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394B1 -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394B1
KR101604394B1 KR1020150189705A KR20150189705A KR101604394B1 KR 101604394 B1 KR101604394 B1 KR 101604394B1 KR 1020150189705 A KR1020150189705 A KR 1020150189705A KR 20150189705 A KR20150189705 A KR 20150189705A KR 101604394 B1 KR101604394 B1 KR 10160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le
outsole
parts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빌
Priority to KR102015018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K3/00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410/00S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출공이 구비된 밑창블록과, 상기 각각의 배출공과 대응되는 지점의 밑창블록 내부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압축폼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폼 캡슐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본체와, 상기 캡슐 본체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내부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 내장되는 제1발포액 및 제2발포액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은 산화규소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웃솔에 의해 미끄러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아웃솔의 일부가 마모되더라도 미드솔의 압축폼에 의해 미끄러움을 계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Nonslip sole}
본 발명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밑창의 아웃솔(outsole)은 미끄럼 방지용 고무 조성물로서 구성되고, 신발 밑창의 미드솔(midsole) 내에는 미끄럼 방지용 압축폼 캡슐이 구비되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신발에 대한 인식 또한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창부분을 통해서는 보행 및 주행시 충격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고, 밑창부분이 무거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으며 가벼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밑창부위의 구조는 크게 인솔(insole), 미드솔(midsole) 및 아웃솔(outsole)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아웃솔은 지면에 직접 접촉되며 지면의 상태에 가장 민감하게 작용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보행이나 런닝시에 지면 상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기후변화에 따라 눈이나 비로 인해 노면에 습기가 많은 경우 슬립을 방지하는 기능이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슬립 방지 기능은 일반적인 스포츠화의 모든 아웃솔에 요구되는 특성이지만, 특히, 등산 시와 같이 지면상태가 불규칙하거나 산이나 계곡처럼 지면을 주로 구성하는 바위 표면이 물기로 젖어 있는 경우는 겉창과 지면의 계면에 존재하는 수분이 슬립을 가속시킴으로써 아웃솔의 슬립 방지 기능이 부족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구성 및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웃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3983호에서는 내구성 및 접지력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용 신발 아웃솔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만으로는 충분한 논슬립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것은 물론, 마모에 의해 아웃솔의 일부분이 닳아지게 되면 아웃솔이 닳아진 부분에서는 논슬립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2787호에서는 아웃솔의 형성시 논슬립부재가 아웃솔의 돌기 하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움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 역시 마모에 의해 아웃솔의 돌기가 닳아지면 더 이상 논슬립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15-0143983 A KR 10-1512787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 밑창의 아웃솔은 미끄럼 방지용 조성물로 구성되고, 미드솔에는 미끄럼 방지용 압축폼 캡슐이 구비됨으로써, 아웃솔에 의해 미끄러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아웃솔의 일부가 마모되더라도 미드솔의 압축폼에 의해 미끄러움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은,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밑창블록과, 상기 각각의 배출공과 대응되는 지점의 밑창블록 내부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압축폼 캡슐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폼 캡슐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본체와, 상기 캡슐 본체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내부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 내장되는 제1발포액 및 제2발포액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발포액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제2발포액은 폴리올, 촉매, 발포제가 포함된 레진프리믹스와 탄화규소(SiC)가 1:0.2~0.5부피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아웃솔은,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와 천연 고무(natural rubber)가 1:0.2~0.3중량비로 혼합된 고무 100중량부, 보강제로서 탄화규소(SiC) 50~100중량부, 가교제로서 유황 1~5중량부, 가교촉진제로서 n-터트-부틸벤조티아졸-2-설펜아미드(n-tert-butylbenzothiazole-2-sulfenamide, TBBS), 테트라 부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 butyl thiuram disulfid, TBTD) 및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 sulfide, DTTS)를 1:0.4:0.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5중량부, 활성화제로서 산화아연과 스테아린산을 1:0.2~0.3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15중량부, 윤활제로서 프로세스오일 8~12중량부, 분산제로서 파라핀 왁스 4~6중량부, 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8~12중량부, 점착제로서 석유수지와 페닐프로판(phenylpropane)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웃솔에도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아웃솔의 배출공은 상기 미드솔의 배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포액 및 제2발포액은 1:1.2~1.5 부피비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웃솔에 의해 미끄러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아웃솔의 일부가 마모되더라도 미드솔의 압축폼에 의해 미끄러움을 계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발 밑창을 신발에 적용한 상태에서 신발 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아웃솔이 마모된 상태에서 발포폼 캡슐이 발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 밑창을 신발에 적용한 상태에서 압축폼 캡슐이 발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신발 밑창은 단순히 아웃솔 또는 아웃솔에 장착된 미끄럼방지재에 의해서만 미끄럼이 방지되었는바, 아웃솔 또는 미끄럼방지재의 일부가 마모될 경우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웃솔은 물론 미드솔 역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밑창은 미드솔(10)과, 상기 미드솔(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20)을 포함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0)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출공(101)이 형성된 밑창블록(100)과, 상기 각각의 배출공(101)과 대응되는 지점의 밑창블록(100) 내부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압축폼 캡슐(200)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폼 캡슐(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본체(201)와, 상기 캡슐 본체(201)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내부 구획부재(202)와,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 내장되는 제1발포액(203) 및 제2발포액(204)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발포액(203)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제2발포액(204)은 폴리올, 촉매, 발포제가 포함된 레진프리믹스와 탄화규소(SiC)가 1:0.2~0.5부피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아웃솔(20)은,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와 천연 고무(natural rubber)가 1:0.2~0.3중량비로 혼합된 고무 100중량부, 보강제로서 탄화규소(SiC) 50~100중량부, 가교제로서 유황 1~5중량부, 가교촉진제로서 n-터트-부틸벤조티아졸-2-설펜아미드(n-tert-butylbenzothiazole-2-sulfenamide, TBBS), 테트라 부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 butyl thiuram disulfid, TBTD) 및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 sulfide, DTTS)를 1:0.4:0.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5중량부, 활성화제로서 산화아연과 스테아린산을 1:0.2~0.3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15중량부, 윤활제로서 프로세스오일 8~12중량부, 분산제로서 파라핀 왁스 4~6중량부, 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8~12중량부, 점착제로서 석유수지와 페닐프로판(phenylpropane)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은, 도 1 내지 3과 같이, 통상의 신발 밑창과 같이 미드솔(10)과 아웃솔(20)로 구성된다. 아울러, 추가적으로 인솔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미드솔(10)과 아웃솔(20) 만으로 그 기능이 발휘되는 것이므로, 인솔에 대한 설명 및 도면에의 도시는 생략한다.
먼저, 아웃솔(20)은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고무 조성물로 상기 아웃솔(20)을 구성한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보강제로서 탄화규소를 포함하고 점착제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에 의해 상기 탄화규소가 고무 조성물 내 균일하게 분포, 결합되고, 탄화규소에 의해 아웃솔(20)의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고무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무 조성물은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와 천연 고무(natural rubber)가 1:0.2~0.3중량비로 혼합된 고무 100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중량부'는 상기 혼합된 고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와 천연고무를 1:0.2~0.3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그 혼합을 통해 고무의 유연성, 탄성은 물론, 내마모성 등의 물성을 신발 밑창에 가장 적합하게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보강제로 사용되는 탄화규소(SiC)는 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마모되지 않으며, 그 형상이 날카로운바, 고무 조성물 내 균일하게 분포되어 고무 성분과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아웃솔(20)을 구성하게 되고, 아웃솔(20)이 지면에 닿아 마모되면서 조성물 내 탄화규소의 입자들이 돌출되어 아이젠(eisen)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탄화규소의 강도는 매우 강하기 때문에 아웃솔(20)이 마모되더라도 탄화규소는 마모되지 않고 돌출된 형태로 존재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아웃솔(20)의 마모 현상이 심화될 수록 탄화규소의 돌출량이 증가하여 그 미끄럼 방지 효과가 더욱 우수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탄화규소를 사용한 고무 조성물은 아웃솔(20) 마모가 진행될수록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화규소는 50~100중량부만큼 포함되는데,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미끄럼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면 고무 조성물의 고무로서의 물성이 저하되어 아웃솔(20)로서의 사용감이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고무 조성물 내 가교제로서는 유황(S)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교촉진제로서는 n-터트-부틸벤조티아졸-2-설펜아미드(n-tert-butylbenzothiazole-2-sulfenamide, TBBS), 테트라 부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 butyl thiuram disulfid, TBTD) 및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 sulfide, DTTS)를 1:0.4:0.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5중량부를 사용함으로써 강력한 가교촉진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가교제 및 가교촉진제는 각각 1~5중량부만큼 포함된다.
그리고 활성화제로서 산화아연과 스테아린산을 1:0.2~0.3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를 이용할 수 있는바, 고무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경도를 저하시켜 원재료인 고무의 가소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활성화제는 10~15중량부만큼 포함된다.
또한, 작업성의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윤활제로서는 프로세스오일이 8~12중량부만큼 포함되고, 분산제로서 파라핀 왁스 4~6중량부, 중화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8~12중량부가 포함한다.
아울러, 점착제로서는 석유수지와 페닐프로판(phenylpropane)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 점착제는 고무 성분과 보강제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석유수지로는 지방족계 수지, 산 개질 지방족계 수지, 지환족계 수지, 수소첨가 지환족계 수지, 방향족계(C9) 수지, 수소첨가 방향족계 수지, C5-C9 공중합 수지, 스티렌 수지, 스티렌 공중합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는 10~15중량부만큼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외에도 자외선 방지제, 노화 방지제 및 산화방지제를 각각 1~10중량부만큼 더 첨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는 고무 조성물의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고무 조성물로서 아웃솔(20)을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의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미드솔(10)은 도 1에서와 같이, 아웃솔(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아웃솔(20)의 고무 조성물이 계속적으로 마모되면 상기 미드솔(10)이 노출되게 된다. 즉, 신발의 사용 초기에는 아웃솔(20)이 지면과 맞닿게 되고 아웃솔(20)의 고무 조성물이 마모되면서 탄화규소가 노출되어 미끄럼이 방지되지만, 이 상태가 계속되어 고무 조성물의 마모가 심해지면 아웃솔(20)의 탄화규소 역시 마모되거나, 아웃솔(20)로부터 탈락되어 미끄럼 방지효과가 없어진다. 따라서, 보통 이 상태가 되면 신발을 교체해야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미드솔(10) 내 내장된 압축폼 캡슐(200)을 통해 2차적인 미끄럼 방지 효과를 부여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미드솔(10)은 도 1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출공(101)이 형성된 밑창블록(100)과, 상기 각각의 배출공(101)과 대응되는 지점의 밑창블록(100) 내부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압축폼 캡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밑창블록(100)은 통상의 미드솔(10)을 구성하는 재질로 된 것이나, 배출공(101)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배출공(101)은 상기 압축폼 캡슐(200)을 통해 발포된 폼을 미드솔(10)의 하면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인바, 그 크기 및 개수를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0.5~1cm이고, 최소 6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형성위치는 제한하지 않으나, 배출공(101)간 간격을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폼 캡슐(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본체(201)와, 상기 본체(201)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내부 구획부재(202)로 되며, 상기 구획된 2개의 내부 영역에는 각각 제1발포액(203)과 제2발포액(204)이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캡슐 본체(201)는 합성수지의 내부에 알루미늄박이 구비, 즉 양면 모두 합성수지로 피복된 알루미늄 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내장되는 제1발포액(203)과 제2발포액(204)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합성수지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202) 역시 캡슐 본체(201)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며, 캡슐 본체(201)와는 열접착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슐 본체(201)의 구획된 내부에 각각 수용되는 제1발포액(203)과 제2발포액(204)은 상호 반응을 통해 발포 폼을 형성하는 물질을 사용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제1발포액(203)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제2발포액은 레진프리믹스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발포액(203) 및 제2발포액(204)은 1:1.2~1.5 부피비로 내장될 수있다.
여기서, 상기 제2발포액(204)에는 탄화규소(SiC)가 더 포함되는데, 상기 제1발포액(203)과 제2발포액(204)이 반응을 통해 발포 폼을 형성하고, 상기 발포 폼이 밑창블록(101)의 배출공(101)을 통해 배출되어 미드솔(10)의 바닥면에 경화되어 경화물(M)을 구성할 겨우 탄화규소에 의해 미끄럼방지 및 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발포액(204)으로서 사용되는 레진 프리믹스는, 당업계를 통해 충분히 공지된 재료로서, 기본적으로 폴리올, 촉매, 발포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레진 프리믹스로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 기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를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레진프리믹스와 탄화규소(SiC)는 1:0.2~0.5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탄화규소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미끄럼방지의 기능을 나타낼 수 없고 과량이 되면 발포가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미드솔(10)이 노출되면 밑창블록(100)의 배출공(101)으로 송곳, 바늘 등을 밀어 넣어, 미드솔(10)에 내장된 압축폼 캡슐(200)의 캡슐 본체(201)와 구획부재(202)를 파손시킴으로써, 압축폼 캡슐(200) 내 제1발포액(203)과 제2발포액(204)이 반응하여 발포되며, 그 발포압력에 의해 배출공(101)을 통해 발포폼이 외부로 흘러나오고, 미드솔(10)의 바닥면에 경화되어 도 2와 같이, 경화물(M)을 형성한다.
그리고 미드솔(10)의 바닥면에 경화된 경화물(M)이 지면과 맞닿게 됨으로써, 경화물(M) 내 탄화규소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밑창은 아웃솔(20)의 탄화규소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아웃솔(20)이 마모되더라도 미드솔(10) 내 압축폼 캡슐(200)을 발포시켜 경화물(M)을 형성함으로써, 경화물(M) 내 탄화규소에 의해 계속적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게된다.
한편, 도 1 내지 2에서는 미드솔(10)에만 배출공(101)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함으로써, 아웃솔(10)이 전부 마모되어 미드솔(10)이 노출된 상태에서 압축폼 캡슐(200)을 발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아웃솔(20)에도 배출공(21)을 형성하여 아웃솔(20)의 전체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전혀 마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미드솔(10) 내 압축폼 캡슐(200)을 파손시켜 경화물(M)이 아웃솔(20) 바닥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아웃솔(20)의 배출공(21)이 미드솔(10)의 배출공(101)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 즉,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여야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발 밑창은 아웃솔(20) 내 탄화규소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고, 미드솔(10) 내 압축폼 캡슐(200)에 의해서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미드솔 20: 아웃솔
100: 밑창블록 101: 배출공
200: 압축폼 캡슐 201: 캡슐 본체
202: 구획부재 203:제1발포액
204: 제2발포액

Claims (3)

  1. 미드솔(10)과, 상기 미드솔(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20)을 포함하는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0)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출공(101)이 형성된 밑창블록(100)과,
    상기 각각의 배출공(101)과 대응되는 지점의 밑창블록(100) 내부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압축폼 캡슐(200)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폼 캡슐(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캡슐 본체(201)와, 상기 캡슐 본체(201)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내부 구획부재(202)와, 상기 구획된 각각의 영역에 내장되는 제1발포액(203) 및 제2발포액(204)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발포액(203)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제2발포액(204)은 폴리올, 촉매, 발포제가 포함된 레진프리믹스와 탄화규소(SiC)가 1:0.2~0.5부피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아웃솔(20)은,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와 천연 고무(natural rubber)가 1:0.2~0.3중량비로 혼합된 고무 100중량부, 보강제로서 탄화규소(SiC) 50~100중량부, 가교제로서 유황 1~5중량부, 가교촉진제로서 n-터트-부틸벤조티아졸-2-설펜아미드(n-tert-butylbenzothiazole-2-sulfenamide, TBBS), 테트라 부틸 티우람 디설파이드(tetra butyl thiuram disulfid, TBTD) 및 디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dipentamethylene thiuram tetra sulfide, DTTS)를 1:0.4:0.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5중량부, 활성화제로서 산화아연과 스테아린산을 1:0.2~0.3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15중량부, 윤활제로서 프로세스오일 8~12중량부, 분산제로서 파라핀 왁스 4~6중량부, 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8~12중량부, 점착제로서 석유수지와 페닐프로판(phenylpropane)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20)에 다수개의 배출공(2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아웃솔(20)의 배출공(21)은 상기 미드솔(10)의 배출공(10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포액(203) 및 제2발포액(204)은 1:1.2~1.5 부피비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KR1020150189705A 2015-12-30 2015-12-30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KR10160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05A KR101604394B1 (ko) 2015-12-30 2015-12-30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05A KR101604394B1 (ko) 2015-12-30 2015-12-30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394B1 true KR101604394B1 (ko) 2016-03-17

Family

ID=5565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705A KR101604394B1 (ko) 2015-12-30 2015-12-30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3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7993A (zh) * 2017-09-06 2017-12-01 南通凤凰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耐油橡胶
CN107417994A (zh) * 2017-09-06 2017-12-01 南通凤凰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耐油橡胶
KR101858185B1 (ko) 2016-05-17 2018-05-15 (주)에이스폴리마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CN111073071A (zh) * 2019-11-28 2020-04-28 河北畅步防滑鞋科技有限公司 一种防滑底片及其生产制备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340B1 (ko) 1995-02-22 2003-01-24 금호산업 주식회사 미끄럼을방지하는신발밑창고무조성물
KR101453488B1 (ko) 2014-07-01 2014-10-21 주식회사 도리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
KR101512787B1 (ko) 2013-10-04 2015-05-18 중앙씨앤에스(주) 미끄럼 방지용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340B1 (ko) 1995-02-22 2003-01-24 금호산업 주식회사 미끄럼을방지하는신발밑창고무조성물
KR101512787B1 (ko) 2013-10-04 2015-05-18 중앙씨앤에스(주) 미끄럼 방지용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453488B1 (ko) 2014-07-01 2014-10-21 주식회사 도리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185B1 (ko) 2016-05-17 2018-05-15 (주)에이스폴리마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CN107417993A (zh) * 2017-09-06 2017-12-01 南通凤凰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耐油橡胶
CN107417994A (zh) * 2017-09-06 2017-12-01 南通凤凰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耐油橡胶
CN111073071A (zh) * 2019-11-28 2020-04-28 河北畅步防滑鞋科技有限公司 一种防滑底片及其生产制备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811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ner and outer midsole layers
KR101604394B1 (ko) 미끄럼을 방지하는 신발 밑창
EP2420152B1 (en) Wear-resistant outsole
EP2976958B1 (en) Multifunctional outdoor shoe, in particular mountain shoe, mountain running shoe, trail running shoe or climbing shoe, as well as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160000183A1 (en) Slip resistant soles and footwear
US20190150557A1 (en) Bone-shaped stone guard and shoe incorporating same
US20140109444A1 (en) Shoe outsole
KR102555764B1 (ko) 구두 밑창, 구두 및 미끄럼방지 부재
US20190150554A1 (en) Side reinforcing member of a shoe
US9222005B2 (en) Slip prevention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59226Y1 (ko) 충격을 흡수하는 하이힐용 신발 밑창
CN216123906U (zh) 一种能够提高防滑性的运动鞋及运动鞋底
CN216875245U (zh) 一种具有稳定支撑功能的运动鞋及运动鞋底
CN219088527U (zh) 一种能够提高防滑性的运动鞋底及运动鞋
CN218737484U (zh) 一种具有缓震功能的运动鞋底及运动鞋
CN218942402U (zh) 一种能够提高防滑性能的户外运动鞋底及运动鞋
KR20240033731A (ko) 논슬립 패턴의 유아용 실내 신발
CN218737486U (zh) 一种具有缓震回弹功能的运动鞋底及运动鞋
CN218737490U (zh) 一种能够提高防滑性能的户外运动鞋底及运动鞋
CN218942398U (zh) 一种能够提高减震性能的运动鞋及运动鞋底
CN216123917U (zh) 一种能够提高防滑性能的运动鞋及运动鞋底
CN218737489U (zh) 一种能够提高防滑性能的户外运动鞋底及运动鞋
CN212911933U (zh) 一种可有效防止脚踝扭伤的登山鞋
CN218682341U (zh) 一种防滑运动鞋
CN214594505U (zh) 一种高弹性运动鞋及运动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