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052B1 - 완충형 차막이 - Google Patents

완충형 차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052B1
KR101602052B1 KR1020140111202A KR20140111202A KR101602052B1 KR 101602052 B1 KR101602052 B1 KR 101602052B1 KR 1020140111202 A KR1020140111202 A KR 1020140111202A KR 20140111202 A KR20140111202 A KR 20140111202A KR 101602052 B1 KR101602052 B1 KR 10160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member
lower support
shock absorbing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460A (ko
Inventor
임재습
주춘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Priority to KR102014011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0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내에 완충유닛이 마련되어 완충유닛에 의해 차량 충돌시 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시의 충격에도 몸체의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어 차량의 진행 차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부에 충진재 충진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닛;
상기 몸체 하부의 지면에 삽입되어 완충유닛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완충형 차막이{shock absorbing type car stopper block}
본 발명은 차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 내에 완충유닛이 마련되어 완충유닛에 의해 차량 충돌시 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시의 충격에도 몸체의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어 차량의 진행 차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완충형 차막이에 관한 것이다.
항만 및 부두의 가장자리는 바다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항만 및 부두의 가장자리에서 차량을 주행하거나 주정차할 때 부주의할 경우 자칫 차량이 바다로 추락하여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다와 접하는 항만 및 부두의 가장자리에 공개특허 제10-2012-0078024호(공개일 2012. 07. 10)에 개시된 바와 같은 차막이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차막이는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재 체결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몸체 내에 콘크리트 등의 충진재가 충진된 것으로, 대형일 뿐만 아니라 고하중이므로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차량 진행을 차단할 수 있어 차량이 바다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차막이(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의 선단이 몸체(10') 저면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너트(22')가 체결됨에 따라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서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고정부재(20') 및 고정부재(20') 주변의 충진재(11')에 충격이 집중되는바, 고정부재(20') 및 고정부재(20') 주변의 충진재(11')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 주변 충진재가 손상될 수 있는 종래 차막이는 차량 충돌이 반복되는 경우 자체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므로 고정상태가 불량한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이루어지게 되면 차량 충돌시 충격에 의해 차막이가 설치 지점으로부터 이탈하며 차량 진행을 차단할 수 없게 되어 차막이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차량이 바다로 추락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설치 이후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으로써 차량의 진행 차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막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차막이에서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 주변의 충진재가 차량 충돌에 의해 손상 되어 취약해짐에 따라 고정상태가 불량해져 이후로 차량의 진행 차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형 차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는,
내부에 충진재 충진 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닛;
상기 몸체 하부의 지면에 삽입되어 완충유닛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는 탈착식 커버로 마감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유닛은 몸체 하부의 지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양측면 각각에 결합하는 측면지지대와, 하부지지대의 일측과 이와 대각으로 마주하는 몸체의 상단 내부 일측 사이에 결합하는 결합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유닛의 하부지지대와, 측면지지대와, 경사지지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유닛의 하부지지대와, 측면지지대와, 경사지지대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대에는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대는 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부재 선단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 저면과 하부지지대 상면 사이에는 중공형의 탄성체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혼합물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쇼어(Shore) 경도 50-80, 압축영구 줄음율 10-30%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이분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대에는 몸체의 내면에 인접하는 단부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편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선단에 나선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는 몸체 내부에 완충유닛이 마련된 것인바, 차량 충돌시에 미치는 충격이 완충유닛에 의해 분산되어 완화되므로 차량 충돌시의 충격 집중으로 인한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 주변 충진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충돌이 반복되더라도 그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는 완충유닛과 고정부재 결합부에 탄성체가 마련된 것인바, 차량 충돌시 고정부재에 미치는 충격이 탄성체에 의해 완화되므로 차량 충돌시 차량 충돌시의 충격 집중으로 인한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 주변 충진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충돌이 반복되더라도 그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의 설치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에서 차량 충돌시 완충유닛에 의한 충격 완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에서 차량 충돌시 탄성체에 의한 충격 완화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에서 완충유닛이 일체로 형성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에서 탄성체가 분리형으로 형성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종래 차막이의 설치 형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A)는 몸체(10), 완충유닛(30), 고정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충진재(11) 충진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는 상면에 개구부(1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상면에 개구부가(12) 마련됨으로써 몸체(10)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구부(12)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충진재(11)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충진재(11)는 콘크리트, 우레탄수지, 플라스틱수지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구부(12)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개구부(12) 각각을 통해 동시에 충진재(11)를 주입함으로써 충진재(11) 주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2)는 탈착식 커버(13)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2)가 탈착식 커버(13)로 마감됨으로써 개구부(12)에의 커버(13) 결합에 의해 몸체(10) 내부의 노출이 차단될 수 있게 되므로 몸체(10) 내부의 노출로 인한 미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탈착식 커버(13)는 개구부(12)의 개방을 차단하는 것일 뿐 특별한 기능 및 구조를 갖는 것은 아니므로 커버(13)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완충유닛(30)은 몸체(10) 내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완충유닛(30)은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지대(31)는 몸체(10) 하부의 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부지지대(31)에는 통공(31a)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지대(31)에 통공(31a)이 마련됨으로써 통공(31a)으로 후술하는 고정부재(20) 선단을 끼워 넣은 후 너트(22)를 체결함에 따라 하부지지대(31)가 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너트(22)의 저면과 하부지지대(31) 상면 사이에는 중공형의 탄성체(23)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22)의 저면과 하부지지대(31) 상면 사이에 중공형의 탄성체(23)가 결합됨으로써 차량 충돌로 인하여 고정부재(20)에 충격이 가해질 때 탄성체(23)에 의해 충격 완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고정부재(20) 및 고정부재(20) 주변 충진재(11)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23)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혼합물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으로, 쇼어(Shore) 경도 50-80(shore A 경도계 측정치), 압축영구 줄음율 10-30%의 것임이 바람직하다.
탄성체(23)가 천연고무, 합성고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혼합물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쇼어 경도 50-80, 압축영구 줄음율 10-30%의 것임으로써 재질의 특성상 탄성체(23)가 탄성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탄성체(23)를 통해 완충이 이루어질 때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기온 변화의 폭이 큰 하절기 또는 동절기에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탄성체(23)에 의한 충격 완화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분형으로 형성된다.
탄성체(23)가 이분형으로 됨으로써 이분형 탄성체(23)를 통해 고정부재(20) 선단을 감싼 후 너트(22)를 체결함으로써 탄성체(23)가 고정부재(20)에 결합되므로 탄성체(23)를 고정부재(20) 선단에 삽입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탄성체(23)와 고정부재(20)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체(23)는 그 단면 형태가 원형 외에 사각형 등으로 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하부지지대(31)에 마련되는 통공(31a) 수량은 고정부재(20)의 수량과 동일하고, 통공(31a) 사이의 간격은 고정부재(2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은 물론이다.
하부지지대(31)에 마련되는 통공(31a) 수량이 고정부재(20)의 수량과 동일하고, 통공(31a) 사이의 간격이 고정부재(2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함으로써 각 고정부재(20)가 하부지지대(31)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대(32)는 하부지지대(31) 양측면 각각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지지대(32)는 몸체(10)의 내면에 인접하는 단부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편(32a)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지지대(32)에서 몸체(10)의 내면에 인접하는 단부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편(32a)이 마련됨으로써 돌출편(32a)이 몸체(10)의 내면에 접합에 따라 하부지지대(31)의 유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완충유닛(30)이 몸체(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경사지지대(33)는 하부지지대(31)의 일측과 이와 대각으로 마주하는 몸체(10)의 상단 내부 일측 사이에 결합하는 것이다.
경사지지대(33)가 하부지지대(31)의 일측과 이와 대각으로 마주하는 몸체(10)의 상단 내부 일측 사이에 결합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경사지지대(33)에 의해 몸체(10) 전면이 지지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10)에 미치는 충격이 하부지지판(31)을 거쳐 경사지지대(33)를 통해 몸체(10) 전면으로 분산되므로 고정부재(20) 및 고정부재(20) 주변 충진재(11)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는 분리형으로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도 될 수 있다.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가 일체형으로 되는 경우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의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가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구성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게 되므로 완충유닛(30)을 통한 충격 완화를 신뢰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몸체(10) 하부의 지면에 삽입되어 완충유닛(30)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재(20)는 완충유닛(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 및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앵커볼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20)는 선단에 나선(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의 선단에 나선(21)이 형성됨으로써 나선 물림에 의해 고정부재(20)에 너트(22)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에 형성되는 통공(31a)으로 삽입되는 고정부재(20) 선단에의 너트(22) 체결에 의해 완충유닛(3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됨으로써 복수의 고정부재(20) 각각을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에 결합함에 따라 완충유닛(30)의 고정이 견고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의 설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항만 및 부두 바닥의 지면에 고정부재(20)가 삽입된다.
다음으로, 고정부재(20)에 의해 완충유닛(30)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에는 통공(31a)이 마련되는바, 통공(31a)을 통해 고정부재(20) 선단을 끼워 넣고 너트(22)를 체결하게 되면 하부지지대(31)가 지면에 밀착 고정되므로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가 일체로 되는 경우 하부지지대(31)가 고정부재(20)에 의해 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만으로 완충유닛(3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완충유닛(30)의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가 분리형으로 되는 하부지지대(31)가 지면에 밀착 고정되더라도 측면지지대(32)와 경사지지대(33)는 미고정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하부지지대(31)와 분리된 경사지지대(33)는 그 하단부가 지면과 하부지지대(31) 사이로 삽입되므로 하부지지대(31)에 고정될 수 있고, 측면지지대(32)는 하부지지대(31)에 양측면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차후 완충유닛(30)과 결합하는 몸체(10) 내에 충진재(11)가 충진됨에 따라 하부지지대(31)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완충유닛(30)과 몸체(10)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완충유닛(30)의 측면지지대(32)에는 돌출편(32a)이 마련되어 있는바, 몸체(10)를 완충유닛(30) 상부로부터 끼우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지지대(32)의 돌출편(32a)이 몸체(10) 내면에 접하며 밀착되므로 이에 의해 완충유닛(30)과 몸체(1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몸체(10) 내부에 충진재(11)가 충진된다.
본 발명에서 몸체(10)의 상면에는 개구부(12)가 마련되어 있는바, 개구부(12)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충진재(11)를 주입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 내부의 완충유닛(30)은 충진재(11)의 심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양생 이후 충진재(11)가 견고해질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2)는 충진재(11) 주입 이후 탈착식 커버(13)로 마감되어 몸체(10) 내부의 노출이 차단되므로 몸체(10) 내부의 노출로 인한 미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A)는 차량 충돌시에도 그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몸체(10) 내부에 장착되는 완충유닛(30)은 하부지지대(31), 측면지지대(32), 경사지지대(33)를 포함하는 것이고, 경사지지대(33)는 하부지지대의 일측과 이와 대각으로 마주하는 몸체(10)의 상단 내부 일측 사이에 결합하는 것인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전면에 차량 충돌시 경사지지대(33)에 의해 몸체(10) 전면이 지지될 뿐만 아니라 몸체(10)에 미치는 충격이 경사지지대(33)를 거쳐 하부지지대(31)와 측면지지대(32)로 분산되므로 차량 충돌시의 충격에 의한 고정부재(20) 및 고정부재(20) 주변 충진재(11)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어 고정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20)에 너트(22)를 체결하여 완충유닛(30)을 고정할 때 너트(22) 저면과 하부지지대(31) 상면 사이에는 탄성체(23)가 결합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차량이 충돌하여 고정부재(20)에 충격이 미치게 될 때 탄성체(23)가 수축되며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고정부재(20) 및 고정부재(20) 주변 충진재(11)의 손상이 최소화되므로 고정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완충형 차막이(A)는 몸체(10) 내부에 완충유닛(30)이 마련된 것이고, 완충유닛(30)과 고정부재(20) 결합부에 탄성체(23)가 마련된 것인바, 차량 충돌시에 미치는 충격이 완충유닛(30)에 의해 분산되어 완화될 뿐만 아니라 탄성체(23)에 의해서도 완화되므로 차량 충돌시의 충격 집중으로 인한 고정부재(20) 및 고정부재(20) 주변 충진재(1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량 충돌이 반복되더라도 그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몸체 11, 11' : 충진재
12 : 개구부 13 : 커버
20, 20' : 고정부재 21 : 나선
22, 22' : 너트 23 : 탄성체
30 : 완충유닛 31 : 하부지지대
31a : 통공 32 : 측면지지대
32a : 돌출편 33 : 경사지지대
A, A' : 차막이

Claims (13)

  1. 내부에 충진재 충진을 위한 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 내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닛;
    상기 몸체 하부의 지면에 삽입되어 완충유닛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몸체 하부의 지면에 밀착 고정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 양측면 각각에 결합하는 측면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일측과 이와 대각으로 마주하는 상기 몸체의 상단 내부 일측 사이에 결합하는 경사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대는, 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 선단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지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너트 저면과 상기 하부지지대 상면 사이에 이분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 선단을 감싸는 중공형의 탄성체가 결합되어 상기 탄성체의 수축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미치는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탈착식 커버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의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와, 상기 경사지지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의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기 측면지지대와, 상기 경사지지대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혼합물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쇼어(Shore) 경도 50-80, 압축영구 줄음율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대에는 상기 몸체의 내면에 인접하는 단부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선단에 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형 차막이.
KR1020140111202A 2014-08-26 2014-08-26 완충형 차막이 KR10160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02A KR101602052B1 (ko) 2014-08-26 2014-08-26 완충형 차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02A KR101602052B1 (ko) 2014-08-26 2014-08-26 완충형 차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60A KR20160024460A (ko) 2016-03-07
KR101602052B1 true KR101602052B1 (ko) 2016-03-09

Family

ID=5553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202A KR101602052B1 (ko) 2014-08-26 2014-08-26 완충형 차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0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33U (ja) * 2006-05-08 2006-07-20 巻男 齋藤 車止め
KR200457074Y1 (ko) * 2011-02-11 2011-12-07 정춘식 차량용 스토퍼
KR101135504B1 (ko) * 2011-08-29 2012-04-13 인천항만공사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45Y2 (ko) * 1990-03-29 1993-02-16
KR20130034534A (ko) * 2011-09-28 2013-04-05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차량 유압센서의 오링용 고무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33U (ja) * 2006-05-08 2006-07-20 巻男 齋藤 車止め
KR200457074Y1 (ko) * 2011-02-11 2011-12-07 정춘식 차량용 스토퍼
KR101135504B1 (ko) * 2011-08-29 2012-04-13 인천항만공사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60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836B1 (ko) 진동흡수부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KR101819947B1 (ko) 데크로드
KR101368377B1 (ko)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02052B1 (ko) 완충형 차막이
KR200420476Y1 (ko) 충격 완충 구조를 갖는 델리네이터
KR101178830B1 (ko) 어린이 놀이터용 충격 흡수 매트
ES2741152T3 (es) Pieza intermedia elástica para el apriete de un patín de carril
KR101203084B1 (ko) 폰툰을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1140922B1 (ko) 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
KR101215087B1 (ko) 충격흡수용 방호울타리
AU2014207234A1 (en) Device for fixing floating bodies
KR101429983B1 (ko) 충격흡수구조
KR100915639B1 (ko) 소음방지 그레이팅
KR200488051Y1 (ko) 완충 z-바
KR20210080174A (ko) 충격흡수 및 진동저감 기능을 갖는 인도교
KR100965234B1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101569847B1 (ko) 충격 흡수형 해중터널
EP0744497B1 (fr) Support d'écran acoustique le long d'une voie de déplacement de véhicules
KR101548170B1 (ko) 내진완충용 패드가 구비된 조립식 pc암거
KR100835583B1 (ko) 철도레일 종점부 탈선방지시설
KR200455904Y1 (ko) 궤도회로용 보호대
KR20140108743A (ko) 완충형 오탁방지막 프레임
ES2433993T3 (es) Punto de apoyo de carril eléctricamente aislante y altamente elástico
US9611600B2 (en) Car shock absorber and car shock absorbing device using the same
JP5346183B2 (ja) 軌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