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906B1 -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906B1
KR101603906B1 KR1020140070121A KR20140070121A KR101603906B1 KR 101603906 B1 KR101603906 B1 KR 101603906B1 KR 1020140070121 A KR1020140070121 A KR 1020140070121A KR 20140070121 A KR20140070121 A KR 20140070121A KR 101603906 B1 KR101603906 B1 KR 10160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protected
area
set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420A (ko
Inventor
김영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시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시크 filed Critical (주)케이시크
Priority to KR102014007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9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6Threshold set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설정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각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 및 상기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한 회피동선 정보가 관리되는 설정지역 관리서버와,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 및 회피동선 정보를 수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와,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저장된 설정지역 조회 및 위험정도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부여하고,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회피동선 정보를 지정하여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보호자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위험등급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고함으로써 피보호자에게 자신의 위험상태를 각인시키거나 보호자로 하여금 피보호자를 실시간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eing ward using dangerous grade of zoning}
본 발명은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보호자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위험등급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고함으로써 피보호자에게 자신의 위험상태를 각인시키거나 보호자로 하여금 피보호자를 실시간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동의 안전사고 뿐 아니라 아동 및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늘어나고 있고,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 아동과 같은 취약 계층을 상대로 한 범죄는 아직 가치관이 형성되지 못한 청소년이나 아동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재범의 위험이 매우 높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안전사고 및 범죄 예방 방법으로 CCTV를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위험 상황 발생시 빠른 대응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CCTV를 모든 지역에 설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비용적인 측면에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자녀들이 학교에 출입하는 정보를 부모의 이동 단말로 알려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학교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수단이 학생들의 이동 단말을 인식하고, 그 출입여부를 학부모의 이동 단말로 알려주는 것으로서, 학교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있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근거리 통신 수단이 각 지역마다 설치되어야 하는데, 부모마다 원하는 지역이 서로 다르고, 근거리 통신 수단을 설치하는데 큰 비용이 소요되는 등 서비스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3-985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보호자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위험등급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고함으로써 피보호자에게 자신의 위험상태를 각인시키거나 보호자로 하여금 피보호자를 실시간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보호자 단말기에게 목적지에 따른 이동경로 제공시 위험등급이 높은 설정지역을 회피하여 안내함으로써 피보호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지역을 접근하는 피보호자들 중 어느 하나의 피보호자의 상대적인 위험등급을 산출하고 이를 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험등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보호자가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서 등록된 다른 피보호자와 위치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로 동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가 누구와 친밀도가 높은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특정 설정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각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 및 상기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한 회피동선 정보가 관리되는 설정지역 관리서버와,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 및 회피동선 정보를 수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와,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저장된 설정지역 조회 및 위험정도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부여하고,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회피동선 정보를 지정하여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추적모듈과,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 어느 설정지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위험등급이 분류된 설정지역 정보가 관리되는 위험등급 관리모듈 및 상기 위험등급 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지역에 접근하는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접근이력을 수집하는 접근이력 수집모듈과, 수집된 상기 접근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평균 접근지수를 산출하는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평균 접근지수와 특정 피보호자 단말기의 접근이력을 비교하여 상기 특정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위험지수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대위험지수 산출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지형정보가 저장된 지형정보저장모듈과, 시간에 따라 미리 목적지가 설정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지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경로분석모듈 및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가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경로분석모듈에 경로 재분석신호를 전송하고,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가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로검수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복수개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들 등록정보가 저장된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기가 상호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 동반정보를 제공하는 동반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상기 동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동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간 동반패턴을 분석하는 동반패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동반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제 1 피보호자 단말기와 제 1 보호자 단말기가 상호 일정 지역내에서 일정 시간 이상으로 머무르게 되는 동반지역을 안심지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안심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동반정보 제공모듈에서 상기 제 1 피보호자 단말기와 제 2 피보호자 단말기의 동반위치가 상기 안심지역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 2 보호자 단말기에 상기 동반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동반패턴 분석모듈은 상기 동반패턴중에 특정 위치에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 정보를 별도로 분석하여 각 특정 위치에서 일정 횟수 또는 일정 시간이상으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정보를 추출한다.
더욱이,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반정보에서 제공되는 특정 위치의 위험등급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위치의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들과의 상호 동반위험도 지수를 산출한다.
보호자 단말기는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등재된 설정지역 정보를 조회하여 주변의 위험요소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각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판정하는 위험등급 판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위험등급 판정모듈은 특정 위험요소 정보를 하나 이상 선정하여 각 위험요소에 따른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을 생성하고, 각 설정지역의 정보를 상기 위험요소 평가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각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가 지정되는 위험요소 평가테이블 설정부를 포함하여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위험등급 판정모듈은 상기 각 설정지역내의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인 위험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가변적인 위험요소를 지수화한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에 의해 산출된 위험등급정보에 상기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의 지수값을 더 포함하여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는 설정지역내 특정 시간대에 따라 변화되는 위험정도를 지수값으로 나타내는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지수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보호자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설정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위험등급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경고함으로써 피보호자에게 자신의 위험상태를 각인시키거나 보호자로 하여금 피보호자를 실시간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보호자 단말기에게 목적지에 따른 이동경로 제공시 위험등급이 높은 설정지역을 회피하여 안내함으로써 피보호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험지역을 접근하는 피보호자들 중 어느 하나의 피보호자의 상대적인 위험등급을 산출하고 이를 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험등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보호자가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서 등록된 다른 피보호자와 위치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기로 동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가 누구와 친밀도가 높은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등급 판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 판정방법에 관계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피보호자가 하교이후의 스케줄에 의한 이동경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동경로을 재설정한 회피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1)은 특정 설정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각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 및 회피동선정보가 저장 및 관리되는 설정지역관리서버(10)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설정지역 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된 단말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의 위험등급정보 또는 위험정보에 따른 회피동선 정보를 수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20) 및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서버에 저장된 지역정보 조회 및 위험정도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부여하고,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위험지대를 회피할 수 있는 회피동선 정보를 생성하여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전송하거나, 피보호자 단말기(20)에 전송되는 동일한 위험등급정보 또는 회피동선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피보호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자 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보호자 단말기(30)와 피보호자 단말기(20)가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설정지역을 통행할 경우에 위험등급에 따른 우회경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30)에서 생성하여 서버를 거치지 않고 피보호자 단말기(2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30)에서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관계없이 임의로 특정지역을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도록 경로를 재설정하여 피보호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정지역 관리서버, 피보호자 단말기 및 보호자 단말기의 주요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설정지역 관리서버(10)는 위치추적모듈(11), 분석모듈(12), 위험등급 관리모듈(13), 추출모듈(14), 지형정보저장모듈(15), 경로분석모듈(16) 및 경로검수모듈(1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를 추출함과 아울러 피보호자 단말기(20)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을 회피하여 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추적모듈(11)은 위치추적수단을 통해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하고,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서 위치추적수단으로 무선 기지국, Wifi AP, NFC 태그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즉 GPS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 망장치의 식별번호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무선 망장치가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판정하는 방법과, 그와 반대로 피보호자의 무선단말기가 무선망장치의 식별번호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판정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NFC 태그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후술하는 특정 건물이나 장소에 NFC 태그를 부착하여 안전지역과, 불안전지역으로 구분하고, NFC 태그와 피보호자 단말기(20)간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NFC 태그의 식별번호 및 그의 위치정보를 통해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판정할 수 있다.
분석모듈(12)은 위치추적모듈(11)로부터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저장된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 어느 지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위험등급 관리모듈(13)은 보호자 단말기(30)로부터 위험등급이 분류된 설정지역 정보가 저장되며, 위험등급 관리모듈(13)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위험등급 정보에 따른 경로설정 및 위험경고알람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추출모듈(14)은 분석모듈(12)에 의해 분석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를 위험등급 관리모듈(13)에 저장된 정보중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는 피보호자 단말기(20) 또는 보호자 단말기(10)로 전송되어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경고하도록 한다.
지형정보저장모듈(15)은 위치추적모듈(11)로부터 수신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함과 아울러 설정된 목적지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지형정보, 즉 맵 데이터가 저장된다.
경로분석모듈(16)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설정된 목적지 정보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20)로부터 설정된 목적지 정보를 인가받는 경우 위치추적모듈(10)로부터 수신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에 따른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출발위치로 설정하고, 설정된 목적지를 도착위치를 설정한 후 출발위치로부터 도착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분석한다.
경로검수모듈(17)은 경로분석모듈(16)로부터 분석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이동경로를 인가받고, 인가된 이동경로와 이동경로상 위험등급 관리모듈(13)에서 위험등급정보가 설정된 설정지역을 비교하여 이동경로 중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이 포함되는 경우 경로분석모듈(16)에 경로 재분석신호를 전송하고, 이동경로 중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동경로 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20) 또는 보호자 단말기(3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호자 단말기(30)에 위험등급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전송하는 위험등급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동시에 전달하여 보호자 단말기(30)에 경고음 또는 경고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험상태를 즉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피보호자 단말기(20)는 설정지역 관리서버(10)로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해주는 단말기 위치정보 제공모듈(21)과 설정지역 관리서버(10) 또는 보호자 단말기(30)로부터 설정지역 위험등급정보 또는 회피이동경로를 수신하여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수신모듈(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 위치정보 제공모듈(21)은 GPS, 태그등을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설정지역 관리서버(10)의 위치추적모듈(11)에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에 의해 피보호자가 위치한 장소의 위험여부를 판단하여 피보호자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자면, 피보호자 단말기(20)를 통해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전송하여 피보호자의 이동경로상 위험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경로를 재탐색하여 피보호자가 위해요소가 많은 지역을 통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어수신모듈(22)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서의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를 전송받아 피보호자 단말기(20)에 출력시켜 피보호자가 설정지역을 통과시 위험하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하고, 관리서버(10)에서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이 포함되지 않도록 이동경로가 검수된 회피경로정보를 수신하여 피보호자가 상기 회피 이동경로정보에 의해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보호자 단말기(30)는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등재된 설정지역 정보를 조회하여 주변의 위험요소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각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판정하는 위험등급 판정모듈(31)과,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모듈(32)과, 위치추적모듈(32)에 의해 알려지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설정지역의 위치등급과는 무관한 실시간 통제정보를 제공하는 실시간 통제정보 생성모듈(33)을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보호자의 임의로 통제정보를 생성하여 피보호자의 이동 또는 단말기를 통한 위험등급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등급 판정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위험등급 판정모듈(31)은 특정 위험요소 정보를 하나 이상 선정하여 각 위험요소에 따른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을 생성하고, 각 설정지역의 정보를 위험요소 평가테이블과 비교하여 각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가 지정되는 위험요소 평가테이블 설정부(3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의 예를 들자면, 설정지역을 이동하는 피보호자의 정보, 설정지역내의 업종에 따른 위험요소 등 다양한 위험요소를 비교 테이블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피보호자가 초등학생 정도의 연령대라고 가정하면, 위험요소는 설정지역내 건물의 이용용도에 따른 특정위험요소와, 설정지역 내의 다양한 상황에 따른 상황위험요소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정위험요소는 설정지역내 PC방, 유흥가, 술집, 오락실등과 같은 유흥업소등의 분포도가 될 수 있으며, 상황위험요소로는 설정지역내 차량 사고가 빈번한 대로변, 범죄발생건수등의 안전사고 발생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설정지역내의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위험요소가 존재하게 되어,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의 기준값으로는 실제의 위험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31b)를 두어 위험요소 평가테이블 설정부(31a)에서 판정된 등급값에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31b)의 지수값을 가하여 신뢰도 높은 위험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위험요소로는 설정지역에서의 일정기간 동안 지역내 행사가 있을 경우, 이에 따른 설정지역내의 교통혼잡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높아질 수 있어 상황위험지수가 높아질 수 있으며, 공원의 경우에는 피보호자가 이동하는 시간대가 낮 시간대이면 범죄발생 빈도가 적게 나타날 수 있지만, 밤시간대에서 공원주변을 이동할 때에는 성범죄 등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며, 유흥업소의 경우 밤에 영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낮시간대에 유흥업소 주변 지역을 이동하게 되면 특정위험지수가 높지 않게 된다.
이에 설정된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에 가변위험요소 지수를 산정하여 이를 위험등급 판정에 더하여 더욱 신뢰도 높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31b)는 설정지역내 특정 시간대에 따른 위험정도가 변하게 되는 지수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지수산출부(31b')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 판정방법에 관계된 도면으로, 도면을 통해 설정지역의 위험등급 판정관계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설정지역 정보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전송된다.
여기서 설정지역은 용도상 유사한 건물별로 그룹화하여 하나의 설정지역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설정지역 도로주변의 상황위험요소의 정보도 포함되어 관리서버(10)에 저장된다.
도면에서는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A~O 지역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련 설정지역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20)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에 관리서버(10)의 접속 및 위험등급 산정은 개인회원 가입으로 보호자 개개인의 주관적인 평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을 학부모 집단등의 단체로 다수의 보호자가 평가한 평준화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특정위험요소에 따른 평가테이블의 예를 들자면, 설정지역의 단위면적당 유흥업소의 개수, 유흥업소의 면적 또는 유흥업소의 업태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험평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면적당 일반보행도로와 차량이동도로의 면적비율 또는 단위면적당 횡단보도의 비율에 따른 위험평가 지수가 산출될 수도 있다.
이에, 도면에서 J 지역의 일예를 들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위험요소에 따른 위험등급 점수 산출은 보호자 단말기(30)를 통하지 않고 설정지역 관리서버(10) 자체에서도 정량적으로 산출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 단말기(30)에서 설정지역 관리서버(10)로 접속하여, 설정지역의 정보를 위험등급 판정모듈(31)에서 비교하여 등급을 산출하게 된다.
위험등급 산출은 위험요소 평가테이블 설정부(31a)의 평가테이블 정보와 설정지역의 정보를 비교하여 정량적인 특정위험요소에 따른 위험등급 점수가 산출되며, 보호자 단말기(30)에서 설정지역의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지역의 안전사고 발생도를 검토하여 상황위험요소에 따른 위험등급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이를 수치화하여 예를 들자면, 아래의 위험요소 평가 테이블에서와 같이 J 지역은 단위면적당 유흥가 밀집도가 90%에 해당하여 특정위험요소에 따른 위험등급 점수는 45점, 안전사고 발생도가 50%로 상황위험요소에 따른 위험등급 점수가 25점으로 산출되며, 이에 J 지역의 총 위험등급점수는 70점이라 할 수 있다.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1
<위험요소 평가 테이블>
상기에서의 J 지역의 위험등급점수는 70점으로 산출되었으나, 이는 설정지역의 일반적인 특성만 고려된 것으로, J 지역이 유흥가 밀집지역이지만 평상시 오전시간대에는 유흥업소 개장시간이 아니어서 실제로 피보호자가 오전 시간대에 J 지역을 이동하기에는 큰 위험요소는 있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변위험요소 지수 산출부(31b)를 두어 가변위험요소 지수 산출부(31b)에서 총 위험등급점수를 신뢰도가 높도록 등급점수를 보상하게 된다.
아래의 테이블은 유흥가 밀집지역의 시간대별 가변위험지수를 나타낸 것으로 J 지역을 이동하는 피보호자의 이동시간대가 오후 2시에서 오후 4시에 해당된다면, 가변위험요소 지수는 0.5에 해당하며, 이에 가변요소를 반영한 위험등급점수를 살표보면 아래와 같다.
즉, 피보호자가 오후 2~4시 사이에 J 지역을 이동할 때 실제 위험등급점수는 35점에 해당됨을 알수 있다.
총 위험등급점수 70점 × 가변위험요소 지수 0.5 = 35점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2
<유흥가 밀집지역 기준 시간대별 가변위험지수 테이블>
이와 상반되게 C 지역은 공원밀집 지역으로 공원지역 기준 시간대별 가변위험지수는 상기 J 지역에서와는 상반되게 나타난다. 이는 공원이라는 특성상 낮 시간대에는 안전하며, 밤에는 위험요소가 많이 발생된다.
예를 들자면, C 지역의 총 위험등급점수가 20점이라 가정하고, C 지역을 이동하는 피보호자의 이동시간대가 21시~22시경에 해당한다면 가변위험요소 지수는 1.5이고, 이에 실제 위험등급점수는 30점(총 위험등급점수 20점 × 가변위험요소 지수 1.5)에 해당하게 된다.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3
<공원지역 기준 시간대별 가변위험지수 테이블>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6은 피보호자가 하교이후의 스케줄에 의한 이동경로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이동경로을 재설정한 회피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1)의 동작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설정지역의 정보를 저장하고(S501), 보호자 단말기(30)에서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설정지역의 정보를 기초로 위험등급을 판정하게 된다(S502).
그리고 보호자 단말기(30)에서 지정된 설정지역의 위험등급 정보는 관리서버에 저장 및 관리된다(S503).
상기와 같이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위험등급정보가 저장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다음, 피보호자 단말기(20)에서 단말기 위치정보를 제공하여(S504),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하고(S505),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가 복수개의 설정지역중 어느 하나의 지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S506),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를 추출한 다음(S507), 피보호자 단말기(20)에 전송하여 피보호자가 설정지역의 위험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S508).
또한,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하여(S505), 설정지역 관리서버(10)의 지형정보 저장모듈(15)에 저장된 지형정보를 이용한 피보호자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S521), 분석된 이동경로를 위험등급 관리모듈(13)을 통해 이동경로의 위험정도를 검수한 다음(S522), 검수된 이동경로가 기설정된 위험정도 이상이면 다시 지형정보를 통한 이동경로를 재분석(S521')하고, 이동경로가 기설정된 위험정도 미만이 되도록 경로를 재검수하도록 한다(S522').
아울러, 이동경로를 검수하여 기설정된 위험정도 미만으로 나타나면, 이동경로를 피보호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단말기에 출력되는 이동경로를 따라 피보호자가 보행시 안내되도록 한다(S523).
상기와 같은 이동경로 재설정 방법은 후술하는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회피경로 설정관계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피보호자 단말기(20)에서 제공하는 단말기의 위치정보(S504)는 보호자 단말기(30)에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하여(S541), 피보호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보호자 단말기(30)에서 피보호자를 관리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피보호자 통제정보를 생성하여(S542), 피보호자 단말기(20)로 통제정보가 전송되어 설정지역의 위험등급과는 관계없이 보호자의 임으로 이동경로가 제공되도록 한다(S543).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피보호자를 통제하기 위해 피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되는 이동경로정보는 상기의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의해 설정된 이동경로정보 또는 설정지역의 위험상태 각인정보와는 관계없는 보호자의 임의로 설정되는 통제정보로서, 상기의 통제정보보다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피보호자 단말기(20)에서 실행됨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도 6의 예시도를 통해, 전술한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회피경로 제공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피경로는 피보호자가 미성년자로서, 미성년자가 출입할 수 없는 지역등과 같이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이 기설정 위험등급값 이상의 지역으로는 피보호자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이동지역마다 누적되는 위험등급점수가 기설정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여 피보호자가 안전한 등하교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로 한다.
상기에서 위험등급에 따른 회피경로는 각 설정지역의 위험등급만 확인하면, 간단하게 회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간대별 위험등급이 가변되는 경우도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지수산출부(31b)에서 용이하게 위험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아래에서는 이동경로상 누적되는 위험도에 따른 경로 재설정에 관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6은 피보호자가 하교이후의 스케줄에 의한 이동경로 동선의 예시로서, 도 6의 이동경로를 통해 누적되는 위험등급점수가 기설정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회피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누적 위험등급점수 기준값은 설정지역 통과시 설정지역 노출시간을 고려한 기준값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의로 누적 위험등급점수 기준값을 32,000점으로 설정하고,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위험등급 판정모듈(31)과 설정지역 관리서버(10)의 경로검수모듈(17)을 통해 회피경로를 재설정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보호자 단말기(31)에서 설정지역 관리서버(10)로 접속하여 상기의 위험요소 평가 테이블에 따른 총 위험등급점수(a)를 산출한다. 아래의 테이블과 같이 설정지역 전체의 총 위험등급점수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산출은 위험등급 판정모듈(31)에서 위험요소 평가 테이블에 따른 산정값이며, 아직 가변위험요소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다.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4
<설정지역의 총 위험등급 점수 테이블>
그리고 아래의 테이블은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하여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서 평상시 피보호자가 하교이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스케줄 정보 테이블로서, 피보호자는 16시에 하교한 이후, 제시된 각 시간대별로 주산학원(a지점), 식사(b지점), 영어학원(c지점)을 거쳐 귀가하게 된다.
그런 다음, 경로분석 모듈(16)을 통한 이동경로를 위험등급 관리모듈(13)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에서 설정된 누적 위험등급 점수 기준값 이하로 경로가 설정되도록 한다.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5
<하교 이후의 이동경로 스케줄 정보 테이블>
아래의 분석 테이블은 상기와 같이 현재 이동경로의 누적 위험등급 점수를 산출한 테이블이다.
먼저, 이동하는 각 설정지역의 총 위험등급점수(a)에 각 설정지역마다의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가변지수(b)가 반영된 실제 위험등급 점수(c)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실제 위험등급 점수(c)에 피보호자가 각 설정지역을 이동하면서 노출되는 시간(t)가 반영된 누적 위험등급 점수(d)를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체 이동경로에 걸친 총 누적 위험등급 점수(D)가 3487.5점으로 산출되었으며, 이는 누적 위험등급점수 기준값 32000점을 초과하는 위험도가 더 높은 이동경로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이에, 경로분석 모듈(16)에서 재차 회피경로를 설정하여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이동경로를 재생성하도록 한다.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6
<이동경로의 누적 위험등급 점수를 산출한 테이블>
이에, 도 7에서 이동경로를 재산정하여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다양한 회피경로중 하나의 예시이며, 이러한 다양한 회피경로를 보호자 단말기(30)로 제공하여 보호자 단말기(30)에서 선택된 회피경로를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피보호자에게 회피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서 이전 이동경로에서 변경된 경로는 23시~24시 귀가 상황에서 H지역에서 D지역을 지나 C지역을 관통해서 귀가하는 경로를 H지역에서 B지역을 지나 A지역으로 접근하도록 회피경로를 설정하였다.
이는 타임 스케줄에서 귀가 상황의 시간대가 23시 이후로 C지역의 경우, 공원지역으로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가변지수가 23시의 경우에는 2에 해당하여 위험등급점수가 높게 산출된다. 이에, 회피경로에서 C지역을 거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총 누적 위험등급 점수(D)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아래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회피경로의 누적 위험등급 점수를 산출한 테이블로서, 회피경로의 총 누적 위험등급 점수(D)가 3142.5점으로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7
<회피경로의 누적 위험등급 점수를 산출한 테이블>
상기와 같이 재검수된 회피경로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게 되면, 상기 회피경로 정보를 피보호자 단말기(20)에 전송하여, 제공된 회피경로를 통해 피보호자가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피보호자 단말기(20)에 회피경로 정보가 전송되기 전에, 여러가지의 회피경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30)에 먼저 전송하여, 보호자가 단말기를 통해 여러경로중 적합한 회피경로 정보를 택하여 피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나 보호자가 복수의 피보호자 대비 자녀의 상대적인 위험지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접근이력 수집모듈(18a)과,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18b) 및 상대위험지수 산출모듈(18c)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근이력 수집모듈(18a)은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지역에 접근하는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의 접근이력을 수집한다.
다시 말하면,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상대위험지수를 인지하기 위해 보호자 단말기(30)를 통해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위험등급이 높은 설정지역을 접근이력 수집대상 지역으로 설정하면 접근이력 수집모듈(18a)에서 설정된 해당 설정지역을 접근하는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의 접근이력을 수집하게 된다.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18b)은 접근이력 수집모듈(18a)에 수집된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접근이력에 기초하여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의 평균 접근지수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대위험지수 산출모듈(18c)은 어느 하나의 피보호자 단말기(20) 접근이력에 따라 평균 접근지수에 기초하여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상대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상대위험지수를 보호자 단말기(30)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대위험지수 산출모듈(18c)은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상대위험지수를 산정하기 위한 평균 접근지수별 위험등급을 나타낸 위험지수테이블이 구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1)의 동작을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설정지역 정보가 입력되고(S911), 보호자가 보호자 단말기(30)를 통해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 어느 하나의 설정지역을 접근이력 수집대상 지역으로 설정하면(S912), 접근이력 수집 모듈에서 설정된 해당지역을 접근하는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의 접근이력을 수집한다(S913).
수집된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의 접근이력은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18b)로 인가되고,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18b)은 인가된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의 접근이력에 기초하여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의 평균 접근지수를 산출한다(S914).
평균 접근지수가 산출되면, 상대위험지수 산출모듈(18c)에서 해당 보호자 단말기(30)와 연결된 피보호자 단말기(20) 접근이력에 따라 평근 접근지수에 기초하여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상대위험지수를 산정한다(S915).
예를 들어, A지역에 4대의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접근이력이 각각 3회, 4회, 5회, 6회인 경우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18b)은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4.5회라는 평균 접근지수를 산출하게 되는데, 해당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접근이력이 4회인 경우 아래와 같이 미리 설정된 위험지수테이블에 따라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상대적인 위험지수를 산정한다.
Figure 112014054123251-pat00008
< 위험지수 테이블 >
이와 같이 산정된 피보호자 단말기(20)의 위험지수는 피보호자 단말기(20) 및 보호자 단말기(30)에 전송되어 피보호자가 자신의 위험등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호자가 피보호자에 대한 상대적인 위험지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나 보호자가 피보호자가 안전한 지역에 있는지 여부와 함께 피보호자가 타 피보호자와의 피보호자간 친밀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1)은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19a)과, 동반정보 제공모듈(19b) 및 동반패턴 분석모듈(19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19a)은 복수개의 보호자 단말기(30)들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20)들에 대한 등록정보가 된다. 여기서, 등록되는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20)들은 보호자의 피보호자, 즉 자녀가 친구들 중 누구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지 또는 누구와 자주 만나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자녀의 또래 친구들이 될 수 있다.
동반정보 제공모듈(19b)은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19a)에 저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기(20,30)가 상호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동반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동반정보라 함은 단말기(20,30), 즉 보호자와 자녀 또는 자녀와 자녀의 친구가 동반한 장소, 일시 및 동반한 시간등과 같이 단말기(20)간의 동반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의 동반정보 제공모듈(19b)에서는 보호자와 자녀의 동반정보에 의해 특정 지역을 안심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보호자가 휴대하고 있는 제 1 보호자 단말기(30)와 자녀가 휴대하고 있는 제 1 피보호자 단말기(20)가 상호 일정 지역내에서 일정 시간 이상으로 머무르게 되는 동반지역을 안심지역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안심지역 정보를 제 1 보호자 단말기(30)에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동반정보 제공모듈(19b)에서는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19a)에 저장되어 있는 제 1 피보호자 단말기(20)와 제 2 피보호자 단말기(20)의 동반위치가 상기에서 인식된 안심지역으로 판단될 경우, 제 2 피보호자 단말기(20)를 휴대하고 있는 자녀의 보호자가 휴대하는 제 2 보호자 단말기(30)로 상기의 동반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안심지역 내에서의 동반정보를 학부모에 해당하는 각 보호자 단말기(30)로 제공하여 각 보호자 단말기(30)간 긴밀한 연락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동반패턴 분석모듈(19c)은 동반정보 제공모듈(19b)로부터 발생되는 동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동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20,30)간 동반패턴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동반패턴은 특정 피보호자 단말기(20)와의 동반횟수, 누적 동반시간 및 자주 동반하는 장소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동반패턴 분석모듈(19c)은 상기 동반패턴중에 특정 위치에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20) 정보를 별도로 분석하여 각 특정 위치에서 일정 횟수 또는 일정 시간이상으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서 제공되는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반정보에서 제공되는 특정 위치의 위험등급정보를 판단하고, 특정 위치의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들과의 상호 동반위험도 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 동반위험도 지수는 예를 들자면, 특정 위치가 위험등급이 높은 미성년자 출입금지구역 등의 지역에서 일정 횟수 또는 일정 시간 이상으로 동반되는 피보호자 단말기(20) 정보를 추출하여 특정 위치의 위험등급정보와 동반횟수, 동반지속시간 등을 고려한 상호 위험도를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상호 동반위험도 지수는 자녀와 친밀하게 지내는 친구들과의 상호 위험도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 동반위험도 지수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30)들간 상호 전송되도록 하여 피보호자를 관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1)의 동작을 첨부된 도 11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호자 단말기(30)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20)를 통해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19a)에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C) 정보를 등록한다(S111).
이와 같이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19a)에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20)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등록된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설정지역 관리서버(10)에 제공되어(S112), 피보호자 단말기(20)가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20)와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동반정보를 추출하여(S113) 동반정보 제공모듈(19b)로부터 동반일시, 동반장소 및 동반시간등을 포함하는 동반정보를 보호자 단말기(30)에 제공한다(S114).
이에 보호자 단말기(30)로 전송된 동반정보가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자녀가 누구와 많은 시간을 보내는지 또는 누구와 자주 만나는지 여부를 보호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동반패턴 분석모듈(19c)은 동반정보 제공모듈(19b)로부터 발생되는 동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동반정보에 기초하여 동반횟수, 동반 누적시간등을 포함하는 피보호자 단말기(20)와 피보호자 단말기(20)간 동반패턴을 분석한다(S115).
이후, 보호자 단말기(30)로부터 동반패턴 정보 요청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분석된 동반패턴정보를 보호자 단말기(30)로 송신함으로써 보호자 단말기(30)에 동반패턴정보가 표시된다(S116).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10 : 설정지역 관리서버 11 : 위치추적모듈
12 : 분석모듈 13 : 위험등급 관리모듈
14 : 추출모듈 15 : 지형정보저장모듈
16 : 경로분석모듈 17 : 경로검수모듈
18a : 접근이력 수집모듈 18b :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
18c : 상대위험지수 산출모듈 19a :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
19b : 동반정보 제공모듈 19c : 동반패턴 분석모듈
20 : 피보호자 단말기 21 : 단말기 위치정보 제공모듈
22 : 제어수신모듈 30 : 보호자 단말기
31 : 위험등급 판정모듈 31a : 위험요소 평가테이블 설정부
31b :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
31b' :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지수 산출부

Claims (13)

  1. 특정 설정지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각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 및 상기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한 회피동선 정보가 관리되는 설정지역 관리서버와;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 및 회피동선 정보를 수신하는 피보호자 단말기와;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저장된 설정지역 조회 및 위험정도에 따른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부여하고,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에 따른 회피동선 정보를 지정하여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추적모듈과;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상기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 어느 설정지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모듈과;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위험등급이 분류된 설정지역 정보가 관리되는 위험등급 관리모듈 및;
    상기 위험등급 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모듈과;
    상기 복수개의 설정지역 중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지역에 접근하는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접근이력을 수집하는 접근이력 수집모듈과;
    수집된 상기 접근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평균 접근지수를 산출하는 평균 접근지수 산출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평균 접근지수와 특정 피보호자 단말기의 접근이력을 비교하여 상기 특정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험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상기 위험지수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대위험지수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지형정보가 저장된 지형정보저장모듈과;
    시간에 따라 미리 목적지가 설정되거나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부터 목적지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지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경로분석모듈; 및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가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경로분석모듈에 경로 재분석신호를 전송하고,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가 미리 설정된 위험등급을 초과하는 설정지역을 통과하지 않는 경우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상기 피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로검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복수개의 보호자 단말기 또는 피보호자 단말기들 등록정보가 저장된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기가 상호 미리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호자 단말기에 동반정보를 제공하는 동반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는
    상기 동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동반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간 동반패턴을 분석하는 동반패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제 1 피보호자 단말기와 제 1 보호자 단말기가 상호 일정 지역내에서 일정 시간 이상으로 머무르게 되는 동반지역을 안심지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안심지역 정보를 상기 제 1 보호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정보 제공모듈에서 상기 제 1 피보호자 단말기와 제 2 피보호자 단말기의 동반위치가 상기 안심지역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 2 보호자 단말기에 상기 동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패턴 분석모듈은 상기 동반패턴중에 특정 위치에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 정보를 별도로 분석하여 각 특정 위치에서 일정 횟수 또는 일정 시간이상으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들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지역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설정지역별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반정보에서 제공되는 특정 위치의 위험등급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위치의 위험등급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서 동반되는 다른 피보호자 단말기들과의 상호 동반위험도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보호자 단말기는 설정지역 관리서버에 등재된 설정지역 정보를 조회하여 주변의 위험요소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각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판정하는 위험등급 판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위험등급 판정모듈은
    특정 위험요소 정보를 하나 이상 선정하여 각 위험요소에 따른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을 생성하고, 각 설정지역의 정보를 상기 위험요소 평가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각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정보가 지정되는 위험요소 평가테이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등급 판정모듈은
    상기 각 설정지역내의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가변적인 위험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가변적인 위험요소를 지수화한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위험요소 평가테이블에 의해 산출된 위험등급정보에 상기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의 지수값을 더 포함하여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위험요소 지수산출부는 설정지역내 특정 시간대에 따라 변화되는 위험정도를 지수값으로 나타내는 시간 스케줄링 정보에 따른 지수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KR1020140070121A 2014-06-10 2014-06-10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KR101603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21A KR101603906B1 (ko) 2014-06-10 2014-06-10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21A KR101603906B1 (ko) 2014-06-10 2014-06-10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420A KR20150141420A (ko) 2015-12-18
KR101603906B1 true KR101603906B1 (ko) 2016-03-16

Family

ID=5508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121A KR101603906B1 (ko) 2014-06-10 2014-06-10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346B1 (ko) * 2019-03-27 2020-12-09 주식회사 더원테크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6613431B (zh) * 2023-07-19 2024-01-16 宝德华南(深圳)热能系统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池的智能散热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075B1 (ko) * 2011-03-25 2012-07-23 주식회사 유소프테이션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205458B1 (ko) * 2010-11-18 2012-11-28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58B1 (ko) * 2010-11-18 2012-11-28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101166075B1 (ko) * 2011-03-25 2012-07-23 주식회사 유소프테이션 위치기반 사용자 보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420A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2844A1 (en) Methods of providing insurance savings based upon telematics and driving behavior identification
Silva et al. Ethical implications of social internet of vehicles systems
JP4088333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装置および通知方法
CN102622861B (zh) 基于地理位置的安保监控报警系统及其方法
US20080033644A1 (en) Navigation Routing System Having Environmentally Triggered Routing
CN106463054A (zh) 高级驾驶辅助系统(adas)的自适应报警管理
KR100982398B1 (ko) ZigBee와 CCTV를 이용한 상황관제 시스템과 어린이보호 시스템
US20070194922A1 (en) Safe warn building system and method
CN111052195B (zh) 路侧装置、行人装置、通信系统、异常探测方法以及异常通知方法
KR20120053706A (ko)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JP2008181498A (ja) 監視装置、監視プログラム及び監視方法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603906B1 (ko)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KR20160141537A (ko) 구역별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189346B1 (ko)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830748B1 (ko)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GB2527139A (en) Wearable haptic notification device, and software application for risk, danger and threat calculation, prediction and prevention
RU2585991C2 (ru) Система сопровождения и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объектов
US11645908B2 (en) Road tunnel security system
JP4863701B2 (ja) ユーザ行動検知システム
KR101997236B1 (ko) 출입통제 영역 관리를 위한 출입자의 위치추적시스템
KR102234492B1 (ko)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985773B1 (ko) 건물의 실내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Gadekar et al. QR scan based intelligent system for school bus tracking
JP2008192096A (ja) 情報監視装置、情報監視システム、情報監視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