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346B1 -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346B1
KR102189346B1 KR1020190034718A KR20190034718A KR102189346B1 KR 102189346 B1 KR102189346 B1 KR 102189346B1 KR 1020190034718 A KR1020190034718 A KR 1020190034718A KR 20190034718 A KR20190034718 A KR 20190034718A KR 102189346 B1 KR102189346 B1 KR 10218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isk
user
dangerous area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886A (ko
Inventor
김욱현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테크
Priority to KR102019003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3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Abstract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획득하는 사용자 위험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에 따라 결정된 아이콘을 지도 상의 위험 지역에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DECIDING POTENTIAL HAZARD AREA BASED ON DIGITAL SURVEY}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경험으로부터 획득한 이동 경로 및 이동 경로에서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한 잠재적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한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최근들어 어린이 보호구역, 노인 보호구역 및 장애인 보호구역 등의 국가 정책 사업으로 교통안전과 보행 환경개선을 위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으나, i)어린이 통학 이동 경로의 파악이 어려운 점, ii)자동차 중심의 도로 설계, iii)학교 권역을 침투한 정책의 실행, iv) 노인 및 장애인 복지 시설에 대한 인식 부족, v)생활도로에 대한 개념의 미정립등으로 인하여 사고 예방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도로에서의 실시간 위험을 예측하거나, SNS를 통해 수집된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안전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교통사고 취약 구간을 선정하는 등의 교통 사고 예방에 관련된 기술들이 다수 등장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이전에 실제로 발생했던 교통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정확한 지점, 시점 및 상황에 근거한 데이터를 이용하므로, 교통 사고 예방에 대한 기술적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통 안전 위험 예상 지역을 분석하여 사고가 발생할 잠재적인 위험지역을 예측하기에는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실제 발생한 데이터에만 기반하여 파악이 쉽지 않았던 사고 전조 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경험치, 즉 참여형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선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8-0131165호(2018.12.10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7-0096645호(2017.07.31 공개)
일 개시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참여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격자 단위로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를 산출하고, 잠재적 위험도와 실제 이동 경로를 매칭하여 분석함으로써, 교통 안전 관리가 필요한 잠재적 위험 지역을 도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라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획득하는 사용자 위험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에 따라 결정된 아이콘을 지도 상의 위험 지역에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위험 지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1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높게 결정하고, 제 2 위험 지역을 지나가는 이동 경로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2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지역은, 사용자가 사고 위기를 경험하였거나, 사고를 목격한 지역을 나타내는 준경험지역 및 사용자가 사고가 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지역을 나타내는 위험인식지역을 포함하며, 상기 준경험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는 기 설정된 고정 가중치이며, 상기 위험인식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부여되는 소정 범위의 변동 가중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험 정보 획득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거주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좌표 정보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기 설정된 수 이상의 포인트(point)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이동 수단,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시간대 및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상황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에서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한 위험 지역의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위험 지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지역에서 경험한 위험 상황, 위험을 목격한 상황, 위험이 예상되는 상황 및 위험 상황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경로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이 표시된 좌표 정보 형태의 지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표준 좌표계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규격의 지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전처리 단계, 상기 변환된 지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의 격자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격자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격자 영역 각각에 대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은,
Figure 112019031134275-pat00001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로 결정된 격자 영역의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지도 상에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인 격자 영역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도 상에 교통 안전지역으로 지정된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격자 영역 각각에 대하여, 격자 영역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의 밀집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의 밀집도에 따라, 상기 격자 영역의 색상 및 명도를 변경하여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이며, 상기 이동 경로의 밀집도가 상위 10%인 격자 영역을 잠재적 위험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장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참여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잠재적인 교통/안전 사고 위험 지역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에 기반하여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 일반 시민들 모두 안전하고 원활한 통행을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실제로 발생한 사고에 기반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분석한 기존의 기술과 달리,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참여형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 중에서 시민들이 실제로 사고 위험의 공포감을 느끼는 지역에 대한 예측 및 사고 전조 현상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현재 국가에서 지정한 보호구역 외의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이 표시된 지도를 통해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의 실제 이동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교통 안전 환경 개선에 필요한 물적, 인적 자원을 투입할 지역을 선정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신규 교통 인프라를 설치하는 경우, 입지 분석의 참고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고를 간접적으로 경험한 준경험지역과 사고가 발생할 것 같은 지역인 위험인식지역에 대한 설문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 위험 사유, 계절, 요일, 시간대, 개선 의견의 개별 또는 상호 연계한 통계 및 지역 분포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을 이용하면 IoT 통학로 비상벨, 옐로우 카펫, 보행자 작동 신호등, IoT 스마트 가로등 및 볼록거울 등의 교통안전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최적지 선정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관할 경찰서에서는 어린이 교통안전 지도의 참고 자료로 이용하여 어린이 교통 지도가 필요한 지점을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한국 도로교통공단 또는 구청의 시설 담당부서는 시설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점들을 파악할 수 있고 다른 기타 국가 정책을 시행하는데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 및 이동 경로의 밀집도에 따라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기 위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어린이 사용자로부터 참여형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참여형 데이터의 수집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복수의 사용자의 유형에 따른 맞춤형 설문 조사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한 격자 영역별로 결정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표시한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인 격자 영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의 밀집 분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동 경로의 밀도를 색상으로 구별하여 표시한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의 로드 뷰를 이용하여 교통 안전 시설물의 설치 지역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교통안전 시설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장치(10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로 간략화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유아, 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과 같이 위험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나아가, 보호자, 경찰관, 소방관, 시설 관리자, 공무원 등의 본원발명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주거 지역에서의 이동 경로, 이동 경로에서 경험할 수 있었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 및 위험 지역에 대한 사용자의 위험 가중치의 정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위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위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거나,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위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200)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장치이거나, 위험 지역 제공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200)로 사용자의 거주 지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도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지역 주변의 지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지도 데이터는 지도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웹사이트, 다른 장치 등으로부터 획득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3개의 지점(point)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지도상에서 연속적으로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복수개의 지점이 연속된 점, 즉 선의 형태로 이동 경로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4개의 지점(101, 102, 103, 104)이 선택되는 경우,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들(101, 102, 103, 104)를 연속적으로 이어 선의 형태의 이동 경로(105)를 지도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4개의 지점(101, 102, 103, 104)을 포함하는 경로가 연속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때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출발점 및 종료점을 잇는 이동 경로(105)를 이루는 포인트들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은 사용자가 사고 위기를 경험하였거나 사고를 목격한 지역을 나타내는 준경험지역 및 사용자가 사고가 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지역을 나타내는 위험인식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준경험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는 5점의 고정 가중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위험인식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부여된 1 내지 5점 사이의 변동 가중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2 개의 위험 지역(106, 107)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고가 날 뻔한 경험을 바탕으로, 첫 번째 위험 지역(106)을 준경험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준경험지역은 위험 가중치로서 5점의 고정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두 번째 위험지역(207)을 선택하면서, 이동 중에 위험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이유를 기반으로 두 번째 위험 지역(207)을 위험인식지역으로 지정함과 동시에 위험 가중치로서 3점을 부여할 수 있다.
위험인식지역은 위험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평소에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반영한 지역으로서, 위험 가중치는 1-5점의 변동 가중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때, 위험 가중치 점수의 1점은 매우 안전, 2점은 조금 안전, 3점은 보통, 4점은 조금 위험, 5점은 매우 위험을 나타낼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결정을 돕기 위하여, 위험 지역을 위험인식지역으로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위험 가중치 점수가 의미하는 바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위험 지역들에 대한 키워드, 특이사항, 경험치에 대한 정보, 상황 정보 등을 포함하는 위험 지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이동경로 및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잠재적 위험도는 사용자의 경험치, 심리적 사유 등을 반영하여 실제 사고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정해지는 위험 등급으로서, 잠재적 사고를 예방하고, 교통 안전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은 한 사용자의 의견만을 반영한 것이 아닌, 특정 위험 지역을 선택한 사용자의 수와 특정 위험 지역에 부여된 위험 가중치의 점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은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위험 가중치를 3으로 설정하였더라도, 그 특정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두 개의 위험 지역(106, 107)에 대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각각 5레벨과 4레벨로 결정할 수 있으며, 지도 상에 미리 결정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아이콘은 지도를 격자 영역으로 분할하였을 때, 하나의 격자 영역의 모양인 사각형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사각형 내부에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 정보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효과를 더하기 위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에 따라 사각형의 색상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 레벨의 잠재적 위험도는 빨간색으로, 4레벨의 잠재적 위험도는 주황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표시하는 아이콘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모양이나 색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의 경험치, 심리적 반응 등을 고려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블록 201에서,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거주지역에서의 이동 경로, 이동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획득하는 사용자 위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경험치, 심리적 사유 등을 반영한 참여형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실제로 특정 지역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잠재적인 위험 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
이동 경로는 어린이 또는 학생의 경우 통학로를 의미할 수 있고, 노인의 경우 자주 이용하는 병원, 양로원, 노인정 등까지의 이동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장애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출근길, 상점에 가는 길, 아이를 데리러 가는 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경로는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지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평소 자주 이용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험 지역은 사용자가 이동 경로를 이동하는 중에 심리적으로 위험 발생을 느꼈거나, 간접적으로 위험을 겪었거나, 위험을 목격한 곳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지도 상의 특정한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특정한 지점을 위험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험 가중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위험 영역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준경험지역은 사용자가 사고를 당할 뻔할 정도의 위험성이 있는 곳이므로 고정 가중치로서 5점이 설정될 수 있다. 위험인식지역의 경우 사용자의 주관적 심리가 반영된 곳으로서, 사용자는 특정 지역을 위험인식지역으로 지정한 경우, 그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1점 내지 5점 사이의 변동 가중치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를 연령, 직업 및 장애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질문을 제공함으로써 위험 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질문은 사용자의 연령, 직업 및 장애 여부에 따라 이동 환경, 이동 수단, 이동 경로의 패턴, 위험 유발 요인 및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의 경우, 등학교 시간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춘 질문일 수 있으며, 성인의 경우 출퇴근 시간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춰 생성된 질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거주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좌표 정보 형태로 제공하고, 지도 데이터 상에 적어도 세 개의 포인트(point)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포인트의 좌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이동 수단,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시간 및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상황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동 경로에서 사용자가 경험한 위험 지역의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에 포인트로 입력받음으로써, 이동 경로에 포함된 위험 지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의 동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특정 동선의 이동을 마친 경우 해당 동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해당 동선을 지도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해당 동선에서의 위험지역을 선택하여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동선상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물렀던 위치들 후보 위험지역으로 미리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중에 교통위험을 느낀 위치가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걸음을 멈추었을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동선상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물렀던 위치들 후보 위험지역으로 미리 선택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중 실제로 위험을 느꼈던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블록 202에서,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이동 경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동일한 지역을 위험 지역으로 지정하는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그 지역이 잠재적으로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 1 위험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선택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제 1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위험 지역을 지나가는 이동 경로의 수가 많을수록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지역으로서, 잠재적인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경우, 같은 상황이라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 2 위험 지역을 포함하는 이동경로를 지정하는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제 2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블록 203에서,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에 따라 기 결정된 아이콘을 지도 상의 위험 지역에 매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표시된 지도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으며, 다른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표시된 지도를 이용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판단하거나, 교통 안전 지도의 참고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관할 경찰서, 도로교통공단, 구청의 시설 담당부서 등에서 이를 활용함으로써,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지역의 시설을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하여, 3명의 사용자로부터 이동경로 및 위험 지역을 선택받은 경우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 1 사용자로부터 제 1 이동 경로(301)와 제 1 위험 영역(302)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 2 사용자로부터 제 2 이동 경로(303)와 제 2-1 위험 영역(304), 제 2-2 위험 영역(308)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 3 사용자로부터 제 3 이동 경로(305)와 제 3 위험 영역(306)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위험 영역(302), 제 2-1 위험 영역(304) 및 제 3 위험 영역(306)은 동일한 지역 범위에 속할 수 있으며, 제 2-2 위험 영역(308)은 오직 제 2 사용자에 의하여만 선택된 지역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함 위험 영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 1 위험 영역(302)이 준경험지역으로서 5점의 고정 가중치, 제 2-1 위험 영역(304)은 위험인식지역으로서 5점의 변동 가중치 및 제 3 위험 영역(306)는 준경험지역으로서 5점의 고정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 2-2 위험 영역(308)은 위험인식지역으로서 4점의 변동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좌표 정보 형태의 참여형 데이터를 지오코딩 및 좌표계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정형화하는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이동 경로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이 표시된 좌표 정보 형태의 지도 데이터를 국토지리정보원의 표준 좌표계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규격의 지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순차적 포인트로서 얻어진 좌표 데이터를 선의 형태의 공간 데이터로 변환하는 공간 정보화 및 좌표 변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국토교통부의 표준 공간 단위로 사용하는 100m X 100m을 기준으로 지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공간을 분할하여 구축한 10m X 10m 격자 데이터의 지도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정형화된 규격으로 변환된 지도 데이터를 10m X 10m 격자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격자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격자 영역 각각에 대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9031134275-pat00002
즉, 잠재적 위험도는 하나의 격자 영역을 선택한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정리하면, 특정 격자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선택하고, 위험 가중치를 부여한 다수의 사용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 1 위험 영역(302), 제 2-1 위험 영역(304) 및 제 3 위험 영역(306)은 동일한 격자 영역에 속한 것으로서, 제 1 격자 영역(310)으로 칭하도록 한다.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에 따라, 제 1 격자 영역(310)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계산하면 (5+5+5)/3=5이다. 또한, 제 2-2 위험 영역(308)에 대응하는 제 2 격자 영역(311)의 잠재적 위험도는 4/1=4이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의 밀집도를 구할 수 있다. 이동 경로의 밀집도는 특정 격자 영역을 통과하는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이동 경로가 얼마나 중복되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격자 영역 각각에 대하여, 격자 영역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의 밀집도를 계산하고, 이동 경로의 밀집도를 %확률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동 경로의 밀집도에 따라, 격자 영역의 색상 및 명도를 변경하여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 1 격자 영역(310)은 세 개의 이동 경로가 밀집되어 있으며, 제 2 격자 영역(311)은 하나의 이동 경로가 밀집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많은 수의 사용자가 이동 경로를 입력하는 경우 특히 어느 지역의 유동 인구가 많은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유동인구에 따른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 및 이동 경로의 밀집도에 따라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기 위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와 이동 경로의 밀집도를 공간 분석 기법인 인터섹션(intersection)으로 처리하여 각 지점을 매핑하고 분석함으로써, 특히 관리가 필요한 잠재적 위험 지역을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잠재적 위험 지역이란 실제로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으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이 충분히 인식된 지역을 의미한다. 특히, 잠재적 위험 지역은 담당기관에서 안전에 관련된 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곳으로서 안전사고에 관련된 인프라, 인적자원 및 물적 자원의 투입이 고려되어야 하는 곳,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고려되는 곳을 의미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점이며, 이동 경로의 밀집도가 상위 10%인 격자 영역을 잠재적 위험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 지역으로 결정된 격자 영역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잠재적 위험 지역으로 결정된 곳의 아이콘은 기존의 위험도 레벨과 다른 아이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잠재적 위험 지역으로 선정된 이유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잠재적 위험 지역을 벗어나기 위한 예방 방법에 대한 코멘트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팝업 메시지 형태 또는 지도 상에 함께 표시하는 형태로 코멘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잠재적 위험 지역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코멘트를 표시하거나, 사용자 입력 없이도 코멘트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어린이 사용자로부터 참여형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를 연령, 직업 및 장애 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복수의 사용자에게 맞춤형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질문은 사용자의 연령, 직업 및 장애 여부에 따라 이동 환경, 이동 수단, 이동 경로의 패턴, 위험 유발 요인 및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질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는 사용자가 어린이들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어린이들은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위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어린이들은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사용자 위험 정보를 입력하고,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사용자 위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b)는 사용자들이 웹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험 정보를 입력하는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다. 도 5(b)에서는 특히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이때,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서 어린이들로부터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목적은 어린이들의 등하교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자 함에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어린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위험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취지 및 목적을 설명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의 거주지역 및 이동 경로를 획득하이 위하여 소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소속 정보는 어린이의 거주지역, 다니는 학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거주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거주지 근방의 지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 사용자로부터 집부터 학교까지의 이동경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어린이 사용자는 터치 입력, 마우스 입력 등을 통해 지도 상에 직접 이동 경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이동 경로를 선 또는 연속된 점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어린이 사용자로부터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시간, 이동 수단, 이동 시 보호자의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획득하는 정보의 종류는 사정에 따라 수정, 추가, 삭제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어린이 사용자로부터 이동 경로 또는 이동 경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어린이 사용자로부터 이동 경로에서 경험했던 위험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질문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에서 사고가 날 뻔했거나, 목격한 경험에 대한 질문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질문 메시지의 경우 안전 사고의 종류, 사고 발생 시간, 사고가 날뻔한 이유, 사고가 일어났다면 어떤 결과가 예측되는지 등의 질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고정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어린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질문을 생성하고, 질문에 대한 답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하는 참여형 데이터의 수집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실제 사고가 발생한 교통 사고 데이터 외의 잠재적 데이터를 고려하기 위하여 참여형 데이터를 수집한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준경험지역 및 위험인식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지점에 대한 신뢰도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여형데이터의 수집 범위는 실제사고가 발생한 공개적 사고위험군보다 포괄적인 범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고 위험하다는 인식이 확립된 지역이나, 아직 구체적인 사건이 발생하지 않아 사고의 예방책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범위이다.
본원발명의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보다 구체적이고, 숨겨진 위험 지역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자 맞춤형 질문을 상세하게 생성하며, 심리적 위험도를 반영한 답변을 획득함으로써 참여형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복수의 사용자의 유형에 따른 맞춤형 설문 조사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참여형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설문조사 내용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표로서, 특히 사용자가 초등학생인 경우 생성된 설문조사 내용을 나타낸다.
초등학생의 경우 주 이동경로가 등하교길임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경로를 분석한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초등학생의 연령을 고려한 행동 패턴을 분석한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등교길의 교통사고 또는 안전 사고의 위험 요인에 대한 질문을 통해 등교길의 시간,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정보, 위험 요인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이를 이동 시간대 및 이동 수단을 고려하여 교통/안전사고의 위험도, 교통/안전사고의 통계, 교통/안전사고의 지역별 분포도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한 격자 영역별로 결정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표시한 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지도 상의 적어도 하나의 격자 영역에 대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격자 영역은 실제로 10m X 10m의 공간적 영역을 의미하며, 격자 영역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포인트를 위험 영역으로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종합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결정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은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에 의하여 구해질 수 있으며, 0레벨 부터 5레벨 사이의 어느 하나의 레벨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소수로 정해지는 경우,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수를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각각의 레벨에 대응되도록 격자 영역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레벨에 따라 격자 영역의 명도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올라갈수록 격자 영역의 색상의 붉은색 채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 영역의 레벨이 5인 경우를 가장 붉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위치만을 포함하는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동선에서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다른 위치를 탐색하고, 해당 위치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는 추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각 위치에 교통안전 시설물이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위치의 잠재적 위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각 지역에 설치된 교통안전 시설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지역에 새로운 교통안전 시설물이 설치된 경우, 해당 위치에 대한 잠재적 위험도를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동선을 재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위치에 교통안전 시설물이 이미 설치되어 있거나, 새롭게 설치되었음에도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잠재적 위험도가 감소하지 않거나 그 폭이 작은 경우,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해당 위치에 추가적인 교통안전 시설물을 설치할 것을 결정하거나, 기 설치된 교통안전 시설물을 다른 시설물로 교체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잠재적 위험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사고발생 예상 위치의 경우,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교통안내요원을 파견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기관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인 격자 영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로 결정된 격자 영역의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지도 상에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인 격자 영역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지도 상에 표시된 5레벨의 위험 영역에 번호를 매겨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상에 총 15개의 5레벨의 위험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지도 상에서 좌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오름차순으로 번호를 매겨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지도 상에 교통 안전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지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5레벨의 위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린이 보호 구역과 사고 위험도가 높은 5레벨의 위험 영역이 겹쳐지는 구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3, 4, 5, 6, 7, 8 및 10번의 위험 영역은 어린이 보호구역과 겹치므로, 교통 안전 시설물의 설치 또는 교통 안전의 예방이 필요한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의 밀집 분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동 경로의 밀도를 색상으로 구별하여 표시한 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격자 영역 각각에 대하여, 격자 영역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의 밀집도를 계산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이동 경로의 좌표 정보를 통해, 각각의 격자 영역을 지나가는 사용자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즉,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격자 영역 내에 포함된 포인트의 좌표를 이용하여, 각각의 포인트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격자 영역의 이동 경로 밀집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이동 경로의 밀집도에 따라, 격자 영역의 색상 및 명도를 변경하여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이동 경로의 밀집도에 따라 heat map으로 시각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상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영역은 이동 경로의 밀집도가 큰 곳으로서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의미한다.
또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이동 경로의 밀집도와 함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레벨인 위험 영역 및 교통 안전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즉, 공간 분석 기법인 인터섹션 기법을 통해 이동 경로의 밀집 지역과 고 위험군의 위험 영역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일 개시에 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의 로드 뷰를 이용하여 교통 안전 시설물의 설치 지역을 결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실제 거리의 모습을 고해상도 파노라마 사진으로 촬영하여 제작된 로드뷰 사진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잠재적 위험 지역 주변의 로드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교통안전 시설물을 관리하는 공단의 서버, 시청의 서버, 경찰청의 서버 등으로부터 교통안전 시설물이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지역에 교통안전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번의 위험 지역은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인 지역이며, 이동경로의 밀집도가 상위10% 내인 잠재적 위험 지역일 수 있으나, 교통 안전 시설이 미흡한 지역일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10번의 위험 지역은 무단 횡단이 빈번한 곳으로서 교통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음을 예상할 수 있으나, 교차로 알림, IoT 통학로 비상벨, 스마트 신호등, 스마트 횡단보도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10번의 위험 지역은 횡단보도가 한 구간은 있으나, 신호등이 없고 인도가 없어 무단 횡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어린이 보호 구역임에도 어린이 교통 안전을 위함 시설물이 없어 추가적인 안전 시설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잠재적 위험 지역의 주변지역에 설치된 교통안전 시설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교통안전 시설물을 설치해야 할 안전시설 설치 제안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10번의 위험 지역을 안전시설 설치 제안 지역으로 설정하며, 교차로 알림이, 스마트 신호등, 스마트 횡단보도, IoT 통학로 비상벨 등의 설치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정보를 주변 경찰서, 교통안전공단, 시청 등에 제공함으로써, 교통 안전 시설물의 최적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교통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안전시설 설치 제안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번의 위험지역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테두리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아이콘의 모양, 형상,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아이콘을 한정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안전시설 설치 제안에 따라, 위험도 레벨이 높은 지역에 우선적으로 IoT 통학로 비상벨이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IoT 통학로 비상벨은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가 비상벨 버튼을 누름에 따라, 주변에 비상상황임을 알릴 수 있도록 외부 경광등이 발광되고 경보음이 울리는 IoT 비상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경광등은 주변에 비상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주변인의 주의를 끌도록 발광할 수 있다. IoT 비상벨은 관할 경찰서 내지는 가장 가까운 경찰서, 지구대, 자율방법대 등으로 위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없거나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 자동적으로 차순위의 치안시설에 비상상황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또한, IoT 비상벨은 연결된 치안시설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현장의 음성 또는 영상을 하나 이상 전달할 수 있으며, 현장과 연결된 치안시설의 양방향 통화를 중개할 수 있다.
나아가, IoT 비상벨은 상시적으로 이상음원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음원이란, 범죄 피해자의 비명소리 내지는 본능적 반응에 의한 소리, 폭행이나 구타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주변 시설이나 특정한 소재의 파손음, 폭발음 등 기타 급박한 상황의 전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비상벨은 감지한 이상음원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비상벨을 작동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관할 경찰서 내지는 차순위 치안시설에 비상상황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또한, IoT 비상벨은 감지한 이상음원을 데이터화 하고 입력된 상황정보에 따라 딥러닝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음원의 종류를 감지하고 자동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치안시설에 알려지는 경보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IoT 비상벨은 주변의 소리와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다. IoT 비상벨은 촬영된 영상을 정보처리 하여 이를 안면인식, 동작인식 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는 추후에 태그된 범죄의 태양에 관한 정보와 함께 처리되고, 처리된 정보에 기초하여 IoT 비상벨은 영상촬영을 통하여 범죄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IoT 비상벨은 기록, 데이터 태그, 분류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정보처리된 영상촬영 데이터에 기반한 딥러닝에 의해 안면인식 내지는 동작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안전시설 설치 제안에 따라 IoT 어린이 보호구역 과속방지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 과속방지 시스템은 어린이 보호구역의 과거 교통사고 이력, 과거 도로 및 보행로의 이용량과 이용태양, 현재 보호구역 내 도로 정보, 현재 보호구역 내 도로의 실시간 이용현황, 현재 보호구역 내의 실시간 보행자 정보, 기타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환경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기적으로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도를 분석하고, 이를 보호구역 내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보호구역 과속방지 시스템은 보호구역 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차량의 속도, 차량의 위치, 보호구역 내 보행자의 위치 등의 정보에 따라 보호구역 내 보행자에게 차량의 속도 내지는 그 위험도를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보호구역 과속방지 시스템은 보호구역 내 보행자의 위치, 이동방향, 속도 등의 정보에 따라, 보호구역 내 운전자에게 LED 애니메이션 디스플레이 또는 기타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사고발생 위험도를 직관적으로 알리고 속도를 줄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보호구역 과속방지 시스템은 보호구역 내 교차로, 혹은 보행자 또는 운전자가 연결된 도로의 이용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바닥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량이나 보행자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연결된 도로에 차량이나 보행자가 있을 경우 안내음성을 통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안전시설 설치 제안에 따라 IoT 스마트 가로등이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IoT 스마트 가로등은 인근 도로 이용자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다른 IoT 스마트 가로등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가로등의 조도를 조절하고, 다른 IoT 스마트 가로등 근처에서 발생한 위험상황을 나머지 하나 이상의 IoT 스마트 가로등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또한, IoT 스마트 가로등은 인근의 교통량과 인구이동을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CCTV, LED 디스플레이, 긴급신호 발신 장치 또는 미세먼지, 소음,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환경상태 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스마트 가로등은 CCTV를 통해 녹화되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와 서버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IoT 스마트 가로등은 센서를 통해 감지한 실시간 미세먼지 농도,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정보가 확인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와 서버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나아가, IoT 스마트 가로등은 기능 고장이 발생하거나 설비 일부의 파손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알림으로써, 치안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IoT 스마트 가로등은 전기차 이용자가 긴급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안전시설 설치 제안 지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안전시설 설치 제안 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안전시설 설치 제안 지역에 대한 정보는 위험 지역의 원인에 따른 분류, 위험을 인식한 대상, 현재 위험 지역의 현황 및 위험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시사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교통안전 시설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2의 (a)는 IoT 비상벨(예로, IoT 통학로 비상벨)을, 도 12의 (b)는 스마트교차로 알림이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도 13의 (a)는 IoT 스마트 가로등, 신호등 또는 볼록거울을, 도 13의 (b)는 보행자 음성안내 시스템을, 도 13의 (c)는 스마트 횡단보도의 바닥 신호등(안전 유도 블록)을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도 14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결정된 위험 지역을 지도 상에 제공하는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통신부(1500), 디스플레이부(1210), 프로세서(1300) 및 메모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0), 통신부(1500), 디스플레이부(1210), 프로세서(1300) 및 메모리(1700) 이외에, 출력부(1200), 센싱부(1400), 및 A/V 입력부(1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300), 사용자 입력부(1100) 및 메모리(17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300), 통신부(1500), 및 메모리(1700) 이외에 통신부(15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및 A/V 입력부(16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 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사용자가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 설치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1200)는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진동 형태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20)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통상적으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제어부는 프로세서라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그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거나, 통합된 형태의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의 상태, 사용자의 상태 또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RGB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가 다른 장치 및 다른 서버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 장치는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프레임(frame)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500)는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 설치된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에 설치된 모듈에게 전송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6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장치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170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1700)(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700)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1700),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알림 모듈(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위험 지역 제공 장치(100)과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730)은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알림 모듈(17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이동 경로,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획득하는 사용자 위험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이동 경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에 따라 결정된 아이콘을 지도 상의 위험 지역에 매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험 정보 획득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거주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좌표 정보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 경로 및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이 표시된 좌표 정보 형태의 지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표준 좌표계로 변환하여 정형화된 규격의 지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전처리 단계;
    상기 변환된 지도 데이터를 기 설정된 크기의 격자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격자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격자 영역 각각에 대하여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잠재적 위험도 검출 수식은,
    Figure 112020087635915-pat0001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 1 위험 지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1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높게 결정하고,
    제 2 위험 지역을 지나가는 이동 경로의 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 2 위험 지역의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을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지역은,
    사용자가 사고 위기를 경험하였거나, 사고를 목격한 지역을 나타내는 준경험지역 및 사용자가 사고가 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지역을 나타내는 위험인식지역을 포함하며,
    상기 준경험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는 기 설정된 고정 가중치이며,
    상기 위험인식지역에 대한 위험 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부여되는 소정 범위의 변동 가중치인 것인,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험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기 설정된 수 이상의 포인트(point)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이동 수단,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시간대 및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상황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에서 사용자가 위험하다고 판단한 위험 지역의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위험 지역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험 지역에서 경험한 위험 상황, 위험을 목격한 상황, 위험이 예상되는 상황 및 위험 상황에 대한 위험 가중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로 결정된 격자 영역의 확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지도 상에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인 격자 영역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도 상에 교통 안전지역으로 지정된 영역을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 영역 각각에 대하여, 격자 영역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의 밀집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경로의 밀집도에 따라, 상기 격자 영역의 색상 및 명도를 변경하여 지도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 위험도의 레벨이 5이며, 상기 이동 경로의 밀집도가 상위 10%인 격자 영역을 잠재적 위험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9.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034718A 2019-03-27 2019-03-27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89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18A KR102189346B1 (ko) 2019-03-27 2019-03-27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18A KR102189346B1 (ko) 2019-03-27 2019-03-27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86A KR20200113886A (ko) 2020-10-07
KR102189346B1 true KR102189346B1 (ko) 2020-12-09

Family

ID=7288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718A KR102189346B1 (ko) 2019-03-27 2019-03-27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0601A (zh) * 2020-12-09 2021-03-19 北京红山信息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校园疫情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6862242B (zh) * 2023-08-28 2023-11-24 苏州真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以不安全作业行为评估区域风险等级的方法和系统
CN117350445B (zh) * 2023-11-16 2024-03-29 广西桂冠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智慧应急指挥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407B1 (ko) * 2010-04-26 2012-03-27 주식회사 에스원 전자지도의 다자참여 지역등급 설정방법
KR101603906B1 (ko) * 2014-06-10 2016-03-16 (주)케이시크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KR20170096645A (ko) 2016-02-16 2017-08-25 이효경 입식 타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937940B1 (ko) 2017-05-31 2019-01-11 (주)아이티폴리스 빅 데이터를 활용한 단계별 방범 cctv 위치 선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86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40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ity Tracking and Generating Alerts
US10863317B2 (en) Interactive emergency visualization methods
US979243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data analysis and display
KR102189346B1 (ko)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잠재적 위험 지역을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9990182B2 (en) Computer platform for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sensor-driven vehicle telemetry applications and services
JP5422859B2 (ja) 監視装置および不審行動検出方法
Maryam et al. A survey on smartphones systems for emergency management (SPSEM)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2234492B1 (ko) 디지털 설문에 기반하여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Yang et al. Development of online scalable approach for identifying secondary crashes
WO2016187116A1 (en) Localized hazard alert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995796B1 (ko)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한 통합 사고 관리 방법
Kim et al. Mobile applications for assisting mo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IoT infrastructure
JP7197256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5519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0417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hatzina et al. Route planning and navigation aid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KR20160072361A (ko) IoT 및 영상처리 기반 위치추적을 통한 영유아 행동발달 분석과 안전 지킴 방법 및 장치
JP2021071967A (ja) 対応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83000B1 (ko) 교통 안전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을 위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61900A (ko)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141420A (ko) 설정지역의 위험등급을 이용한 피보호자 관리시스템
Jiang An integrated situational awareness platform for disaster planning and emergency response
JP7422344B2 (ja) 報知制御装置、報知装置、報知制御方法および報知制御プログラム
K Santhi Accident detec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