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341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341B1
KR101603341B1 KR1020090068822A KR20090068822A KR101603341B1 KR 101603341 B1 KR101603341 B1 KR 101603341B1 KR 1020090068822 A KR1020090068822 A KR 1020090068822A KR 20090068822 A KR20090068822 A KR 20090068822A KR 101603341 B1 KR101603341 B1 KR 10160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channel
release
feedback
radio resour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489A (ko
Inventor
천진영
강승현
이욱봉
임빈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0/0022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23215A2/en
Priority to MYPI2011004630A priority patent/MY153739A/en
Priority to US12/762,252 priority patent/US8755338B2/en
Publication of KR2010011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release command)을 수신하며,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의 수신을 확인하는 해제 확인 메시지(release confirm mes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해제 여부를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확인 받아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중복 할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상향링크, 해제, 확인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 {METHOD OF RELEAS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R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오류 없이 해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규격은 2007년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산하의 ITU-R(ITU-Radiocommunication Sector)에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위한 여섯 번째 규격으로 'WMAN-OFDMA TDD'라는 이름으로 채택된 바 있다. ITU-R은 IMT-2000 이후의 차세대 4G 이동통신 규격으로 IMT-Advanced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IEEE 802.16 WG(Working Group)은 2006년 말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규격으로 기존 IEEE 802.16e의 수정(amendment) 규격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802.16m 프로젝트의 추진을 결정하였다. 상기 목표에서 알 수 있듯이, 802.16m 규격은 802.16e 규격의 수정이라는 과거의 연속성과 차세대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규격이라는 미래의 연속성인 두 가지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802.16m 규격은 802.16e 규격에 기반한 Mobile WiMAX 시스템과의 호환성(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진보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단말은 기지국에 제어 신호 또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 메시지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채널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자원을 스케줄링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폐루프(closed loop) 방식은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보상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고, 개루프(open loop) 방식은 단말로부터의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보상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피드백 메시지는 개루프 방식에서 전송되지 않을 수 있고, 전송되더라도 기지국이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되는 채널 정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에서 개루프 방식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한 채널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고, 폐루프 방식은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한 채널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다.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한 채널은 변화가 심하여 피드백 메시지 포함된 채널정보를 신뢰하기 어려우므로 개루프 방식을 적용한다.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한 채널환경은 비교적 변화가 적어 피드백 메시지 포함된 채널정보를 신뢰할 수 있고 지연에 덜 민감하므로 폐루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하는 피드백 메시지는 대역폭 요청(BR; Bandwidth Request)과 같이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응답인 ACK/NACK 신호,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MIMO(Multiple-In Multiple-Out) 정보 등 여러 종류가 있다.
한편, 상향링크 채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상향링크 제어 신호 및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향링크 채널이 빈번하게 할당 및 해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로 무선 자원의 할당 및 해제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상향링크 채널의 해제에 오류가 일어난 경우, 기지국이 새로운 상향링크 채널을 할당할 때에 기존의 해제되지 않은 상향링크 채널과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 신호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운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충돌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오류 없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류 없이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채널 해제 명령(release command)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채널 해제 명령의 수신을 확인하는 해제 확인 메시지(release confirm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시퀀스 중에서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에 해당하는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시퀀스를 심벌에 맵핑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는 피드백 헤더(feedback header)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채널 해제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상향링크 채널 해제 명령의 수신을 확인하는 해제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RF부를 포함하 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해제 여부를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확인 받아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중복 할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 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IEEE 802.16m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 기술은 하향링크(DL; downlink) 또는 상향링크(UL; uplink)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향링크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 제어 신호 또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채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채널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제어 채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하향링크 제어 채널, 패스트 피드백 채널(FFBCH; Fast Feedback Channel)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1) 제어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일은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을 얻기 위해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U가 6개의 OFDM 심볼 상의 6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타일을 3개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때, 제어 채널은 3개의 타일을 포함하고 각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는 제어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타일을 포함하고, 타일은 복수의 미니 타일로 구성되어 복수의 미니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니타일은 (OFDM 심볼 × 부반송파) = 6×6, 3×6, 2×6, 1×6, 6×3, 6×2, 6×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EEE 802.16e의 (OFDM 심볼 × 부반송파) = 3×4의 PUSC 구조의 타일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과 미니 타일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이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된다고 가정할 때, 미니 타일은 (OFDM 심볼 × 부반송파) = 6×2, 6×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니 타일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만을 고려할 때, 미니 타일은 (OFDM 심볼 × 부반송파) = 6×2, 3×6, 2×6, 1×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고속의 단말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는 최소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350km/h로 이동하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는 3개 이하가 적절하다.
(3) 단말의 심볼당 전송 전력은 한계가 있고, 단말의 심볼당 전송 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가 많을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2)의 고속의 단말과 (3)의 단말의 심볼당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OFDM 심볼의 수가 결정되어야 한다.
(4) 코히런트 검출(coherent detection)을 위하여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럿 부반송파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고루 분산되어야 한다. 코히런트 검출은 파일럿을 이용한 채널 추정을 수행한 후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린 데이터를 구하는 방법이다. 파일럿 부반송파의 전력 부스팅(power boosting)을 위하여, 제어 채널의 OFDM 심볼 당 파일럿의 수가 동일하여야 심볼당 전송 전력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5) 논-코히런트 검출(non-coherent detection)을 위하여 제어 신호는 직교 코드/시퀀스 또는 준직교(semi-orthogonal) 코드/시퀀스로 구성되거나 스프레딩(spreading)되어야 한다.
IEEE 802.16m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로는 패스트 피드백 채널,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 제어 채널(HFBCH; HARQ feedback control channel), 사운딩 채널(sounding channel), 레인징 채널(ranging channel), 대역폭 요청 채널(bandwidth request channel) 등이 있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일반적인 상향링크 데이터보다 신속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채널이다. 대역폭 요청 채널은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자원을 요청하는 채널이다. HARQ 피드백 채널은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및/또는 MIMO(Multiple-In Multiple-Out) 정보의 피드백을 나르며,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PFBCH; Primary Fast Feedback Channel) 및 2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SFBCH; Secondary Fast Feedback Channel)의 2가지 종류가 있다.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4 내지 6비트의 정보를 나르며, 광대역(wideband) CQI 및/또는 MIMO 피드백을 제공한다. 2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7 내지 24비트의 정보를 나르며, 협대역(narrowband) CQI 및/또는 MIMO 피드백을 제공한다. 2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높은 코드율을 사용하여 더욱 많은 제어정보 비트를 지원할 수 있다.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기준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논-코히어런트(non-coherent) 검출을 지원하며, 2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기준신호를 사용한 코히어런트(coherent) 검출을 지원한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서 정의되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단말에게 주기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패스트 피드백 채널을 통하여 복수의 단말의 피드백 정보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HARQ 기법이 적용되는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패스트 피드백 채널은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오프셋에서 시작될 수 있다.
도 2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낸다. 자원 유닛(resource unit, 100)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며, 타일(tile)이라고도 한다. 타일(100)은 물리적 자원 할당 단위일 수 있고, 또는 논리적(logical) 자원 할당 단위일 수 있다. 제어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타일(100)을 포함하고, 타일(100)은 시간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벌 상에 주파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타일(100)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한 복수의 부반송파의 묶음을 의미한다. 타일(100)은 복수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또는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에는 제어신호의 시퀀스가 맵핑되고, 파일럿 부반송파에는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럿이 맵핑될 수 있다.
타일(100)은 3개의 미니 유닛들(mini unit, 110, 120, 130)을 포함한다. 미니유닛은 미니 타일(mini tile)이라고도 한다. 타일(100)은 복수의 미니 타일(mini-tile)로 구성될 수 있고, 미니타일은 시간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 상에 주파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로 구성될 수 있다. 미니 타일 들(110, 120, 130) 각각은 6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에 걸쳐 2개의 인접하는(contiguous)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타일(100) 내의 미니타일들(110, 120, 130)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1 미니타일(110)과 제2 미니타일(120) 사이 및/또는 제2 미니타일(120)과 제3 미니타일(130) 사이에는 다른 타일의 미니타일이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타일(100) 내의 미니타일들(110, 120, 130)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얻을 수 있다.
미니타일에 포함되는 시간 영역에서의 OFDM 심벌의 수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부반송파의 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한이 아니다. 미니타일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가 6이라면, 미니타일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6일 수 있다.
OFDM 심벌은 시간 영역에서 구간(duration)을 말하며, 반드시 OFDM/OFDMA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심벌 구간 등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OFDM 심벌이라는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특정 다중 접속 방식(multiple access schem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반송파는 주파수 영역에서 할당 단위를 말하며, 여기서는 하나의 부반송파를 단위로 하지만, 부반송파 집합 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구성할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802.16e 시스템의 피드백 채널 중 하나인 CQI 채널(CQICH;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hannel) 할당 정보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46198304-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CQICH 할당 정보는 상기 CQICH의 길이, 상기 CQICH의 지속기간, 피드백 타입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자원 할당 정보에서 지속기간에 관한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할당과 해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보이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지속기간은 일정한 시간으로 정해질 수도 있고, 기지국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할당을 해제할 때까지 영구한 시간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지속기간이 일정한 시간으로 정해진다면 상기 일정한 시간이 만료되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자동적으로 해제되나, 지속기간이 영구한 시간으로 정해진다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해제하기 위해서 채널 해제 정보를 따로 전송하여야 한다. 또한, 지속기간이 일정 시간으로 정해진 경우에도 MIMO Mode가 변경되는 등의 이유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해제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지속기간의 값이 '0b111'이면 상기 CQICH의 지속기간이 영구하게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CQICH의 할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이 지속기간의 값이 '0b000'인 CQICH 할당 정보, 즉 채널 해제 정보를 단말로 다시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단말이 상기 채널 해제 정보를 올바르게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기지국은 상기 CQICH의 할당이 해제된 것으로 알고 있지만, 단말은 계속하여 상기 CQICH를 통해 계속 CQI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새로운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할당할 경우 상기 해제되지 않은 CQICH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해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해제 확인 메시지(release confirm message)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이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에 의해 오류 없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해제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무선 자원의 할당이 가능해진다.
이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류 없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단계 S20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한다.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패스트 피드백 채널, HARQ 피드백 채널, 사운딩 채널 등 다양한 종류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일 수 있으며, 특히 패스트 피드백 채널 중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 또는 2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는 피드백 할당 정보(feedback allocation information)일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할당 정보는 피드백 채널의 주기, 피드백 채널의 지속 기간, 피드백 포맷(format)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단말은 상기 할당된 무선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release command)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 자원이 할당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피드백 채널인 경우,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은 피드백 할당 정보의 피드백 채널의 지속 기간의 값을 ‘0b000’로 설정함으로써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을 포함한 상기 피드백 할당 정보는 HARQ 피드백 할당(HFA; HARQ Feedback Allocat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FA 필드는 단말로부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전송될 HARQ 피드백 채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의 수신을 확인하는 해제 확인 메시지(release confirm mes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는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에서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에서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단계 S300에서는 상기 해제 확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시퀀스를 생성한다. 상기 시퀀스는 미리 결정된 시퀀스 집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는 상기 시퀀스를 변조(modulation)하여 복수의 변조 심벌로 이루어지는 변조 심벌 집합을 생성한다. 단계 S320에서는 상기 변조 심벌 집합이 데이터 PFBCH 피드백 미니 타일(Feedback Mini-Tile; FMT)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맵핑되어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 심벌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을 통해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전송된다.
또는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는 HARQ 피드백 채널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HARQ 피드백 채널의 위치는 상기 단계 S210에서 수신한 피드백 할당 정보 내의 HFA 필드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을 해제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해제한다. 단말이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을 해제함으로써 기지국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중복으로 할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패스트 피드백 채널을 포함한 상향링크 제어 채널뿐만 아니라 피드백 헤더(feedback header) 또는 단말이 상향링크 채널로 전송하는 메시지의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피드백 헤더는 MAC 헤더(MAC header)의 일종이다. 피드백 헤더는 일반적으로 피드백 폴링 정보(feedback polling information)에 대한 응답이며,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피드백 폴링 정보는 일반적으로 전용 상향링크 채널을 설정하는 데에 이용된다. 피드백 헤더는 피드백 폴링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될 경우, 피드백 폴링 정보 내에 할당된 무선 자원 또는 확장된 피드백 요구 서브헤더(feedback request extended subheader)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단계 S40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폴링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피드백 폴링 정보에 의해서 단말은 기지국으로 피드백 헤더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release command)를 수신한다.
단계 S420에서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명령의 수신을 확인하는 해제 확인 메시지(release confirm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는 피드백 타입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피드백 헤더는 피드백 타입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타입 필드는 4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타입 필드의 값에 따라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피드백 내용(feedback contents)이 달라진다. 상기 피드백 내용은 MIMO(Multiple-In Multiple-Out) 피드백 타입 정보, CQI, 상향링크 전송 전력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특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피드백 타입을 해제 확인을 위한 피드백 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타입 필드값이 '1111'인 경우 이를 해제 확인 피드백 타입으로 설정하여 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단말은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을 해제하여, 상향링크 채널을 해제한다. 단말이 상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을 해제함으로써 기지국이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중복으로 할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900)은 프로세서(910) 및 RF부(92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프로세서(910)는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된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상향링크 채널 해제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상향링크 채널 해제 명령의 수신을 확인하는 해제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RF부(920)는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910)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92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사용되는 자원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1차 패스트 피드백 채널에서 해제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UL; uplink)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0b000 외의 값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를 포함하는 제1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고;
    0b000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를 포함하는 제2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을 전송하기 위한 HFBCH(HARQ feedback channel)을 통해 해제 확인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및
    상기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0b000 외의 값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는 상기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의 지속 기간을 지시하고,
    상기 0b000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는 상기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의 해제를 지시하고,
    상기 HFBCH를 위한 무선 자원은 3개의 분산된 피드백 미니 타일(FMT; feedback mini-tile)을 포함하고,
    상기 FMT는 2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는 상기 HFBCH에서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의 인덱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복수의 시퀀스로부터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퀀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시퀀스를 심벌에 맵핑하여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0b000 외의 값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를 포함하는 제1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을 할당하고;
    0b000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를 포함하는 제2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을 전송하기 위한 HFBCH(HARQ feedback channel)을 통해 해제 확인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및
    상기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0b000 외의 값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는 상기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의 지속 기간을 지시하고,
    상기 0b000으로 설정된 지속 기간 필드는 상기 UL 패스트 피드백 채널의 해제를 지시하고,
    상기 HFBCH를 위한 무선 자원은 3개의 분산된 피드백 미니 타일(FMT; feedback mini-tile)을 포함하고,
    상기 FMT는 2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드백 채널 할당 정보는 상기 HFBCH에서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의 인덱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복수의 시퀀스로부터 상기 해제 확인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퀀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시퀀스를 심벌에 맵핑하여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KR1020090068822A 2009-04-24 2009-07-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 KR10160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2247 WO2010123215A2 (en) 2009-04-24 2010-04-13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YPI2011004630A MY153739A (en) 2009-04-24 2010-04-13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762,252 US8755338B2 (en) 2009-04-24 2010-04-16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23009P 2009-04-24 2009-04-24
US61/172,230 2009-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489A KR20100117489A (ko) 2010-11-03
KR101603341B1 true KR101603341B1 (ko) 2016-03-15

Family

ID=4340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822A KR101603341B1 (ko) 2009-04-24 2009-07-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3341B1 (ko)
MY (1) MY153739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515A (ko) * 2007-03-16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고속 피드백 전송 수행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young Chun, Youngseob Lee, et al., "UL Fast Feedback and HARQ Feedback Channel Structure", IEEE C802.16m-09/0014, 2009.01.05.
Jong-Kae (JK) Fwu, et al., "Proposed Text for the Draft P802.16m Amendment on the PHY Structure for UL Control - Merged Version (Non-harmonized)", IEEE C802.16m-09/0387, 2009.03.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3739A (en) 2015-03-13
KR20100117489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6387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CN110266457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87553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uplink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848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6423471B2 (ja) アップリンク制御チャネル転送及び受信
US202001693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496388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KR101643025B1 (ko) 중계국 및 중계국의 백홀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KR100918729B1 (ko)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시간적 다중화 방법 및 장치
US83911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relay station
CN103283276A (zh) 无线基站装置、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03503514A (zh) 信道状态信息通知方法、无线基站装置、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系统
CN102598822A (zh) 无线通信控制方法、基站装置以及移动终端装置
CN104782184A (zh) 无线通信方法、无线通信系统、无线基站以及用户终端
US88046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KR10155149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메시지 전송 방법
US8391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1486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891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878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87612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eedback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343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0334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해제 방법
WO2018173208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66781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