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614B1 - 배기덕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배기덕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614B1
KR101603614B1 KR1020150181037A KR20150181037A KR101603614B1 KR 101603614 B1 KR101603614 B1 KR 101603614B1 KR 1020150181037 A KR1020150181037 A KR 1020150181037A KR 20150181037 A KR20150181037 A KR 20150181037A KR 101603614 B1 KR101603614 B1 KR 10160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ixed
horizontal
fix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범
Original Assignee
재우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우이엔지(주) filed Critical 재우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50181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단 및 하단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비딩이 형성된 고정덕트; 상기 고정덕트의 상측 또는 하측 내주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수평비딩에 압착되는 고정수직부와, 상기 고정수직부의 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랜지에 적층되는 고정수평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고정밴드; 상기 고정덕트와 일렬로 배열되며, 상단 및 하단에 연결플랜지가 형성된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상측 또는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수직부와, 상기 연결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플랜지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수평부를 구비하는 연결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기덕트 구조체 {Exhaust duct assembly}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배기덕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덕트 연결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배기덕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다층 건축물에는 주방과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은 피브이씨(PVC) 소재나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 소재를 이용한 덕트를 각 층마다 연결하여 옥탑에서 자연배기 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배기덕트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배기덕트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기덕트 시스템은, 다수의 입상 덕트(2)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메인덕트(1)가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층의 주방 또는 화장실과 연결된 분기덕트(3)는 상기 메인덕트(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덕트(1)의 최상부에는 배기팬(4)이 설치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4)에 의해 각 층의 주방 및 화장실 공기가 분기덕트(3) 및 메인덕트(1)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덕트(1)를 구성하는 다수의 입상 덕트(2)는 각 층의 슬래브(S)에 형성한 관통구멍(H)을 통과하여 설치되고, 하층의 입상 덕트(2)와 상층의 입상 덕트(2)가 연결되는 부분을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5)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의 상세도와 같이, 상,하측 덕트(2)의 연결부 양쪽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a)를 밴드(5)에 형성한 브이형상커버부(6a)로 감싼 후 밴드(5)를 조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밴드(5)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플랜지(6d)가 슬래브(S)의 관통구멍(H) 둘레가장자리부에 걸림유지되어 입상 덕트(2)의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관통구멍(H)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층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배기덕트 시스템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입상 덕트(2)를 슬래브(S)에 고정시키는 작업과, 상하로 이웃하는 두 개의 입상 덕트(2)를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5)로 연결하는 작업을 각각 수행해야 하는바, 배기덕트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밴드(5)의 지지플랜지(6d)는, 별도의 결합피스에 의해 슬래브(S)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도 1의 상세도와 같이 지지플랜지(6d) 저면이 슬래브(S)의 상면에 밀착되면 지지플랜지(6d)를 관통한 결합피스가 슬래브(S)로 충분히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바, 지지플랜지(6d)가 안정적으로 슬래브(S)에 결합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기덕트 시스템은 외력에 의해 지지플랜지(6d)가 휘어지는 경우, 관통구멍(H)이 개방되어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상측으로 쉽게 전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38815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한 번의 결합공정으로 덕트를 연결할 수 있고,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구조적 강도가 개선되며,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배기덕트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단 및 하단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비딩이 형성된 고정덕트;
상기 고정덕트의 상측과 하측 내주면을 각각 감싸도록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수평비딩에 압착되는 고정수직부와, 상기 고정수직부의 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랜지에 적층되는 고정수평부를 구비하는 고정밴드;
상기 고정덕트와 일렬로 배열되며, 상단 및 하단에 연결플랜지가 형성된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의 상측 또는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수직부와, 상기 연결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플랜지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수평부를 구비하는 연결밴드;
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덕트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수평비딩과 사선비딩이 형성된다.
끝단이 상기 연결수평부와 상기 고정수평부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피스;
상기 고정수평부의 일면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부가 양단에 형성되고, 중단에는 상기 슬래브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되어 체결공간을 확보하는 벤딩부가 형성된 공간확보브라켓;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간확보브라켓은 상기 고정수평부를 관통한 체결피스 끝단이 상기 체결공간으로 인입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벤딩부는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고정수평부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공간확보브라켓은, 상기 체결공간을 채우는 스티로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한 번의 결합공정으로 덕트를 연결할 수 있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며,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기덕트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에 포함되는 고정덕트와 고정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래브에 고정덕트와 고정밴드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가 슬래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관 구조체에 포함되는 고정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덕트와 고정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2 실시예가 슬래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에 포함되는 공간확보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공간확보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덕트와 고정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3 실시예가 슬래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에 포함되는 고정덕트와 고정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슬래브에 고정덕트와 고정밴드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가 슬래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다중주택의 각 층에 설치된 다수 개의 분기덕트와 연결되도록 슬래브(S)를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배기시스템의 일종으로서, 각 층의 슬래브(S)에 배기덕트를 결합시키는 공정과 일렬로 배열된 배기덕트들을 연결시키는 공정을 각각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의 결합공정으로 다수 개의 배기덕트를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간편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슬래브(S)를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단 및 하단에 고정플랜지(1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비딩(120)이 형성된 고정덕트(100)와, 상기 고정덕트(100)의 길이방향 양측 즉,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고정덕트(100)의 상측과 하측 내주면을 각각 감싸도록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수평비딩(120)에 압착되는 고정수직부(210)와, 상기 고정수직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랜지(110)에 적층되는 고정수평부(220)를 구비하는 고정밴드(200)와, 상기 고정덕트(100)와 일렬로 배열되며 상단 및 하단에 연결플랜지(410)가 형성된 연결덕트(400)와, 상기 연결덕트(400)의 상측 또는 하측 에 장착되는 연결밴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랜지(110)는 슬래브(S)를 타설하기 이전에 슬래브(S) 거푸집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바, 슬래브(S) 제작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플랜지(110)는 슬래브(S)의 상면이나 저면에 일체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20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입되는 방식으로 1차로 고정덕트(100)에 결합되며, 추후 별도의 스포트 용접에 의해 고정덕트(100)에 2차로 결합되는바, 콘크리트 타설압이 크게 인가되더라도 고정덕트(100)로부터 탈거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200)는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일측이 분할되되 분할된 양단이 별도의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200)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용도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500)는 고정밴드(200)와 마찬가지로, 연결덕트(4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장착되며, 연결덕트(4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수직부(510)와, 상기 연결수직부(51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플랜지(410)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수평부(5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고정수평부(220)에 연결수평부(520)를 결합시키는 공정만으로 배기유로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용이하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고,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각 층의 실내공간을 완벽하게 격리시키도록 구성되는바, 이웃하는 층 간에 불이 번지거나 연기가 확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에 포함되는 고정덕트(10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평비딩(120)과 사선비딩(130)이 형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종래의 덕트에도 비딩이 형성되어 있으나, 종래의 덕트에 형성된 비딩은 덕트의 외주면을 수평으로 둘러싸도록만 형성되므로, 수평방향 외력에 대해서는 일정 수준의 구조적 강성을 갖지만, 비스듬히 인가되는 외력이나 상하방향 외력에 대해서는 구조적 강성을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포함되는 고정덕트(100)와 같이 수평비딩(120)과 사선비딩(130)이 모두 형성되면, 수평방향의 외력뿐만 아니라 비스듬히 인가되는 외력이나 상하방향 외력에 대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구조적 강성을 가지게 되는바,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쉽게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고정덕트(100)에 수평비딩(120)이 2개 형성되고 사선비딩(130)이 1개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수평비딩(120)과 사선비딩(13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비딩(120)과 사선비딩(130)은 고정덕트(100)뿐만 아니라 연결덕트(40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덕트와 고정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2 실시예가 슬래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에 포함되는 공간확보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고정수평부(220)와 연결수평부(520)가 용접 등의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평부(220)와 연결수평부(520)가 별도의 체결피스(60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체결피스(600)를 이용하면, 연결수평부(520)와 고정수평부(220)를 결합시키는 조작만으로 고정덕트(100)와 연결덕트(400)를 연결하면서 고정덕트(100)와 연결덕트(400) 간의 기밀성을 형성할 수 있는바, 전체적인 배기덕트 구조체 시공이 매우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시공기간이 현저히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고정수평부(220)의 일면 전체가 슬래브(S)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접촉되면, 연결수평부(520)와 고정수평부(2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피스(600)의 끝단이 슬래브(S) 내측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슬래브(S)는 강도가 매우 높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는바, 체결피스(600)는 콘크리트에 삽입되지 아니하고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아지고, 이에 따라 연결수평부(520)가 고정수평부(220)에 견고하게 조립되지 아니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슬래브(S) 중 체결피스(600)가 체결되는 지점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아니하는 체결공간(a)을 확보하는 공간확보브라켓(3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상기 고정수평부(220)의 일면(상측 고정수평부(220)의 저면, 하측 고정수평부(22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부(310)가 양단에 형성되고, 중단에는 상기 슬래브(S)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벤딩되는 벤딩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이 구비되면, 슬래브(S)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콘크리트가 벤딩부(320)와 고정수평부(220) 사이 즉, 체결공간(a)으로는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바, 상기 체결공간(a)은 비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피스(600)는 끝단이 슬래브(S)와 직접 접촉될 우려 없이 연결수직부(510)와 고정수직부(2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피스(600)가 체결되는 지점에 체결공간이 확보되면,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체결피스(600)를 체결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의 시공기간이 현저히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확보브라켓(300)의 중단이 'V'자 형상으로 절곡된 경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체결공간(a)을 확보할 수만 있다면 'U'자 형상으로 만곡되거나 사각홈 형상으로 직각 절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체결피스(600) 체결경로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만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공간확보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공간확보브라켓(300)이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중단이 벤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체결공간(a)의 일측(고정덕트(100)를 향하는 반대측)이 개방되므로, 일측을 통해 콘크리트가 일부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상기 체결공간(a)의 폭방향 양측에 차단판(330)을 형성하여 상기 벤딩부(320)가 사방이 막히고 일측(도 10에서는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딩부(320)가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개구부가 고정수평부(220)를 향하도록 장착되는바, 상기 벤딩부(320)의 내측공간 즉, 체결공간(a)으로는 콘크리트가 전혀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즉, 체결피스(600)의 끝단이 삽입되는 체결공간(a)은 콘크리트가 전혀 유입되지 아니한 빈 공간으로 확보되므로, 상기 체결피스(600)는 콘크리트와 간섭될 우려가 전혀 없이 연결수평부(520)를 고정수평부(220)에 안정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공간확보브라켓(300)과 같이 벤딩부(320)를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스트랩 형상의 플레이트를 벤딩시켜 벤딩부(320)를 형성하는 공정 이외에 벤딩부(320)의 폭방향 양측에 차단판(330)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키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와 같이 차단판(330)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차단판(330)을 제작하는 과정과, 상기 차단판(330)을 용접시키는 과정 등 여러 과정을 거쳐야 하는바, 공간확보브라켓(300)을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에 별도의 차단판(330)을 형성하기 아니하더라도 벤딩부(320)의 체결공간(a)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트랩 형상의 플레이트를 벤딩시켜 중단에 벤딩부(320)를 가공하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간(a)을 채우는 스티로폼(3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티로폼(340)은 체결피스(600)의 끝단이 매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연성을 갖는 재료이면서, 재부공간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벤딩부(320)의 체결공간(a)에 스티로폼(340)이 추가로 구비되면, 별도의 차단판(330)을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벤딩부(320)의 체결공간(a)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체결피스(600)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스티로폼(340)은 체결피스(600)가 쉽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연성을 가지면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질 수 있다면, 스펀지나 합성수지 등 여러가지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덕트와 고정밴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 제3 실시예가 슬래브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에 포함되는 고정밴드(2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링 형상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고정수평부(220)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200)가 평판링 형상으로 형성되면, 고정턱트(100)의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없으므로, 상기 고정밴드(200)는 고정플랜지(110)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200)가 평판링 형상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공간확보브라켓(300)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밴드(200)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배기덕트 구조체의 효과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S : 슬래브 100 : 고정덕트
110 : 고정플랜지 120 : 수평비딩
130 : 사선비딩 200 : 고정밴드
210 : 고정수직부 220 : 고정수평부
230 : 결합볼트 300 : 공간확보브라켓
310 : 결합부 320 : 벤딩부
330 : 차단판 340 : 스티로폼
400 : 연결덕트 410 : 연결플랜지
500 : 연결밴드 510 : 연결수직부
520 : 연결수평부 600 : 체결피스
a : 체결공간

Claims (5)

  1. 슬래브(S)를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단 및 하단에 고정플랜지(1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비딩(120)이 형성된 고정덕트(100);
    상기 고정덕트(100)의 상측과 하측 내주면을 각각 감싸도록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수평비딩(120)에 압착되는 고정수직부(210)와, 상기 고정수직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플랜지(110)에 적층되는 고정수평부(220)를 구비하는 고정밴드(200);
    상기 고정덕트(100)와 일렬로 배열되며, 상단 및 하단에 연결플랜지(410)가 형성된 연결덕트(400);
    상기 연결덕트(400)의 상측 또는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연결수직부(510)와, 상기 연결수직부(51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플랜지(410)에 적층방식으로 결합되는 연결수평부(520)를 구비하는 연결밴드(500);
    끝단이 상기 연결수평부(520)와 상기 고정수평부(22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피스(600); 및
    상기 고정수평부(220)의 일면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부(310)가 양단에 형성되고, 중단에는 상기 슬래브(S)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되어 체결공간(a)을 확보하는 벤딩부(320)가 형성된 공간확보브라켓(300)을 포함하되,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상기 고정수평부(220)를 관통한 체결피스(600) 끝단이 상기 체결공간(a)으로 인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덕트(100)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수평비딩(120)과 사선비딩(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 구조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320)는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상기 개구부가 상기 고정수평부(22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확보브라켓(300)은, 상기 체결공간(a)을 채우는 스티로폼(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덕트 구조체.
KR1020150181037A 2015-12-17 2015-12-17 배기덕트 구조체 KR10160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37A KR101603614B1 (ko) 2015-12-17 2015-12-17 배기덕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37A KR101603614B1 (ko) 2015-12-17 2015-12-17 배기덕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614B1 true KR101603614B1 (ko) 2016-03-25

Family

ID=5564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037A KR101603614B1 (ko) 2015-12-17 2015-12-17 배기덕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56Y1 (ko) * 2019-02-15 2019-08-21 (주)대양기연 내화재 충진용 슬리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792B1 (ko) * 2014-07-15 2015-01-09 주식회사 동영기계공조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522564B1 (ko) * 2014-10-30 2015-05-27 (주)대양기연 에어덕트의 소켓형 슬리브 직결 마감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792B1 (ko) * 2014-07-15 2015-01-09 주식회사 동영기계공조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522564B1 (ko) * 2014-10-30 2015-05-27 (주)대양기연 에어덕트의 소켓형 슬리브 직결 마감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56Y1 (ko) * 2019-02-15 2019-08-21 (주)대양기연 내화재 충진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856Y1 (ko) 내화재 충진용 슬리브
KR101640229B1 (ko) 내부 무보강 및 방파부재가 구비된 물탱크
KR101603614B1 (ko) 배기덕트 구조체
KR101330023B1 (ko) 덕트 클램프
KR101529144B1 (ko)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KR101471451B1 (ko) 건물 슬라브 설치용 덕트 연결 슬리브
KR101876385B1 (ko) 장수명 주택의 내벽체 구조
KR101616040B1 (ko) 배기덕트 조립체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KR200473491Y1 (ko) 층간소음 방지 장치
KR102006931B1 (ko) Pe 복합 스테인리스 강판제 물탱크 상판 및 바닥프레임 체결구조
KR101248932B1 (ko) 판넬 고정용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베이스장치
KR20150118884A (ko) 다방향성 주름부를 갖는 지수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암거 구조물
KR101947742B1 (ko) 조립식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1602773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2333183B1 (ko) 난방파이프 타설용 경계구에 조립되는 철선 삽입형 결속고정구
KR100955792B1 (ko)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JP2017155490A (ja) 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の止水構造
KR102131879B1 (ko) 난방 및 방음에 적용되는 건축용 바닥재
KR101593112B1 (ko)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JP7268283B2 (ja) 床構造
JP5877176B2 (ja) 建物の防水構造
KR101429986B1 (ko) 강관 접합 구조체
KR20150145347A (ko) 건축물의 최상층 매립형 입상덕트용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