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261B1 -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 - Google Patents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261B1
KR101603261B1 KR1020090067932A KR20090067932A KR101603261B1 KR 101603261 B1 KR101603261 B1 KR 101603261B1 KR 1020090067932 A KR1020090067932 A KR 1020090067932A KR 20090067932 A KR20090067932 A KR 20090067932A KR 101603261 B1 KR101603261 B1 KR 10160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al dimension
value
pixel
image
frac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388A (ko
Inventor
김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61B1/ko
Priority to US13/386,852 priority patent/US8681262B2/en
Priority to PCT/KR2010/004781 priority patent/WO2011010871A2/en
Publication of KR2011001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프랙탈차원(fractal dimension)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영상촬상장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촬상 영상 이미지의 픽셀 별 색차 정보 변화를 나타내는 프랙탈차원 값을 생성한 후 자동초점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프랙탈제어부, 및 상기 프랙탈제어부의 자동초점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초점을 조절하는 자동초점조절부를 포함한다.
영상촬상장치, 연속자동초점조절, 프랙탈차원, 프랙탈차원값, 색차정보 표면적

Description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uto focusing fuction using fractal dimension and the auto focusing method}
본 발명은 영상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등의 영상촬상장치는 촬상 대상물의 움직임, 변경 등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어주는 연속 자동초점조절(Continuous Auto Focusing)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은 영상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시모드와 영상의 최적의 초점을 찾는 초점결정모드로 나눌 수 있다.
도 1은 감시모드 상태의 영상이미지 변화를 나타내며, 도 2는 초점결정모드에서의 영상이미지와 에지 필터(Edge Filter)를 거친 영상이미지를 나타낸다.
감시모드는 영상 변화의 시간 차나 영상의 에지 값(Edge Value)의 변화량으로 영상의 변화를 예측하여 연속 자동 초점 조절을 수행한다.
즉, 감시모드는 도 1과 같이 에지(Edge) 변화가 임계값 이상이고, 일정 프레임 경과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초점을 맞추려는 영상이 결정되었다고 판단하여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하도록 한다.
초점결정모드는 에지 필터(Edge Filter)를 이용하여 수직 수평 방향에 대한 에지 강도, 즉, 에지 값(Edge Value)의 그래디언트(Gradient) 값을 추출하여 높은 그래디언트 값을 갖는 지점을 초점 대상 위치로 결정한다.
즉, 초점결정모드는 감시모드에 의해 자동초점조절 수행이 결정되면 도 2와 같이 에지 필터(Edge Filter)를 적용한 후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대한 에지 값의 그래디언트(Gradient) 값(또는 초점 값(FV: Focus Value)을 추출하여 높은 값을 갖는 지점을 초점 대상 위치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수평 에지 강도(Horizontal Edge Value)를 HEV, 수직 에지 강도(Vertical Edge Value)를 VEV, 초점 값(Focus Value)를 FV라 할때. FV = √(HEV2+VEV2)에 의해 구해지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자동초점조절 방법은 감시모드에서 영상의 에지 변화가 일정 임계값 이상인 상태로, 해당 프레임의 에지 강도가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값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에만 초점을 맞출 영상이 결정되었다고 판단하여 초점 결정모드를 수행하게 되므로, 초점을 맞출 대상 영상이 결정되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은 초점을 맞출 대상 영상의 결정까지 발생하는 시간 지연은 영상이미지가 변화되는 경우 다시 초점결정모드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초점결정모드의 반복적인 실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은 초점결정모드의 수행을 위한 영상 감시모드에서 에지의 변화량과 안정화 시간으로 영상의 변화를 측정할 경우, 영상 변화에 대한 감지를 영상 특성에 따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초점을 결정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빈번한 초점결정모드의 반복 수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점결정모드 수행을 위한 영상 판별을 위해 효율적으로 영상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촬상 영상 이미지의 픽셀 별 색차 정보 변화를 나타내는 프랙탈차원 값을 생성한 후 자동초점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프랙탈제어부, 및 상기 프랙탈제어부의 자동초점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초점을 조절하는 자동초점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은 영상이미지의 픽셀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생성하는 프랙탈차원생성과정, 상기 프랙탈차원생성과정에서 생성된 프랙탈차원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자동초점조절판단과정, 및 상기 프랙탈차원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초점결정모드를 수행하여 초점을 결정하는 자동초점조절과정을 포함한다.
픽셀의 색차정보 변화량을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이용하여 자동초점조절 수행 대상 영상이미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초점조절 수행 대상 영상이미지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에 의해 시간 지연 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프랙탈차원값만을 이용하여 자동 초점 수행 대상 영상이미지를 결정하게 되므로 시간지연 발생을 방지한다.
자동초점조절 수행 대상 영상이미지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에 의해, 시간의 지연 발생에 따라 변화된 영상으로 인한 빈번한 자동 초점 수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상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픽셀의 색차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블록화부에 의한 블록화된 픽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영상촬상장치(100)는 촬상부(110), 프랙탈제어부(120), 자동초점조절부(130) 및 이미지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촬상부(110)는 양안 카메라, 적외선 깊이 카메라 등을 구비한 카메라, 다수의 2D 카메라, 3D 영상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촬상부(110)는 촬영 대상 영역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픽셀 별 색차정보를 생성하여 이미지신호처리부(140) 및 프랙탈제어부(120)로 출력한다.
프랙탈제어부(120)는 색차정보추출부(121), 블록화부(122), 프랙탈차원생성부(123) 및 자동초점조절판단부(124)를 포함한다.
색차정보추출부(121)는 촬상부(110)의 촬영 영상 이미지의 픽셀 별 색차 정보를 추한 후 이를 픽셀 색차 정보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데이터로 출력한다. 픽셀 별 색차 정보들은 도 4와 같은 히스토크램으로 표시될 수 있다.
블록화부(122)는 자동초점조절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색차정보추출부(121)에서 추출된 색차정보를 가지는 픽셀들을 N * N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블록화한 후 블록 중 최댓값을 가지는 색차정보 값을 상기 블록의 색차 값으로 하여 상기 블록을 새로운 픽셀로 재설정한다. 즉 블록화부(122)는 픽셀 들을 블록으로 그룹화하 는 것에 의해 픽셀 들의 색차 정보 그래프에서의 표면적 차이의 계산량을 줄이는 것에 의해 자동초점조절 여부를 신속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블록화부(122)에 의해 다수의 초기 픽셀들이 블록화된 픽셀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다.
프랙탈차원생성부(123)는 색차정보추출부(121) 또는 블록화부(122)에서 블록화된 픽셀들의 인접되는 픽셀 간의 색차 차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프랙탈차원값은 상기 픽셀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의 픽셀간 표면적 변화량의 합의 값으로 산출된다.
상기 픽셀간 색차 정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픽셀 히스토그램 상의 각 픽셀들에 대응되는 히스토그램의 표면적 변화량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의 길이: η, 높이: fη(m,n)로 표현하고, m은 세로 방향에서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픽셀 행의 번호, n은 가로 방향으로 증가하는 픽셀 열의 번호로 정의할 때,
Figure 112009045470036-pat00001
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첫째 항은 상부면의 면적의 합(ABCD로 표현되는 상부면 들의 전체 합),
둘째 항은 픽셀 히스토그램의 우측면(BCFE)들 및 정면(CDHG)들의 면적의 합,
셋째 항은 최우측열에 위치되는 픽셀 히스토그램들의 정면 면적의 합,
넷째 항은 최앞 픽셀 행에 위치되는 픽셀 히스토그램들의 우측면 면적의 합을 나타낸다.
상기 합의 결과는 수학식 2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9045470036-pat00002
여기서 D는 차원(Dimension)을 나타낸다.
C는 상수로서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log 함수에 대한 기울기 값으로 도출된다.
상기 수학식 2는 기하학적인 모든 면적을 나타내는 식으로서 Mandelbrot에 에 의해 도출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학식 2의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프랙탈 차원 값(FD)을 나타내는 하기의 수학식 3을 얻을 수 있다.
FD = 2 - |log(A(η)/log(η)|, (2차원 이미지의 경우 2≤FD< 3)
프랙탈차원값(FD)은 [2 - {log(픽셀 별 색차정보 변화량의 합(A(η)))과 log(픽셀의 수평면의 가로 세로 폭의 평균값(η)의 기울기}]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랙탈 차원 값(FD)은 2보다 크거나 같고 3보다 작은 소수 차원 값을 가지게 된다.
자동초점조절판단부(124)는 프랙탈차원생성부(123)에서 생성된 프랙탈차원값(FD)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프랙탈차원값(FD)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같거나 큰 경우 자동초점조절 수행 신호를 자동초점조절부(130)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초점조절 수행 여부를 판별하는 감시모드를 계속 수행하도록 한다.
자동초점조절부(130)는 자동초점조절판단부(124)의 자동초점 조절 수행 신호에 따라 초점 결정 모드로 진입되어 촬상부(110)에 대한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한다.
이미지신호처리부(140)는 촬상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미지 이 깊이 맵 생성, 노이즈 제거, 영상이미지 보정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화질이 최상으로 유지되는 영상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프랙탈제어부(120)는 이미지신호처리부(140)에 통합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색차정보추출, 블록화 등은 이미지신호처리부(140)에서 수행되고, 프랙탈제어부(120)는 프랙탈차원생성, 프랙탈차원값생성 및 자동초점조절판단과정을 수행하도록 프랙탈차원생성부(123), 자동초점조절판단부(124)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자동초점조절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자동초점조절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의 영상이미지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자동초점조절이 수행되는 경우의 영상이미지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3의 영상촬상장치(100)에 적용된 본 발명의 자동초점조절방법의 처리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영상촬상장치(100)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와 같이 촬영이 진행 중에 자동초점조절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시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감시모드 상태에서 영상촬상장치(100)가 촬상된 영상이미지 신호를 출력하면, 출력되는 영상이미지 신호들의 색차정보를 추출하여 히스토그램데이터로 생성한다(색차정보추출과정: S10).
색차정보추출과정(S10)에서 생성된 히스토그램데이터는 3축 좌표계로 표시되는 3축 히스토그램으로 표시되나, 이외에 다양한 표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히스토그램데이터는 이미지신호처리부(140)에 프랙탈제어부(120)가 통합 구 성된 경우에는 이미지신호처리부(140)에서 생성되며, 프랙탈제어부(120)가 이미지신호처리부(14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프랙탈제어부(120)의 색차정보추출부(121) 또는 이미지신호처리부(14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색차정보추출과정(S10)에서는 초점자동조절 판단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출된 색차정보를 가지는 픽셀들을 N * N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상기 블록 중 최댓값을 가지는 색차정보 값을 상기 블록의 색차 값으로 하여 상기 블록을 새로운 픽셀로 설정하는 블록화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록화과정에 의한 블록으로 구성되는 픽셀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색차정보추출과정(S10) 또는 블록화과정에 의해 색차정보가 추출되면, 프랙탈차원생성부(123)가 색차정보추출과정(S10)에서 생성된 상기 픽셀 간 색차 정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생성한다(프랙탈차원값생성과정: S20).이때 상기 픽셀은 블록화 이전의 픽셀 또는 블록화 이후의 픽셀을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수학식 2의 표면적 변화량을 계산하고, 수학식 2의 양변에 log를 취해 프랙탈 차원 값을 나타내는 수학식 3을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프랙탈차원값은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에서와 같이 특성을 가지는 2보다 크거나 같고 3보다 작은 소수 차원 값으로 표현되어 영상이미지변화의 복잡성을 나타낸다.
프랙탈차원값생성과정(S20)에 의해 프랙탈차원값이 얻어지면 자동초점조절판단부(124)가 기 설정된 임계값과 프랙탈차원값을 비교하여 자동초점조절의 수행 여 부를 판단한다(자동초점조절판단과정: S30).
자동초점조절판단과정(S30)의 판단결과 프랙탈차원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작거나 같은 경우로 설정될 수도 있음)에는 영상이미지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색차정보추출과정(S10)로 복귀하여 감시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대상 영상의 배경은 변화없이 사람의 형상이 변화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와 달리, 자동초점조절판단과정(S30)의 판단 결과 프랙탈차원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큰 경우로 설정될 수도 있음)에는 감시모드를 종료하고 초점결정모드로 변경하여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자동초점조절판단부(124)가 자동초점조절부(130)로 자동초점조절신호를 출력한다. 자동초점조절부(130)는 자동초점조절신호에 따라 자동초점조절을 수행하여 촬상부(110)의 초점을 새롭게 맞춘다(자동초점조절과정: S40). 이 경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및 사람을 포함하는 모든 것이 변경된 상태일 수 있다.
이 후 영상촬영이 종료된 경우에는 자동초점조절의 수행을 종료하고, 영상촬영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색차정보추출과정(S10)으로 복귀하여 연속자동초점조절과정을 반복수행한다(S50).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 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감시모드 상태의 영상이미지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초점결정모드에서의 영상이미지와 에지 필터(Edge Filter)를 거친 영상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상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픽셀의 색차 정보를 나타내는 픽셀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블록화부에 의한 블록화된 픽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자동초점조절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자동초점조절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의 영상이미지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자동초점조절이 수행되는 경우의 영상이미지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영상촬상장치 110: 촬상부
120: 프랙탈제어부 121: 색차정보추출부
122: 블록화부 123: 프랙탈차원생성부
124: 자동초점조절판단부 130: 자동초점조절부
140: 이미지신호처리부

Claims (15)

  1.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촬상 영상 이미지의 픽셀 별 색차 정보 변화를 나타내는 프랙탈차원 값을 생성한 후 상기 프랙탈차원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자동초점조절 여부를 판단하는 프랙탈제어부; 및
    상기 프랙탈차원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랙탈제어부의 자동초점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초점을 조절하는 자동초점조절부를 포함하는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의 촬영 영상 이미지의 픽셀 별 색차 정보를 추출하는 색차정보추출부;
    인접되는 상기 픽셀 간의 색차 차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생성하는 프랙탈차원생성부; 및,
    상기 프랙탈차원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초점조절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자동초점조절부로 출력하는 자동초점조절판단부를 포함하는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제어부는,
    상기 픽셀들을 N * N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상기 블록 중 최댓값을 가지는 색차정보 값을 상기 블록의 색차 값으로 하여 상기 블록을 새로운 픽셀로 설정하는 블록화부를 더 포함하는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값은,
    상기 픽셀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의 픽셀간 표면적 변화량의 합의 값을 가지는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값은, 2보다 크거나 같고 3보다 작은 소수 차원 값을 가지는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값은 [2 - {log(상기 픽셀 별 색차정보 변화량의 합(A(η))/log(상기 픽셀의 수평면의 가로 및 세로 폭의 평균값)}의 기울기]의 값으로 설정되는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7. 영상이미지의 픽셀들의 변화를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생성하는 프랙탈차원생성과정;
    상기 프랙탈차원생성과정에서 생성된 프랙탈차원값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프랙탈차원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자동초점조절판단과정; 및
    상기 프랙탈차원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초점결정모드를 수행하여 초점을 결정하는 자동초점조절과정을 포함하는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생성과정은,
    인접된 상기 픽셀들 사이의 색차 변화량을 나타내는 복잡도를 검출하는 과정인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생성과정은,
    상기 영상이미지의 각 픽셀 별 색차정보를 생성하는 색차정보추출과정; 및,
    상기 색차정보추출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픽셀 간 색차정보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생성하는 프랙탈차원값생성과정을 포함하는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생성과정은,
    상기 영상이미지의 각 픽셀 별 색차정보를 생성하는 색차정보추출과정;
    상기 색차정보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색차정보를 가지는 픽셀들을 N * N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상기 블록 중 최댓값을 가지는 색차정보 값을 상기 블록의 색차 값으로 하여 상기 블록을 새로운 픽셀로 설정하는 블록화과정; 및
    상기 블록화과정에서 생성된 블록들 별 색차정보의 블록별 변화량을 나타내는 프랙탈차원값을 생성하는 프랙탈차원값생성과정을 포함하는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정보추출과정은,
    상기 픽셀 별 색차정보를 3축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는 과정인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값은,
    상기 픽셀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의 픽셀간 표면적 변화량의 합의 값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값은,
    2보다 크거나 같고 3보다 작은 소수 차원 값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랙탈차원값은,
    [2 - {log(상기 픽셀 별 색차정보 변화량의 합(A(η))/log(상기 픽셀의 수평면의 가로 및 세로 폭의 평균값)}의 기울기]의 값으로 설정되는 영상촬상장치의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
  15. 제 7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자동초점조절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67932A 2009-07-24 2009-07-24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 KR10160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932A KR101603261B1 (ko) 2009-07-24 2009-07-24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
US13/386,852 US8681262B2 (en) 2009-07-24 2010-07-21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uto focusing function using fractal dimension and an auto focusing method
PCT/KR2010/004781 WO2011010871A2 (en) 2009-07-24 2010-07-21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uto focusing function using fractal dimension and an auto focu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932A KR101603261B1 (ko) 2009-07-24 2009-07-24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88A KR20110010388A (ko) 2011-02-01
KR101603261B1 true KR101603261B1 (ko) 2016-03-14

Family

ID=4349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932A KR101603261B1 (ko) 2009-07-24 2009-07-24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81262B2 (ko)
KR (1) KR101603261B1 (ko)
WO (1) WO2011010871A2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140A (ja) * 1993-06-01 1994-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US5671294A (en) 1994-09-15 1997-09-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segmentation boundaries into the calculation of fractal dimension features for texture discrimination
US7062079B2 (en) * 2003-02-14 2006-06-13 Ikonisy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age segmentation
US6876776B2 (en) * 2003-02-14 2005-04-05 Ikonicy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focusing an image
US6993187B2 (en) 2003-02-14 2006-01-31 Ikonisys, Inc.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recognition using fractal maps
US8310545B2 (en) * 2004-03-29 2012-11-13 Pione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road view
JP2009223056A (ja) * 2008-03-17 2009-10-01 Fujifilm Corp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US8396297B2 (en) * 2008-05-27 2013-03-12 Intel Corporation Supervised edge detection using fractal signa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0871A3 (en) 2011-03-31
US20120120276A1 (en) 2012-05-17
US8681262B2 (en) 2014-03-25
WO2011010871A2 (en) 2011-01-27
KR20110010388A (ko)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863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image blur according to movement speed and change in size of face area
US8184196B2 (en)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depth data using edge detection
US9451150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mprising focus dete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78909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011517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90102963A1 (en) Auto-focus image system
US20090095880A1 (en) Autofocus control circuit, autofocus control method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7957633B2 (en) Focus adjusting apparatus and focus adjusting method
CN111385471B (zh) 信息处理设备和方法、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US1012106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processing target area of an image based on degree of saliency,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14886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apparatus focus area display, and storage medium
US103113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EP3745348A1 (en) Image processing for removing fog or haze in images
US110808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720488B2 (ja) 撮像装置および距離情報取得方法
US972321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564961B2 (ja) 撮像装置
KR101603261B1 (ko) 프랙탈차원을 이용한 자동초점조절 기능을 가지는 영상촬상장치 및 영상촬상장치의 자동초점조절방법
JP2012220890A (ja) 焦点調節装置
JP2009146033A (ja) 部分画像抽出方法
JP737329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65654B2 (ja) 追尾装置及び撮像装置、撮像装置に用いる追尾方法
KR101599434B1 (ko) 자동 초점 조절을 이용한 영상촬상장치의 공간감지장치 및 공간감지방법
JP6272099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04287A (ja) 顔画像検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