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29Y1 -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29Y1
KR200485629Y1 KR2020170003858U KR20170003858U KR200485629Y1 KR 200485629 Y1 KR200485629 Y1 KR 200485629Y1 KR 2020170003858 U KR2020170003858 U KR 2020170003858U KR 20170003858 U KR20170003858 U KR 20170003858U KR 200485629 Y1 KR200485629 Y1 KR 200485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upling
band
sho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344U (ko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박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현 filed Critical 박지현
Publication of KR20180000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8Collapsible, e.g. foldable for travell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신발유닛을 이용하여 슬리퍼, 샌들, 아쿠아 슈즈, 여름부츠 등 다양한 신발로의 가변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다수의 신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다양한 패션의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하절기 야외활동의 유형에 따라 꼭 필요한 신발로의 가변 사용이 가능한 부속품만의 구분 휴대 및 분리 휴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야외활동시 휴대물품의 무게 및 부피의 감소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신발을 가변 사용함에 있어, 어느 한 부분만이 손상시 해당 부분만의 별도 구매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신발의 수명 연장 및 경제적인 부담의 감소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Variable type assemblable shoes}
본 고안은 조립식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샌들이나 아쿠아 슈즈 또는 부츠로의 다양한 조립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그 기초를 이루며 사용자의 발이 접하는 신발창을 이루고, 그 신발창의 상부에는 갑피, 천, 밴드 등이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신발은 크게는 하절기용과 동절기용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종류별로은 슬리퍼, 샌들, 운동화, 실내와, 구두, 부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통상의 신발은 그 제작 과정에서 신발창의 상부에 갑피, 천, 밴드 등이 고정 형성되는 것으로, 그 고정은 봉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 구성되게 된다.
즉, 이러한 종래의 신발들은 그 형상이 제작된 상태 그대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인바, 다양한 패션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신발을 구비하여 교체 착용하게 된다.
특히, 하절기의 경우에는 동절기와 같은 보온의 목적보다는 통풍 및 수분의 소통을 필요로 하는 슬리퍼나 샌들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착용하게 된다.
일예로, 평상시 활동시에는 동절기와 겸용 착용할 수 있는 운동화나 구두 등의 착용이 가능하게 되며, 우천시에는 슬리퍼나 샌들 등 주로 통풍과 수분의 소통이 용이한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또한, 하절기에는 바다나 계곡, 수영장 등 물놀이를 즐기는 시간이 급증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물놀이시에는 수분의 소통은 물론, 발의 보호를 위해 갑피형 슬리퍼 또는 아쿠아 슈즈 등 기능성 신발이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야외활동을 위해 이동시에는 주로 슬리퍼나 샌들을 착용하고, 물놀이시에는 발의 보호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갑피형 슬리퍼 또는 아쿠아 슈즈를 주로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절기 다양한 목적을 위해서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신발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러한 신발 구비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신발 들의 구비는 이동시 휴대물품의 무게 및 부피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는 등 그 취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발들은 어느 한 부분이 손상시 신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신발의 수명 단축과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6060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하나의 신발유닛을 이용하여 슬리퍼, 샌들, 아쿠아 슈즈, 부츠 등 다양한 신발로의 가변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다수의 신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다양한 패션의 연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야외활동의 유형에 따라 꼭 필요한 신발로의 가변 사용이 가능한 부속품만의 구분 휴대 및 분리 휴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야외활동시 휴대물품의 무게 및 부피의 감소가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신발을 가변 사용함에 있어, 어느 한 부분만이 손상시 해당 부분만의 별도 구매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신발의 수명 연장 및 경제적인 부담의 감소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후단에는 제1 결합부가 구성되며, 상부에는 발 고정수단이 구성된 앞창;
앞창의 후방에 착탈되며, 선단에는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가 구성되고, 후단에는 제3 결합부가 구성된 중간창; 및
중간창의 후단에 착탈되며, 선단에는 제3 결합부(280)와 결합 가능한 제4 결합부가 형성된 뒷창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앞창은 제1,2 앞창으로 구성하고, 중간창은 제1,2 중간창으로 구성하며, 뒷창은 제1,2,3,4 뒷창으로 구성하여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은, 기능별로 다수종의 신발을 구입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신발유닛으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다수종의 신발 구비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현격히 감소되며, 특히 착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패션의 연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절기 야외활동의 유형에 따라 꼭 필요한 부속품만을 휴대 및 분리 휴대하면 되는 것인바, 야외활동시 휴대물품의 무게 및 부피의 감소가 가능하게 되는 등 신발 취급상의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부속품에 대하여 손상시 그 손상된 부속품만의 별도 구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따른 신발 수명의 연장 및 경제적인 부담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앞창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앞창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앞창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중간창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뒷창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뒷창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뒷창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1 내지 도 16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사용상태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은, 앞창(100)과, 중간창(200)과, 뒷창(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앞창(10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고무나 압축 스펀지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의 전방 구조를 이루어 사용자의 발의 앞 부분이 착용되게 구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앞창(100)은 수직으로 관통되어 수분이나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앞창 통기공(160)이 구성된다.
그리고, 앞창(100)은 그 후단에는 하기하는 중간창(200)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 결합부(170)가 구성된다.
그리고, 앞창(100)은 그 상부 전방에는 사용자의 발 고정이 가능하도록 발 고정수단(15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결합부(170)는 먼저, 앞창(100)의 후단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1 하부결합돌기(171)가 구성되고, 그 제1 하부결합돌기(171)의 전방측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제1 하부결합홈(172)이 구성된다.
또한, 제1 결합부(170)는 제1 하부결합돌기(17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제1 후방결합돌기(173)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제1 후방결합돌기(173)는 평면상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제1 결합부(170)는 앞창(100)의 후단 양측에 한 쌍의 앞창 결합밴드(175)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앞창 결합밴드(175)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단부에는 측면 결합돌기(176)가 구성된 것으로, 측면 결합돌기(176)는 측면상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앞창(10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제1 앞창(110)과 제2 앞창(120)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발 고정수단(150)의 실시예에 따라 가능하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앞창(110)에 형성되는 발 고정수단(150)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발의 전방 상부를 덮으면서 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갑피(151)로 구성된다.
이때, 전방갑피(151)에는 수분 또는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갑피통기공(151a)이 구성되고, 그 후단에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형태의 전방 밴드고리(152)가 구성된 것으로, 그 전방 밴드고리(152)에는 저면에 일측으로 개방 및 직각 연장되는 밴드 걸림홈(152a)이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앞창(110)에는 사용자의 발목 결착이 가능한 제1 발목밴드(153)가 더 구성된다.
이때, 제1 발목밴드(153)는 상기 전방 밴드고리(152)와 연장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이 상기 개방된 밴드 걸림홈(152a)의 반대측에서 전방 밴드고리(152)에 연장 연결되고, 타단에는 밴드 걸림홈(152a)에 걸림 고정되는 "ㅗ" 형태를 이루는 복수단의 제1 밴드결합돌기(153a)가 구성된다.
즉, 제1 발목밴드(153)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목을 결착 및 단부의 제1 밴드결합돌기(153a)를 이용하여 전방 밴드고리(152)의 밴드 걸림홈(152a)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발목밴드(153)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여 전방 밴드고리(152)와 분리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제1 발목밴드(153)는 일단 측면에 단면상 "ㅗ" 형태를 이루는 다수단의 제1 밴드결합돌기(153a)가 구성되고, 타단 측면에는 제1 밴드결합돌기(153a)와 끼움 및 걸림 고정되는 다수단의 제1 밴드결합공(153b)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발목밴드(153)를 전방 밴드고리(152)와 분리 구성시에는 그 제1 발목밴드(153)를 이용하여 전방 밴드고리(152)를 관통 및 사용자의 발목을 결착한 상태에서 양단의 제1 밴드결합돌기(153a)와 제1 밴드결합공(153b)의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앞창(110)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선단에 물갈퀴(111)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물갈퀴(111)는 판체 형태를 이루면서 선단으로 돌출되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어 물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제1 앞창(110)을 사용함에 있어 오리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앞창(120)에 형성되는 발 고정수단(15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의 엄지 발가락이 삽입되는 발가락 고정고리(155)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앞창(120)에는 사용자의 발목의 결착이 가능한 제2 발목밴드(156)가 더 구성된다.
이때, 제2 발목밴드(156)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일단이 제2 앞창(120)의 측면에 고정되고, 중간부 일측면에는 다수단의 제2 밴드결합공(156a)을 이루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2 밴드결합공(156a)에 끼움 및 걸림 고정되는 "ㅗ" 형태를 이루는 다수단의 제2 밴드결합돌기(156b)가 구성된다.
즉, 제2 발목밴드(156)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목을 결착 및 그 단부에 형성된 제2 밴드결합돌기(156b)를 이용하여 제2 밴드결합공(156a)에 끼워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의 앞창(100)은 사용자의 발의 전방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전방갑피(151)로 된 발 고정수단(150)을 이루는 제1 앞창(110)과, 사용자의 엄지 발가락을 끼워 고정이 가능한 발가락 고정고리(155)로 된 발 고정수단(150)을 이루는 제2 앞창(1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중간창(20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고무나 압축 스펀지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의 중간 구조를 이루어 사용자의 발의 중간 부분이 지지되게 구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중간창(200)은 상기 앞창(100)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선단에는 앞창(100)의 제1 결합부(170)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270)가 구성되고, 후단에는 하기하는 뒷창(300)과 결합 가능한 제3 결합부(28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결합부(270)는 먼저, 중간창(200)의 선단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앞창(100)의 제1 하부결합홈(172)과 결합되는 제2 하부결합돌기(272)가 구성되고, 그 제2 하부결합돌기(272)의 후방측에는 상기 제1 하부결합돌기(171)가 내입 및 결합되는 제2 하부결합홈(271)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제2 하부결합홈(271)의 바닥에는 제1 하부결합돌기(171)가 끼움움되는 다수의 제2 결합공(271a)이 구성된다.
또한, 제2 결합부(270)는 중간창(200)의 선단 상부에 형성되어 앞창(100)의 제1 후방결합돌기(173)가 형합되는 전방 및 상부 개방형 다수의 제2 전방결합홈(273)이 구성된다.
그리고, 중간창(200)의 제3 결합부(280)는 먼저, 중간창(200)의 후단 상부에 형성되는 후방과 상부로 개방되는 다수의 제3 상부결합홈(281)이 구성된 것으로, 제3 상부결합홈(281)은 개방된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제3 결합부(280)는 중간창(200)의 후단 하부에서 상부로 개방되는 제3 하부결합홈(282)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제3 하부결합홈(282)의 바닥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3 결합공(282a)이 구성된다.
또한, 제3 결합부(280)는 제3 하부결합홈(282)의 후방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3 하부결합돌기(283)가 구성된다.
한편, 중간창(20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제1중간창(210)과 제2 중간창(220)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중간창(210)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중간창(220)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양측에 사용자의 발등을 덮어 마감하는 양측의 중간갑피(221)(221')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양측의 중간갑피(221)(221')는 서로 조임끈(221a)으로 연결되어 결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의 중간창(200)은 상부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제1중간창(210)과, 사용자의 발등을 덮어 마감하는 중간갑피(221)(221')를 갖는 제2 중간창(2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뒷창(30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고무나 압축 스펀지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의 후방 구조를 이루어 사용자의 발의 뒷축 부분이 착용되게 구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뒷창(300)은 상기 중간창(200)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선단에는 중간창(200)의 제3 결합부(280)와 결합 가능한 제4 결합부(37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4 결합부(370)는 먼저, 뒷창(300)의 선단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간창(200)의 제3 상부결합홈(281)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4 상부결합돌기(371)가 구성된다.
또한, 제4 결합부(370)는 뒷창(300)의 선단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3 하부결합홈(282)에 내입 및 결합되는 다수의 제4 하부결합돌기(372)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제4 하부결합돌기(372)는 제3 하부결합홈(282)의 제3 결합공(282a)에 끼움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4 결합부(370)는 제4 하부결합돌기(372)의 후방측에서 하부로 개방되는 제4 하부결합홈(373)이 구성된다.
또한, 제4 결합부(370)는 뒷창(300)의 선단 양측에 상기 앞창(100)의 앞창 결합밴드(175)와 결합되는 한 쌍의 뒷창 결합밴드(375)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뒷창 결합밴드(375)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단부에는 측면에 앞창 결합밴드(175)의 측면 결합돌기(176)와 형합되는 측면 결합공(376)이 구성된다.
즉, 뒷창 결합밴드(375)는 앞창(100)의 앞창 결합밴드(175)와 결합되어 그 앞창(100)과 뒷창(30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그 앞창 결합밴드(175)와 뒷창 결합밴드(375)는 중간창(200)의 측면을 감싸 구속하게 구성된다.
한편, 뒷창(30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제1 뒷창(310)과 제2 뒷창(320)과 제3 뒷창(330)과 제4 뒷창(340)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제1 뒷창(310)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제2 뒷창(320)과 제3 뒷창(330)은,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그 후단에는 각각 상부로 돌출되는 뒷꿈치 보호대(321)(331)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뒷꿈치 보호대(321)(331)의 상단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후방 밴드고리(321a)(331a)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2 앞창(110)(120)의 제1,2 발목밴드(153)(156)가 좌,우로 관통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3 뒷창(330)에는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발목 결착부(333)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이때, 발목 결착부(333)는 상부에 사용자의 발이 삽탈 가능하도록 상부 개방형 발 진출구(333a)가 구성되고, 전방에는 사용자의 발이 진출 가능한 전방 개방형 발 인출구(333b)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3 뒷창(330)에는 발목 결착부(333)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며 상부가 개구된 종아리 보호부(334)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종아리 보호부(334)는 통기성을 가지면서 유연성을 가지는 섬유재, 바람직하게는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수분 및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종아리 보호부(334)는 필요에 따라 상,하 절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먼저, 발목 결착부(333)의 양측에는 각각 수직형 고정대(33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335)의 상부에는 절첩 사용이 가능한 다수단의 수직형 높이 조절대(336)(336')가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최상단의 높이 조절대(336')의 상단은 종아리 보호부(334)의 상단에 고정되어 높이 조절대(336)(336')의 절첩 작동에 의해 종아리 보호부(334)의 절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335)와 높이 조절대(336)(336')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통상의 절첩식 안테나와 같이 관체로 구성하거나 통상의 다단레일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대(335)와 높이 조절대(336)(336')는 그 절첩 조절시 고정수단(337)을 통해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고정수단(337)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을, 본 고안에서는 통상의 볼플렌져를 통한 걸림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4 뒷창(340)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먼저, 측면 및 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단은 개방되어 발 진출구(342)가 형성된 뒷축부(34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뒷축부(341)에는 그 뒷축부(341)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이 개방되어 발 인출구(346)를 갖는 후방갑피(345)가 구성된다.
이때, 후방갑피(345)는 상부 중앙이 절개되어 양측이 분리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절개된 양측이 조임끈(347)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게 조임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의 뒷창(300)은, 상부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제1 뒷창(310)과, 사용자의 발 뒷꿈치의 보호가 가능한 뒷꿈치 보호대(321)가 형성된 제2 뒷창(320)과, 뒷꿈치 보호대(331) 및 발목 결착부(333)와 종아리 보호부(334)가 형성된 제3 뒷창(330)과, 후방갑피(345)가 형성된 제4 뒷창(34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앞창(100)과 중간창(200)과 뒷창(300)이 분리 구성 및 필요에 따라 조립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그 휴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앞창(100)과 중간창(200)과 뒷창(300)은 각각 제1,2,3,4 결합부(170)(270)(280)(370)를 통해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은 분리 구성된 앞창(100)과 중간창(200)과 뒷창(300)의 결합에 의해 하나의 신발을 구성하여 착용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특히 앞창(100)을 이루는 제1,2 앞창(110)(120)과, 중간창(200)을 이루는 제1,2 중간창(210)(220)과, 뒷창(300)을 이루는 제1,2,3,4 뒷창(310)(320)(330)(340)의 선택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의 신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의 다양한 조립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11을 참조하여 슬리퍼(10)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앞창(100)을 적용함에 있어 발 고정수단(150)으로 적용되는 전방갑피(151)가 형성된 제1 앞창(110)을 적용하고, 중간창(200)은 중간갑피(221)(221')가 형성된 제2 중간창(220)을 적용하며, 뒷창(300)은 상부가 완전 개방된 제1 뒷창(310)을 적용하면 된다.
즉, 이렇게 조립된 신발(1)은 뒷창(300)에 해당하는 후방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어 사용자의 발의 진출이 자유로운 슬리퍼(10)로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슬리퍼(10)는 전방갑피(151)를 통해 발의 전방 및 중간갑피(221)(221')를 통해 발등의 보호가 가능한 슬리퍼(10)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여 단화(20)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앞창(100)을 적용함에 있어 발 고정수단(150)으로 적용되는 전방갑피(151)가 형성된 제1 앞창(110)을 적용하고, 중간창(200)은 상부가 개방된 제1 중간창(210)을 적용하며, 뒷창(300)은 후방갑피(345)가 형성된 제4 뒷팡(340)을 적용하면 된다.
즉, 이렇게 조립된 신발(1)은 앞창(100)에 해당하는 전방이 제1 앞창(110)의 전방갑피(151)로 마감되고, 중간창(200)에 해당하는 중간부가 제4 뒷창(340)의 후방갑피(345)로 마감되며, 뒷창(300)에 해당하는 후방이 제4 뒷창(340)의 뒷축부(341)로 마감된 단화(20)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여 오리발(30)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앞창(100)을 적용함에 있어 발 고정수단(150)으로 적용되는 전방갑피(151)와 제1 발목밴드(153)와 물갈퀴(111)가 형성된 제1 앞창(110)을 적용하고, 중간창(200)은 상부가 개방된 제1 중간창(210)을 적용하며, 뒷창(300)은 뒷꿈치 보호대(321)가 형성된 제2 뒷창(320)을 적용하면 된다.
이때, 제1 발목밴드(153)는 제2 뒷창(320)의 후방 밴드고리(321a)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목을 결착 및 제1 밴드결합돌기(153a) 및 걸림홈(152a)를 통해 전방 밴드고리(152)에 고정하면 된다.
즉, 이렇게 조립된 신발(1)은 제1 앞창(110)에 형성된 물갈퀴(111)을 통해 물놀이나 수영시 오리발(30)로의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여 아쿠아 슈즈(40)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앞창(100)을 적용함에 있어 발 고정수단(150)으로 적용되는 전방갑피(151)와 제1 발목밴드(153)가 형성된 제1 앞창(110)을 적용하고, 중간창(200)은 상부가 개방된 제1중간창(210)을 적용하며, 뒷창(300)은 뒷꿈치 보호대(321)가 형성된 제2 뒷창(320)을 적용하면 된다.
이때, 제1 발목밴드(153)는 제2 뒷창(320)의 후방 밴드고리(321a)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목을 결착 및 제1 밴드결합돌기(153a) 및 걸림홈(152a)를 통해 전방 밴드고리(152)에 고정하면 된다.
즉, 이렇게 조립된 신발(1)은 사용자의 발등의 보호가 가능한 한편, 갑피통기공(151a)을 통해 수분 및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게 되는 등 아쿠아 슈즈(40)로의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여 샌들(50)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앞창(100)을 적용함에 있어 발 고정수단(150)으로 적용되는 발가락 고정고리(155)와 제2 발목밴드(156)가 형성된 제2 앞창(120)을 적용하고, 중간창(200)은 상부가 개방된 제1중간창(210)을 적용하며, 뒷창(300)은 뒷꿈치 보호대(321)가 형성된 제2 뒷창(320)을 적용하면 된다.
이때, 제1 발목밴드(153)는 제2 뒷창(320)의 뒷꿈치 보호대(321)에 형성된 후방 밴드고리(321a)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목에 맞게 제2 밴드결합공(156a) 및 제2 밴드결합돌기(156b)의 선택 결합을 통해 장착하면 된다.
즉, 이렇게 조립된 신발(1)은 제2 앞창(120)과 제1중간창(210)과 제2 뒷창(320)이 개방된 상태의 샌들(50)로의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여 부츠(60)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앞창(100)을 적용함에 있어 발 고정수단(150)으로 적용되는 발가락 고정고리(155)와 제2 발목밴드(156)가 형성된 제2 앞창(120)을 적용하고, 중간창(200)은 상부가 개방된 제1중간창(210)을 적용하며, 뒷창(300)은 뒷꿈치 보호대(331)와 발목 결착부(333)와 종아리 보호부(334)가 형성된 제3 뒷창(330)을 적용하면 된다.
이때, 제1 발목밴드(153)는 제3 뒷창(330)의 뒷꿈치 보호대(331)에 형성된 후방 밴드고리(331a)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목에 맞게 제2 밴드결합공(156a) 및 제2 밴드결합돌기(156b)의 선택 결합을 통해 장착하면 된다.
즉, 이렇게 조립된 신발(1)은 제2 앞창(120)과 제1 중간창(210)이 개방되어 수분 및 공기의 완전한 소통이 가능하며, 제 뒷창(330)의 종아리 보호부(334)를 통해 종아리의 보호가 가능한 여름용 부츠(60)로의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1)을 적용함에 있어, 도 8 내지 도 11의 조립 사용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것이며, 제1,2 앞창(110)(120)과 제1,2 중간창(210)(220)과, 제1,2,3,4 뒷창(310)(320)(330)(340)을 적절히 적용함으로 다양한 형태의 신발로의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은 앞창과 중간창과 뒷창의 조립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신발로 사용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종류의 신발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키는 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야외 활동시 필요에 따라 분리 휴대가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취급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100 : 앞창 110 : 제1 앞창
111 : 물갈퀴
120 : 제2 앞창 150 : 발 고정수단
151 : 전방갑피 151a : 갑피통기공
152 : 전방 밴드고리 152a : 걸림홈
153: 제1 발목밴드
153a : 제1 밴드결합돌기 153b : 제1 밴드결합공
155 : 발가락 고정고리 156 : 제2 발목밴드
156a : 제2 밴드결합공 156b : 제2 밴드결합돌기
160 : 앞창 통기공
170 : 제1 결합부 171 : 제1 하부결합돌기
172 : 제1 하부결합홈 173 : 제1 후방결합돌기
175 : 앞창 결합밴드 176 : 측면 결합돌기
200 : 중간창 210 : 제1 중간창
220 : 제2 중간창 221,221' : 중간갑피
221a : 조임끈 270 : 제2 결합부
271 : 제2 하부결합홈 272 : 제2 하부결합돌기
273 : 제2 전방결합홈 280 : 제3 결합부
281 : 제3 상부결합홈 282 : 제3 하부결합홈
283 : 제3 하부결합돌기
300 : 뒷창 310 : 제1 뒷창
320 : 제2 뒷창 321 : 뒷꿈치 보호대
321a : 후방 밴드고리 330 : 제3 뒷창
331 : 뒷꿈치 보호대 331a : 후방 밴드고리
333 : 발목 결착부 333a : 발 진출구
333b : 발 인출구 334 : 종아리 보호부
335 : 고정대 336,336' : 높이 조절대
337 : 고정수단 340 : 제4 뒷창
341 : 뒷축부 342 : 발 진출구
345 : 후방갑피 346 : 발 인출구
360 : 뒷창 통기공
370 : 제4 결합부 371 : 제4 상부결합돌기
372 : 제4 하부결합돌기 373 : 제4 하부결합홈
375 : 뒷창 결합밴드 376 : 측면 결합공

Claims (7)

  1. 후단에는 제1 결합부(170)가 구성되고, 상부에는 발 고정수단(150)이 형성된 앞창(100);
    앞창(100)의 후방에 착탈되며, 선단에는 제1 결합부(170)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270)가 구성되고, 후단에는 제3 결합부(280)가 구성된 중간창(200); 및
    중간창(200)의 후단에 착탈되며, 선단에는 제3 결합부(280)와 결합 가능한 제4 결합부(370)가 형성된 뒷창(300);
    을 결합하는 구성이고,
    상기 제1 결합부(170)는,
    앞창(100)의 후단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 하부결합돌기(171)와, 제1 하부결합돌기(171)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하부 개방형 제1 하부결합홈(172)과, 제1 하부결합돌기(17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후방결합돌기(173)와, 앞창(100)의 후단 양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에는 측면 결합돌기(176)가 형성된 한 쌍의 앞창 결합밴드(17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결합부(270)는,
    앞창(100)의 제1 하부결합홈(172)과 결합되는 제2 하부결합돌기(272)와, 제2 하부결합돌기(272) 후방측에 형성되어 제1 하부결합돌기(171)가 내입 및 결합되는 다수의 제2 결합공(271a)을 갖는 제2 하부결합홈(271)과, 중간창(200)의 선단 상부에 형성되어 제1 후방결합돌기(173)가 결합되는 제2 전방결합홈(27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결합부(280)는,
    중간창(200)의 후단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3 상부결합홈(281)과, 중간창(200)의 후단 하부에 형성되며 바닥에는 다수의 제3 결합공(282a)을 갖는 상부 개방형 제3 하부결합홈(282)과, 제3 하부결합홈(282)의 후방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제3 하부결합돌기(28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결합부(370)는,
    뒷창(300)의 선단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3 상부결합홈(281)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4 상부결합돌기(371)와, 뒷창(300)의 선단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제3 하부결합홈(282)에 내입 및 제3 결합공(282a)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4 하부결합돌기(372)와, 제4 하부결합돌기(372)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제3 하부결합돌기(283)가 결합되는 하부 개방형 제4 하부결합홈(373)과, 뒷창(300)의 후단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단부에는 측면 결합돌기(176)가 걸림되는 측면 결합공(376)을 갖는 뒷창 결합밴드(375)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창(100)에는,
    발의 전방 상부를 덮으며 갑피통기공(151a)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밴드 걸림홈(152a)을 갖는 전방 밴드고리(152)가 형성된 전방갑피(151)와, 일단이 전방 밴드고리(152)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에는 걸림홈(152a)에 걸림 고정되는 제1 밴드결합돌기(153a)가 형성된 제1 발목밴드(153)로 이루어지는 발 고정수단(150)을 구비하는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창(100)에는,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물갈퀴(111)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창(200)에는,
    양측에서 발등을 덮으며, 서로 조임끈(221a)으로 연결되는 양측 한 쌍의 중간갑피(221)(221')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뒷창(300)에는,
    후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면서 상단에는 후방 밴드고리(321a)가 형성되는 뒷꿈치 보호대(321)가 구비되도록 하는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뒷창(300)에는,
    측면 및 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되면서 상단은 개방되도록 하여 발 진출구(342)가 형성되도록 한 뒷축부(341)와, 상기 뒷축부(341)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이 개방되도록 하면서 발 인출구(346)를 갖는 후방갑피(345)를 구비하는 구성이며,
    상기 후방갑피(345)는 상부 중앙이 절개 및 절개된 양측이 조임끈(347)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KR2020170003858U 2016-07-25 2017-07-24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KR20048562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4256 2016-07-25
KR2020160004256 2016-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44U KR20180000344U (ko) 2018-02-02
KR200485629Y1 true KR200485629Y1 (ko) 2018-02-05

Family

ID=6128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58U KR200485629Y1 (ko) 2016-07-25 2017-07-24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2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176Y1 (ko) * 2005-02-01 2005-05-03 정윤희 신발 깔창
WO2016014638A1 (en) 2014-07-24 2016-01-28 Nike Innovate C.V.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CN205512650U (zh) 2016-03-09 2016-08-31 黎明职业大学 一种组合拼图童鞋鞋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3585U (ko) * 1990-03-30 1991-12-16
KR20040060608A (ko) 2002-12-30 2004-07-06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기록재생장치의 위상조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176Y1 (ko) * 2005-02-01 2005-05-03 정윤희 신발 깔창
WO2016014638A1 (en) 2014-07-24 2016-01-28 Nike Innovate C.V.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CN205512650U (zh) 2016-03-09 2016-08-31 黎明职业大学 一种组合拼图童鞋鞋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44U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0319A1 (en) Pleatless ballet slipper
US7631440B2 (en)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US20090193684A1 (en) Convertible shoe
US20080189984A1 (en) Convertible Sandal
US7797857B2 (en) Transformational shoes
US20080098626A1 (en) Healing Shoe and Decorative Strap Therefor
US20090083993A1 (en) Removable Shoe Cover
KR101054622B1 (ko) 조립신발
US5353522A (en) Shoe having a removable sole portion
WO2005079291A3 (en) Ski boot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US20160198799A1 (en) Removable decorative cover for an elevated heel shoe
KR100989358B1 (ko) 샌들 겸용 운동화
US20110179671A1 (en) Reconfigurable footwear
KR200485629Y1 (ko) 가변형 조립식 구조를 갖는 신발
CN207306192U (zh) 一种居家两用的新型拖鞋
US20060277789A1 (en) Shoe glove boot
CN209573379U (zh) 一种可拆两用鞋
KR20200139932A (ko) 라이트 펫 슈즈
KR20160124606A (ko) 야외용 안전 샌들화
US20120317834A1 (en) Bowling sandal
US20180014604A1 (en) High Heel Shoe or Boot Ankle Support
CN104705899A (zh) 一种可以变形成为登山用鞋徒步鞋
KR200484483Y1 (ko) 샌들기능이 구비된 슬리퍼
KR101174748B1 (ko) 연장포켓부가 구비된 접이식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