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05B1 -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 - Google Patents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05B1
KR101602705B1 KR1020140107017A KR20140107017A KR101602705B1 KR 101602705 B1 KR101602705 B1 KR 101602705B1 KR 1020140107017 A KR1020140107017 A KR 1020140107017A KR 20140107017 A KR20140107017 A KR 20140107017A KR 101602705 B1 KR101602705 B1 KR 101602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rainboots
neck
boots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575A (ko
Inventor
강화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8Collapsible, e.g. foldable for travell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부가 분리 및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보관 및 휴대도 용이한 장화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의 일 측에는 개폐부가 위치하며, 상기 목부의 적어도 일부는 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장화를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부가 타이벡 소재로 구성되어 방수성이 우수하며, 쉽게 접힐 수 있으며, 다수 개의 탈착부를 포함하여 일부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사용 후 말아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Foldable and detachable rain boots}
본 발명은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가 분리 및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보관 및 휴대도 용이한 장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 내릴 때 또는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운동화나 샌들 등과 같은 종류의 신발을 착용하면 발이 젖기 때문에 불쾌감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신발의 내구성이 감소하거나 모양이 변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착용하기 적합한 신발의 한 종류로서 방수성이 좋은 다양한 장화들이 등장했다.
장화는 밑창과 발을 수용하는 부분, 및 발목 이상을 물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목 부분을 포함한다. 종래 장화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방수기능이 뛰어나고, 고무 재질의 특성상 쉽게 모양이 변형되지 않고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목 부분의 길이와 색 및 형태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들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장화는 습지나 논밭 작업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평소에 비가 올 때에도 패션의 일부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장화 대부분이 고무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 없이 상대적으로 넓은 둘레를 갖는 상부 개구부로 발을 통과시킴으로써 착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부 개구부가 넓을수록 더 편리하게 사용자가 장화를 착용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상부 개구부가 넓을수록 이를 통하여 빗물이나 수분이 장화 내부로 유입될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개구부를 통해 빗물이나 수분 또는 습기가 장화에 차게 되면, 장화는 실질적인 본래의 방수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이후에 장화의 재사용을 위하여 내측까지 완전히 건조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 나아가, 장화의 내부 깊숙히 수분이 남게 되면 각종 균들이 서식하기 좋은 습한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위생적으로 취약해지며 악취가 유발될 수도 있으므로, 보관 방법에도 특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비가 그치거나 습지나 논밭 작업을 마친 후에도 착용자는 계속 장화를 착용하거나 별도의 신발을 휴대하여 갈아신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다른 실외화로 갈아신은 후에도 장화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11-0011031호는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신축성이 뛰어난 비닐 또는 고무로 제작하여 비가 내릴 때 실외화 위에 덧신을 수 있도록 구성된 우비용 장화를 제공한다. 우비용 장화의 몸체는 착용자의 다리에 밀착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착용이 편리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목부의 후방에 지퍼세트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화는 일차적으로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장화 내부에서 착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열 및 땀이 갇히게 되어, 이미 착용된 실외화의 바닥에 묻어 있는 이물질들과 섞이면서 위생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오랜 착용에 따라 불편함과 악취로 인한 불쾌감이 유발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장화는 착용하는 실외화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외관이 달라짐으로써, 자체로서의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장화는 착용하기 어렵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거나 위생적으로 취약하고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단일 색이나 패턴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실외화와 함께 착용하는 덧신 형태로서 디자인적으로 한계가 있다.
KR 2011-001031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화로서 방수 기능이 우수한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좋은 장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내구성이 좋고 사용 후에도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장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착용이 편리한 장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통기성, 경량성이 우수한 장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적어도 일부와 수용공간(240)을 형성하는 몸체부(200); 및 상기 몸체부(200)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300)의 일 측에는 개폐부(330)가 위치하며, 상기 목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장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부(300)는 상기 몸체부(20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 1 연장부(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부(300)는 상기 제 1 연장부(3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 2 연장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310) 및 제 2 연장부(320)는 서로 상이한 디자인의 패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200) 상기 제 1 연장부(310)는 탈착부(400)에 의하여 서로 탈부착 되며, 상기 탈착부(400)는 상기 몸체부(200)와 상기 제 1 연장부(310) 각각에 위치하는 제 1 탈착부(401, 4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탈착부(401, 411)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상기 목부(300)의 길이는 제 1 연장부(310)의 상부가 폴딩되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부(400)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2 연장부(320) 각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2 연장부(320)가 서로 탈부착 되는 제 2 탈착부(412, 4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탈착부(412, 422)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상기 목부(300)의 길이는 제 2 연장부(310)의 상부가 폴딩되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부(400)는 지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부(400)는 벨크로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부(400)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233, 331, 332)은 지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233, 331, 332)은 벨크로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일부가 합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섬유 소재로 형성된 장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목부(300)의 상단부에서부터 상기 몸체부(200)까지 바닥부(100) 측으로 말릴 수 있는 장화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부가 타이벡 소재로 구성되어 방수성이 우수하며, 쉽게 접힐 수 있으며, 다수 개의 탈착부를 포함하여 일부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 후 말아서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좋아 오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타이벡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상부를 접음으로써 간편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착용이 편리하다.
또한,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통기성, 경량성이 우수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화의 일부가 폴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화가 보관에 용이하도록 말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장화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장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장화의 일부가 폴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 가능한 장화의 교체 가능한 패턴디자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화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거나, 이외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다른 형태의 장화도 용이하게 도출 가능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화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장화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장화는 하측을 형성하는 바닥부(100)와 이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240)을 형성하는 몸체부(200); 및 몸체부(200)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300)를 포함한다.
바닥부(100)의 하측면은 미끄럼 방지가 되는 소재로 형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면은 장시간 동안 편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쿠션과 같은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200)는 바닥부(100)의 상측면 가장자리와 근접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수용공간(24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240)에 착용자의 발이 수용됨으로써 발이 수분에 쉽게 젖지 못하게 된다.
목부(300)는 이와 같은 몸체(20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다리 일부도 장화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목부(30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가 길수록 장화의 상측 개구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기 어려워진다.
목부(300)가 길게 형성되더라도 일 측에 위치하는 개폐부(330)에 의하여 착용자가 편리하게 장화를 착용할 수 있다. 개폐부(330)는 착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지퍼나 벨크로와 같은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관상으로는 개폐부(330)가 장화의 뒷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개폐부(330)의 위치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몸체부(200)와 목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타이벡과 같은 합성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섬유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벡은 방수와 통기성, 경량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좋아 종이와 같이 얇게 형성되어 활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타이벡을 장화에 적용시킴으로써 종래의 고무로 제작된 장화들보다 가볍고 통풍이 잘 되고, 얇게 형성된 목부(300)의 상부를 다수 번 접음으로써 착용자가 장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무로 장화가 제조됨으로써 이와 같은 장화는 상부를 다수 번 접어서 길이 조절을 하기가 실질적으로 어렵다.
목부(300)의 개폐부(330) 일부를 개방시키고, 개폐부(330)가 개폐된 만큼 목부(300)의 상부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착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목부(300)를 조절하여 다양한 분위기와 디자인이 연출 가능한 장화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화는 사용 후에 건조가 빨리 되어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며, 접거나 돌돌 말아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보관 또는 휴대가 용이하여 실용성이 좋고 사용이 편리하다.
다음으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장화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의 장화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구성요소들이 동일하나, 목부(300)가 몸체부(2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제 2 실시예의 목부(300)는 몸체(200)와 탈부착될 수 있는 제 1 연장부(310)와 제 1 연장부(310)에 탈부착될 수 있는 제 2 연장부(320)를 더 포함한다. 단, 목부(300)는 제 1 연장부(310) 및 제 2 연장부(320) 외에 추가적으로 제 2 연장부(320)에 탈부착될 수 있는 제 3 연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연장부의 길이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부(200)와 목부(3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장화는 탈착부(400)를 더 포함한다. 탈착부(400)는 방수 기능이 있는 지퍼나 벨크로와 같은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00)와 목부(300)의 제 1 연장부(310) 각각에 위치하여 서로 탈부착 되는 제 1 탈착부(401, 411) 및 제 1 연장부(310)와 제 2 연장부(320) 각각에 위치하여 서로 탈부착 되는 제 2 탈착부(412, 422)를 포함한다.
이렇게 목부(300)가 몸체부(200)로부터 분리가능함으로써 장화는 목부(300) 없이 몸체부(200)와 바닥부(100)로만 형성된 신발로 착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장화와 같은 형태가 아닌 단화나 운동화와 같이 목이 짧은 형태의 신발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때 몸체부(200)의 뒷면 일부에도 개폐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몸체부(200)가 더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230)에 위치하는 개폐수단(233)은 방수 기능이 있는 지퍼인 것이 바람직하나, 벨크로와 같은 다른 수단도 적용될 수 있다.
몸체부(100)에 목부(300)가 부착된 경우에는, 제 1 연장부(310) 또는 제 2 연장부(320)를 탈부착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선호하는 분위기 및 디자인이 연출 가능하다. 제 1 탈착부(401, 411)가 서로 부착되어 제 1 연장부(310)의 하측과 몸체부(200)의 상측이 연결된 경우에는 제 1 연장부(310)의 상부가 폴딩됨으로써 추가적으로 장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탈착부(412, 422)가 서로 부착되어 제 2 연장부(320)의 하측과 제 1 연장부(310)의 상측이 연결된 경우에는 제 2 연장부(320)의 상부가 폴딩됨으로써 추가적으로 장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비가 올 때는 목부(300)가 몸체(200)에 연결된 상태로 착용하다가 비가 갠 후에 목부(300)를 몸체(200)로부터 분리시켜 착용할 수 있어서 실용성이 높다.
제 1 연장부(310) 및 제 2 연장부(320)는 각각 방수 지퍼나 벨크로와 같은 것으로 구성된 개폐수단(331, 332)을 포함하여 착용이 편리하며, 개폐수단(331, 332)은 장화의 뒷면 일부에 방수 기능이 있는 수직 지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탈착부(401, 411) 및 제 2 탈착부(412, 422)도 지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개폐수단(331, 332)과 탈착부(400)가 서로 일부 접촉되는 모서리에 자석이나 추가적인 밀폐수단을 포함하여 수분이 유입되는 것으로부터 기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제 1 연장부(310)와 제 2 연장부(320) 상에는 서로 다른 패턴 또는 색으로 형성될 수도 있어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또 다른 디자인의 패턴 또는 길이를 갖는 제 1 연장부(310')가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써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장화의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화는 실용성이 좋은 동시에 디자인적으로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 외에 개폐수단 또는 탈착부의 위치나 모양, 목부의 패턴 등을 변형시킴으로써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100: 바닥부
200: 몸체부
230, 330: 개폐부
233, 331, 332: 개폐수단
240: 수용공간
300: 목부
310, 310': 제 1 연장부
320: 제 2 연장부
400: 탈착부
401, 411: 제 1 탈착부
412, 422: 제 2 탈착부
500: 폴딩부

Claims (15)

  1.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100)의 적어도 일부와 수용공간(240)을 형성하는 몸체부(200); 및
    상기 몸체부(200)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목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300)의 일 측에는 개폐부(330)가 위치하며, 상기 목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폴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목부(300)는,
    상기 몸체부(20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 1 연장부(310) 및
    상기 제 1 연장부(31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한 제 2 연장부(320)를 포함하는,
    장화.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310) 및 제 2 연장부(320)는 서로 상이한 디자인의 패턴이 형성된,
    장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 상기 제 1 연장부(310)는 탈착부(400)에 의하여 서로 탈부착 되며,
    상기 탈착부(400)는 상기 몸체부(200)와 상기 제 1 연장부(310) 각각에 위치하는 제 1 탈착부(401, 411)를 포함하는,
    장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탈착부(401, 411)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상기 목부(300)의 길이는 제 1 연장부(310)의 상부가 폴딩되어 조절되는,
    장화.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400)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2 연장부(320) 각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2 연장부(320)가 서로 탈부착 되는 제 2 탈착부(412, 422)를 더 포함하는,
    장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탈착부(412, 422)가 서로 연결된 경우에, 상기 목부(300)의 길이는 제 2 연장부(310)의 상부가 폴딩되어 조절되는,
    장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400)는 지퍼를 포함하는,
    장화.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400)는 벨크로 재질로 형성된,
    장화.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400)는 자석을 포함하는,
    장화.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30)는 지퍼를 포함하는,
    장화.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30)는 벨크로 재질로 형성된,
    장화.
  14.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합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섬유 소재로 형성된,
    장화.
  15.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300)의 상단부에서부터 상기 몸체부(200)까지 바닥부(100) 측으로 말릴 수 있는,
    장화.
KR1020140107017A 2014-08-18 2014-08-18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 KR101602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17A KR101602705B1 (ko) 2014-08-18 2014-08-18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17A KR101602705B1 (ko) 2014-08-18 2014-08-18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75A KR20160021575A (ko) 2016-02-26
KR101602705B1 true KR101602705B1 (ko) 2016-03-11

Family

ID=5544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017A KR101602705B1 (ko) 2014-08-18 2014-08-18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669B1 (ko) * 2018-06-14 2020-07-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형외과용 하지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용 하지 보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616B2 (ja) 1996-04-25 2000-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KR200308132Y1 (ko) * 2002-12-23 2003-03-19 신여주 다용도 벨로우즈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616A (ja) * 1989-09-19 1991-05-01 Asahi Chem Ind Co Ltd 射出成形機
JPH0838203A (ja) * 1994-07-29 1996-02-13 Kaneshige Ose 足覆付長靴
JP3798067B2 (ja) * 1996-05-07 2006-07-19 世界長株式會社 地下足袋
KR101123773B1 (ko) 2009-06-29 2012-03-15 주식회사 윈젠 마찰교반용접용 리페어블럭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의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616B2 (ja) 1996-04-25 2000-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KR200308132Y1 (ko) * 2002-12-23 2003-03-19 신여주 다용도 벨로우즈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75A (ko)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9784B2 (ja) 履物
US6484419B1 (en) Sockliner cover
CA2787668C (en) Foldable protective oversho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826077B1 (ko) 슬리퍼 기능용 신발
US20120304493A1 (en) Fashion Shoe Having A Removable Insole and Footbed Cover
US11564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ot comfort and style
DK2870892T3 (en) Open shoe comprising a textile layer and attachment body
KR101602705B1 (ko) 접이식 및 분리형 장화
TWM514224U (zh) 咖啡環保防臭拖鞋
KR101754515B1 (ko) 조립식 슬리퍼
JP2006340881A (ja) 携帯靴カバー
CN206150591U (zh) 多功能弧形鞋撑
KR200485629Y1 (ko)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KR20130067351A (ko) 분리형 신발
KR101581946B1 (ko) 짚신형 신발
WO2004105530A1 (en) Improved shoe
JP3233077U (ja) 紐靴
KR20240074346A (ko) 발목 보호 및 체온 유지를 위한 신발
KR200388015Y1 (ko) 아동용 신발커버
AU2005100286A4 (en) Improved fashion shoe
US10398199B2 (en) Shoe stuffing device
KR200315792Y1 (ko) 애완견용 신발
KR100767602B1 (ko) 신축성 밴드가 부착된 신발
RU106504U1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прогулочная обувь
IT202000006779U1 (it) Copriscarpa converti-suola rimovi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