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626B1 -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626B1
KR101602626B1 KR1020140120935A KR20140120935A KR101602626B1 KR 101602626 B1 KR101602626 B1 KR 101602626B1 KR 1020140120935 A KR1020140120935 A KR 1020140120935A KR 20140120935 A KR20140120935 A KR 20140120935A KR 101602626 B1 KR101602626 B1 KR 10160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weight
fixing member
sea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김은수
백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2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는, 해저 계류장치에서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리; 해저 계류장치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유닛 및 이동유닛과 함께 고리가 걸리는 고리모양을 형성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시건조립체; 및 고리가 예약된 시간에 시건조립체에서 빠지도록,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와의 분리가 외부의 신호 또는 간섭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해저 계류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TIMED RELEASE FOR MOORING SYSTEM}
본 발명은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 계류장치에서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를 연결하고 정해진 시간이 되면 외부의 간섭 없이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와의 결속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저 계류장치는 해양 자원을 이용하거나 해양 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해양에 설치되는 장치를 포괄하며, 유속과 수온, 해저상의 수압 변동과 지구자기, 지진 등을 측정하는 해양기상관측장비, 해양석유가스 시추용 부유시설, 해양 태양광 발전시설용 부유체, 부유식 조류발전장치, 채수장치, 시료채취장치 등이 있다.
해양기상관측장비용 해저 계류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33197호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57호 음파 유속계의 계류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해양석유가스 시추용 부유시설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02111호에 잠수식 부교를 이용한 계류장치가 게시되며, 부유식 조류발전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13943호 계류식 장력제어 흐름발전 장치가 게시되고, 시료채취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1400호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가 게시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저 계류장치를 해저면의 웨이트나 해저 고정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어쿠스틱 릴리즈(acoustic release)와 번 와이어(burn wire)가 있다.
어쿠스틱 릴리즈는 배에서 송신한 초음파를 수신하여 웨이트와 시료채취기의 결속을 해제시키는 장치로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여서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번와이어는 웨이트와 시료채취기의 결속부를 해수면 상의 배 또는 부력체와 와이어로 연결하고, 와이어에 전류를 인가하면 와이어가 결속부를 전기분해하는 장치로서, 성능이 불안정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1400호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에는, 채취수단과 연결된 상태로 있던 무게추를 채취수단과 분리시키는 무게추 분리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61400호에 기재된 무게추 분리수단은 시료를 채취함과 동시에 무게추를 채취수단과 분리시킴으로써, 종래 어쿠스틱 릴리즈나 번 와이어와 같이 외부의 신호 또는 간섭에 의존하지 않는 기술로서 특징이 있으나, 자유낙하식 시료채취기에만 국한되는 기술로서 일정기간 동안 해저면에 고정설치되는 해저 계류장치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어쿠스틱 릴리즈나 번 와이어와 같이 외부의 신호 또는 간섭에 의존하여 무게추가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해저 계류장치에도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해저 계류장치용 분리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33197호 (등록일:2012.03.28)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57호 (등록일:2011.02.25)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02111호 (공개일:2014.08.21)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13943호 (등록일:2013.09.25) (00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1400호 (등록일:2011.08.26)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와의 분리가 외부의 신호 또는 간섭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해저 계류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해저 계류장치에서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상기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리; 상기 해저 계류장치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과 함께 상기 고리가 걸리는 고리모양을 형성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시건조립체; 및 상기 고리가 예약된 시간에 상기 시건조립체에서 빠지도록,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가 상대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모터와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리의 한쪽이 삽입되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굴곡부의 어느 한쪽과 다른 한쪽 사이를 직선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굴곡부에는, 상기 고리가 미끄러져 빠지도록 중력방향과 비스듬한 내리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유닛이 내부로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굴곡부로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저 계류장치에서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리; 해저 계류장치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유닛 및 이동유닛과 함께 고리가 걸리는 고리모양을 형성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시건조립체; 및 고리가 예약된 시간에 시건조립체에서 빠지도록,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와의 분리가 외부의 신호 또는 간섭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해저 계류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결합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1)는, 웨이트(130) 또는 해저 고정체와의 분리가 외부의 신호 또는 간섭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해저 계류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해저 계류장치(100)는 유속과 수온, 해저상의 수압 변동과 지구자기, 지진 등을 측정하는 해양기상관측장비, 해양석유가스 시추용 부유시설, 해양 태양광 발전시설용 부유체, 부유식 조류발전장치, 채수장치, 시료채취기 등을 포괄하며, 본 발명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1)는 해양 자원을 이용하거나 해양 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해양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류의 해저 계류장치(100)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유낙하식 시료채취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낙하식 시료채취기(100)는 해저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채취유닛(110), 부이(120), 웨이트(130) 및 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채취유닛(110), 부이(120) 및 웨이트(130)는 프레임(140)에 설치되어 해저면에 투입되고, 시료채취가 완료되면 웨이트(130)가 분리되어 부이(120)의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떠오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1)는, 자유낙하식 시료채취기(100)에서 웨이트(130)를 연결하고 해저면에 투입된 후에는 정해진 시간이 되면 외부의 간섭 없이 웨이트(130)를 분리하도록 이루어지며, 고리(10), 하우징(20), 시건조립체(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은 시료채취기(100)에 결합되고, 시건조립체(30)는 하우징(20)에 설치된다. 고리(10)는 웨이트(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건조립체(30)에 걸리며, 제어부(40)는 예약된 시간에 시건조립체(30)에서 고리(10)가 빠지도록 시건조립체(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0)는 시건조립체(30)와 웨이트(13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둥글거나 모난 고리형태로 이루어진다. 고리(10)는 끊어진 부분이 없는 단일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건조립체(30)와 웨이트(130)를 연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단일폐곡선이 아닌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시료채취기(100)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시건조립체(3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20b)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0)은 내부에 일방향으로 긴 설치공간(20b)이 형성되는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진다.
시건조립체(30)는 고리(10)가 걸리거나 빠지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이동유닛(31) 및 고정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유닛(31)과 고정부재(32)는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20)에 조립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31)은 모터(31A)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모터(31A), 스크루(31B), 이동부재(31C) 및 가이드(3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31A)의 회전운동은 스크루(31B), 이동부재(31C) 및 가이드(31D)의 회전력 전달구조를 통해 이동부재(31C)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모터(31A)는 전기모터(31A)로 이루어진다. 모터(31A)의 회전축에는 스크루(31B)가 결합된다.
스크루(31B)는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모터(31A)의 회전축은 스크루(31B)의 결합홈(31Ba)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스크루(31B)는 모터(31A)의 회전축이 연장된 형태로서 모터(31A)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결합홈(31Ba)은 스크루(31B)의 일단부에서 스크루(31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으로 형성된다. 결합홈(31Ba)은 모터(31A) 회전축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모터(31A)의 회전축이 억지 끼워 맞춤 조립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합홈(31Ba)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스크루(31B)의 외주면에 결합홈(31Ba)으로 관통되는 체결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체결홀에 키(key)를 삽입하면 모터(31A) 회전축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31C)는 스크루(31B)의 회전시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딩부(31CA) 및 연장부(31C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부(31CA)에는 스크루(31B)가 상대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암나사홈(FH)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가이드(31D)에 접촉되는 제1 접촉면(F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부(31CA)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서로 반대되는 면에 제1 접촉면(F1)이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31D)는 슬라이딩부(31CA)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딩부(31CA)의 이동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가이드(31D)에는 스크루(31B)의 회전시 슬라이딩부(31CA)의 제1 접촉면(F1)이 접촉되는 제2 접촉면(F2)이 제1 접촉면(F1)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접촉면(F2)은 제1 접촉면(F1)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스크루(31B)의 회전시 나사산(스크루(31B)와 암나사홈(FH) 간의 마찰력)을 통해서 이동부재(31C)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제1 접촉면(F1)과 접촉된다.
즉, 이동부재(31C)는 스크루(31B)의 회전시 제1 접촉면(F1)과 제2 접촉면(F2)의 접촉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며, 스크루(31B)의 회전운동은 이동부재(31C)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접촉면(F1) 또는 제2 접촉면(F2)에는 제1 접촉면(F1)과 제2 접촉면(F2) 간 마찰을 방지하는 미끄럼베어링(미도시) 또는 구름베어링(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접촉면(F1)에는 제1 마그넷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 접촉면(F2)에는 제1 마그넷부와 척력을 형성하여 제1 접촉면(F1)과 제2 접촉면(F2) 간 마찰을 방지하는 제2 마그넷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마그넷부 및 제2 마그넷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부(31CA)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접촉면(F2)은 서로 대향되어 한 쌍의 제1 접촉면(F1)과 각각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대향면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31D)는 하우징(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모터(31A)와 고정부재(32)가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서로 대향되는 제2 접촉면(F2)이 형성된다.
모터(31A)에는 플랜지(FL)가 밀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가이드(31D)의 일단부에 볼트로 결합되며, 고정부재(32)는 가이드(31D)의 타단부에 볼트로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2)는 이동유닛(31)과 함께 고리(10)가 걸리는 고리(10)모양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플랜지부(32A), 돌출부(32B) 및 굴곡부(3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랜지부(32A)는 이동유닛(31) 및 하우징(2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하우징(20)의 개구부(20a)에 볼트조립되는 관통홀(32Aa)이 형성된다.
돌출부(32B)는 플랜지부(32A)가 하우징(20)의 개구부(20a)에 결합될 때 하우징(20)의 개구부(20a)를 통해 설치공간(20b)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가이드(31D)의 타단부와 볼트조립되는 결합홈(32Ba)이 형성된다.
플랜지부(32A)와 돌출부(32B)에는 오링(O)이 장착되는 오링홈(OH)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재(32)가 하우징(20)의 개구부(20a)에 결합되면 설치공간(20b)은 한 쌍의 오링(O)에 의해 외부로부터 2중으로 밀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건조립체(30)는 이동유닛(31)과 고정부재(32)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20)에 조립된다.
플랜지부(32A)와 돌출부(32B)에는 이동부재(31C)의 연장부(31CB)가 이동하는 관통공(H)이 형성된다. 연장부(31CB)는 관통공(H)을 통해 굴곡부(32C)의 어느 한쪽과 다른 한쪽 사이를 직선운동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32C)는 고리(10)가 걸리는 부분으로, 고리(10)의 한쪽이 삽입되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연장부(31CB)의 단부가 관통공(H)을 통해 굴곡부(32C)의 어느 한쪽을 지나 다른 한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굴곡부(32C)와 연장부(31CB)는 고리(10)가 걸리는 고리형태를 함께 형성하게 된다. 굴곡부(32C)의 다른 한쪽에는 연장부(31CB)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2Ca)이 형성된다.
연장부(31CB)의 단부가 삽입홈(32Ca)에서 관통공(H)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리(10)는 굴곡부(32C)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굴곡부(32C)에는, 연장부(31CB)의 단부가 삽입홈(32Ca)에서 관통공(H) 방향으로 이동하면, 고리(10)가 신속하게 미끄러져 빠지도록 웨이트(130)의 하중방향과 비스듬한 내리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시한분리장치(1)는, 시건조립체(30)가 하우징(20)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시료채취기(100)에 결합되며, 이는 웨이트(130)의 하중이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고리, 시건조립체(30), 하우징(20), 프레임(130)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굴곡부(32C)의 내리막은 하우징(20)의 길이방향과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도 4 참조)
연장부(31CB)의 단부가 삽입홈(32Ca) 쪽에서 관통공(H) 쪽으로 이동할 때, 고리(10)는 중력(웨이트(130)의 하중)에 의해 내리막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굴곡부(32C)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된다.
하우징(20)의 반대쪽 개구부(20c)에는 마감부재(33)가 결합된다. 마감부재(33)는 플랜지부(33A) 및 돌출부(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랜지부(33A)는 하우징(2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하우징(20)의 개구부(20c)에 볼트조립되는 관통홀(33Aa)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의 안쪽에 원통형의 돌출부(33B)가 형성된다.
플랜지부(33A)와 돌출부(33B)에는 오링(O)이 장착되는 오링홈이 각각 형성된다. 마감부재(33)가 하우징(20)의 개구부(20c)에 결합되면 설치공간(20b)은 한 쌍의 오링(O)에 의해 외부로부터 2중으로 밀폐된다.
제어부(40)는 모터(31A)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40)에는 타이머 알고리(10)즘이 입력된다.
타이머 알고리(10)즘은 고리(10)가 시건조립체(30)에서 예약된 시간 또는 시각에 빠지도록 이동부재(31C)가 이동하는 시각 즉, 모터(31A)의 작동시각에 모터(31A)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시한분리장치(1)를 사용하기 전에 제어부(40)에 시간 또는 시각을 입력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모터(31A)와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의 설치공간(20b)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모터(31A)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도 제어부(40)와 함께 설치공간(20b)상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마감부재(33)의 전원통과홀(33a)을 통해 전원선이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설치공간(20b)에 배터리(B)가 설치되는 경우 전원통과홀(33a)은 별도의 마감수단(미도시)에 의해 밀폐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1)의 설치 및 작동과정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제어부(40)에 고리(10)가 시건조립체(30)에서 빠지는 시간 또는 시각을 입력한다. 고리(10)가 시건조립체(30)에서 빠지는 시간 또는 시각은 제어부(40)에 직접 입력될 수도 있으나, 제어부(40)에 별도의 입력장비(미도시)를 연결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40)에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40)는 배터리(B) 및 시건조립체(30)와 함께 하우징(20)에 조립된다.
이후, 시료채취기(100)의 프레임(140)에 하우징(20)을 결합한다. 하우징(20)은 프레임(140)과 별도의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수단의 일 예로는 양단부가 하우징(20)과 프레임(140)에 각각 용접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해저 계류장치(100)가 해양기상관측장비, 상업용 부유시설, 발전시설용 부유체 또는 부유식 조류발전장치인 경우에, 하우징(20)은 해저 계류장치(100)와 해저 고정체를 연결하는 체인이나 와이어에 연결된다.)
고리(10)는 웨이트(130)에 용접이나 볼트체결 등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20)이 프레임(140)과 연결되기 전후에 시건조립체(30)에 결합된다. 사용자는 굴곡부(32C)에 고리(10)를 삽입한 후 제어부(40)를 조작하여 모터(31A)를 작동시킴으로써 연장부(31CB)의 단부를 삽입홈(32Ca)에 이동시킨다.(해저 계류장치(100)가 해양기상관측장비, 상업용 부유시설, 발전시설용 부유체 또는 부유식 조류발전장치인 경우, 고리는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와 수면 위에서 연결될 수도 있으나 해저면에 투입되거나 설치된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와 수중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40)의 조작은 제어부(40)가 하우징(20)에 조립되기 전에 제어부(40)의 직접조작 또는 입력장비에 의한 간접조작이 가능하며, 물론 별도의 근거리 무선입력장비에 의한 간접조작도 가능하다.
이후, 시료채취기(100)를 해상에서 바다에 투입한다. 시료채취기(100)는 웨이트(130)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해저면에 안착된다.
시료채취가 완료되면 제어부(40)에 입력된 시간 또는 시각에 모터(31A)에 배터리(B)의 전원이 인가되고, 스크루(31B)가 모터(31A)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이동부재(31C)가 가이드(31D)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연장부(31CB)는 삽입홈(32Ca)에서 관통공(H) 쪽으로 이동하여 연장부(31CB)와 굴곡부(32C)가 형성하는 고리형태가 해제된다.
고리(10)는 웨이트(130)의 하중에 의해 굴곡부(32C)의 내리막을 따라 미끄러져서 시건조립체(30)에서 분리되며, 시료채취기(100)는 부이(120)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31D)에는 제어부(40)와 연결되고 이동부재(31C)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또는 스위치는, 연장부(31CB)의 단부가 삽입홈(32Ca)에서 관통공(H) 쪽으로 이동된 거리에서 이동부재(31C)의 이동을 감지하며, 제어부(40)는 센서 또는 스위치의 감지신호에 의해 모터(31A)의 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저 계류장치(100)에서 웨이트(130) 또는 해저 고정체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웨이트(130) 또는 해저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리(10); 해저 계류장치(100)에 결합되는 하우징(20); 하우징(20)에 설치되고, 모터(31A)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유닛(31) 및 이동유닛(31)과 함께 고리(10)가 걸리는 고리(10)모양을 형성하는 고정부재(32)를 포함하는 시건조립체(30); 및 고리(10)가 예약된 시간에 시건조립체(30)에서 빠지도록, 모터(31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웨이트(130) 또는 해저 고정체와의 분리가 외부의 신호 또는 간섭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해저 계류장치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시한분리장치 100 : 해저 계류장치(시료채취기)
10 : 고리 110 : 채취유닛
20 : 하우징 120 : 부이
30 : 시건조립체 130 : 웨이트
40 : 제어부 140 : 프레임
20a : 개구부 31 : 이동유닛
20b : 설치공간 31A : 모터
20c : 개구부 FL : 플랜지
32 : 고정부재 31B : 스크루
32A : 플랜지부 31Ba : 결합홈
H : 관통공 31C : 이동부재
32Aa : 관통홀 31CA : 슬라이딩부
32B : 돌출부 F1 : 제1 접촉면
32Ba : 결합홈 FH : 암나사홈
O : 오링 31CB : 연장부
OH : 오링홈 31D : 가이드
32C : 굴곡부 F2 : 제2 접촉면
32Ca : 삽입홈
33 : 마감부재
33A : 플랜지부
33B : 돌출부
33a : 전원통과홀
B : 배터리

Claims (6)

  1. 해저 계류장치에서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상기 웨이트 또는 해저 고정체에 결합되는 고리;
    상기 해저 계류장치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과 함께 상기 고리가 걸리는 고리모양을 형성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시건조립체; 및
    상기 고리가 예약된 시간에 상기 시건조립체에서 빠지도록,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가 상대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모터와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리의 한쪽이 삽입되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굴곡부의 어느 한쪽과 다른 한쪽 사이를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에는, 상기 고리가 미끄러져 빠지도록 중력방향과 비스듬한 내리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유닛이 내부로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굴곡부로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KR1020140120935A 2014-09-12 2014-09-12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KR10160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935A KR101602626B1 (ko) 2014-09-12 2014-09-12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935A KR101602626B1 (ko) 2014-09-12 2014-09-12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626B1 true KR101602626B1 (ko) 2016-03-11

Family

ID=5558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935A KR101602626B1 (ko) 2014-09-12 2014-09-12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6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731A (en) * 1973-08-27 1975-01-21 Jay De Young Boat handler
JP2001518856A (ja) * 1997-04-03 2001-10-16 フィオマリー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沈潜可能で回収可能なブイ
KR20100068943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해양연구원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
KR101133197B1 (ko) 2008-11-24 2012-04-19 한국해양연구원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KR101313943B1 (ko) 2012-01-11 2013-10-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류식 장력제어 흐름발전 장치
KR20140102111A (ko) 2013-02-13 2014-08-21 장영주 잠수식 부교를 이용한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731A (en) * 1973-08-27 1975-01-21 Jay De Young Boat handler
JP2001518856A (ja) * 1997-04-03 2001-10-16 フィオマリー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沈潜可能で回収可能なブイ
KR101133197B1 (ko) 2008-11-24 2012-04-19 한국해양연구원 해류 관측용 해저면 계류장치
KR20100068943A (ko) * 2008-12-15 2010-06-24 한국해양연구원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
KR101061400B1 (ko) * 2008-12-15 2011-09-01 한국해양연구원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
KR101313943B1 (ko) 2012-01-11 2013-10-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류식 장력제어 흐름발전 장치
KR20140102111A (ko) 2013-02-13 2014-08-21 장영주 잠수식 부교를 이용한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6051B (zh) 深远海可迁移的浮标基-接驳盒海洋观测系统
CN108189969A (zh) 一种基于卫星通讯数据实时传输的深海锚系潜标系统
KR101841594B1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JP3854984B1 (ja) ブイおよびこのブイを用いた海洋環境モニタシステム
KR101335513B1 (ko) 지자기 센서를 구비한 해저탐사장치
US96513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henomena in an open water environment
EP2781448B1 (en) Marine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RU2012100229A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3274245U (zh) 一种自适应坐底观测系统
KR101387579B1 (ko) 하이브리드 해양발전장치
KR101602626B1 (ko) 해저 계류장치의 시한분리장치
CN110274580A (zh) 一种海床基
CN107089309A (zh) 一种弹射式深海无缆取样器解锁机构
KR102049302B1 (ko) 수중 금속 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탐지장치
CN107472485A (zh) 一种声学释放器及其释放方法
RU2576351C2 (ru) Геофиз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мониторинга и морской сейсморазведки
EP3293391A1 (en) Pendulum electricity-generating device using natural energy
CN206411279U (zh) 移动式海洋地震长期实时探测器
CN102658855B (zh) 具有随动装置的锚系浮标水下剖面观测感应传输系统
CN102217574B (zh) 可调式浮漂
RU2011120483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бора нефти
JP2015200233A (ja) 発電装置
Zhang et al. Prototype system design of mooring buoy for seafloor observation and construction of its communication link
RU90040U1 (ru) Всплывающий буй
JP2006030124A (ja) 水中切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