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671B1 - 금속편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편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671B1
KR101600671B1 KR1020130168133A KR20130168133A KR101600671B1 KR 101600671 B1 KR101600671 B1 KR 101600671B1 KR 1020130168133 A KR1020130168133 A KR 1020130168133A KR 20130168133 A KR20130168133 A KR 20130168133A KR 101600671 B1 KR101600671 B1 KR 10160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onnection
detecting
metal piec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611A (ko
Inventor
구연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3016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6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3Magnet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상기 통과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권선되도록 상기 검출부의 일단 및 상기 검출부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금속편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위치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원료를 이용하는 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편 검출장치{Apparatus Detecting Metal}
본 발명은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장치에서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금속편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원료를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Conveyor) 등과 같은 이송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건식소화설비(CDQ) 등과 같이 제철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에서 코크스 등과 같은 소정의 원료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10)는 원료를 지지하는 컨베이어벨트(11),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가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순환 이동시키는 이송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1)는 소정의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된다. 원료는 상기 이송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순환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상태로 소정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된다.
여기서, 원료는 금속편이 혼입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편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가 원료를 이송함에 따라 함께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손상 내지 파손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11)가 원료를 이송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의한 이송공정에 연결되어 연속공정으로 처리되는 다른 공정들 또한 정지되므로, 작업시간에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장치(10)에서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장치에서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할 수 있는 금속편 검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는 이송장치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상기 통과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권선되도록 상기 검출부의 일단 및 상기 검출부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는 이송장치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하는 제1검출부;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하는 제2검출부; 상기 제1검출부가 상기 통과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권선되도록 상기 제1검출부의 일단 및 상기 제1검출부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모듈; 상기 제2검출부가 상기 제1검출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통과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권선되도록 상기 제2검출부의 일단 및 상기 제2검출부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모듈; 상기 제1연결모듈 및 상기 제2연결모듈이 결합되는 연결기판; 및 상기 연결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검출부와 상기 제2검출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모듈 및 상기 제2연결모듈을 연결하는 제1연결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이 이송장치를 손상 내지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시간에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출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위치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원료를 이용하는 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가 이송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에 있어서 검출부 및 연결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가 금속편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를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가 이송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에 있어서 검출부 및 연결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가 금속편을 검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를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이송장치(10, 도 2에 도시됨)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에 금속편(100, 도 5에 도시됨)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10)는 건식소화설비(CDQ) 등과 같이 제철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에서 코크스 등과 같은 소정의 원료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원료는 상기 이송장치(10)가 갖는 컨베이어벨트(11, 도 2에 도시됨)에 지지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를 통과하도록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로부터 금속편(100)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이송장치(10)에 설치되는 지지부(2),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하는 검출부(3), 및 상기 검출부(3)가 결합되는 연결부(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는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21,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가 상기 통과공(21)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송장치(10)에 설치된다.
상기 검출부(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통과공(21)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부(3)가 형성하는 자장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연결부(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3)는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는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통과공(21)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이 상기 이송장치(10)를 손상 내지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시간에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10)가 다른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에 연결되어 연속공정을 이루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이송장치(10)가 금속편(100)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속공정 전체에 대한 작업시간에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료를 이용하는 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부(3)가 상기 연결부(4)를 통해 상기 지지부(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장치(10)에 대해 검출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검출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지지부(2)로부터 분리된 후에, 변경된 검출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연결부(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원료를 이용하는 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부(2), 상기 검출부(3) 및 상기 연결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2)는 상기 이송장치(10)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2)는 상기 검출부(3) 및 상기 연결부(4)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2)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 도 2에 도시됨)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21)을 포함한다.
상기 통과공(21)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11)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는 상기 통과공(21)을 통해 상기 지지부(2)를 통과하면서 이동한다. 상기 지지부(2)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지지부(2)에 결합된다.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통과공(21)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3)는 상기 통과공(21)을 통과하는 컨베이어벨트(11)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11)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는 이송과정에서 상기 검출부(3)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로부터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한다. 상기 검출부(3)는 발신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에 대해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부(3)가 발생시킨 자장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통과함에 따른 기전력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검출부(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통과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통과하는 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눕혀진 금속편(100)에 대해 높은 검출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자장방향(200)으로 형성된 자장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세워진 금속편(100)과 비교할 때,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눕혀진 금속편(100)을 통과하는 면적이 더 크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상측을 향하는 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검출부(3)는 검출코일(31,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이송장치(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통과공(21)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1)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는 이송과정에서 상기 검출코일(31)의 내측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로부터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한다. 상기 검출코일(31)은 발신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에 대해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발생시킨다. 상기 검출코일(31)에는 사인파 형태의 발신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를 감싸는 폐쇄된 고리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함으로써, 소정 특성을 갖는 금속편(100)에 대해 높은 검출력을 갖출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는 바(Bar) 형태의 금속편(100)이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향하도록 혼입된 상태로 상기 검출코일(31)을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검출코일(31)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통과하여 상기 바 형태의 금속편(100)이 갖는 길이(100L)에 해당하는 면적을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통과하게 되는 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바 형태의 금속편(100)이 갖는 길이(100L)에 해당하는 면적을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상측을 향하는 제2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3)는 상기 바 형태의 금속편(100)이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향하도록 원료에 혼입됨에 따라 상기 자장이 상기 바 형태의 금속편(100)이 갖는 두께(100T)에 해당하는 면적을 통과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자장이 상기 바 형태의 금속편(100)을 통과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부(3)는 원료에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향하도록 혼입된 바 형태의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력을 강화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검출부(3)는 투자율이 높은 자성체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금속편(100)은 일반적으로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료에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향하도록 혼입된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검출코일(31)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통과하여 상기 자성체 금속편(100)이 갖는 길이(100L)에 해당하는 면적을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컨베이어벨트(11)를 통과하게 되는 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자성체 금속편(100)이 갖는 길이(100L)에 해당하는 면적을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컨베이어벨트(11)의 상측을 향하는 제2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자장이 상기 자성체 금속편(100)이 갖는 두께(100T)를 통과하는 것과 비교할 때, 상기 자장이 상기 자성체 금속편(100)을 통과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자성체 금속편(10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함으로써, 원료에 상기 수평방향(X축 방향)을 향하도록 혼입된 바 형태의 금속편(100), 및 상기 자성체 금속편(100) 등과 같은 특성을 갖는 금속편(100)에 대해 높은 검출력을 갖출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검출부(3)는 보호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2)는 상기 검출코일(31)을 보호한다.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보호부재(32)에 결합된다. 상기 보호부재(32)는 상기 검출코일(31)이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된 상태에서 진동 등에 의해 상기 검출코일(31)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검출코일(31)이 상기 보호부재(32) 없이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된 경우, 상기 이송장치(10)가 상기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지지부(2)에 마찰하게 됨으로써 손상 내지 파손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이송장치(10)가 설치된 작업현장의 습도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보호부재(32)는 상기 검출코일(31)이 상기 지지부(2)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장치(10)가 상기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호부재(32)는 상기 검출코일(31)이 상기 지지부(2)에 마찰함에 따라 손상 내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검출코일(31)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이송장치(10)가 상기 원료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32)는 상기 이송장치(10)가 설치된 작업현장의 습도로부터 상기 검출코일(31)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작업현장의 습도로 인해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2)는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2)는 상기 검출코일(31)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가 상기 검출코일(31)을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코일(31)들은 상기 보호부재(31)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상기 보호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1)의 내부에는 64개의 검출코일(31)이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는 상기 지지부(2)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검출부(3)가 상기 통과공(21)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되도록 상기 검출부(3)의 일단 및 상기 검출부(3)의 타단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부(3)가 형성하는 자장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의 일단 및 상기 검출부(3)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4)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에는 상기 검출부(3)의 일단 및 상기 검출부(3)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3)는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연결부(4)를 통해 상기 지지부(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원료를 이용하는 설비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 및 상기 검출부(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부(4) 및 상기 검출부(3)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검출부(3)는 제1커넥터(33, 도 7에 도시됨), 및 제2커넥터(34,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33)는 상기 검출코일(31)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검출부(3)가 상기 검출코일(31)을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커넥터(33)는 복수개의 검출코일(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64개의 검출코일(31)들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커넥터(33)는 64개의 검출코일(3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34)는 상기 검출코일(31)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검출부(3)가 상기 검출코일(31)을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커넥터(34)는 복수개의 검출코일(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64개의 검출코일(31)들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커넥터(33)는 64개의 검출코일(3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결부(4)는 제1연결부재(41, 도 7에 도시됨), 및 제2연결부재(42,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1)에는 상기 제1커넥터(3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커넥터(33)는 상기 제1연결부재(4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상기 제1커넥터(33)에 연결된 검출코일(31)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33)가 복수개의 검출코일(31)들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복수개의 검출코일(31)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2)에는 상기 제2커넥터(34)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34)는 상기 제2연결부재(4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재(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42)는 상기 제2커넥터(34)에 연결된 검출코일(31)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34)가 복수개의 검출코일(31)들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42)는 복수개의 검출코일(31)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2) 및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코일(31)의 일단 및 상기 검출코일(31)의 타단은 상기 제1연결부재(41) 및 상기 제2연결부재(42)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2) 및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커넥터(33)는 상기 검출코일(31)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핀(331,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33)는 N개(N은 0보다 큰 정수)의 제1연결핀(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33)는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결합된 검출코일(31)의 개수와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제1연결핀(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64개의 검출코일(31)들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커넥터(33)는 64개의 제1연결핀(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33)는 Male Connector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상기 제1연결핀(331)이 삽입되는 제1연결홈(411,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N개의 제1연결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상기 제1연결핀(331)과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제1연결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33)가 64개의 제1연결핀(33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64개의 제1연결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1)는 Female Connector일 수 있다.
상기 검출부(3)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핀(331)이 상기 제1연결홈(4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핀(331)이 상기 제1연결홈(411)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커넥터(34)는 상기 검출코일(3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핀(341,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34)는 N개(N은 0보다 큰 정수)의 제2연결핀(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34)는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결합된 검출코일(31)의 개수와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제2연결핀(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64개의 검출코일(31)들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커넥터(34)는 64개의 제2연결핀(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34)는 Male Connector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2)는 상기 제2연결핀(341)이 삽입되는 제2연결홈(421,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2)는 N개의 제2연결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2)는 상기 제2연결핀(341)과 대략 일치하는 개수의 제2연결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34)가 64개의 제2연결핀(34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42)는 64개의 제2연결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42)는 Female Connector일 수 있다.
상기 검출부(3)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핀(341)이 상기 제2연결홈(4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핀(341)이 상기 제2연결홈(421)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검출위치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는 상기 제1연결부재(41) 및 상기 제2연결부재(42)가 결합되는 연결기판(43,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판(43)은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기판(43)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4)는 측정부재(44, 도 8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재(44)는 상기 검출부(3)에 연결되게 상기 연결기판(43)에 형성된다. 상기 측정부재(44)는 상기 검출코일(31)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부재(44)는 상기 검출부(3)가 갖는 저항치를 측정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측정부재(44)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검출부(3)가 갖는 저항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검출코일(31)이 결합된 보호부재(32)의 일부를 제거한 후에 저항측정기(미도시)를 상기 검출코일(31)에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코일(31)은 저항치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보호부재(32)에서 제거된 부분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보호부재(32)에서 제거된 부분이 손상 내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코일(31)은 상기 보호부재(32)에서 제거된 부분을 통해 상기 이송장치(10)가 설치된 작업현장의 습도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측정부재(44)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검출부(3)는 상기 검출코일(31)이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측정부재(44)를 통해 상기 저항측정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항측정기는 상기 측정부재(44)를 통해 상기 검출코일(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검출부(3)가 갖는 저항치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부(3)가 갖는 저항치를 측정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코일(31)은 저항치를 측정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진동, 흔들림, 작업현장의 습도 등에 의해 상기 검출코일(31)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정부재(44)는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된 검출코일(31)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검출코일(31)에 연결되는 제1측정배선(441, 도 8에 도시됨), 및 상기 보호부재(32)의 내부에 위치된 검출코일(31) 중에서 다른 하나의 검출코일(31)에 연결되는 제2측정배선(442,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배선(441) 및 상기 제2측정배선(442)은 상기 연결기판(43)에 인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배선(441) 및 상기 제2측정배선(442)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에는 상기 제1측정배선(441) 및 상기 제2측정배선(442)을 통해 발신신호가 인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측정배선(441) 및 상기 제2측정배선(442)은 상기 검출부(3)가 갖는 저항치를 측정하기 위한 작업 및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는 작업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제어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연결부(4)에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검출부(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검출부(3)에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발신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검출부(3)는 상기 제어부(4)로부터 발신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11)에 지지된 원료에 상기 자장방향(200)으로 자장을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5)는 사인파 형태의 발신신호를 상기 검출부(3)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검출부(3)로부터 제공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검출부(3)에 의해 형성된 자장이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한 후에 검출부(3)로부터 제공되는 검출신호로부터 기전력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으면, 상기 검출부(3)에 의해 형성된 자장은 상기 금속편(100)을 통과하면서 자속 밀도가 변하게 되고, 상기 금속편(100)의 표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생생시킴으로써 2차 자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2차 자장은 상기 검출신호가 갖는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기전력 변화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검출신호로부터 기전력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이송장치(10)에 지지된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검출신호로부터 원료에 금속편(100)이 없는 경우의 기전력 및 검출된 기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원료에 금속편(100)이 없는 경우의 기전력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5)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검출신호로부터 위상차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5)는 원료에 금속편(100)이 없는 경우의 위상차 및 검출된 위상차를 비교함으로써, 원료에 금속편(100)이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제1측정배선(441) 및 상기 제2측정배선(44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검출부(3)에 발신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제1측정배선(441) 및 상기 제2측정배선(44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검출부(3)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는 상기 검출부(3)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3)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검출코일(31), 상기 보호부재(32), 상기 제1커넥터(33) 및 상기 제2커넥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기(3)들은 상기 보호부재(32)에 의해 상기 검출코일(31)이 보호된 상태이므로,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되기 이전에 미리 제작된 후에 상기 지지부(2)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검출기(3)들은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100)을 검출하기에 적합한 개수의 검출코일(31)을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가 제1검출부(3a) 및 제2검출부(3b)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4)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상기 제1검출부(3a)가 결합되는 제1연결모듈(4a), 상기 제2검출부(3b)가 결합되는 제2연결모듈(4b), 및 제1연결배선(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모듈(4a)에는 상기 제1검출부(3a)의 일단 및 상기 제1검출부(3a)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검출부(3a)는 상기 제1연결모듈(4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통과공(21, 도 3에 도시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1검출부(3a)는 상기 제1연결모듈(4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모듈(4a)은 상기 제1검출부(3a)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41), 및 상기 제1검출부(3a)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모듈(4a)은 상기 연결기판(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모듈(4b)에는 상기 제2검출부(3b)의 일단 및 상기 제2검출부(3b)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검출부(3b)는 상기 제2연결모듈(4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통과공(21, 도 3에 도시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2검출부(3b)는 상기 제1검출부(3a)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2검출부(3b)는 상기 제2연결모듈(4b)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모듈(4b)은 상기 제2검출부(3b)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41), 및 상기 제2검출부(3b)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모듈(4b)은 상기 연결기판(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모듈(4b) 및 상기 제1연결모듈(4a)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연결기판(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배선(45)은 상기 제1검출부(3a)와 상기 제2검출부(3b)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모듈(4a) 및 상기 제2연결모듈(4b)을 연결한다. 상기 제1연결배선(45)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모듈(4a)의 제2연결부재(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모듈(4b)의 제1연결부재(4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검출부(3a)와 상기 제2검출부(3b)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배선(45)은 상기 연결기판(43)에 인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배선(45)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배선(45)은 케이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편 검출장치(1)가 제1검출부(3a), 제2검출부(3b) 및 제3검출부(3c)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4)는 상기 제1연결모듈(4a), 상기 제2연결모듈(4b), 제3연결모듈(4c), 상기 제1연결배선(45), 및 제2연결배선(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모듈(4a), 상기 제2연결모듈(4b), 및 상기 제1연결배선(45)은 상술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연결모듈(4c)에는 상기 제3검출부(3c)의 일단 및 상기 제3검출부(3c)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검출부(3c)는 상기 제3연결모듈(4c)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통과공(21, 도 3에 도시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3검출부(3c)는 상기 제2검출부(3b)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에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제2검출부(3b)는 상기 제1검출부(3a) 및 상기 제3검출부(3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검출부(3c)는 상기 제3연결모듈(4c)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 도 3에 도시됨)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모듈(4c)은 상기 제3검출부(3c)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41), 및 상기 제3검출부(3c)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모듈(4c)은 상기 연결기판(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모듈(4c)은 상기 제2연결모듈(4b)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연결기판(4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모듈(4b)은 상기 제1연결모듈(4a) 및 상기 제2연결모듈(4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선(46)은 상기 제2검출부(3b)와 상기 제3검출부(3c)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연결모듈(4b) 및 상기 제3연결모듈(4c)을 연결한다. 상기 제2연결배선(46)은 일단이 상기 제2연결모듈(4b)의 제2연결부재(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연결모듈(4c)의 제1연결부재(4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검출부(3b)와 상기 제3검출부(3c)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선(46)은 상기 연결기판(43)에 인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선(46)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선(46)은 케이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측정배선(442)은 상기 제3연결모듈(4c)의 제2연결부재(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배선(441)은 상기 제1연결모듈(4a)의 제1연결부재(4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검출부(3a), 상기 제2검출부(3b), 및 상기 제3검출부(3c)는 상기 연결부(4)를 통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금속편 검출장치 2 : 지지부
3 : 검출부 4 : 연결부
5 : 제어부 10 : 이송장치
11 : 컨베이어벨트 100 : 금속편

Claims (7)

  1. 이송장치에 지지된 원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한 자장을 형성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가 상기 통과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부에 권선되도록 상기 검출부의 일단 및 상기 검출부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원료에 혼입된 금속편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검출부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자장을 형성하기 위한 검출코일, 및 상기 검출코일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검출코일이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코일이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보호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검출코일이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가 갖는 저항치가 측정되도록 상기 검출코일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측정부재, 상기 검출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검출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재를 통해 상기 검출코일에 연결되도록 상기 측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측정부재는 상기 검출코일이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저항치가 측정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에 연결된 검출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기판에 형성된 제1측정배선, 및 상기 검출코일이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저항치가 측정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된 검출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기판에 형성된 제2측정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편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코일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검출코일들은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상기 보호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편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검출코일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커넥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제2커넥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편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N개(N은 0보다 큰 정수)의 검출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검출코일에 연결되는 N개의 제1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연결핀이 삽입되는 N개의 제1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편 검출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68133A 2013-12-31 2013-12-31 금속편 검출장치 KR10160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133A KR101600671B1 (ko) 2013-12-31 2013-12-31 금속편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133A KR101600671B1 (ko) 2013-12-31 2013-12-31 금속편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611A KR20150078611A (ko) 2015-07-08
KR101600671B1 true KR101600671B1 (ko) 2016-03-07

Family

ID=5379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133A KR101600671B1 (ko) 2013-12-31 2013-12-31 금속편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6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862A (ja) * 1999-10-22 2001-05-11 Nisshin Denshi Kogyo Kk ニードルディテクタ
JP2001183346A (ja) 1999-12-28 2001-07-06 Tokyo Gas Co Ltd 漏洩磁束探傷検査用コイル素子および漏洩磁束探傷検査用コイルならびに漏洩磁束探傷検査装置
JP2012093095A (ja) * 2010-10-22 2012-05-17 Okayama Univ 非破壊検査装置及び非破壊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11B1 (ko) * 2001-12-03 2004-07-01 주식회사 포스콘 금속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862A (ja) * 1999-10-22 2001-05-11 Nisshin Denshi Kogyo Kk ニードルディテクタ
JP2001183346A (ja) 1999-12-28 2001-07-06 Tokyo Gas Co Ltd 漏洩磁束探傷検査用コイル素子および漏洩磁束探傷検査用コイルならびに漏洩磁束探傷検査装置
JP2012093095A (ja) * 2010-10-22 2012-05-17 Okayama Univ 非破壊検査装置及び非破壊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611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516380300B1 (ar) نظام اكتساب تفريغ جزئي مشتمل على مستشعر مجال كهربي للإقران السعوي
CN100504413C (zh) 线束检查器以及线束检查方法
CA2752359C (en) Device for protecting an electronic printed circuit board
EP2843424A1 (en) Current transducer for measuring an electrical current flowing through a cable
US20080163704A1 (en) Dustproof and waterproof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KR101600671B1 (ko) 금속편 검출장치
JP5484885B2 (ja) 撚った対の電気ケーブルの試験法
KR102092524B1 (ko) 인쇄회로기판, 이송 시스템 및 제조 시스템
CN103792483A (zh) 新型手机pcb板测试装置
EP2482090A1 (en) System for measuring partial discharges in power lines
JP6450236B2 (ja) スチールコードコンベヤベルトの縦裂検出装置及びスチールコードコンベヤベルトの縦裂検出システム
CN210834768U (zh) 基于正交检测的电涡流探伤装置
US3848184A (en) Metal sensing apparatus with a protective cover of a grounded conductive plastic material to prevent accumulation of electrical charges
CN209928996U (zh) 具备区域扰动安全监控的电缆
JP2017123295A (ja) トラッキング防止構造
KR20210009796A (ko) 다른 각도의 센서 배치를 갖는 금속 검출기
KR20150104907A (ko) 금속 검출기 컨베이어 시스템
JP5767886B2 (ja) 表面電流プローブ
KR101046440B1 (ko) 전선의 단자 검사 장치
CN105251697A (zh) 键盘装配检测装置
CN206350234U (zh) 锯片在线自动分板机
CN206740900U (zh) 综合医院电气维修漏电检测装置
CA1242504A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longitudinal cracking in conveyor belt
JP5433202B2 (ja) ノイズ評価装置
CN216595365U (zh) 一种井下高压绝缘线缆在线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