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396B1 -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396B1
KR101604396B1 KR1020140101108A KR20140101108A KR101604396B1 KR 101604396 B1 KR101604396 B1 KR 101604396B1 KR 1020140101108 A KR1020140101108 A KR 1020140101108A KR 20140101108 A KR20140101108 A KR 20140101108A KR 101604396 B1 KR101604396 B1 KR 10160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r
compressed air
air
pipeline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492A (ko
Inventor
정철권
김성기
김해중
Original Assignee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스텍이앤씨 filed Critical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10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3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기구; 일측이 상기 공기주입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맨홀관을 지나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으로 인입 가능한 공기주입호스; 내부가 압축공기로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공기주입호스의 타측이 결합되어,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에 인입된 후 내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팽창됨으로써 상기 관로의 유로를 막고, 상기 관로의 유로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압축공기가 기준치 이상 추가로 유입되었을 때 파열되거나 내부가 개방되어 부피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관로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패커; 및 상기 패커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LUSHING SEDIMENT IN PIPE}
본 발명은 관로 내에 쌓이는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수두압과 동수구배로 형성된 소류력을 이용하여 퇴적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수 또는 하수는 토사퇴적물, 음식물, 분뇨 등과 같은 퇴적이나 침전 가능한 오염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 또는 하수가 통과하는 우수관로 및 하수관로에는 우수 또는 하수에 포함된 퇴적물이나 침전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관로에 쌓이게 된다. 퇴적물이나 침전물이 관로에 쌓이게 되면 혐기성 상태가 되어 황화수소 등에 의해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관로를 부식시켜 관로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퇴적물 및 침전물이 관로에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로를 주기적으로 세척한다.
관로를 세척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관로 내부로 청소로봇을 투입하여 관로 내부에 쌓인 퇴적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청소로봇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청소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바, 관로 세척 비용이 매우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로에 수문 및 부력체를 설치하여 하수의 양이 늘어나면 부력체가 상승하여 수문을 막고, 하수의 양이 줄어들면 부력체가 하강하여 수문을 여는 방식으로 수문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관로로 흐르는 하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한꺼번에 방류함으로써 그 수압에 의해 퇴적물 및 침전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과 같이 부력체를 이용하여 수문을 개폐할 경우 수문과 부력체 사이에 퇴적물이나 침전물이 끼이게 됨으로써 수문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세척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로에 수문과 부력체를 설치해야 하므로 초기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41893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수두압을 이용하여 퇴적물을 제거함으로써 관로 세척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별도의 수문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초기 시공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는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기구; 일측이 상기 공기주입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맨홀관을 지나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으로 인입 가능한 공기주입호스; 내부가 압축공기로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공기주입호스의 타측이 결합되어,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에 인입된 후 내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팽창됨으로써 상기 관로의 유로를 막고, 상기 관로의 유로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압축공기가 기준치 이상 추가로 유입되었을 때 파열되거나 내부가 개방되어 부피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관로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패커; 및 상기 패커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커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팩(pack)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묶음와이어에 의해 묶여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묶음와이어는, 상기 패커가 관로의 유로를 막도록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패커 내측으로 기준치 이상의 압축공기가 추가로 공급되었을 때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맨홀관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기구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묶음와이어가 파단되도록 상기 패커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추가 공급한다.
상기 패커는 상기 관로의 출구를 향하는 측에 개구부가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는 상기 패커 중 상기 관로의 입구를 향하는 측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방법은,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기구에 공기주입호스의 일측을 연결하고, 내부에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팽창되는 패커에 상기 공기주입호스 타측을 연결하는 제1 단계; 상기 패커를 맨홀관으로 투입하여,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 상기 패커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관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패커에 의해 유로가 차단된 지점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맨홀관의 수위가 기존에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패커 내에 채워진 압축공기를 일시에 배출시켜 상기 패커에 의해 차단된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관로 내의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커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팩(pack)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묶음와이어에 의해 묶여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묶음와이어가 파단될 때가지 상기 패커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맨홀관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작동신호가 발신되었을 때 상기 패커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추가 공급함으로써, 상기 묶음와이어를 파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커는 상기 관로의 출구를 향하는 측에 개구부가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는 상기 패커 중 상기 관로의 입구를 향하는 측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을 이용하면, 관로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수두압을 이용하여 퇴적물을 제거함으로써 관로 세척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별도의 수문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초기 시공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다수 개의 맨홀관이 연통되도록 구성된 관로 내에 퇴적물이 쌓인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맨홀관 내의 수위를 상승시킨 형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내부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패커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4는 패커를 수축시킴으로써 관로의 유로가 개방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된 패커의 형상을 도시한다.
도 6은 맨홀관에 채워진 물이 고압으로 배출됨에 따라 관로 내의 퇴적물에 배출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다수 개의 맨홀관이 연통되도록 구성된 관로 내에 퇴적물이 쌓인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맨홀관 내의 수위를 상승시킨 형상을 도시하며, 도 3은 내부에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패커의 형상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립된 관로(10)는 지상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맨홀관(20)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데,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흙이나 이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상기 관로(10)의 내부에는 퇴적물(30)이 점차적으로 쌓이게 된다. 관로(10) 내부로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관로(10) 내부에 쌓인 퇴적물(30)을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는데, 퇴적물(30) 제거를 위해 인력이나 청소로봇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관로(10) 세척장치는 인력이나 청소로봇을 사용하여 관로(10) 내의 퇴적물(30)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를 흐르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관로(10) 내의 퇴적물(30)을 제거하되, 관로(10)에 별도의 수문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일반 관로(10)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관로(10) 세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기구(100)와,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상기 공기주입기구(100)에 연결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이 맨홀관(20)을 지나 퇴적물(30)이 쌓이는 관로(10) 내측으로 인입되는 공기주입호스(300)와, 내부가 압축공기로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공기주입호스(300)의 타측이 결합되는 패커(200)와, 상기 패커(20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커(200)는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팽창될 수 있도록 고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탄성을 갖되, 내부 압력이 일정수준 상승하더라도 파열되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커(200)의 재료 특성은 상기 패커(200)의 팽창률과 관로(10)의 규격, 인가되는 수압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퇴적물(30)을 쓸어내는 수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로(10) 중단의 유로를 차단하여 관로(10)로 공급되는 물을 일정량 모아야하는데, 이때 관로(10) 중단의 유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패커(200)이다. 상기 패커(200)가 처음부터 관로(10)를 밀폐시킬 수 있을 만큼 팽창되어 있으면 상기 패커(200)를 관로(10)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우므로, 상기 패커(200)는 관로(10) 내측으로의 인입이 완료될 때까지는 축소되어 있다가, 관로(10) 내측으로의 인입이 완료된 이후 압축공기 주입을 통해 팽창되어 관로(10)의 유로를 막도록 활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관로(10)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관로(10) 내의 퇴적물(3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직 팽창되지 아니한 패커(200)를 맨홀관(20)을 통해 하강시켜 퇴적물(30)이 쌓이는 관로(10) 내측으로 유입시킨 후, 공기주입기구(100)를 작동시켜 상기 패커(200)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패커(200)를 팽창시킨다.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되는 패커(200)는 관로(10)의 내벽에 밀착되어 유로를 막게 되는데, 이와 같이 관로(10)의 유로가 막히면 관로(10)의 입구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으로 유입되는 물이 출구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가 장시간 지속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관(20)(더 명확하게는 패커(200)를 기준으로 관로(10)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맨홀관(20))에 물이 모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맨홀관(20)에 모아지는 물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맨홀관(20)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만큼 맨홀관(20)의 수위가 높아져 수두압이 증가되면 관로(10) 유로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관로(10)를 흐르는 물의 압력이 매우 높아져 퇴적물(30)을 효과적으로 쓸어 낼 수 있게 된다. 맨홀관(20)의 수위가 높아진 상태에서 관로(10)의 유로가 개방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패커(200)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과도하게 많으면 패커(200)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상기 패커(200)가 파열될 우려가 있고, 상기 패커(200)의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양이 너무 적으면 패커(200)가 관로(10)의 내벽에 압착되지 못하여 관로(10)의 유로가 완벽하게 막히지 아니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주입기구(100)는 압력게이지(400)에 의해 측정된 패커(200)의 내부압력이 기준치에 도달할 때까지만 패커(20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패커(200)의 내부압력이 기준치 이상이 되면 압축공기 주입을 중단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패커(200)를 수축시킴으로써 관로(10)의 유로가 개방된 형상을 도시하고, 도 5는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된 패커(200)의 형상을 도시하며, 도 6은 맨홀관(20)에 채워진 물이 고압으로 배출됨에 따라 관로(10) 내의 퇴적물(30)에 배출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관로(10) 세척장치는 이와 같이 맨홀관(20)에 채워진 물의 수두압을 이용하여 관로(10)에 쌓인 퇴적물(30)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맨홀관(20)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즉, 맨홀관(20) 내에 충분한 양의 물이 채워졌을 때, 상기 관로(10)를 개방시켜 맨홀관(20)에 채워진 물이 관로(10)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패커(200) 내의 공기가 서서히 빠져 나가게 되면 관로(10)의 유로가 서서히 개방되므로, 맨홀관(20)에 채워졌던 물은 천천히 관로(10)를 흐르게 되는바, 퇴적물(30) 배출효과가 다소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관로(10) 세척장치는 맨홀관(20)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패커(200)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순간적으로 모두 배출되도록 즉, 관로(10)의 유로가 순간적으로 완전히 개방시키도록 활용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관로(10)의 유로가 순간적으로 완전 개방되면, 맨홀관(20)에 채워져 있던 물이 한 번에 다량으로 관로(10)로 공급 되면서 수격(water hammering)현상이 발생되므로, 관로(10)에 쌓여 있던 퇴적물(30)은 보다 큰 충격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퇴적물(30)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관로(10)의 유로가 순간적으로 완전 개방되기 위해서는 패커(200)의 부피가 순간적으로 빠르게 축소되어야 하는바, 상기 패커(200)는 관로(10)의 유로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압축공기가 기준치 이상 추가로 유입되었을 때 파열되도록 즉, 내부압력에 의해 터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패커(200)가 추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파열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패커(200)를 재사용할 수 없어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열된 패커(200)를 새로운 패커(200)로 교체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관로(10) 세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패커(2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210)를 구비하는 팩(pack)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210)가 묶음와이어(220)에 의해 묶여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묶음와이어(220)는, 상기 패커(200)가 관로(10)의 유로를 막도록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패커(200) 내측으로 기준치 이상의 압축공기가 추가로 공급되었을 때 패커(200)가 파열 이전에 먼저 파단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의 유로를 막도록 패커(200)가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패커(200)의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추가로 공급되면, 패커(200)의 개구부(210)를 묶고 있던 묶음와이어(220)가 파단되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커(200)의 개구부(210)가 개방되어 상기 패커(200)가 순간적으로 축소되고, 이에 따라 관로(10)의 유로가 순간적으로 완전 개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묶음와이어(220)만이 파단될 뿐 패커(200)는 손상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패커(200)는 재사용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개구부(210)가 개방된 패커(200)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묶음와이어(220)로 패커(200)의 개구부(210)를 묶는 과정이 요구되지만, 묶음와이어(220)를 묶는 작업은 패커(200)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에 비해 매우 간단하므로, 관로(10) 세척을 위한 준비 작업이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묶음와이어(220)가 파단되어 패커(200)의 개구부(21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패커(200)의 개구부(210) 방향이 물이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면 패커(200) 내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패커(200)가 뒤집어지면서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패커(200)는 개구부(210)가 개방되었을 때 내부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물의 흐름 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패커(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즉, 내부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개구부(210)가 상기 관로(10)의 출구를 향하는 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호스(300)는 개구부(210)의 반대측 즉, 상기 패커(200) 중 관로(10)의 입구를 향하는 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묶음와이어(220)의 강도가 너무 약하면 패커(200)가 관로(10)의 유로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묶음와이어(220)가 파단됨으로 인해 패커(200)의 개구부(210)가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묶음와이어(220)의 강도가 너무 강하면 관로(10)의 유로를 막고 있던 패커(200)에 압축공기를 추가 공급하였을 때 묶음와이어(220)가 파단되지 아니하여 패커(200)가 파열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묶음와이어(220)의 강도는 패커(200)의 강도 및 패커(200)의 내부압력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맨홀관(20)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높을수록 즉, 관로(10)로 유입되는 순간적인 수압이 클수록 관로(10)에 쌓여 있는 퇴적물(30)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이때 맨홀관(20)의 수위가 너무 높아지면 맨홀 내의 물이 지상으로 역류할 수도 있고, 패커(200)에 큰 수압이 인가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점에서 묶음와이어(220)가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는 맨홀관(20)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이르렀을 때 패커(200) 내부로의 압축공기 추가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관로 세척장치는, 맨홀관(20)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수위센서(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공기주입기구(100)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묶음와이어(220)가 파단되도록 상기 패커(20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추가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맨홀관(20)의 수위에 따라 묶음와이어(220)의 파단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면, 맨홀관(20)의 수위가 과도하게 상승되어 지상으로 물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관로(10) 세척이 이루어지는 시점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위센서의 작동신호에 의해 공기구입기구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면, 관로(10) 세척을 자동화시킬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관로(10) 세척이 가능해진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관로 20 : 맨홀관
30 : 퇴적물 100 : 공기주입기구
200 : 패커 210 : 개구부
220 : 묶음와이어 300 : 공기주입호스
400 : 압력게이지

Claims (8)

  1.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기구;
    일측이 상기 공기주입기구에 연결되고 타측이 맨홀관을 지나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으로 인입 가능한 공기주입호스;
    내부가 압축공기로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공기주입호스의 타측이 결합되어,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에 인입된 후 내부에 압축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팽창됨으로써 상기 관로의 유로를 막고, 상기 관로의 유로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압축공기가 기준치 이상 추가로 유입되었을 때 파열되거나 내부가 개방되어 부피가 축소됨에 따라 상기 관로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패커; 및
    상기 패커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커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팩(pack)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묶음와이어에 의해 묶여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묶음와이어는, 상기 패커가 관로의 유로를 막도록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패커 내측으로 기준치 이상의 압축공기가 추가로 공급되었을 때 파단되며,
    상기 맨홀관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기구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묶음와이어가 파단되도록 상기 패커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추가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커는 상기 관로의 출구를 향하는 측에 개구부가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는 상기 패커 중 상기 관로의 입구를 향하는 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세척장치.
  5.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기구에 공기주입호스의 일측을 연결하고, 내부에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팽창되는 패커에 상기 공기주입호스 타측을 연결하는 제1 단계;
    상기 패커를 맨홀관으로 투입하여, 퇴적물이 쌓이는 관로 내측에 위치시키는 제2 단계;
    상기 패커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관로의 유로를 차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패커에 의해 유로가 차단된 지점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맨홀관의 수위가 기존에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패커 내에 채워진 압축공기를 일시에 배출시켜 상기 패커에 의해 차단된 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관로 내의 퇴적물을 배출시키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패커는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팩(pack)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묶음와이어에 의해 묶여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묶음와이어가 파단될 때가지 상기 패커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맨홀관 내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작동신호가 발신되었을 때 상기 패커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추가 공급함으로써, 상기 묶음와이어를 파단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세척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패커는 상기 관로의 출구를 향하는 측에 개구부가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공기주입호스는 상기 패커 중 상기 관로의 입구를 향하는 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세척방법.
KR1020140101108A 2014-08-06 2014-08-06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60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08A KR101604396B1 (ko) 2014-08-06 2014-08-06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08A KR101604396B1 (ko) 2014-08-06 2014-08-06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92A KR20160017492A (ko) 2016-02-16
KR101604396B1 true KR101604396B1 (ko) 2016-03-17

Family

ID=5544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08A KR101604396B1 (ko) 2014-08-06 2014-08-06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3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390A (ja) * 2003-04-23 2004-11-18 Kazunori Hanayama 暗渠灌漑清掃装置
JP2012202200A (ja) * 2011-03-24 2012-10-22 Hitoshi Nishimoto 通管用具及び通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30B1 (ko) 2014-02-18 2014-07-28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관로 내 퇴적물 세척 및 예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390A (ja) * 2003-04-23 2004-11-18 Kazunori Hanayama 暗渠灌漑清掃装置
JP2012202200A (ja) * 2011-03-24 2012-10-22 Hitoshi Nishimoto 通管用具及び通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92A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7443B (zh) 一种可恢复式隧道排水系统及方法
KR101937273B1 (ko) 튜브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의 하수량 조절 시스템과 차집관로의 누수 탐지 시스템
JP2015013282A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CN103148313A (zh) 一种盾构机管路连接处的阻塞装置及方法
JP2011101847A (ja) 水道管内面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4920531B2 (ja) 上水道管の清掃方法
RU1370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рметизации нефтепровода при проведении ремонтных работ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KR101604396B1 (ko) 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495705B1 (ko)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용 유체 분배 장치
CN203383314U (zh) 一种用于城市排水管道修复时的临时排水装置
GB24667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pipe
US20140290697A1 (en) Method for Testing and Cleaning a Pipeline
JP4115310B2 (ja) 管内夾雑物の排出方法及び排出具
KR101699492B1 (ko) 상하수관거 보수 보강을 위한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KR100690956B1 (ko)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KR101039255B1 (ko)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대구경의 관로시스템
KR10169684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용 반전튜브 반전장치
KR101071276B1 (ko) 공동주택의 드레인 환경 개선용 배관라인
KR100930817B1 (ko) 피그세정기를 사용하기 위한 세정모듈
KR101419773B1 (ko) 관로진단 및 보수를 위한 물막이 공법
JP5748455B2 (ja) 管内面の洗浄方法および緊急時回収用治具
PL195015B1 (pl) Sposób i urządzenie do okresowego przepłukiwania rurowego przewodu kanalizacyjnego
KR101132734B1 (ko)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