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632B1 -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632B1
KR101601632B1 KR1020140069230A KR20140069230A KR101601632B1 KR 101601632 B1 KR101601632 B1 KR 101601632B1 KR 1020140069230 A KR1020140069230 A KR 1020140069230A KR 20140069230 A KR20140069230 A KR 20140069230A KR 101601632 B1 KR101601632 B1 KR 101601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ight
image display
display unit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219A (ko
Inventor
한준구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63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을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 및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회전력제공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반사계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반 회전하며, 상기 반사계에 의해 반사된 광의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투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계는 상기 화상 표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제1 고리형 반사부와, 상기 제1 고리형 반사부에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리형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제2 고리형 반사부 및 상기 제2 고리형 반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리형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재반사하는 제3 고리형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계가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고, 이를 투사유닛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투사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삼차원 영상, 즉 입체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하기 위한 회절플레이트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3D 영상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three-demensional projection system for shortening projection distance}
본 발명은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의 투사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삼차원 영상, 즉 입체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하기 위한 회절플레이트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3D 영상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디어에 대한 컨텐츠가 대중적으로 공급되면서, 고화질,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맞춰 대중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인 TV의 화면종횡비가 커지고 있으나, 넓은 화면종횡비에 따라 TV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여 구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로서 TV에 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큰 화면종횡비를 얻을 수 있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와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로젝션 시스템은 발광장치에서 발광된 광에 화상 신호를 실어서, 스크린의 전면 또는 후면에 투사하여 그 화상을 시청하는 장치로서, 그 동작방식에 따라 CRT방식,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방식, 반사형 액정 패널 방식, 투과형 액정 패널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광을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110)와, 화상 표시부(1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일면으로 입사되는 경우 회전하면서 입사되는 광을 회절하는 회절플레이트(120)와, 회절플레이트(120)로부터 회절된 광이 투사되는 스크린(130) 및 회전축의 일측이 스크린(130), 회절플레이트(120)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스크린(130)과 회절플레이트(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화상 표시부(110)로부터 광이 출사되면 출사된 광이 회절플레이트(120)에 의해 회절되고, 회절플레이트(120)에 의해 회절된 광이 회전하는 스크린(130)에 투사되면서 스크린(130)상에 3D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종래의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화상 표시부(110)로부터 출사된 광이 회절플레이트(120)로 입사되고, 회절플레이트(120)로 입사된 광이 회절되어 스크린(130)에 투사되는 투사거리가 상당하여 테이블탑과 같이 공간이 협소한 제품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100)은 앞서 스크린(130)을 회전하는 회전력제공수단(140)이 회전되는 경우 발생하는 진동이 적용되는 제품의 본체 또는 결합된 구성에 의해 DM유닛으로 전달되는 바 회전력제공수단(140)의 진동에 의한 영상의 흔들림, 해상도 저하, 화상 표시부(110)의 수명단축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의 투사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삼차원 영상, 즉 입체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하기 위한 회절플레이트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3D 영상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과, 화상 표시부를 상호 분리된 공간에 설치하여 회전력 발생시 회전력제공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화상 표시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에 따른 영상품질 저하, 화상 표시부의 손상등과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광을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 및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회전력제공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반사계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반 회전하며, 상기 반사계에 의해 반사된 광의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투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계는 상기 화상 표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제1 고리형 반사부와, 상기 제1 고리형 반사부에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리형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제2 고리형 반사부 및 상기 제2 고리형 반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리형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재반사하는 제3 고리형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고,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DM(Digital micromirror)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부는 상기 DM유닛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사유닛은 복수개의 반사미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계로부터 반사된 광을 반사함에 따라 광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사유닛은 프리즘이 이용되고, 상기 반사계로부터 반사된 광을 굴절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력제공수단은 상기 화상 표시부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회전력 발생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화상 표시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반사계는 고리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적어도 한번이상 반사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스크린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회전력제공수단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계가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고, 이를 투사유닛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함으로써 광의 투사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삼차원 영상, 즉 입체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회절하기 위한 회절플레이트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3D 영상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과, 화상 표시부를 상호 분리된 공간에 설치하여 회전력 발생시 회전력제공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화상 표시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에 따른 영상품질 저하, 화상 표시부의 손상등과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DM유닛의 단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유닛으로 반사미러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유닛으로 반사미러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계 및 투사유닛에 의해 광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상태를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및 투사유닛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DM유닛의 단면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유닛으로 반사미러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1)은 화상 표시부(10)와, 반사계(20)와, 스크린(30)과, 회전력제공수단(40) 및 투사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 표시부(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1)과,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고 이를 반사하는 DM(Digital Micromirror)유닛 및 DM유닛(12)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렌즈(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크린(30)에 투영할 광을 출사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스크린(30)에 투영할 광을 출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광원(11)으로는 LED가 사용될 수 있다.
DM유닛(12)은 하우징(12a)과, 하우징(12a)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로세서(12b)와, 하우징(12a)의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미세구동거울(12c) 및 미세구동거울(12c)의 반사각을 제어하기 위한 반사각 제어수단(12d)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화상 신호에 따라 미세구동거울(12c)의 반사각을 제어하여 후술하는 반사계(20)로 입사시킨다.
보다 상술하면, DM유닛(12)은 반사각 제어수단(12d)에 의해 반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미세구동거울(12c)이 복수개, 일예로 수십만개 집적되는 구조로서, 상기한 미세구동거울(12c)이 각 화소에 대응되어 반사각이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미세구동거울(12c)은 프로세서(12b)에 의해 각 화소에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따라 반사각이 조절되며, 조절된 반사각에 따라 입사된 광을 후술하는 반사계(20)로 입사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화소에 입력된 화상 신호가 온(on) 신호인 경우, 상기 미세구동거울(12c)의 반사각은 제1각을 가지게 되며, 이에 DM유닛(12)은 반사거울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계(20) 중 미리 설정된 제1 위치로 입사시킬 수 있으며, 화소에 입력된 화상 신호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반사거울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계(20) 중 미리 설정된 제2 위치로 입사시킬 수 있다.
아울러, 확산렌즈(13)는 DM유닛(12)의 하부에 설치되고, DM유닛(1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확산하여 후술하는 반사계(20)에 전반적으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DM유닛(1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반사계(20)에 의해 방사상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계(20)는 화상 표시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고리형 반사부(21)와, 제1 고리형 반사부(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고리형 반사부(22) 및 제2 고리형 반사부(22)의 하부 중 제1 고리형 반사부(2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 고리형 반사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반사계(20)는 제1 고리형 반사부(21), 제2 고리형 반사부(22) 및 제3 고리형 반사부(23)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고리형 반사부(21) 및 제3 고리형 반사부(23)는 상호 동심원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고리형 반사부(21)의 직경이 제3 고리형 반사부(23)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반사계(20)는 확산렌즈(13)에 의해 확산된 광을 제1 고리형 반사부(21)에서 방사상으로 상향반사하고, 제2 고리형 반사부(22)에서 반사된 광을 하방으로 재반사하며, 제3 고리형 반사부(23)에서 제2 고리형 반사부(22)에 의해 반사된 광을 재차 반사하여 방사상으로 상향반사되도록 한다.
즉, 이러한 반사계(20)는 확산렌즈(13)에 의해 확산된 광을 방사상으로 상향 반사함과 아울러 확산렌즈(13)에 의해 확산된 광, 즉 DM유닛(1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적어도 한번이상 반사하여 광의 투사길이가 단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30)은 DM유닛(1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반사계(20) 및 투사유닛(50)을 통해 투영되어 관람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스크린(30)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30)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데, 이는 테이블탑과 같이 관람자의 시점이 스크린(30)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관람자가 보다 용이하게 스크린(30)에 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력제공수단(40)은 구동모터(41)와, 구동모터(41)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스크린(30)의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동모터(41)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스크린(30)에 연결된 회전축(42)을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42)이 회전하면서 일측에 연결된 스크린(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러한 회전력제공수단(40)은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30)이 360°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30)에 투영된 영상을 다방향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투사유닛(50)은 반사계(20)에 의해 반사된 광을 반사 또는 굴절하여 스크린(30)에 투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프리즘 또는 반사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투사유닛(50)으로 프리즘이 사용되는 경우 반사계(20)에 의해 반사된 광을 굴절하여 광의 이동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스크린(30)에 광이 투사되도록 하며, 투사유닛(50)으로 반사미러가 사용되는 경우 반사계(20)에 의해 상방으로 반사된 광 중 일부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스크린(30)에 투사되도록 한다.
이때, 투사유닛(50)으로 반사미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하방으로 반사하는 제1 반사미러(51)와, 하방으로 반사된 광을 반사하여 스크린(30)에 투사되도록 하는 제2 반사미러(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광의 입사각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광량의 손실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투사유닛(50)과 스크린(30) 사이에 초점렌즈(6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초점렌즈(60)는 투사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초점이 스크린(30)상에 보다 명확하게 잡히도록 하여 영상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계 및 투사유닛에 의해 광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상태를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및 투사유닛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1)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본 동작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투사유닛(50)으로 반사미러가 사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광원(11)으로부터 광이 출사된 광이 DM유닛(12)으로 입사되고, DM유닛(12)으로 입사된 광은 화상신호에 따라 반사각이 제어된 미세구동미러에 의해 하방으로 반사된다.
DM유닛(12)에 의해 반사된 광은 확산렌즈(13)를 통과하면서 확산되고, 확산된 광은 제1 고리형 반사부(21)에 반사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리형 반사부(21)가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광은 방사상으로 상향반사된다.
이와 같이 제1 고리형 반사부(21)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부에 위치한 제2 고리형 반사부(22)에 의해 방사상으로 하향반사되고, 하향 반사된 광은 다시 제3 고리형 반사부(23)에 의해 방사상으로 상향반사된다.
즉, 이와 같이 확산렌즈(13)를 통과한 광은 제1 고리형 반사부(21), 제2 고리형 반사부(22) 및 제3 고리형 반사부(23)에 의해 적어도 한번이상 반사되어 광의 투사길이를 단축함과 아울러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한다.
이후, 제3 고리형 반사부(23)에 의해 방사상으로 상향반사된 광은 복수개의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면서 그 이동방향이 변경되어 스크린(30)에 투영된다.
한편, 다방향에서 스크린(30)에 투영된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력제공수단(40)이 구동되면서 스크린(30)과 투사유닛(50)이 회전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계(20)에 의해 광이 방사상으로 반사되면서 투사유닛(50)이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의 일부가 투사유닛(50)으로 입사되어 반사되고, 반사된 광은 초점렌즈(60)를 통과하면서 집광되어 회전하는 스크린(30)에 투사됨에 따라 3D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화상 표시부 11 : 광원
12 : DM유닛 13 : 확산렌즈
20 : 반사계 21 : 제1 고리형 반사부
22 : 제2 고리형 반사부 23 : 제3 고리형 반사부
30 : 스크린 40 : 회전력제공수단
41 : 구동모터 42 : 회전축
50 : 투사유닛 51 : 제1 반사미러
52 : 제2 반사미러

Claims (10)

  1. 광을 출사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계와;
    상기 화상 표시부의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제공수단; 및
    상기 스크린 또는 상기 회전력제공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반사계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반 회전하며, 상기 반사계에 의해 반사된 광의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투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계는
    상기 화상 표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표시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제1 고리형 반사부와;
    상기 제1 고리형 반사부에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고리형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반사하는 제2 고리형 반사부; 및
    상기 제2 고리형 반사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고리형 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방사상으로 재반사하는 제3 고리형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고,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DM(Digital micromirror)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는
    상기 DM유닛에 의해 반사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유닛은 복수개의 반사미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계로부터 반사된 광을 반사함에 따라 광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유닛은 프리즘이 이용되고, 상기 반사계로부터 반사된 광을 굴절하여 상기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제공수단은 상기 화상 표시부와 분리되게 설치되어 회전력 발생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화상 표시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회전력제공수단의 일측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유닛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투사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여 상기 스크린의 투사되도록 하는 초점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KR1020140069230A 2014-06-09 2014-06-09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KR101601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230A KR101601632B1 (ko) 2014-06-09 2014-06-09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230A KR101601632B1 (ko) 2014-06-09 2014-06-09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219A KR20150141219A (ko) 2015-12-18
KR101601632B1 true KR101601632B1 (ko) 2016-03-10

Family

ID=5508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230A KR101601632B1 (ko) 2014-06-09 2014-06-09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6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1218A1 (en) 2003-03-18 2005-02-24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5221690A (ja) * 2004-02-05 2005-08-18 Hitachi Ltd 表示装置
JP2006084571A (ja) * 2004-09-14 2006-03-30 Hitachi Ltd 立体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1218A1 (en) 2003-03-18 2005-02-24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5221690A (ja) * 2004-02-05 2005-08-18 Hitachi Ltd 表示装置
JP2006084571A (ja) * 2004-09-14 2006-03-30 Hitachi Ltd 立体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219A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6832B2 (ja) 画像表示装置
WO2016027706A1 (ja) 投影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7828444B2 (en) Projection apparatus
US20080198334A1 (en) Image Projector
US9341332B2 (en) Light source apparatus
WO2014171136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9979939B2 (en) Light source assembly and laser projector
US8672484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for projecting light that has been collimated
JP2008070694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200143381A (ko) 화상 표시 장치
CN109541882B (zh) 投影屏幕与投影系统
KR101644818B1 (ko) 포물경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JP6677645B2 (ja) レーザ投影用高性能スクリーン
JP7112644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218945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CN110082999B (zh) 投影机、光学引擎及画素偏移装置
US10670950B2 (en) Transparent rotating device and projection device
KR100617587B1 (ko) 틸팅장치
KR101601632B1 (ko) 투사거리가 단축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JP2014228741A (ja) レーザープロジェクター
JP2020187253A (ja) スペックル抑制装置および投影装置
KR101617656B1 (ko) 회전스크린을 이용한 삼차원 프로젝션 시스템
KR101863571B1 (ko) 테이블 탑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009180A (ja) 表示装置
JP4969294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