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51 of the upper cover 50 .

전술한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타측에는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가 설치된다.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는 전술한 입력모듈(60)에 의해 입력된 조리모드와 조리파라미터와 전술한 온도센서(70)의 센서신호 수신에 따라 인덕션히터(30) 및 방열유닛(40)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An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20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and the heat radiation unit 40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and the cooking parameters input by the input module 60 and the reception of the sensor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70 And the like.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는 고주파전류를 발진시켜 인덕션히터(30)에 인가하기 위한 인덕션드라이버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등을 포함한다.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부터는 상당한 열이 발생되지만 방열유닛(40)에 의한 방열에 의해 제기능이 유지된다.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includes an induction driver for applying a high frequency current to the induction heater 3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induction driver. Significant heat is generated from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but the function is maintained by heat radiation by the heat radiation unit 40. [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에는 별도의 온도센서가 부가설치되어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의 과열시에 방열유닛(40)이 작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에는 실제 조리시에 각종 조리정보(예를 들어 조리시간, 조리온도, 조리물 무게, 사용전력 등)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so that the heat dissipating unit 40 is operated when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is overheated. Further,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may additionall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cooking information (for example, cooking time, cooking temperature, cooking weight, power, etc.) during actual cooking.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본체(10) 내에는 무선통신모듈(90)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90)은 외부, 특히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또는 가정 내의 사물인터넷 무선통신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전송하고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 내에 저장된 조리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Also, although not show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 particula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of the user or the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in the home,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and transmits the cook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to the outside And transmits it.

무선통신모듈(90)은 입력모듈(60)에 의한 직접적인 작동제어 이외에 휴대단말기에 의한 간접적인 작동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RF,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이 데이터의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한 공지의 무선 데이터통신모듈로 형성가능하다. 또한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에 저장되어 외부로 송신되는 조리정보(예를 들어 조리시간, 조리온도, 조리물 무게, 사용전력 등)를 통해 사용자의 헬스케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생활패턴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enables indirect operation control by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direct operation control by the input module 6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is a know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apable of bidirectio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data such as RF, WIFI, Bluetooth, Can be formed as a module. Also, information for the user's healthcare is provided through the cook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cooking time, cooking temperature, cooking weight, Can be provid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0) 내에는 음향센서(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음향센서(100)는 조리 시에 조리용기의 내에 수용된 조리대상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수신하여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 특정 음파에 대응되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음향센서로 구현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n acoustic senso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acoustic sensor 100 receives sound generated from a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ontainer during cooking and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The acoustic sensor 100 generates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a sound wav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ound wave, Sensor.

음향센서(100)의 탑재로 인해 조리물이 끓거나 조리물이 넘쳐 기화될 때 발생되는 음향의 감지시에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가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가동세기를 약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stops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or weakens the operation intensity when the sound generated by the boiling of the food or the overflowing of the food is detected due to the mounting of the acoustic sensor 100, Can be adjusted.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상부커버(50) 상에는 무게센서(110)가 설치될 수 있다. 무게센서(110)는 조리 시에 조리용기의 내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 통상의 압전센서로 형성가능하다.Also, although not shown, a weight sensor 11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50 described above. The weight sensor 110 measures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cooked stored in the cooking container at the time of cooking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The weight sensor 110 can be formed by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sensor.

이러한 무게센서(110)의 탑재로 인해 조리시 재료의 양을 무게센서(110)에 의해 측정되는 무게를 통해 손쉽게 확인하면서 투입할 수 있으며, 취식 후에는 섭취한 음식의 양을 확인할 수도 있다.Due to the mounting of the weight sensor 110,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the amount of the material during cooking, through the weight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110, and to check the amount of food after eating.

또한 예를 들어 삼겹살이나 생선을 구울 경우 조리용기가 2개의 화구에 걸쳐지게 놓여지므로 조리모드 중 굽기는 2개의 화구 상에 동시에 조리용기가 적재되었음이 무게센서(110)에 의해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Also, for example, when the pork belly or the fish is burnt, the cooking vessel is placed over the two craters, so that the cooking during the cooking mode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cooking vessel is loaded on the two craters at the same time May be set.

또한 본체(10) 내에는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120)는 입력모듈(60)에 의해 선정된 조리모드와 조리파라미터를 음성신호로 안내하고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에 작동상태를 음성신호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는 것으로, 통상의 스피커 모듈로 형성가능하다. 스피커(12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향센서(100)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Also, a speaker 12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speaker 120 serves to guide the cooking mode and the cooking parameter selected by the input module 60 to the voice signal and to guide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to the operation state to the voice signal. Lt; / RTI > The speaker 120 may also serve as the acoustic sensor 1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는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휴대단말기(3)와 함께, 또는 휴대단말기(3)와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5)와 함께 스마트 조리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는 휴대단말기(3) 또는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5)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90)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The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the portable terminal 3 or with the portable terminal 3 and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erver 5 A smart cooking system can also be configured. To this end, the smart induction range 1 must necessaril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3 or the object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리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모듈(90)을 포함하는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와, 스마트 인덕션레인지의 무선통신모듈(90)과 무선통신 가능하며 내부에는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무선통신모듈(90)을 통해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휴대단말기(3)를 포함한다.3, a smart coo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induction range 1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with a smart induction range, And a portable terminal 3 in which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is mounted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조리시스템은 가정 내에 구비되고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 및 휴대단말기(3)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휴대단말기(3)로부터 발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로 전송하고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로부터 발신되는 조리정보를 저장하고 휴대단말기(3)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loT; Internet of Things)용 무선통신서버(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coo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3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 And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5 for Internet of Things (loT) for transmitting cooking information sent from the smart induction range 1 to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nd storing the cooking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 can do.

휴대단말기(3)에는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에 의한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데, 이 어플리케이션은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모드와 조리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설정창 이외에 조리방법을 설명하는 설명창,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사용태양과 사용시간, 사용전력 등을 통계적으로 표시하는 사용패턴알림창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3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wireless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by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4, A description window for explaining the cooking method, a usage pattern notification window for statistically displaying the usage time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the usage time, and the usage power, in addition to the setting window for setting the cooking parameters.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사용태양과 패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조리정보를 토대로 헬스케어 등의 정보를 확안할 수 있다.The us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pattern and pattern of his / her smart induction range 1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he / she can obtain information such as health care based on the cooking information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I can not.

휴대단말기(3)와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5)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trol of household appliance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3 and th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erver 5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이 경우에는 입력모듈(60)을 통해 다양한 조리모드와 그에 따른 조리파라미터를 선택하기만 하면 해당 조리모드와 조리파라미터에 맞게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이 자동 제어되면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다.In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only various cooking modes and corresponding cooking parameters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60, And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oking parameters, so that the food can be cook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의 경우에는 온도센서(70)에 의해 감지되는 조리온도, 음향센서(100)에 의해 감지되는 조리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 또는 무게센서(110)에 의한 조리물의 무게에 대응되어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이 자동 제어되면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cooking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70 and the cooking temperature sensed by the acoustic sensor 100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is automatical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food or the weight of the food by the weight sensor 110 so that the food can be cook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3)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직접적으로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작동이 제어가능하고 가정 내에 설치된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5)를 통해 간접적으로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작동이 제어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근거리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mart cooking system using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is directly performed wirelessly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3 of the us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can be controlled indirectly through the controllable and in-hom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erver 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1).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embodiments being exemplarily described above.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at all implemen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3 : 휴대단말기
5 :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
10 : 본체
20 : 인덕션히터지지대
21 : 탄성스프링
23 : 스페이서
30 : 인덕션히터
40 : 방열유닛
41 : 방열핀
43 : 방열팬
45 : 방열공
50 : 상부커버
51 : 관통공
60 : 입력모듈
61 : 전원버튼
62 : 잠금설정버튼
63 : 조리모드입력부
64 : 제 1 디스플레이
65 : 조리파라미터입력부
66 : 제 2 디스플레이
70 : 온도센서
71 : 장착커버
73 : 중앙돌출부
80 : 인덕션히터컨트롤러
90 : 무선통신모듈
100 : 음향센서
110 : 무게센서
120 : 스피커
1: Smart induction range
3:
5: Wireless internet server for Internet
10: Body
20: Induction heater support
21: Elastic spring
23: Spacer
30: Induction heater
40: heat dissipating unit
41:
43: Heat-dissipating fan
45: Heat insulation
50: upper cover
51: Through hole
60: input module
61: Power button
62: Lock setting button
63: Cooking mode input section
64: First display
65: Cooking parameter input section
66: Second display
70: Temperature sensor
71: Mounting cover
73: central protrusion
80: Induction heater controller
9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00: Sound sensor
110: Weight sensor
120: Speaker

Claims (8)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인덕션히터지지대(20);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20) 상에 안착고정되는 인덕션히터(30);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내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유닛(40);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덮여지고 조리용기를 지지하는 상부커버(50);
상기 상부커버(50)의 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을 위한 조리모드와 상기 조리모드에 따른 조리파라미터가 입력되는 입력모듈(60); 및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정중앙에 지지되어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70);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2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모듈(60) 및 상기 온도센서(70)의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인덕션히터(30) 및 상기 방열유닛(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전송하고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 내에 저장된 조리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90);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며 조리 시에 조리용기의 내에 수용된 조리대상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수신하여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음향센서(100);
상기 상부커버(50) 상에 설치되며 조리 시에 조리용기의 내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무게센서(110);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모듈(60)에 의해 선정된 조리모드와 조리파라미터를 음성신호로 안내하고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에 작동상태를 음성신호로 안내하는 스피커(120)를 포함하며,
상기 인덕션히터지지대(20)는 탄성스프링(21)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탄성편향되게 설치되고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커버(50)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스페이서(23)가 설치되는 스마트 인덕션레인지.
A body (10) having a shape of an enclosure with an open top;
An induction heater support 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n induction heater 30 seated and fixed on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A heat dissipation unit 4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to dissipate heat in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An upper cover 50 which is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supports the cooking vessel;
An input module 60 installed directly underneath the upper cover 50 for inputting a cooking mode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er 30 and a cooking parameter according to the cooking mode; And
A temperature sensor 70 supported in the center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2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vessel;
An induction heater 4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duction heater supporter 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er 30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40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60 and the temperature sensor 70, A controller 8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and externally sending cook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An acoustic sensor 10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nd receiving acoustics generated from a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avity during cooking and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A weight sensor 110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5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cook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cooking cavity during cooking and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A speaker 1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nd guiding the cooking mode and the cooking parameter selected by the input module 60 to a voice signal and guid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uction heater controller 80 to a voice signal, ≪ / RTI &
The induction heater support base 20 is elastically biased in an upward direction by an elastic spring 21 and has a plurality of spacers 23 suppor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5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따른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 및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무선통신모듈(90)과 무선통신 가능하며 내부에는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의 무선통신모듈(90)을 통해 상기 인덕션히터컨트롤러(80)로 상기 인덕션히터(3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휴대단말기(3)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리시스템.
A smart induction range (1)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duction heater 3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0 of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nd a portable terminal (3) mounted with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operation of the smart cooking system.
청구항 7에 있어서,
가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 및 상기 휴대단말기(3)와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휴대단말기(3)로부터 발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인덕션레인지(1)로부터 발신되는 조리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휴대단말기(3)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용 무선통신서버(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And is connected to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nd the portable terminal 3 so as t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smart induction range 1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erver (5) for storing coo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induction range (1) and transmitting the cooked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3).
KR1020170099867A 2017-08-07 2017-08-07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KR101844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867A KR101844717B1 (en) 2017-08-07 2017-08-07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867A KR101844717B1 (en) 2017-08-07 2017-08-07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717B1 true KR101844717B1 (en) 2018-04-02

Family

ID=6197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867A KR101844717B1 (en) 2017-08-07 2017-08-07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71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337B1 (en) * 2019-03-14 2020-07-23 한성우 Induction device
CN112714524A (en) * 2021-01-15 2021-04-27 佛山市易豆科技有限公司 Intelligence electromagnetism stove for house
KR102248151B1 (en) * 2019-11-25 2021-05-04 주식회사 더원리빙 Smart electric type heating and warming device
EP3833159A1 (en) * 2019-12-03 2021-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duction hob appli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2561A (en) * 2004-05-11 2005-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uction heating device
JP5047216B2 (en) * 2008-11-04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coo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2561A (en) * 2004-05-11 2005-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uction heating device
JP5047216B2 (en) * 2008-11-04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Induction heating cook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337B1 (en) * 2019-03-14 2020-07-23 한성우 Induction device
KR102248151B1 (en) * 2019-11-25 2021-05-04 주식회사 더원리빙 Smart electric type heating and warming device
EP3833159A1 (en) * 2019-12-03 2021-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duction hob appliance
CN112714524A (en) * 2021-01-15 2021-04-27 佛山市易豆科技有限公司 Intelligence electromagnetism stove for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717B1 (en) Smart induction range and smart cooking system therewith
EP20057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food preparation
AU2007342775B2 (en) Cooking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for cook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cooking device
KR101482117B1 (en) Coo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KR101710297B1 (en) Induction heating type range and temperature sensor whichof
JP503373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EP3634087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CN109222618B (en) Cook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oking device
JP5322831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1604429B1 (en) Container heating apparatus
US20180295679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20170057065A (en) Coc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56571B1 (en) cooking appliance
JP6207447B2 (en) Cooking equipment
JP5795931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6607377B2 (en) Cooker
JP5562397B2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US20230048201A1 (en) Electric range adjusting heat power based on properties of heating target
CN218154357U (en) Heating device and cooking utensil
JP2013153943A (en) Tray for high frequency heating and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US20240085027A1 (en) Heating apparatus
JP3177274U (en) Temperature control cook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cooking container
KR100707426B1 (en) Electric oven having heater for heating vessel
KR20230001130U (en) Induction range
WO2020011136A1 (en) Determination of position of cookware on cooker appliance based on response to electromagnetic pul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