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308B1 -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308B1
KR101601308B1 KR1020100098518A KR20100098518A KR101601308B1 KR 101601308 B1 KR101601308 B1 KR 101601308B1 KR 1020100098518 A KR1020100098518 A KR 1020100098518A KR 20100098518 A KR20100098518 A KR 20100098518A KR 101601308 B1 KR101601308 B1 KR 10160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weight
handle
lever
moving nu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700A (ko
Inventor
박후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3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란스 웨이트와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의 핸들 레버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발란스 웨이트를 사용하여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핸들 베이스에 조립되는 센터 스크류, 상기 센터 스크류와 나선결합되는 무빙 너트 및 상기 무빙 너트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발란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가 구성되며; 상기 센터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의해 이동되는 무빙 너트로 인해 발란스 웨이트가 밀리게 되면서 이 발란스 웨이트의 동작레버가 그립 핸들의 레버부 위에 얹히게 되어, 상기 그립 핸들을 잡아당기면 상기 레버부와 함께 동작레버가 이동되면서 발란스 웨이트가 회동하게 되고 결국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Door Outside Handle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란스 웨이트와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의 핸들 레버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발란스 웨이트를 사용하여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열고 닫기 위해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조립체로 구성되어 도어 아우터 패널의 외측 및 내측에 조립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a) 및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조립체(b)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 아우터 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 조립체(20)(이하, 핸들 베이스 조립체라고 함)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 아우터 패널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조립되는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10)(이하, 그립 핸들이라고 함)로 이루어진다.
상기 그립 핸들(10)에는 핸들 베이스 조립체(20)에 장착되는 회전부(11)와 레버부(12)가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부(11)는 핸들 베이스 조립체(20)의 레버축(22)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레버부(12)는 상기 핸들 베이스 조립체(20)의 핸들 레버(21) 끝단부에 삽입된 후 핸들 마운팅 스크류(23)를 조임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그립 핸들(10)을 잡고 차량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레버부(12)에 마운팅된 핸들 레버(21)가 함께 당겨지고, 이때 상기 핸들 레버(21)에 의해 발란스 웨이트(25)가 움직이면서 이 발란스 웨이트(25)에 연결된 아웃사이드 핸들 작동 케이블(이하, 핸들 작동 케이블이라고 함)이 당겨지며 도어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 열림을 위해 그립 핸들(10)을 잡아당길 때 발란스 웨이트(25)를 레버부(12)가 직접 동작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핸들 베이스 조립체(20)에 상기 레버부(12)의 당겨짐시 발란스 웨이트(25)를 연동 회전시키게 되는 핸들 레버(21)를 구성해야 하므로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중량이 과다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서 핸들 레버를 삭제하고 구성한 것으로, 도어 열림을 위해 그립 핸들을 잡아당길 때 동작하게 되는 레버부에 직접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를 구성한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 베이스에 조립되는 센터 스크류, 상기 센터 스크류와 나선결합되는 무빙 너트 및 상기 무빙 너트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발란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가 구성되며; 상기 센터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의해 이동되는 무빙 너트로 인해 발란스 웨이트가 밀리게 되면서 이 발란스 웨이트의 동작레버가 그립 핸들의 레버부 위에 얹히게 되어, 상기 그립 핸들을 잡아당기면 상기 레버부와 함께 동작레버가 이동되면서 발란스 웨이트가 회동하게 되고 결국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에는 무빙 너트에 관통된 상태로 장착되는 리턴 스프링이 구성되고, 이 리턴 스프링은 발란스 웨이트의 동작레버를 탄성지지해줌과 더불어 회전된 발란스 웨이트를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 핸들의 레버부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무빙 너트는 양끝단에 바깥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단이 형성되며, 그 중 일측 고정단은 발란스 웨이트의 동작레버를 리턴 스프링 측으로 밀착시켜 지지해주고 타측 고정단은 리턴 스프링을 동작레버에 밀착시켜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서 그립 핸들의 레버부와 연결되는 과다한 중량의 핸들 레버를 삭제함에 의해 중량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 레버와 그립 핸들의 레버부를 연결해주는 부품들의 삭제가 가능하여 중량 감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a) 및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b)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아웃사이드 그립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를 핸들 베이스에 조립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설명에 있어서 공지된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서 발란스 웨이트의 기능은 물론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핸들 레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란스 웨이트를 포함하는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를 구성하고 상기 핸들 레버를 삭제하여 중량을 감소시킨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핸들 베이스 조립체는 핸들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생략하고 핸들 베이스만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핸들 베이스 조립체와 이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연결 조립되는 그립 핸들(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핸들 베이스(210)에는 도어 오픈을 위해 상기 그립 핸들(100)을 잡아당길 때 작동하여 핸들 작동 케이블(혹은 도어 래치 유닛의 래치 로드)을 밀어주게 되는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300)가 장착된다.
상기 그립 핸들(100)은 하단에 회전부(110)와 레버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110)는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삽입 고정되고 레버부(120)는 핸들 베이스(210)를 관통하게 설치되어, 그립 핸들(100)을 잡아당길 시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회전되며 레버부(120)가 당겨지게 된다.
예컨대, 상기 회전부(110)는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축 부재에 연결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120)는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가 얹혀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게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는 핸들 베이스(210)를 관통하여 거치진 상태로 조립되는 센터 스크류(310)와 이 센터 스크류(310)에 상에 장착되는 무빙 너트(320) 및 무빙 너트(320)에 조립되는 일정 무게의 발란스 웨이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터 스크류(310)는 외주면에 나선을 가지는 장볼트 형상의 부재로서, 핸들 베이스(210)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핸들 베이스(210)의 센터 스크류 고정홀(211)을 관통하여 걸쳐지게 조립되며, 상기 센터 스크류 고정홀(211)은 핸들 베이스(210)의 배면 측에 양측으로 배치 형성된다.
상기 무빙 너트(320)는 내주면에 나선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센터 스크류(310)와 나선결합되고, 외주면에 바깥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고정단(321)이 양끝단에 각기 형성된다.
상기 발란스 웨이트(330)에는 일측으로 휘어지며 돌출되는 동작레버(331)가 형성되고, 이 동작레버(331)는 무빙 너트(320)에 의해 관통되어 이 무빙 너트(32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발란스 웨이트(330)는 무빙 너트(320)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300)에는 무빙 너트(320)에 관통된 상태로 조립되는 리턴 스프링(340)과 밀착링(350)이 구성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340)은 양단부가 각기 발란스 웨이트(330)와 무빙 너트(320)에 연결 고정되고,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와 무빙 너트(320)의 일측 고정단(3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밀착링(350)은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와 무빙 너트(320)의 타측 고정단(32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동작레버(331)를 리턴 스프링(340) 측으로 밀착시키면서 지지해준다.
이에 따라 발란스 웨이트(330)는 동작레버(331)의 일측이 리턴 스프링(340)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동작레버(331)의 타측이 밀착링(350)에 의해 지지되어 끼인 상태로 조립되고 결과적으로 무빙 너트(32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 스프링(340)과 밀착링(350)은 각기 무빙 너트(320)의 양측 고정단(321)에 의해 지지되고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에 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300)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센터 스크류(3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베이스(210)의 센터 스크류 고정홀(211)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이렇게 핸들 베이스(210)에 장착된 센터 스크류(31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센터 스크류(310)의 나선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 너트(320)와 더불어 발란스 웨이트(330)가 그립 핸들(100)의 레버부(1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발란스 웨이트(330)는 발란스 웨이트(330)의 상부(동작레버의 상측에 형성된 부분)가 핸들 베이스(210)에 접한 상태로 조립됨에 의해 센터 스크류(310)의 회전시 무빙 너트(32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밀착링(350)에 의해 밀리면서 그립 핸들(100)의 레버부(120) 상에 얹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센터 스크류(310)를 회전시킴에 의해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가 그립 핸들(100)의 레버부(120) 상에 미끄럼접합되며 얹혀지면서 위치하게 되어 조립이 완료되고 발란스 웨이트(330)와 그립 핸들(100) 간의 매칭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300)는 밀착링(350)이 삭제된 구조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이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밀착링(350)을 삭제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발란스 웨이트(330)는 동작레버(331)의 일측이 리턴 스프링(340)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동작레버(331)의 타측이 무빙 너트(320)의 일측 고정단(321)에 의해 지지되어 끼인 상태로 조립되고 결과적으로 무빙 너트(320)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럼,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는 리턴 스프링(340)과 무빙 너트(320)의 일측 고정단(321)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 일측 고정단(321)에 의해 리턴 스프링(340) 측으로 밀착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리턴 스프링(340)은 무빙 너트(320)의 타측 고정단(321)에 의해 동작레버(331) 측으로 밀착되게 지지된다.
즉, 상기 동작레버(331)는 리턴 스프링(340)과 무빙 너트(320)의 일측 고정단(321) 사이에 끼여서 지지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센터 스크류(310)를 회전시켜 무빙 너트(320)를 이동시키면 상기 일측 고정단(321)에 의해 밀리면서 발란스 웨이트(330)를 이동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300)는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가 레버부(120) 위에 위치하여 매칭됨에 따라 도어 열림시 리턴 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보다 큰 하중을 가하여 레버부(120)를 당겨야 하므로, 평상시 상기 그립 핸들(100)은 레버부(120)가 핸들 베이스(210)를 관통하여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 혹은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핸들 베이스 조립체의 핸들 레버는 물론 그립 핸들(100)의 레버부(120)를 핸들 베이스 조립체에 고정해주는 핸들 마운팅 스크류 등의 구성요소도 삭제 가능하며, 이에 따라 기존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과다한 중량을 감소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 오픈을 위해 그립 핸들(100)을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부(110)를 기준으로 레버부(120)가 회전 이동되면서 발란스 웨이트(330)의 동작레버(331)를 끌어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된 발란스 웨이트(330)는 발란스 웨이트(330)의 상부 무게로 인해 기울어지며 더 회전되어 핸들 작동 케이블을 충분히 밀어주게 되고 결국 도어를 잠금해제하여 도어가 오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란스 웨이트(330)는 회전 작동 후 리턴 스프링(340)에 의해 복귀되어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0 : 그립 핸들
110 : 회전부
120 : 레버부
210 : 핸들 베이스
211 : 센터 스크류 고정홀
300 : 발란스 웨이트 조립체
310 : 센터 스크류
320 : 무빙 너트
321 : 고정단
330 : 발란스 웨이트
331 : 동작레버
340 : 리턴 스프링
350 : 밀착링

Claims (4)

  1. 핸들 베이스에 조립되는 센터 스크류;
    상기 센터 스크류와 나선결합되는 무빙 너트;
    상기 무빙 너트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발란스 웨이트;
    상기 무빙 너트에 관통된 상태로 장착되어 발란스 웨이트의 동작레버를 탄성지지해줌과 더불어 회전된 발란스 웨이트를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무빙 너트의 양끝단에 바깥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발란스 웨이트의 동작레버를 리턴 스프링 측으로 밀착시켜 지지해주는 동시에 리턴 스프링을 동작레버에 밀착시켜 지지해주는 고정단;
    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의해 이동되는 무빙 너트로 인해 발란스 웨이트가 밀리는 동시에 발란스 웨이트의 동작레버가 그립 핸들의 레버부 위에 얹히게 되어, 상기 그립 핸들을 잡아당기면 상기 레버부와 함께 동작레버가 이동되는 동시에 발란스 웨이트가 회동하면서 도어가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 핸들의 레버부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4. 삭제
KR1020100098518A 2010-10-08 2010-10-08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160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518A KR101601308B1 (ko) 2010-10-08 2010-10-08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518A KR101601308B1 (ko) 2010-10-08 2010-10-08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00A KR20120036700A (ko) 2012-04-18
KR101601308B1 true KR101601308B1 (ko) 2016-03-09

Family

ID=4613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518A KR101601308B1 (ko) 2010-10-08 2010-10-08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50B1 (ko) 2013-12-17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769A (ko) * 2007-10-22 2009-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핸들의 해제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00A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542B2 (en) Door latch device for a vehicle
US9062488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EP2268880B1 (en) Automotive door check with energy storage body
US8403378B2 (en) Door latch device for a vehicle
JP2012503722A (ja) 複数の爪部と、バネを備えた爪部とを有するロックユニット
US8256065B2 (en) Hinge mechanism for display device
WO2005073022A1 (en) Planetary gear actuator apparatus and method
EP2620569A2 (en) Latch releasing system for vehicle door
JP6269987B2 (ja) 自動車ドアロック用の作動ユニットおよび製造方法
US8677848B2 (en) Speed reduction device for power seat
EP2354384B1 (en) Vehicle door handle system
JP2020525684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アセンブリ
KR101601308B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US6877867B1 (en) Door mirror
KR20020078177A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캐치
KR101704060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구조
EP2615228B1 (en) Latch releasing system for vehicle door
CN110905286B (zh) 复位装置以及用于将复位装置在第一手柄止挡位置和第二手柄止挡位置之间转换的方法
CN210622539U (zh) 车用防卡滞尾门锁
CN111188542B (zh) 汽车锁
JP2012219530A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解除装置
JP4554434B2 (ja) フリクションヒンジ部構造
CN114458110A (zh) 臂杆式电动门限位器
CN112721811A (zh) 一种具有悬停功能的杂物箱铰接结构及乘客侧杂物箱
JP2006099985A (ja) 真空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